KR102635356B1 -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5356B1 KR102635356B1 KR1020210078613A KR20210078613A KR102635356B1 KR 102635356 B1 KR102635356 B1 KR 102635356B1 KR 1020210078613 A KR1020210078613 A KR 1020210078613A KR 20210078613 A KR20210078613 A KR 20210078613A KR 102635356 B1 KR102635356 B1 KR 1026353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crosswalk
- warning
- safety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64—Convolutional networks [CNN, ConvNe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일반국도에서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 신호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해주고, 원거리의 사물인터넷 경보장치를 통해 원거리 차량으로는 횡단 보도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이용자의 사고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국도의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를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경보를 표출하여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 상황을 제공해주는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 및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스마트 안전기를 포함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을 구현한다.Detects vehicle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from a distance away from crosswalk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provides safety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by using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crosswalk sig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a complex manner, and provides remote Internet of Things alerts. This is about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reduces accidents for users of general national roads by providing crosswalk user information to distant vehicles through a device. It detects vehicles on general national roads using IoT sensors. , a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that transmits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displays a safety alert using the received safety information, and provides crosswalk situations to drivers of vehicle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t a distance, as well as vehicle information and crosswalk users. A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cluding a smart safety device that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for safety using detection information and uses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to issue an alarm to crosswalk users and drivers of vehicles on public highways at a distance. Imple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국도에서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 신호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해주고, 원거리의 사물인터넷 경보장치를 통해 원거리 차량으로는 횡단 보도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이용자의 사고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n particular, it detects vehicle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t a distance away from crosswalk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nd uses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crosswalk sig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combination. About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provides safety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and reduces accidents for users of general national highways by providing crosswalk user information to distant vehicles through a remote IoT warning device. will be.
사람이 가로로 건너다닐 수 있도록 안전표지나 도로 표지를 설치하여 차로 위에 마련한 길이 횡단 보도이다.A crosswalk is a road that is prepared above a lane by installing safety signs or road signs to allow people to cross horizontally.
이러한 횡단 보도에 설치된 교통안전 시스템은 단순히 교통신호등과 연계하여 보행자 신호를 제공해주는 장치부터, 보행자 대기 위치를 알려 주거나 횡단 보도 주변의 차량 등을 감지하여 경보해 주거나 잔여 보행자 신호를 알려주거나 표시장치를 통해 보행자를 유도해주는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장치가 존재한다.Traffic safety systems installed at these crosswalks range from devices that simply provide pedestrian signals in conjunction with traffic lights, to informing pedestrians of waiting locations, detecting and warning vehicles around the crosswalk, informing of remaining pedestrian signals, or providing display devices. There are devices that combine various functions, such as guiding pedestrians.
그러나 이렇게 횡단 보도에 설치된 다양한 교통안전 시스템은 횡단 보도 근처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나 횡단 보도 주변 차량으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은 어느 정도 가능하나, 횡단 보도와 원거리에 위치한 차량의 정보를 횡단 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거나, 원거리에 위한 차량으로 횡단 보도와 상황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various traffic safety systems installed at crosswalks are capable of obtaining situational information near the crosswalk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or vehicles around the crosswalk to some extent, but they do not provide information about vehicles located far from the crosswalk.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provide crosswalk and situation information to sidewalk users or to vehicles for long distances.
예컨대, 고속국도나 도심의 국도와는 달리 일반 국도는 차량의 이동량도 많지 않으며, 보행자의 이동량도 상대적으로 적어 횡단 보도도 적게 설치된다.For example, unlike high-speed national highways or national highways in urban areas, general national highways do not have a lot of vehicle traffic, and the amount of pedestrian movement is relatively small, so fewer crosswalks are installed.
따라서 일반 국도로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는 고속국도나 도심 국도의 차량 운행과는 다르게 주의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상대적으로 일반국도에 설치된 횡단 보도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도 상대적으로 운행 차량이 적어 주의력을 높이지 않고 횡단 보도를 횡단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일반국도에서의 사고는 오히려 고속국도나 도심 국도 보다 더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Therefore, drivers who drive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often have less attentiveness than when driving on high-speed national highways or urban national highways, and users who use crosswalks installed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lso do not increase their attentiveness due to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vehicles driving. There are many cases where people cross the crosswalk without doing so. For this reason, accidents on regular national highways often result in more dangerous situations than on high-speed national highways or urban national highways.
이에 따라 일반국도에서 발생하는 차량 사고를 줄이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technology is required to reduce vehicle accidents that occur on general national roads.
한편, 횡단 보도의 이용자 안전을 위해 종래에 제안된 안전시스템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safety systems previously proposed for the safety of crosswalk users ar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below.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횡단 보도를 건너기 위한 대기장소에 설치하는 지주 기둥과 상기 지주 기둥 상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지주보를 구비하는 지주, 상기 지주보에 설치되어 상기 횡단 보도로 진입하는 차량과 횡단 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검지하는 검지기, 상기 지주보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조명 장치, 상기 지주에서 소정의 거리에 설치되는 경고표지판, 상기 지주 기둥에 설치되어 상기 검지기에서 측정한 상기 차량의 속도 및 보행자 유무를 상기 경고표지판에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 감속 효과를 높여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횡단 보도 안전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support pole installed at a waiting area for crossing a crosswalk, a support beam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of the support pillar, and a support beam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to enter the crosswalk. A detector for detecting vehicles and pedestrians crossing the crosswalk, a ligh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upport beam and emitting light, a warning sign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upport beam, and the vehicle installed on the support pillar and measured by the detector.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transmits the speed and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to the warning sign. Through this configuration, a crosswalk safety system is provided to ensure the safety of pedestrians by increasing the speed reduction effect of vehicles approaching the crosswalk.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속도를 측정하는 레이더센서 장치, 횡단 보도에 대기하고 있는 보행자를 검지하는 장치, 과속 및 보행자의 주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방안전표지판 등을 통해 횡단보도 대기자, 보행자, 접근차량 모두를 검지하고 보행자에게는 소리로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으로는 표출장치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과 보행자 모두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 모두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와 노약자 같은 교통 약자의 교통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레이더 센서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활용하여 횡단보도의 교통사고를 분석하거나, 근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cludes a radar sensor device that detects vehicles approaching a crosswalk and measures their speed, a device that detects pedestrians waiting at a crosswalk, and a device that provides speeding and pedestrian caution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both vehicles and pedestrians by detecting people waiting at the crosswalk, pedestrians, and approaching vehicles through front safety signs, providing information to pedestrians through sound,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vehicles through display devices. By using smart sensors to provide safety information to both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we can not only reduce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for the vulnerable, such as children and the elderly, but also use data collected from smart radar sensor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t crosswalks. Analyze or use it as evidence.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횡단 보도에 근접하는 차량으로 보행자 정보를 제공하고, 횡단 보도에 근접하는 차량에 대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차량 정보를 제공하여 보행 안전지원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일반국도에 적용하여 원거리에서 횡단 보도 이용자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고, 원거리에서 횡단 보도 측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정보를 횡단 보도 대기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은 어려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is a technology that provides pedestrian information to vehicles approaching the crosswalk and provides vehicle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for vehicles approaching the crosswalk, thereby providing pedestrian safety support. It is applied to general national roads to provide pedestrian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crosswalk user information to vehicles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vehicles moving toward the crosswalk from a distance to those waiting for the crosswalk.
특히, 종래기술을 차량 운행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횡단 보도 이용자가 적은 일반국도에 적용하여, 차량의 안전 운행을 도모하고,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In particular, there are limitations in promoting the safe operation of vehicles and the safety of pedestrians by applying the prior art to general national roads where there are relatively few vehicles or crosswalk user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횡단 보도에 설치된 안전지원 시스템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국도에서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 신호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all problems arising from the safety support system installed in the general crosswalk and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detects and detects vehicle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t a distance away from the crosswalk on a general national ro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can provide safety information to crosswalk users by using vehicle information, crosswalk sig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a complex mann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거리의 사물인터넷 경보장치를 통해 원거리 차량으로는 횡단 보도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이용자의 사고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can reduce accidents among users of public roads by providing crosswalk user information to distant vehicles through a remote Internet of Things warning dev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purpose, the “Internet of Things-based smar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국도의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를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경보를 표출하여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 상황을 제공해주는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 및It detects vehicle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using IoT sensors, transmits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displays safety alerts using the received safety information to provide crosswalk situations to drivers of general national highways at a distanc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s; and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스마트 안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the user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safety, and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is used to alert crosswalk users and drivers of general national highway vehicles in the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mart safety device that generates.
상기에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는 상기 스마트 안전기와 떨어진 일반 국도의 상행 및 하향 차로 변에 각각 설치되며, 일반국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여 스마트 안전기에 전송하고, 스마트 안전기에서 전송된 안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원격의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 and down lanes of the general national road away from the smart safety device, detects vehicles driving on the general national road, transmits it to the smart safety device, and receives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safety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visually displaying situation information of remote crosswalks to vehicle drivers.
상기에서 차량 검지 및 경보장치는,In the above,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is,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driving power;
일반국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부;A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vehicles driving on general national roads;
상기 차량 검지부에서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안전기에서 전송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ehic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to be transmitted to a remote smart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generation of an alarm using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safety device;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to a remote smart safety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arning display unit that visually displays situation information of a distant crosswalk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상기에서 차량 검지부는 3축 이방성 자기저항(AMR)을 이용한 지자기 센서로 차량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vehicle detection unit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vehicle with a geomagnetic sensor using 3-axis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AMR).
상기에서 스마트 안전기는,In the above, the smart safety device is,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마스터 사인폴; 및It is installed close to a crosswalk on a general national road, and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for safety using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user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rosswalk, and uses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to cross the street. A master sign pole that alerts sidewalk users and drivers of vehicles on public highways in the distance; and
상기 마스터 사인폴에 종속되어 보행자 주의 경고와 차량 접근을 보행자에게 경고해주는 슬레이브 사인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lave sign pole that is subordinate to the master sign pole and warns pedestrians of pedestrian caution and approaching vehicles.
상기에서 마스터 사인폴은,In the above, the master sign pole is,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와 원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LoRa 게이트웨이;a LoRa gateway that performs long-distanc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횡단 보도의 보행자 유무를 검지하는 보행자 검지 카메라;A pedestrian detection camera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on a crosswalk;
보행자 신호등을 검지하는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A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camera that detects pedestrian traffic lights;
상기 보행자 검지 카메라 및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딥러닝 검지기; 및A deep learning detect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ople waiting on the crosswalk and pedestrians on the crosswalk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and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camera; and
상기 LoRa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딥러닝 검지기의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마스터 통합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afety information for safety is generated using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LoRa gateway and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of crosswalk waiters and crosswalk pedestrians from the deep learning detector, and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is used to detect crosswalk users an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that reduces accidents by warning the general public road vehicle driver.
상기에서 마스터 사인폴은,In the above, the master sign pole is,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a vehicle warning provision unit that displays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and provides it to drivers of public road vehicles approaching a crosswalk;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a warning about approaching vehicles, a crosswalk warning through lighting, a voice alarm that transmits a warning broadcast as a voice, and a crosswalk floor warning that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rosswalk are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상기에서 보행자 경고 제어부는 고보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접근 시 경고 메시지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uses gobo lighting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and the speed of the approaching vehicle when a vehicle approaches.
상기에서 마스터 사인폴은,In the above, the master sign pole is,
대기 온도, 습도, 풍향, 풍속과 같은 기상 정보를 검출하는 기상 센서;A weather sensor that detect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차량 검지 정보, 안전 정보, 횡단 보도 상황정보 및 기상 정보를 원격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센터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further includes center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transmits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상기에서 슬레이브 사인폴은,In the above, the slave sign pole is,
차량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LoRa 게이트웨이;LoRa gateway receiving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상기 LoRa 게이트웨이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를 상기 마스터 사인폴에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사인폴로부터 전송된 안전정보를 수신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A slave integrated controller that transmits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LoRa gateway to the master sign pole, receives safe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ster sign pole, and reduces accidents by warning crosswalk users and general road vehicle drivers. ;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 및a vehicle warning provision unit that displays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lave integrated controller and provides it to drivers of public road vehicles approaching a crosswalk; and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lave integrated controller, a warning about approaching vehicles, a crosswalk warning through lighting, a voice alarm that transmits a warning broadcast as a voice, and a crosswalk floor warning that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rosswalk are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국도에서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 신호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해주어,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ehicles are detecte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t a distance away from crosswalk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nd safety information is provided to crosswalk users by using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crosswalk sig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combination.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crosswalk accidents on national highway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거리의 사물인터넷 경보장치를 통해 원거리 차량으로는 횡단 보도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원거리의 차량 운전자가 접근하는 횡단 보도의 상황을 인지하고 안전운전을 함으로써 일반국도 이용자의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r information of the crosswalk is provided to a distant vehicle through a remote IoT warning device, so that the driver of a distant vehicle recognizes the situation of the approaching crosswalk and drives safely,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of users of general national highway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차량 검지 및 경보장치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스마트 안전기의 실시 예 블록 구성도,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일반국도의 사고 방지를 위한 시나리오 예시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mart safety device of Figure 1;
Figures 4 to 9 are examples of scenarios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의 개략 구성도로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와 스마트 안전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include a vehicle detection and
여기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일반 국도의 도로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 안전기(200)와는 상당히 떨어진 거리(예를 들어, 500m, 1km 기타)에 설치된다. 일반국도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원거리에 설치된 횡단 보도의 보행자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횡단 보도 사고를 줄이도록 한다.Here, the vehicle detection and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이용하여 일반 국도의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를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수신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안전 경보를 표출하여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횡단 보도 상황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vehicle detection and
이러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상기 스마트 안전기(200)와 떨어진 일반 국도의 상행 및 하향 차로 변에 각각 설치되며, 일반국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여 스마트 안전기(200)에 전송하고, 스마트 안전기(200)에서 전송된 안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여 원격의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준다.This vehicle detection and
상기 차량 검지 및 경보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1), 일반국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부(102), 상기 차량 검지부(102)에서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2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안전기(200)에서 전송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103), 상기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200)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104), 및 상기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경고 표시부(105)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detection and
상기 차량 검지부(102)는 3축 이방성 자기저항(AMR)을 이용한 지자기 센서로 차량을 검지할 수 있다.The
스마트 안전기(200)는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러한 스마트 안전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마스터 사인폴(210), 및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에 종속되어 보행자 주의 경고와 차량 접근을 보행자에게 경고해주는 슬레이브 사인폴(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is
여기서 마스터 사인폴(210)과 슬레이브 사인폴(220)은 횡단 보도(1)를 중심으로,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으며, 마스터 사인폴(210)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슬레이브 사인폴(220)은 보행자 검지와 안전 경보 표시 역할을 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은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와 원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LoRa 게이트웨이(211), 횡단 보도의 보행자 유무를 검지하는 보행자 검지 카메라(213), 보행자 신호등을 검지하는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214), 상기 보행자 검지 카메라(213) 및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214)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딥러닝 학습을 통해 검지하는 딥러닝 검지기(215), 및 상기 LoRa 게이트웨이(211)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딥러닝 검지기(215)의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를 포함한다.The
아울러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은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218),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217), 대기 온도, 습도, 풍향, 풍속과 같은 기상 정보를 검출하는 기상 센서(219),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의 제어에 따라 차량 검지 정보, 안전 정보, 횡단 보도 상황정보 및 기상 정보를 원격의 관제 서버(300)에 전송하는 센터 통신 장비(2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보행자 경고 제어부(217)는 고보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접근 시 경고 메시지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표시해줄 수 있다.The pedestrian
상기 슬레이브 사인폴(220)은 차량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LoRa 게이트웨이(221), 상기 LoRa 게이트웨이(221)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를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에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로부터 전송된 안전정보를 수신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223) 및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일단 국도의 횡단 보도(1)에 설치된 스마트 안전기(200)와 상당히 떨어진 거리(예를 들어, 500m, 1km 기타)의 도로변에 설치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일반국도의 도로에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한다.First, the
여기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일반국도의 도로변에 설치되며, 이동형으로 설치 위치 변경이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도 자체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기존 일반국도의 도로변에 설치된 표지판, 지주, 가로수 등에 간단히 결합하도록 결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vehicle detection and
전원 공급은 내장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태양광 모듈을 이용하여 자체 전력을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다.Power can be supplied using the built-in battery or by generating its own power using a solar module.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의 차량 검지부(102)는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원거리에 설치된 횡단 보도의 보행자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횡단 보도 사고를 줄이도록 한다.The
예컨대,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의 차량 검지부(102)는 사물인터넷(IoT) 센서인 3축 이방성 자기저항(AMR)을 이용한 지자기 센서로 차량을 검지한다. 그리고 차량 검지 정보를 제어부(103)에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 검지 정보에는 차량 검지 유무 정보, 차량 속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제어부(103)는 차량 검지 정보가 수신되면, 통신 모듈(104)을 통해 차량 검지 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스마트 안전기(2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통신 모듈(104)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 즉, LoRa 통신, CDMA 통신, LTE 통신, 5G 통신 등을 이용하여 차량 검지 정보를 스마트 안전기(2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LoRa 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검지 정보를 스마트 안전기(200)에 전송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When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is received, the
여기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는 일반국도의 상향 차로와 하행 차로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이 진행하는 방향에 설치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가 차량 진행 방향의 횡단 보도에 설치된 스마트 안전기로 차량 검지 정보를 전송한다.Here, the vehicle detection and
상기 스마트 안전기(200)는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여, 일반국도 사고를 줄인다.The
여기서 스마트 안전기(200)는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마스터 사인폴(210)과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에 종속되어 보행자 주의 경고와 차량 접근을 보행자에게 경고해주는 슬레이브 사인폴(220)로 구성된다.Here, the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에 구비된 LoRa 게이트웨이(211)는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차량 검지 정보를 수신하여 마스터 통합제어기(216)에 전달한다.The
아울러 마스터 사인폴(210)에 구비된 보행자 검지 카메라(213)는 횡단 보도의 대기 선이나 횡단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딥러닝 검지기(215)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214)는 보행자 신호등을 촬영하고, 촬영한 보행자 신호등 영상을 딥러닝 검지기(215)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traffic
상기 딥러닝 검지기(215)는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보행자 검지 카메라(213) 및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214)의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횡단 보도 대기 선에 보행 대기자가 존재하는지, 횡단 보도에 보행하는 보행자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 촬영된 영상 신호로부터 보행자를 감지하는 딥러닝 알고리즘은 영상 분야에 이미 알려진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영상으로부터 지능형 영상 분석을 통해 객체를 탐지하는 객체 탐지 알고리즘인 RCNNs, SSD, YOLOs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딥러닝 학습 알고리즘을 통해 객체(보행자, 보행 대기자)가 탐지되면, 객체 탐지 정보를 마스터 통합제어기(216)에 전달한다. 아울러 보행자 신호등을 분석하여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색상 또는 잔여 보행자 신호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마스터 통합제어기(216)에 전달한다.The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는 상기 LoRa 게이트웨이(211)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딥러닝 검지기(215)의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 정보, 보행자 신호등 정보 등을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한다.The master integrated
예컨대, 차량 검지 정보를 통해 차량 검지가 이루어지면,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정보를 안전 정보로 생성하고, 차량 접근에 대한 주의 음성 경고방송을 안전 정보로 생성하며, 횡단 보도 경고 조명을 안전 정보로 생성하며, 바닥 매립형 경고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아울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차량에게 횡단 보도에 보행자가 있음을 알리는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안전 정보로 생성한다. 또한, 차량 접근 경고를 고보 조명을 통해 경고해주기 위해서, 차량 접근 시 경고 메시지 및 차량 접근 속도 메시지를 안전 정보로 생성한다.For example, when a vehicle is detected through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warning information about vehicle approach caution is generated as safety information, a warning voice warning broadcast about vehicle approach is generated as safety information, and crosswalk warning lights are generated as safety information. It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to operate a floor-embedded warning device. In addition,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is generated as safety information to notify vehicles approaching the crosswalk that there are pedestrians on the crosswalk. In addition, in order to warn of vehicle approach through gobo lighting, a warning message and vehicle approach speed message are generated as safety information when a vehicle approaches.
이렇게 생성된 안전 정보 중 횡단 보도 또는 대기 선에 보행자가 존재하니 주의를 하라는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포함하는 안전 정보는 LoRa 게이트웨이(211)를 통해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로 전송한다.Among the safety information generated in this way, safety information including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to be careful because there are pedestrians on the crosswalk or waiting lin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detection and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의 통신 모듈(104)은 상기 스마트 안전기(200)로부터 전송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경고 표시부(105)를 통해 표출한다. 이로써 일반국도를 주행하는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횡단 보도에 접근하기 이전에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인지할 수 있으며, 횡단 보도에 보행자가 보행중이거나 횡단 보도 이용자가 대기 선에 대기 중인 상태이면, 이를 인지하고 차량 속도를 줄이는 등의 안전 운전을 하여, 실제 먼 거리에 위치한 횡단 보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컬러로 점멸 또는 점등하여 표출할 수 있으며,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표출할 수 있다.The
또한, 횡단 보도에 근접하여 설치된 마스터 사인폴(210)의 차량 경고 제공부(접근 차량 경고 제어부)(218)는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통해 횡단 보도의 보행자 상황을 인지하지 못한 일반국도 차량의 운전자라도 횡단 보도에 접근하기 이전에 멀리서 스마트 사인폴(210)을 통해 횡단 보도의 보행자를 주의하라는 경고를 통해 횡단 보도 보행자 상황을 인지하고, 차량 속도를 줄이는 등의 안전 운전을 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여기서 횡단 보도의 보행자를 주의하라는 경고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이용하여 색상이나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warning provision unit (approaching vehicle warning control unit) 218 of the
아울러 보행자 경고 제공부(217)는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 등을 통해, 보행자에게 차량 접근에 대한 경고를 시청각으로 하여, 일반국도 횡단 보도의 사고를 방지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ster integrated
여기서 보행자(이용자) 경고 제어부(217)는 고보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접근 시 경고 메시지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표시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 또는 보행 대기자는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인지할 수 있어, 현재 위치까지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예상하거나, 과속을 할 경우 위험하므로 신속하게 보행을 마치거나, 안전 선에 대기하여 횡단 보도 사고를 방지한다.Here, the pedestrian (user)
한편, 스마트 사인폴(210)은 기상 센서(219)를 이용하여 대기 온도, 습도, 풍향, 풍속과 같은 기상 정보를 검출하고, 마스터 통합 제어기(216)는 생성한 안전 정보와 기상 정보를 포함하여 횡단 보도 교통정보를 생성하여 센터 통신 장비(212)를 통해 관제 서버(300)로 전송한다.Meanwhile, the
관제 서버(300)는 수신한 횡단 보도 교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저장하고, 사고 발생시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거나, 교통 정책에 활용하여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와 같은 일반국도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지선 보행자의 안전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으며, 공사구간 근로자의 안전 서비스에도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general national road safety information can be used for safety services for pedestrians on branch lines, and can also be used for safety services for workers in construction zones.
도 4 내지 도 9는 일반국도의 차량 검지,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 검지를 통해 일반국도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횡단 보도에 근접하기 이전에 원거리에서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제공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횡단 보도의 보행자에게는 원거리에서 횡단 보도로 접근하는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 접근 주의를 통해 횡단 보도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시나리오 예시이다.Figures 4 to 9 show that through vehicle detection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nd situational information detection on crosswalks, drivers of general national road vehicles are provided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on crosswalks from a distance before approaching the crosswalk to promote safe driving, This is an example of a scenario where pedestrians on a crosswalk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bout vehicles approaching the crosswalk from a distance to prevent crosswalk accidents by paying attention to vehicle approaches.
도 4는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1 실시 예로서, 원거리에서 차량 접근이 감지될 때, 횡단 보도 보행자 신호가 녹색신호이면 이용자 경보 제어부를 통해 차량 접근에 대한 주의/경고를 하며, 접근 차량 경고 제어부를 통해서는 횡단보행중이라는 경고를 하여 안전 운전을 하도록 한다. 만약, 횡단 보도 보행자 신호가 적색이면 횡단 보행 불가를 표시하여, 차량 접근시 횡단 보도 보행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Figure 4 is a first embodiment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When a vehicle approach is detected from a distance, if the crosswalk pedestrian signal is green, a caution/warning about vehicle approach is issued through the user alert control unit, and the approaching vehicle is alerted. The warning control unit notifies you that you are crossing a street, so you can drive safely. If the crosswalk pedestrian signal is red, it indicates that crossing is not possible,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walking on the crosswalk when approaching a vehicle.
도 5는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2 실시 예로서, 보행자 신호가 적색신호이고, 무단 횡단이 검출되면 무단 횡단 보행중이라는 이용자 경고 제어부 및 접근 차량 경고 제어부에서 각각 수행하여,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서로 주의를 하도록 하고, 횡단 보도 보행자 신호가 적색일 때 무단횡단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보행 불가를 경고하여, 무단 횡단을 사전에 예방하여, 횡단 보도 사고를 방지한다.Figure 5 is a second example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When the pedestrian signal is red and jaywalking is detected, the user warning control unit that jaywalking is detected and the approaching vehicle warning control unit perform the warning, respectively, to warn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Make sure people pay attention to each other, and when the crosswalk pedestrian signal is red, it warns that crossing is not possible if there are no jaywalking pedestrians. This prevents jaywalking in advance and prevents crosswalk accidents.
도 6은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3 실시 예로서, 과속 차량이 감지되면 과속 차량 접근이라는 정보와 횡단 보도 불가 정보를 이용자 경고 제어부를 통해 표출해주고, 접근 차량 경고 제어부를 통해 전방 횡단 보도가 존재하며 횡단 보행중이면 횡단 보행중이라는 경고를 하여 안전 운전 또는 주의 운전을 하도록 하여, 일반국도 횡단 보도 사고를 방지한다.Figure 6 is a third embodiment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When a speeding vehicle is detected, information about a speeding vehicle approaching and information about the impossibility of a crosswalk are displayed through the user warning control unit, and the front crosswalk is blocked through the approaching vehicle warning control unit. If it exists and you are walking on a crosswalk, it warns you that you are walking on a crosswalk and encourages you to drive safely or be careful, thereby preventing crosswalk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도 7은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4 실시 예로서, 원거리에 설치된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에서 차량 접근 유무를 감지하는 시나리오 예시이다.Figure 7 is a fourth embodiment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and is an example of a scenario in whic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approaching is detected by a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installed at a distance.
도 8은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5 실시 예로서, 일반국도에서 도로 공사중일 경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시나리오이다. 라바콘 등에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를 설치하고, 상기 라바콘 등을 이용하여 전방 도로변 공사 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스마트 사인폴의 접근 차량 경고 제어부에서도 전방 도로변 공사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 도로변에 공사중임을 인지하도록 하여, 공사에 따라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다.Figure 8 is a fifth embodiment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which is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when road construction is in progress on general national roads. A vehicle detection and
도 9는 일반국도 사고를 방지하는 시나리오 제6 실시 예로서, 기상 센서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의 근처의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기상 정보를 원격에 위치한 관제 서버에 전송하여, 원격의 관제 서버에서 횡단 보도의 기상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Figure 9 is a sixth embodiment of a scenario for preventing accidents on general national roads, in which weather information near a crosswalk is collected using a weather sensor, and the collected weath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remotely located control server. to be aware of the weather conditions at the crosswalk.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국도에서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에서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차량을 검지하고, 검지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 신호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에게 안전 정보를 제공해주며, 횡단 보도와 떨어진 원거리의 사물인터넷 경보장치를 통해 일반국도 주행 차량으로는 횡단 보도의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일반국도 이용자의 사고를 저감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vehicles are detected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at a distance away from crosswalks on general national highways, and safety information is provided to crosswalk users by using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crosswalk sign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in combination. It provides crosswalk user information to vehicles traveling on regular national highways through an Internet of Things warning device located far away from the crosswalk, thereby reducing accidents for regular national road users.
이상 본 발명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known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it.
Claims (10)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스마트 안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안전기는 보행자 검지 카메라 및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를 검지하는 딥러닝 검지기;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와 상기 딥러닝 검지기의 횡단 보도 대기자 및 횡단 보도 보행자의 존재 유무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 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마스터 통합 제어기;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딥러닝 검지기는 보행자 신호등을 분석하여 현재 보행자 신호등의 색상 또는 잔여 보행자 신호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마스터 통합제어기에 전달하며,
상기 보행자 경고 제어부는 고보 조명을 이용하여 차량 접근 시 경고 메시지 및 접근 차량의 속도를 표시해주어, 보행자 또는 보행 대기자가 접근하는 차량의 속도를 인지하도록 해주며,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와 스마트 안전기는 보행자 신호가 적색신호이고, 무단 횡단이 검출되면 무단 횡단 보행중이라는 경고를 각각 수행하여, 보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서로 주의를 하도록 하고, 횡단 보도 보행자 신호가 적색일 때 무단횡단 보행자가 없으면 횡단보행 불가를 경고하여, 무단 횡단을 사전에 예방하여, 횡단 보도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t detects vehicles on general national roads using IoT sensors, transmits the detected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and uses the received safety information to display a safety alert to alert drivers of vehicles on general national roads at least 500 meters away.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s that provide sidewalk conditions; and
Using the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the user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rosswalk, safety information is generated for safety, and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is used to alert crosswalk users and drivers of general national highway vehicles in the distance. Includes a smart safety device that generates,
The smart safety device includes a deep learning detect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ople waiting at the crosswalk and pedestrians on the crosswalk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pedestrian detection camera and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camera; Safety information for safety is generated using the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the presence/absence information of crosswalk waiters and crosswalk pedestrians from the deep learning detector, and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is used to cross the street. A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that reduces accidents by warning sidewalk users and drivers of public road vehicles;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a warning about approaching vehicles, a crosswalk warning through lighting, a voice alarm that transmits a warning broadcast as a voice, and a crosswalk floor warning that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rosswalk are provided. It includes a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that performs,
The deep learning detector analyzes the pedestrian traffic light, extracts the color of the current pedestrian traffic light or remaining pedestrian signal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The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uses gobo lighting to display a warning message and the speed of the approaching vehicle when a vehicle approaches, allowing pedestrians or waiting pedestrians to recognize the speed of the approaching vehicle,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the smart safety device warn that the pedestrian signal is red and that jaywalking is detected when jaywalking is detected, so that pedestrians and vehicle drivers pay attention to each other, and the crosswalk pedestrian signal is re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prevents crosswalk accidents by preventing jaywalking in advance by warning that crossing is not possible if there are no jaywalking pedestrians.
In claim 1,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 and down lanes of a general national road separated by a long distance from the smart safety device, detects a vehicle driving on a general national road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safety device, an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provides vehicle drivers with remote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by visually displaying transmitted safety information.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일반국도로 주행하는 차량을 검지하는 차량 검지부;
상기 차량 검지부에서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스마트 안전기에서 전송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검지한 차량 정보를 원거리의 스마트 안전기에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거리의 횡단 보도의 상황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경고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n claim 1,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driving power;
A vehicl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vehicles driving on general national road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vehicl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ehicle detection unit to be transmitted to a remote smart safety device and controls the generation of an alarm using the safe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safety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he detected vehicle information to a remote smart safety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comprising a warning display unit that visually displays status information on a distant crosswal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claim 3, the vehicle detection unit is a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s detected by a geomagnetic sensor using 3-axis anisotropic magnetoresistance (AMR).
일반국도의 횡단 보도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를 통해 전송된 차량 정보와 횡단 보도의 이용자 검지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을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안전정보를 이용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원거리의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보를 발생하는 마스터 사인폴; 및
상기 마스터 사인폴에 종속되어 보행자 주의 경고와 차량 접근을 보행자에게 경고해주는 슬레이브 사인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n claim 1, the smart safety device,
It is installed close to a crosswalk on a general national road, and generates safety information for safety using vehicl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user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crosswalk, and uses the generated safety information to cross the street. A master sign pole that alerts sidewalk users and drivers of vehicles on public highways in the distance; an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that is subordinate to the master sign pole and includes a slave sign pole that warns pedestrians of pedestrian caution and approaching vehicles.
상기 차량 검지 및 경고장치(100)와 원거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LoRa 게이트웨이(211);
횡단 보도의 보행자 유무를 검지하는 보행자 검지 카메라(213); 및
보행자 신호등을 검지하는 보행자 신호등 검지 카메라(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n claim 5, the master sign pole 210,
A LoRa gateway (211) that performs long-distance data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100);
A pedestrian detection camera (213)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destrians on the crosswalk; an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edestrian traffic light detection camera 214 that detects pedestrian traffic lights.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n claim 6, the master sign pole is: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comprising a vehicle warning provision unit that displays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and provides it to drivers of public highway vehicles approaching a crosswalk.
대기 온도, 습도, 풍향, 풍속과 같은 기상 정보를 검출하는 기상 센서;
상기 마스터 통합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차량 검지 정보, 안전 정보, 횡단 보도 상황정보 및 기상 정보를 원격의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센터 통신 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
In claim 6, the master sign pole is:
A weather sensor that detects weather information such as air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further comprising center communication equipment that transmits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crosswalk situation information, and weather information to a remote control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master integrated controller.
차량 검지 정보를 수신하는 LoRa 게이트웨이(221);
상기 LoRa 게이트웨이(221)를 통해 수신한 차량 검지 정보를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에 전송하고, 상기 마스터 사인폴(210)로부터 전송된 안전정보를 수신하여 횡단 보도 이용자 및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여 사고를 저감하는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보행자 주의 경고 정보를 표출하여 횡단 보도에 접근하는 일반국도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해주는 차량 경고 제공부(223); 및
상기 슬레이브 통합 제어기(222)에서 출력되는 안전 정보를 기초로 차량 접근 주의에 대한 경고, 조명을 통한 횡단 보도 경고, 경고 방송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음성 경보, 횡단 보도의 바닥에 매립되어 경고해주는 횡단 보도 바닥 경고를 수행하는 보행자 경고 제어부(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안전시스템.In claim 5, the slave sign pole 220 is,
LoRa gateway 221 for receiving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Vehicle detec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LoRa gateway 221 is transmitted to the master sign pole 210, and safet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ster sign pole 210 is received to warn crosswalk users and general national highway vehicle drivers. A slave integrated controller (222) that reduces accidents by doing so;
a vehicle warning provider 223 that displays pedestrian caution warning information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lave integrated controller 222 and provides it to drivers of vehicles on public highways approaching a crosswalk; and
Based on the safety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lave integrated controller 222, a warning about approaching vehicles, a crosswalk warning through lighting, a voice alarm that transmits a warning broadcast as a voice, and a crosswalk that is embedded in the bottom of the crosswalk to warn An IoT-based smart safety system comprising a pedestrian warning control unit 224 that performs floor warn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613A KR102635356B1 (en) | 2021-06-17 | 2021-06-17 |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8613A KR102635356B1 (en) | 2021-06-17 | 2021-06-17 |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741A KR20220168741A (en) | 2022-12-26 |
KR102635356B1 true KR102635356B1 (en) | 2024-02-08 |
Family
ID=84547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8613A Active KR102635356B1 (en) | 2021-06-17 | 2021-06-17 |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535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4288B1 (en) * | 2024-07-17 | 2024-12-17 | 한승기 | Traffic light structure with pedestrian recognition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0226B1 (en) * | 2023-02-01 | 2024-09-25 | 임부호 | Floor lighting apparatus for walking direction at crosswalk |
KR102753638B1 (en) * | 2024-10-11 | 2025-01-14 |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 Device and method for Road safety,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5569B1 (en) | 2010-10-25 | 2011-06-30 | 주식회사 서연네트웍스 | Night information system of pedestrian crossing |
KR101429123B1 (en) | 2013-02-05 | 2014-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sensor node, safety system of crossro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226533B1 (en) * | 2020-08-31 | 2021-03-11 |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 Smart road lighting system composed of an integrated lighting po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5525B1 (en) * | 2012-07-27 | 2014-04-15 | 휴앤에스(주) | Safe cross-walk system on school zone |
KR101408029B1 (en) | 2013-02-15 | 2014-06-19 | 주식회사 온텍시스템 | Crosswalk Safet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200051142A (en) * | 2018-11-05 | 2020-05-13 | 최병주 | Pedestrian safety system on crosswork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
KR102296105B1 (en) | 2019-08-16 | 2021-08-31 |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
-
2021
- 2021-06-17 KR KR1020210078613A patent/KR1026353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5569B1 (en) | 2010-10-25 | 2011-06-30 | 주식회사 서연네트웍스 | Night information system of pedestrian crossing |
KR101429123B1 (en) | 2013-02-05 | 2014-08-12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sensor node, safety system of crossroa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2226533B1 (en) * | 2020-08-31 | 2021-03-11 | 주식회사 한일에스티엠 | Smart road lighting system composed of an integrated lighting po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최학윤외 1. 차량감지를 위한 이방성 자기저항센서 모듈의 설계.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제25권 제8호, 2011년 8월, pp. 99-105. 1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4288B1 (en) * | 2024-07-17 | 2024-12-17 | 한승기 | Traffic light structure with pedestrian recognit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8741A (en) | 2022-12-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35356B1 (en) | Smart safety system based on IoT | |
US11355014B1 (en) | System for warning about intersection danger based on situation prediction | |
CN101419749B (en) | Low-visibility road traffic guiding method | |
KR101338124B1 (en) | Smart traffic controll system | |
KR101750008B1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 |
KR102296105B1 (en) | A Crosswalk Pedestrian Safety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Sensor | |
US20130113618A1 (en) | Multipath transport data and control signaling | |
KR101663929B1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of school zone, and system of the same | |
KR101673211B1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 |
KR10221155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Driving | |
KR20170139811A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 |
KR20200082970A (en) | A complex traffic light | |
KR102263867B1 (en) | System for protecting pedestrian in crosswalk | |
KR20190114347A (en) | Safety speed control system for children's protection zone | |
KR20180002976A (en) | Method of controlling signal for cross road, reducing traffic accidents | |
KR20170139800A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for signal violation and overspeed, and system of the same | |
KR101686820B1 (en) | Intelligent type of method for controlling signal cross road for preventing pedestrian accidents to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 |
KR20120013700A (en) | Unprotected Left Turn Vehicle Signal Control System | |
KR101233929B1 (en) | System for warning illegal walker and vehicle | |
KR20170139807A (en) | Method for preventing accident in cross road and system of the same | |
KR20110055882A (en) | Road marker, intersection safety system and its operation | |
TW200945272A (en) | An intelligen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marking, and identification technologies | |
KR101498385B1 (en) | School zone integration managing system | |
KR101475453B1 (en) | Jaywalking detection system | |
KR101233864B1 (en) | System for warning illegal walker and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