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65B1 -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 Google Patents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4965B1 KR102634965B1 KR1020210099499A KR20210099499A KR102634965B1 KR 102634965 B1 KR102634965 B1 KR 102634965B1 KR 1020210099499 A KR1020210099499 A KR 1020210099499A KR 20210099499 A KR20210099499 A KR 20210099499A KR 102634965 B1 KR102634965 B1 KR 102634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ower
- steering wheel
- control unit
- coi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9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by using a temperature sens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통신을 통해 스티어링 휠과 차량이 통신하고,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통해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와이어의 탈거 또는 단선으로 인한 차량 고장 및 소음 문제를 해소하고,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되며, 무선 통신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자체적으로 점검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백업 기능을 통해 주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ystem and method that receive power wirelessly, and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between a steering wheel and a vehicl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by removing the wire or It solves vehicle breakdown and noise problems caused by disconnected wires, improves the convenience of steering wheel operation, checks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s on its own to check for breakdowns, and maintains driving through the backup function.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요구사항을 입력하는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차량으로부터 무선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system and method that receive power wirelessly, and more specifically, to a steering wheel tha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inputs the driver's requirements, and operates by receiving power wirelessly from the vehicle. It relates to a steering system powered by and a method thereof.
자동차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결정하는 조향 시스템을 포함한다. A car includes a steering system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vehicle.
조향 시스템은 운전자에 의해 회전되어 운전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신호를 입력하는 스티어링 휠, 스티어링 휠과 차량 본체를 연결하며 주행방향에 대한 신호를 바퀴에 연결되는 구동축에 전달하는 조향축, 스티어링 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는 각도와 조작속도를 감지하는 센서, 스티어링 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동작하도록 보조하는 복수의 장치가 구비된다. The steering system includes a steering wheel that is turned by the driver and inputs signals reflecting the driver's requirements, a steering shaft that connects the steering wheel and the vehicle body and transmits signals about the driving direction to the drive shaft connected to the wheels, and the steering wheel is on the left side. Alternatively, a sensor that detects the angle and operating speed of turning to the right and a plurality of devices that assist the steering wheel in turning to the left or right are provided.
스티어링 휠은 주행방향을 결정할 뿐 아니라, 복수의 스위치, 에어백, 혼 등의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The steering wheel not only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but also includes electronic devices such as multiple switches, airbags, and horns.
스티어링 휠은 차량 본체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아 복수의 스위치, 혼, 에어백이 동작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은 복수의 스위치, 에어백, 혼의 동작에 대한 신호를 와이어를 통해 본체로 전송한다. 복수의 스위치는 차량 본체의 오디오 또는 네비게이션을 조작하거나 계기판에 표시되는 차량 정보를 변경하거나 또는 이동 단말과 차량의 오디오를 연결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The steering wheel is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with a wire and receives power for operation, allowing multiple switches, horns, and airbags to operate. Additionally, the steering wheel transmits signals about th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switches, airbags, and horns to the main body through wires. A plurality of switches are used to manipulate the audio or navigation of the vehicle body, change vehicl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instrument panel, or set a hands-free function that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s audio.
이러한 와이어는 스티어링 휠과 본체가 연결되는 구조에서 그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받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티어링 휠은 회전을 통해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장치이므로,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는 힘이 와이어에 영향을 주어 와이어가 꼬이거나 단선될 수 있고 또는 연결단자가 탈거되어 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These wires are placed inside the structure where the steering wheel and the body are connected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shock. However, since the steering wheel is a device that determines the driving direction through rotation, the rotating force of the steering wheel may affect the wire, which may cause the wire to become twisted or disconnected, or the connection terminal may be removed, making it impossible to transmit signals. A problem arise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3997호와 같이, 스티어링 휠이 회전되더라도 와이어의 꼬임이나 꼬임의 누적에 의한 단선 및 접속불량 등의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스티어링 휠에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칼럼을 연결하는 클락스프링이 장착되며, 클락스프링 내에 플랫 와이어링이 꼬임방지를 위해 감겨지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in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173997, 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so that phenomena such as disconnection and connection failure due to twisting of the wire or accumulation of twists do not occur even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A clock spring connecting the columns is installed, and a flat wiring is wound within the clock spring to prevent twisting.
클락스프링은 스티어링 칼럼에 끼워진 상태로 스테이터 등의 고정체가 스티어링 칼럼 차체 측에 고정되고, 로터 등의 회전체가 스티어링 휠과 일체로 회전한다.The clock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teering column, and a fixed body such as a stator is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body side, and a rotating body such as a rotor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teering wheel.
내부 부품을 보호하면서 플랫 케이블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스티어링 휠 측과 일체 회전되도록 조립되는 로터와, 케이스와 일체로 조립되어 스티어링 칼럼 차체 측에 고정되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스테이터와, 오토 캔슬(auto cancel)을 위한 캠 형상이 구비되고 로터에 일체 회전되도록 조립되는 슬리브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로서 터미널에 접속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스 안쪽에 수용되는 플랫 케이블과, 플랫 케이블이 연결되는 로터측 터미널이 인서트되어 로터에 조립되는 터미널 몰드블록 등을 포함한다.A case that protects internal parts and forms a storage space for the flat cable, a rotor that is assemb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teering wheel side, a stator that is assembled integrally with the case to form a housing that is fixed to the steering column body side, and an auto cancel. A sleeve equipped with a cam shape for (auto cancel) and assembled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or, a flat cable connected to a terminal as a cable for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so that it can rotate, and a flat cable to which the flat cable is connected. It includes a terminal mold block in which the rotor side terminal is inserted and assembled to the rotor.
클락스프링은 로터에 연결되어 로터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The clock spring is connected to the rotor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rotor.
그러나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클락스프링으로 인하여, 클락스프링 내에 포함된 와이어(플랫 케이블)의 동작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고, 클락스프링에 의해 스티어링 휠의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due to the clock spring to protect the wire, there is a problem that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wire (flat cable) included in the clock spring, and the feel of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is deteriorated due to the clock spring.
또한, 클락스프링이 구비되더라도 여전히 단선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와이어는 클락스프링 내에 구비됨에 따라 단선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ven if a clock spring is provided, a disconnection problem may still occur, and when such disconnection occurs,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wire is disconnected because it is provided within the clock spr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차량과 스티어링 휠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스티어링 휠의 회전 조작에 의해 꼬임이 발생하여 와이어가 탈거되거나 단선되어 차량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를 해소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 and is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the wire connecting the vehicle and the steering wheel is twisted by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causing the wire to be detached or disconne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nd method that solves the problem of being unable to control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통해 스티어링 휠과 차량이 통신하고,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통해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여 스티어링 휠을 동작시키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the steering wheel and the vehicle communicat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e the steering wheel by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there i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 및 차량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송신부; 상기 차량의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전력송신부로 인가하는 제 1 전원부; 상기 스티어링 휠과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전력송신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고장을 진단하는 제 1 진단부; 및 상기 차량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이 동작하도록 상기 전력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wheel; and a steering wheel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and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wherein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includes a power transmission unit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 first power unit that converts the power of the vehicle and applies it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steering whee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diagnostic unit that checks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diagnoses a malfunction; and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transmitt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of the vehicle and controls operation according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first diagnosis unit.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전력송신부에 의해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진단결과를 상기 제 1 제어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경고신호를 상기 차량의 메인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f the operating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by the power transmitter, the first diagnostic unit determines it is a failure and applies the diagnostic result to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sends a warning signal in response to the diagnostic result to the vehi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hicle is stopped by applying to the main control unit.
상기 전력송신부는 제 1 송신코일; 제 2 송신코일; 및 상기 제 1 전원부의 전력신호를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인가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 1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정상 동작하는 송신코일에 전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coil; second transmitting coil;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applies the power signal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wherei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first diagnosis unit, detects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when a problem occurs in any one of the second transmission coils, a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normally operating transmission coil.
상기 제 1 제어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제 1 서브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b-controller that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sub-controller sets a backup mode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do.
제 1 서브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통신부가 동작하는 중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 1 서브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b-communication unit, and when data is not transmitted or data is not receiv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operating,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mmunication error and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do.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전력 송신부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수신부; 상기 전력수신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 2 전원부; 상기 제 1 통신부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 2 진단부;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teering wheel includes a pow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current applied by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 second power unit that converts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receiver into a predetermined voltage and supplies it;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second diagnosis unit that diagnoses the state of the power receiver;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switch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in response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second diagnostic unit.
상기 제 2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 2 서브제어부; 및 제 2 서브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이상 발생 시,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서브통신부는 통신이상 발생 시,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의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제 1 서브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sub-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control unit; and a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It further includes, wherei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sub-control unit sets a backup mode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and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the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controls the steering wheel drive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a first communication unit or a first sub-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의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스티어링 휠 구동부의 전력송신부로 전력신호가 인가되면, 제 1 송신코일 및 제 2 송신코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송신하는 단계;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전력수신부의 제 1 수신코일 및 제 2 수신코일 중 적어도 하나로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전력송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여,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동작전원이 정상 공급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ransmitt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when a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steering wheel drive unit. step;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by inducing current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coils of the power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Diagnosing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the power receiv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perating power is normally supplied; and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when operating power is normally supplied.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진단결과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경고신호를 차량의 메인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f the operating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determining it to be a failure and approving the diagnosis result; and applying a warn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result to cause the vehicle to stop.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을 판단하는 단계; 통신 이상 시, 백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서브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If data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determining a communication error; Setting a backup mode in case of communication abnormality;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sub-communication unit.
상기 스티어링 휠 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이상 발생 시, 백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서브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휠 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Setting a backup mode when an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wheel or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and controlling the steering wheel or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through a sub-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무선 통신과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스티어링 휠이 동작함으로써, 와이어로 인한 문제를 해소하고, 와이어를 위한 보조 장치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해소하고 스티어링 휠의 조작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hereby eliminating problems caused by wires and reducing noise caused by auxiliary devices for wires.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무선 통신과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자체적으로 점검하여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백업 기능을 통해 고장에도 차량을 제어하여 주행을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차량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s to be independently inspected to check for malfunctions, and the backup function allows the vehicle to be controlled and run even in the event of a malfunction,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향 시스템의 백업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무선 전력 송수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backup control of the steering system of FIG. 2.
FIG. 4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이 도시된 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20), 조향축(Steering Shaft)(90), 전력송신부(70), 전력수신부(80),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s 1 (a) and (b), th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wheel (20), a steering shaft (90), a power transmission unit (70), Includes a
스티어링 휠(20)은 운전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 차량의 바퀴 방향을 변경하는 것으로, 차량의 주행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 장치이다. The
스티어링 휠(20)은 핸들 본체(28)의 회전동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할 뿐 아니라, 복수의 스위치(252)가 구비되어, 차량의 오디오, 비디오, 내비게이션, 핸즈프리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스티어링 휠(20)은 에어백(251)이 내장되고, 혼(경음기)(253)을 포함한다. The
스티어링 휠(20)은 로터 등의 회전체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동작한다. The
스티어링 휠(20)은 방식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휠,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휠, 속도 감응식 스티어링 휠, 틸트 스티어링 휠 및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휠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동작 방식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The
조향축(90)은 본체(40) 측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칼럼(미도시)에 연결된다. The
조향축(90)은 스티어링 휠(20)의 회전동작에 있어서 회전축으로 작용하며, 스티어링 휠(20)을 차량 본체(40)에 연결한다.The steering
조향축(90)은 바퀴와 연결되는 구동축에, 스티어링 칼럼, 스티어링 기어 또는 랙 앤 피니언 기어 등을 통해 연결되어, 스티어링 휠(20)의 조작에 따른 조향신호를 전달한다. The steering
조향축(90)은 스티어링 휠의 동작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스티어링 휠(20)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전동모터, 유압펌프 등이 연결된다. The steering
스티어링 휠(20)은 와이어 없이, 통신부를 통해 차량 본체(40)와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한다. The
통신부는 스티어링 휠(20)에 구비되어, 차량 본체(40)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적용될 수 있고 무선 통신 방식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on the
통신부는 스티어링 휠(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위치(252)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본체(40)로 전송하고, 에어백(251)과 혼(253)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signal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또한, 스티어링 휠(20)은 무선 전력 전송방식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복수의 스위치(252), 에어백(251), 혼(253)의 동작을 제어한다. Additionally, the
무선 전력 전송방식으로 스티어링 휠(2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 본체(40)에는 전력송신부(70)가 설치되고, 스티어링 휠(20)에는 전력수신부(80)가 구비된다. In order to supply operating power to the
전력송신부(70)는, 클러스터(계기판)와 대쉬보드가 형성된 차량 본체(40)에 설치되어, 차량의 동작전원을 무선방식으로 스티어링 휠로 전송한다. The
전력송신부(70)는 클러스터(계기판)의 하부에 조향축(90)이 연결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배치된다. The
전력수신부(80)는 스티어링 휠(20)의 하부 커버(29)에 구비된다. 전력수신부(80)는 하부 커버(29)의 최 하측에 전력송신부(7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경우에 따라 전력수신부(80)는 하부 커버(29)의 하단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The
전력송신부(70) 및 전력수신부(80)는 각각 복수의 코일로 구성된다. The
전력송신부(70)는 원형, 타원형, 도넛형, 부채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전력수신부(80)는 전력송신부(70)의 형태에 대응하여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수신부(80)는 원형, 도넛형, 부채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따라서 스티어링 휠(20)은 본체(40)와 와이어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전력송신부(70)와 전력수신부(80)를 통해,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통신부를 통해 본체(4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도이다. Figure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기 위한 조향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20)(200), 조향축(Steering Shaft)(90), 전력송신부(70)(130), 전력수신부(80)(230),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eer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wheel includes a steering wheel (20) (200), a steering shaft (90), a power transmitter (70) (130), and a power receiver ( 80)(230), including the communication department (not shown).
또한, 조향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2541), 스위치(252) 및 혼(253)이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20)(200)과, 스티어링 휠(20)(200)로 전력을 공급하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teering system includes a steering wheel 20 (200) equipped with an airbag 2541, a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는 차량의 본체(40) 측에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20)(20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스티어링 휠(20)(200)과 통신하여 차량으로 스티어링 휠(200)의 데이터는 전송하고, 차량의 데이터를 스티어링 휠(20)(200)로 전송한다. The steering
메인제어부(10)는 차량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메인제어부(10)는 차량의 동작상태를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한다. The
메인제어부(10)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로부터 스티어링 휠(20)(200)의 데이터가 인가되면, 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한다. 메인제어부(10)는 스티어링 휠(20)(200)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경고를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한다. When data of the steering wheel 20 (200) is received from the steering
또한, 메인제어부(10)는 차량의 상태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로 인가하고, 그에 따라 스티어링 휠(20)(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예를 들어 메인제어부(10)는 차량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주차 브레이크의 이상으로 비상 정지하는 경우 등의 고장 발생 시,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를 통해 스티어링 휠(20)(200)로 동작명령을 인가하고 그 동작을 제어한다. For example,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such as an emergency stop due to a problem with the parking brake, the
출력부(60)는 디스플레이(미도시), HUD(미도시), 스피커(미도시), 램프(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차량에 대한 상태정보를 출력한다. The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는 전력송신부(130), 제 1 전원부(120), 제 1 통신부(140), 그리고 제 1 제어부(110)를 포함한다.The steering
스티어링 휠(20)(200)은 에어백(2541), 스위치(252) 및 혼(253)을 포함할 뿐 아니라, 전력수신부(230), 제 2 통신부(240), 제 2 전원부(220), 그리고 제 2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The steering wheel 20 (200) not only includes an airbag 2541, a
제 1 제어부(110)는 스티어링 휠(20)(200)로의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으로 통신하는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The
제 1 제어부(110)는 차량이 시동 온(ON)되면, 제 1 전원부(120) 및 전력송신부(130)를 동작시켜 무선 방식으로 스티어링 휠(20)(200)로의 전력이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When the vehicle is started, the
제 1 제어부(110)는 제 1 통신부(140)를 동작시켜, 스티어링 휠(20)(200)에 구비되는 제 2 통신부(240)와 제 1 통신부(140)가 통신하도록 한다. 제 1 제어부(110)는 전력 송신 후,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스티어링 휠과 통신할 수 있다. The
제 1 제어부(110)는 메인제어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스티어링 휠(20)(200)로 전송하고, 스티어링 휠의 데이터를 메인제어부(10)로 인가한다. The
제 1 전원부(120)는 제 1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바탕으로 일정 크기의 전압을 갖는 전력신호를 생성하여 전력송신부(130)로 인가한다. 제 1 전원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제너레이터 또는 전압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전력송신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포함하고, 제 1 전원부(120)에 의해 생성된 전력신호가 코일에 인가되면 일정 크기의 전압과 전류를 갖는다. The
전력송신부(130)에 전압 및 전류가 인가되면, 스티어링 휠(20)(200)에 구비되는 전력수신부(230)에 일정 크기의 전류가 유도된다. When voltage and current are applied to the
전력송신부(130) 및 전력수신부(230)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나 일 예일 뿐, 다른 방식의 무선전력 송신방식 또한 적용 가능하다. The
그에 따라 차량 본체(40)에 구비되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로부터 스티어링 휠(200)로 무선 방식으로 전력이 전송되고, 스티어링 휠이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Accordingly, power is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steering
스티어링 휠(2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 1 통신부(140)는 제 1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제 2 통신부(240)와 통신한다.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제 1 통신부(140) 및 제 2 통신부(240)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호 통신한다. 제 1 통신부(140) 및 제 2 통신부(24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he
스티어링 휠(200)은 전력수신부(230)의 코일에 전류가 유도되면, 제 2 전원부(220)가 유도된 전류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의 전압으로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제 2 전원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current is induced in the coil of the
제 2 전원부(220)는 5V, 9V, 12V의 전압을 생성하여 스티어링 휠(200)의 각 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The
제 2 제어부(210)는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각 부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스티어링 휠(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제 2 제어부(210)는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와 통신을 시작한다. The
제 2 제어부(210)는 에어백(251), 스위치(252), 혼(253)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고, 그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차량 본체(40)로 전송한다. The
제 2 제어부(210)는 스위치(252)가 조작되면,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한다. When the
제 2 제어부(210)는 에어백(251) 또는 혼(253) 동작 시 그에 대한 정보를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전송한다. The
제 1 제어부(110)는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스티어링 휠(200)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스티어링 휠(200)이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한 신호를 메인제어부(10)로 인가한다. When data of the
제 1 제어부(110)는 전력 전송 후, 일정 시간 내에, 스티어링 휠(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스티어링 휠(20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메인제어부(10)로 스티어링 휠의 이상에 대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If data is not received from the
제 1 제어부(110)는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티어링 휠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스위치 조작에 따른 신호를 메인제어부(10)로 인가한다. The
메인제어부(10)는 제 1 제어부(110)를 통해 스티어링 휠(200)의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메인제어부(10)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티어링 휠(200)의 상태를 판단하여 이상 발생 시 그에 대한 경고를 출력부(60)를 통해 출력한다. When data of the
또한, 메인제어부(10)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메인제어부(1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플레이어의 온오프, 볼륨, 트랙을 제어하고, 출력부(6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Additionally, the
도 3은 도 2의 조향 시스템의 백업 제어를 위한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backup control of the steering system of FIG.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시스템은, 무선 전력 및 무선 통신에 따른 백업 기능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steering system includes a backup function based on wireless power and wireless communication.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는 제 1 서브제어부(160), 제 1 진단부(170), 제 1 서브통신부(18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전력송신부(130)는 송신제어부(133), 제 1 송신코일(131), 제 2 송신코일(132)을 포함한다. The steering
스티어링 휠(200)은 제 2 서브제어부(260), 제 2 진단부(270), 제 2 서브통신부(280)를 더 포함한다. 전력수신부(230)는 수신제어부(233), 제 1 수신코일(231), 제 2 수신코일(232)을 포함한다. The
송신제어부(133)는 제어명령에 따라 제 1 전원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신호를 제 1 송신코일(131) 또는 제 2 송신코일(132)에 인가하여 전력이 스티어링 휠(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The
송신제어부(133)는 제 1 송신코일(131) 및 제 2 송신코일(132)로 전력신호를 인가하여 전력이 전송되도록 하고, 어느 하나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정상 동작하는 송신코일로 신호를 인가하여 스티어링 휠로 전력이 전송되도록 한다. The
송신제어부(133)는 제어명령에 따라 전력 송신을 시작하거나 종료한다. 또한, 송신제어부(133)는 전력 송신을 위한 설정을 제어하고, 제 1 진단부(170)의 결정에 따라 전력 송신을 시작하거나 종료한다. The
제 2 송신코일(132)은 제 1 송신코일의 백업용이나,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The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은 원형 또는 도넛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 또한, 원형 또는 도넛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 그리고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에는 인접한 위치에 온도센서(미도시)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coils 131 and 132, and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coils 231 and 232, respectively.
또한,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 그리고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에는 전류감지부 또는 전압감지부에 연결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력신호의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수신제어부(233)는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 2 전원부(220)로 인가한다. The
수신제어부(2330)는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에 인가되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제 2 진단부(270)로 수신 전류에 대한 정보를 인가한다. 스티어링 휠(200)은 전류감지부 또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eption control unit 2330 measures the current and voltage applied to the
제 1 진단부(170)는 무선 전력 전송에 따른 상태를 확인하고 전송 효율을 산출하여 전력송신부의 이상을 진단한다. The
제 1 진단부(170)는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를 바탕으로 발열 정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이상을 진단한다. The first
제 1 진단부(170)는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 간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코일의 고장을 판단할 수 있다. The first
제 1 진단부(170)는 제 1 송신코일 또는 제 2 송신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응하여 전력송신부의 상태를 진단한다. The
제 2 진단부(270)는 제 1 수신코일(231) 또는 제 2 수신코일(232)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바탕으로 전력수신부(230)의 상태를 진단하고 이상을 검출한다. The second
제 2 진단부(270)는 전력의 수신 효율을 산출하여 이상을 진단한다. The
또한, 제 2 진단부(270)는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수신코일의 이상 또는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제 1 서브제어부(160)는 제 1 제어부(11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제 1 서브제어부(160)는 제 1 제어부(1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를 제어한다. The first
제 2 서브제어부(260)는 제 2 제어부(21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 2 제어부(21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스티어링 휠(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제 1 서브통신부(180)는 제 1 통신부(140)에 이상이 있는 경우, 동작한다. The
제 1 제어부(110) 또는 제 1 서브제어부(160)는 제 1 통신부(140)를 통해 일정시간 내에 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 1 서브통신부(180)를 구동한다. If a signal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within a certain time through the
또한, 제 2 서브통신부(280)는 제 2 통신부(140)에 이상이 있는 경우 동작한다. Additionally, the
제 2 제어부(210) 또는 제 2 서브제어부(260)는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일정시간 내에 신호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 이상으로 판단하여, 제 2 서브통신부(280)를 구동한다. If a signal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within a certain time through the
제 1 제어부(110) 또는 제 2 제어부(21)는 어느 하나의 통신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서브통신부로 변경한 후, 통신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호 전송한다. If there is a problem with either communication unit, the
즉 제 1 통신부(140)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 2 제어부는 일정 시간 내에 제 2 통신부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제 2 서브 통신부를 동작시키고 통신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That is, when an error occurs in the
제 1 제어부(110)는 통신이상에 대응하여 제 1 서브 통신부를 동작시켜 통신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The
이때, 제 1 통신부의 이상으로 통신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 1 서브통신부가 제 2 서브통신부의 통신이상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로 인가한다. At this time,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due to an error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receives the communication error signal from the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and applies it to the first control unit.
통신이상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제어부와 제 2 제어부는 제 1 통신부 또는 제 2 통신부의 이상을 점검할 수 있다. When a communication abnormality signal is received,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can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제 1 제어부(110)는 이상 발생 시, 고장정보를 메인제어부(10)로 인가한다. When an error occurs, the
그에 따라 코일 복수로 구비되어,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정상 코일을 통해 스티어링 휠(200)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제어부와 서브통신부를 통해 데이터 전송에 대한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ils, so that even if a problem occurs in one of the coils, power can be transmitted to the
스티어링 휠(200)은 백업 기능을 통해 정상 동작할 수 있고, 에어백(251)은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차량 추돌 등의 사고 발생 시 정상 동작할 수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무선 전력 송수신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FIG. 4 is a diagram referenced for explain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송신부(130) 및 전력수신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본체(40)로부터 무선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고, 스티어링 휠에서 이를 수신하여 스티어링 휠의 동작전원으로 사용된다. As shown in FIG. 4, the
차량의 본체(40)에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이 구비되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수신코일(231)과 제 2 수신코일(232)이 구비된다. A
전력송신부(130) 및 전력수신부(230)는 자기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The
자기유도 방식 외에도 자기공진방식, 자기장센서방식, 전파수신방식 등의 무선 전력 전송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전력수신부와 전력송신부 간의 위치와 거리에 따라 자기유도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ies such as magnetic resonance method, magnetic field sensor method, and radio wave reception method can be applied, but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distance between the power receiver and power transmitter.
제 1 송신코일(131)은 내측에 원형, 타원형, 또는 도넛형으로 형성되고, 제 2 송신코일(132)은 제 1 송신코일(131)의 외측에 원형, 타원형 또는 도넛형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중심부를 기준으로 부채꼴 또는 사다리꼴 형으로 복수의 코일이 배치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The
제 1 수신코일(231)은 제 1 송신코일(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송신코일(131)과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수신코일(232)은 제 1 수신코일(231)의 외측에 제 2 송신코일(1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The
그에 따라 제 1 송신코일(131) 및 제 2 송신코일(132) 중 적어도 하나로 전력신호가 인가되면, 제 1 수신코일(231) 및 제 2 수신코일(232) 중 적어도 하나로 전류가 유도되어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이 공급된다. Accordingly, when a power signal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각 코일의 중심부에는 조향축(90)이 설치될 수 있다. A steering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면(S3100, 메인제어부(10)가 동작하고,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로 신호를 인가한다. As shown in FIG. 5, when the vehicle is started (ON) (S3100), the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의 제 1 제어부(110)는 제 1 전원부(120)를 통해 전압을 변환하고, 전력송신부(130)로 인가한다. 제 1 전원부(120)는 12V의 전압을 변환하여 전력송신부(130)로 공급한다. The
전력송신부(130)로 인가되는 전류/전압이 송신코일에 인가되어, 무선으로 전력이 송신된다(S320). The current/voltage applied to the
스티어링 휠(200)에 구비되는 수신코일은, 자기유도 방식에 따라, 송신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소정 크기의 전류가 인가되고, 그에 따라 전력이 무선으로 수신된다(S330). The receiving coil provided in the
제 1 진단부(170)는 전력송신부(130)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제 2 진단부(270)는 전력수신부(230)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상 여부를 판단한다. 제 1 진단부(170) 및 제 2 진단부(270)는 송신코일 및 수신코일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고, 전류 또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태를 진단한다. The first
진단결과에 따라 제 1 진단부(170) 및 제 2 진단부(270)는 무선 전력이 스티어링 휠(200)로 정상적으로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According to the diagnosis result, the
무선 전력이 정상 공급된 경우, 전력수신부(230)는 수신코일을 통해 인가되는 전력을 제 2 전원부(220)로 인가한다. 제 2 전원부(220)는 스티어링 휠의 각 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부로 동작전원을 공급한다(S360). When wireless power is normally supplied, the
제 2 제어부(210)는 인가되는 동작전원에 따라 동작을 시작하고, 그에 따라 스티어링 휠(200)이 동작 한다(S370).The
한편, 전력 송수신에 이상이 있는 경우, 제 1 진단부(170)는 제 1 제어부(110)로 진단결과를 인가한다. Meanwhile,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전력 송신에 문제가 있어서 스티어링 휠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 제 1 제어부(110)는 즉시 메인제어부(10)로 경고신호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메인제어부(10)는 스티어링 휠(20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차량의 주행을 제어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If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teering wheel due to a power transmission problem, the
제 1 제어부(110)는 백업모드를 설정하고(S380), 백업모드에 대한 경고를 출력한다(S390). The
제 1 제어부(110)는 백업모드에 대응하여 제 1 송신코일(131)과 제 2 송신코일(132) 중 정상 동작하는 송신코일을 통해 전력을 재 송신한다.In response to the backup mode, the
한편,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스티어링 휠(200)로 전원이 공급되면, 제 2 진단부(270)는 이상 발생 여부에 대한 진단결과를 제 2 제어부(210)로 인가한다. Meanwhile, ev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예를 들어 전력송신부와 전력수신부 사이에 이물질이 위치하는 경우 설정온도 이상의 발열이 발생하므로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제 1 진단부 또는 제 2 진단부는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진단부와 제 2 진단부는 송수신되는 전력의 효율이 일정값 미만인 경우에도 이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foreign substance is located between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the power receiving unit, heat above the set temperature is generated, so the first diagnostic unit or the second diagnostic unit can diagnos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diagnostic units can diagnose an abnormality even when the efficiency of transmitted and received power is below a certain value.
제 1 제어부(110) 또는 제 2 제어부(210)는 통신을 개시하고, 일정시간 이상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 이상으로 판단한다. The
통신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제 1 제어부(110)는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제 1 서브통신부(18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제 2 제어부(210)는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제 2 서브통신부(28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If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the
그에 따라 스티어링 휠(200)은 백업모드로 동작한다(S400).Accordingly, the
또한, 제 1 서브제어부(160)는 제 1 제어부(11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 1 제어부(110)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first
백업모드 설정 시 제 1 제어부(110)는 메인제어부(10)로 백업모드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메인제어부(10)는 백업모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주행을 제어한다. 제1 제어부(11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 1 서브제어부(160)가 동작을 제어한다. When setting the backup mode, the
스티어링 휠(200)이 정상모드 또는 백업모드로 동작하면, 메인제어부(10)는 스티어링 휠(200)에 대응하여 차량의 주행을 제어한다. When the
한편, 스티어링 휠(200)에 구비되는 스위치(252)가 조작되면, 제 2 제어부(210)는 스위치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 2 통신부(240)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20). Meanwhile, when the
또한, 제 2 서브제어부(260)는 제 2 제어부(210)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 2 제어부(210)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스티어링 휠(200)을 제어한다. Additionally, the
제 1 통신부(140)는 제 2 통신부(24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 1 제어부(110)로 인가하고, 제 1 제어부(110)는 신호에 따라 소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메인제어부(10)로 인가한다. The
메인제어부(10)는 신호에 대응하는 부품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그에 대한 신호를 출력한다(S430). 예를 들어 오디오 조작 신호인 경우 메인제어부(10)는 차량의 오디오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오디오를 제어한다. The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전력송신부는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고, 스티어링 휠 구동부(100)와 스티어링 휠(200)은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태 정보를 송수신한다. While the vehicle's ignition is maintained in the ON state, the power transmitter transmits power wirelessly, and the steer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메인제어부 60: 출력부
100: 스티어링 휠 구동부 110: 제 1 제어부
120: 제 1 전원부 130: 전력송신부
131: 제 1 송신코일 132: 제 2 송신코일
140: 제 1 통신부 160: 제 1 서브제어부
170: 제 1 진단부 180: 제 1 서브통신부
200: 스티어링 휠 210: 제 2 제어부
220: 제 2 전원부 230: 전력수신부
231: 제 1 수신코일 232: 제 2 수신코일
240: 제 2 통신부 260: 제 2 서브제어부
270: 제 2 진단부 280: 제 2 서브통신부10: main control unit 60: output unit
100: steering wheel driving unit 110: first control unit
120: first power unit 130: power transmission unit
131: 1st transmission coil 132: 2nd transmission coil
140: first communication unit 160: first sub-control unit
170: first diagnostic unit 180: first sub-communication unit
200: steering wheel 210: second control unit
220: second power unit 230: power reception unit
231: first receiving coil 232: second receiving coil
240: second communication unit 260: second sub-control unit
270: 2nd diagnostic unit 280: 2nd sub-communication unit
Claims (20)
차량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는,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송신부;
상기 차량의 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전력송신부로 인가하는 제 1 전원부;
상기 스티어링 휠과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전력송신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고장을 진단하는 제 1 진단부;
상기 차량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 휠이 동작하도록 상기 전력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제 1 제어부;
상기 제 1 제어부의 동작을 모니터링하는 제 1 서브제어부; 및
상기 제 1 통신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동작하는 제 1 서브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제어부는, 상기 제 1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서브제어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통신부가 동작하는 중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거나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의 통신이상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 1 서브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제 1 통신부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통신부; 및
상기 제 1 서브통신부와 무선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서브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통신부는 통신이상 발생 시,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제 1 서브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steering wheel; and
It includes a steering wheel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body of the vehicle and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that supplies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first power unit that converts the power of the vehicle and applies it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 first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steering whee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 first diagnostic unit that checks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diagnoses a malfunction;
a first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power transmitter to operate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control commands of the vehicle and controls operation according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first diagnosis unit;
a first sub-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It further includes a first sub-communication unit that operates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e first sub-control unit sets a backup mode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drive unit when an error occurs in the first control unit,
If data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is operating, one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first sub-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re is a communication error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1 Set to communicate through the sub communication unit,
The steering wheel i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with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전력송신부에 의해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진단결과를 상기 제 1 제어부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제어부는 상기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경고신호를 상기 차량의 메인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iagnosis unit determines a failure when operating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applies the diagnosis result to the first control unit,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wherein the first control unit applies a warn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result to cause the vehicle to stop.
상기 전력송신부는
제 1 송신코일; 제 2 송신코일; 및
상기 제 1 전원부의 전력신호를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인가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제 1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정상 동작하는 송신코일에 전력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tter is
first transmitting coil; second transmitting coil; and
It includes a transmission control unit that applies a power signal from the first power unit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result of the first diagnosis uni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any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normally operating transmission coil.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상기 전력송신부는 상기 제 1 송신코일 또는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연결되어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또는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제 1 송신코일 또는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urther includes a current detection unit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or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to detect current or a voltage detection unit to detect voltage,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agnosis unit diagnoses the state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n response to the current or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or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상기 전력송신부는 상기 제 1 송신코일 또는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에 따라 상기 전력송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im 3,
The power transmission un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or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agnostic unit diagnoses the state of the power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상기 제 1 진단부는 상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전력송신부와 상기 스티어링 휠 사이에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im 5,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wherein the first diagnostic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foreign matter between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steering wheel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상기 스티어링 휠은,
상기 전력송신부에 의해 인가되는 전류를 수신하는 전력수신부;
상기 전력수신부를 통해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제 2 전원부;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제 2 진단부; 및
상기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스위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진단부의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는 제 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teering wheel is,
a power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current applied by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 second power unit that converts the operating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receiver into a predetermined voltage and supplies it;
a second diagnosis unit that diagnoses the state of the power receiver; and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an operation of a switch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in response to a diagnosis result of the second diagnostic unit. system.
상기 제 2 제어부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제 2 서브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서브제어부는 상기 제 2 제어부에 이상 발생 시, 백업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9,
a second sub-control unit that monitor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control unit; It further includes,
The second sub-control unit sets a backup mode and controls the steering wheel when an error occurs in the second control unit.
상기 전력수신부는
제 1 수신코일; 제 2 수신코일; 및
상기 제 1 수신코일 및 상기 제 2 수신코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상기 제 2 전원부로 인가하는 수신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use 9,
The power receiver
first receiving coil; second receiving coil; and
A wirelessly powered steering system comprising a receiving control unit that applies current applied from the first receiving coil and the second receiving coil to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상기 스티어링 휠과 상기 차량의 본체를 연결하여 조향신호를 전달하는 조향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송신부의 제 1 송신코일은 상기 조향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향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내측에 구비되고, 제 2 송신코일은 상기 제 1 송신코일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신코일은 상기 제 1 송신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송신코일과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수신코일은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송신코일을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1,
It further includes a steering shaft that connects the steering wheel and the body of the vehicle to transmit a steering signal,
The first transmission coil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is provided on the inside in a form surrounding the steering axis around the steering axis,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The first receiving coil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transmitting coi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mitting coil,
A steering system receiving power wirelessly,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ceiving coi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and facing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상기 전력송신부의 제 1 송신코일과 제 2 송신코일,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기 제 1 수신코일과 상기 제 2 수신코일은, 내측에 원형, 타원형 및 도넛형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and second transmitting coils of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the first receiving coil and the second receiving coil of the power receiving unit are wirel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ide is at least one of a circular shape, an oval shape, and a donut shape. Steering system powered by .
상기 전력송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는 자기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조향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9,
A steering system powered wirelessly, wherein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receiver transmit power wirelessly using magnetic induction.
스티어링 휠에 구비되는 전력수신부의 제 1 수신코일 및 제 2 수신코일 중 적어도 하나로 전류가 유도되어 상기 스티어링 휠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전력송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여,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동작전원이 정상 공급되면, 상기 스티어링 휠이 동작하는 단계;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가 송수신되지 않는 경우, 통신이상으로 판단하여 백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면, 서브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티어링 휠 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에 이상 발생 시, 상기 백업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서브제어부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휠 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통신부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 구동부의 제 1 제어부 및 제 1 서브제어부 중 어느 하나는, 제 1 통신부의 통신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 1 서브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제 2 서브통신부는 통신이상 발생 시,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제 1 서브통신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시스템의 제어방법. When a power signal is applied to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transmitt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through at least on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teering wheel by inducing current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coils of the power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steering wheel;
Diagnosing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the power receiv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operating power is normally supplied; and
When operating power is normally supplied, operating the steering wheel;
If data is not transmitted or received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of time, determining a communication error and setting a backup mod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is abnorm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sub-communication unit;
setting the backup mode when an error occurs in at least one control unit of the steering wheel or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and
Comprising: controlling the steering wheel or the steering wheel driving unit through a sub-controller,
In the step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the sub-communication unit,
Any one of the first control unit and the first sub-control unit of the steering wheel drive unit is set to communicate through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communication error 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method of a stee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sub-communication unit of the steering wheel communicates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first sub-communication unit when a communication error occurs.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은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여 진단결과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결과에 대응하여 경고신호를 차량의 메인제어부로 인가하여 상기 차량이 정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If the operating power is not normally supplied, determining it to be a failure and approving the diagnosis result;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pplying a warn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vehicle in response to the diagnosis result to cause the vehicle to stop.
상기 전력송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경우,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신코일 및 상기 제 2 수신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되는 전류 또는 전압에 대응하여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When diagnosing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receiver,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receiving coil and the second receiving coi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current or voltage.
상기 전력송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의 상태를 진단하는 경우,
상기 제 1 송신코일 및 상기 제 2 송신코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수신코일 및 상기 제 2 수신코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온도에 대응하여 이상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향 시스템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5,
When diagnosing the status of the power transmitter and the power receive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transmission coil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receiving coil and the second receiving coi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steer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response to the measured temperatu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499A KR102634965B1 (en) | 2021-07-28 | 2021-07-28 |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9499A KR102634965B1 (en) | 2021-07-28 | 2021-07-28 |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682A KR20230017682A (en) | 2023-02-06 |
KR102634965B1 true KR102634965B1 (en) | 2024-02-07 |
Family
ID=8522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9499A Active KR102634965B1 (en) | 2021-07-28 | 2021-07-28 |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496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62609A (en) * | 2008-04-22 | 2009-11-12 | Nissan Motor Co Ltd | Steering system for vehicle |
JP2015146723A (en) * | 2014-01-06 | 2015-08-13 | 日東電工株式会社 | Wireless power transmitter |
JP2020114170A (en) * | 2019-01-14 | 2020-07-27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4167B1 (en) * | 2016-06-29 | 2023-06-1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in wireless charging system |
KR20190126988A (en) * | 2018-05-03 | 2019-1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eering input apparatus for vehicle |
KR102173997B1 (en) | 2019-06-20 | 2020-11-04 | 주식회사 만도 | Steer-by-wire type steering apparatus |
-
2021
- 2021-07-28 KR KR1020210099499A patent/KR1026349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62609A (en) * | 2008-04-22 | 2009-11-12 | Nissan Motor Co Ltd | Steering system for vehicle |
JP2015146723A (en) * | 2014-01-06 | 2015-08-13 | 日東電工株式会社 | Wireless power transmitter |
JP2020114170A (en) * | 2019-01-14 | 2020-07-27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7682A (en) | 2023-0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40671B1 (en) | Power steering system | |
CN109478858B (en) | Moto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 |
CN205819321U (en) | Park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of vehicle | |
US11731594B2 (en) | Driver and diagnostic system for a brake controller | |
KR101875438B1 (en) |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040103385A (en) | Stee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otive vehicle | |
KR100732402B1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Us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US11295562B2 (en) | Staged troubleshooting and repair of vehicle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 |
KR102603347B1 (en) |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parking brake of vehicle | |
JP4375372B2 (en) | Seat belt retractor | |
CN110861703A (en) | Steering control apparatus | |
US20200353974A1 (en) | Rotary electric machine control device and method | |
KR10233465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aults in in-wheel driving system of vehicle | |
US20120061171A1 (en) | Factory steering rack centering and preventing pinch points using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 |
CN109204213A (en) |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 |
KR102634965B1 (en) | Steering Wheel System and Method Supplied Electric Power in Wireless | |
KR101726688B1 (en) | Emergency steer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CN216102343U (en) | Steering wheel and vehicle | |
KR20200033435A (en) | Control apparatus for vechicle,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for vehicle | |
JP6522532B2 (en) | Switch circuit and electric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using the switch circuit | |
KR20140026763A (en) | Method for getting a straightness by using a mdps | |
JP6914003B2 (en) | Electronic control device | |
KR101378277B1 (en) | Ecu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for vechicle | |
KR20170030934A (en) | Electronic Active Roll Stabillizer apparatus using TAS sensor | |
KR100794053B1 (en) | How to determine the power steering fail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