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4625B1 -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625B1
KR102634625B1 KR1020230103263A KR20230103263A KR102634625B1 KR 102634625 B1 KR102634625 B1 KR 102634625B1 KR 1020230103263 A KR1020230103263 A KR 1020230103263A KR 20230103263 A KR20230103263 A KR 20230103263A KR 102634625 B1 KR102634625 B1 KR 10263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racks
waterproofing method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근철
Original Assignee
이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6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1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 C04B41/4503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preformed sheet-like elements having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72Partial coating or impregnation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 C04B41/4576Inlaid coatings, i.e. resulting in a plane surfac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7Oils, fats or waxes natural resins
    • C04B41/474Natural resins, e.g. 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03Polysaccharide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3Poly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41/488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4B41/4884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9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 C04B41/490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 C04B41/495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arbon-to-metal or carbon-to-silicon linkages ; Organo-clay compounds; Organo-silicates, i.e. ortho- or polysilicic acid esters ; Organo-phosphorus compounds; Organo-inorganic complexes containing silicon applied to the substrate as oligomers or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5Tin ox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성은 물론 차열성까지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설 또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크랙, 크랙에 의한 파손,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중성화도 방지하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분리를 억제하여 최적 상태로 부착강도를 높여 우수한 보수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Permeable concrete waterproofing method capable of crack self-healing}
본 발명은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성은 물론 차열성까지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설 또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크랙, 크랙에 의한 파손,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중성화도 방지하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분리를 억제하여 최적 상태로 부착강도를 높여 우수한 보수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는 지진이나 외적 응력에 의한 것을 제외하면, 콘크리트 자체의 열화와 철근의 부식에 의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열화와 부식에 의한 문제의 원인은 이산화, 염소이온에 의한 염해, 물의 침투에 의한 용탈, 동해, 황산염의 침식, 알칼리에 대한 골재반응, 수축이나 크랙 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혼재하면서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열화와 철근의 부식 문제로 발현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이 노후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다.
또한, 열화는 물을 매개로 한 화학적, 물리적 반응이며, 특히 중성화와 크랙 등으로부터의 열화인자의 침입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에 있는 철근, 철골이 녹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면, 그 체적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의 내부가 외부보다 먼저 파괴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를 저하시키거나 콘크리트의 탈락을 유도시키며, 나아가서는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로 발전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 방법이나 보수 방법 또는 표면함침공법 등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다.
이중에서 피복공법과 단면복구공법은 통상 열화가 진행되고 현저해진 단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보수 규모가 커져 보수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표면함침공법은 예방보전형 유지보수공법으로서 보수비용도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효과적이지만, 실란계 표면함침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수성은 좋으나 자외선에 의한 열화, 철근 부식, 크랙 억제, 중성화 억제 기능을 미약한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태양열에 의한 열섬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것은 단열의 개념을 넘어 차열 특성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이르게 했다.
하지만, 현재 도료나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층 등은 이에 전혀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82044호(2007년11월28일)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열화부의 단면보수 및 방수용 급결성을 갖는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단열성은 물론 차열성까지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설 또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크랙, 크랙에 의한 파손,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중성화도 방지하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분리를 억제하여 최적 상태로 부착강도를 높여 우수한 보수 및 방수 효과를 확보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세척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표면을 세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세척된 표면중 패인 부분과 갈라진 부분을 메지로 메우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메움이 완료된 표면에 표면보호제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표면보호층에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시트의 표면 및 이음부분에 마감제를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메지는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옥틸아크릴아미드(Octylacrylamide) 20중량부, 송진 10중량부, 실리콘유 5.5중량부, 타피오카(tapioca) 전분 8.5중량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조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되는 표면보호제는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5중량부,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15중량부, 시트르산칼륨 5중량부, 중공세라믹미소구체(Hollow Ceramic Microspheres) 5중량부, 폴리인산염 5.5중량부, 디메틸 실리콘오일 3.5중량부, 규산나트륨과 물이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수용액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를 포설하기 전에 표면보호층에 부착강화제를 먼저 도포하되, 상기 부착강화제는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100중량부에 대해,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 10중량부; 벤조산비닐에스테르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단열성은 물론 차열특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신설 또는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크랙, 크랙에 의한 파손, 내구성 저하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방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를 방지하고, 보수 계면에서의 층분리를 억제하여 보수면에 대한 부착강도를 높여 방수 효과를 증대시킨다.
넷째, 저렴한 비용으로 방수처리할 수 있고, 철근의 부식 방지는 물론 자외선 열화까지 억제할 수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을 보인 예시적인 플로우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공법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세척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표면을 세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세척된 표면중 패인 부분과 갈라진 부분을 메지로 메우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메움이 완료된 표면에 표면보호제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표면보호층에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시트의 표면 및 이음부분에 마감제를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콘크리트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이물이 없도록 하는 경우라면 물로 수세해도 된다. 다만, 표면에 곰팡이를 비롯한 바이러스성 미생물들이 말끔하게 처리되도록 하려면 특정한 세척액을 사용해야 한다.
만약, 특별한 세척액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제1단계는 다음과 같은 과저을 거쳐 만들어진 세척액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세척액은 회전가능한 드럼체 내부에 물 3ℓ를 기준으로 탄산칼슘 80g, 아세트산 30g, 수산화나트륨 35g, 과산화수소 20g을 넣고 100rpm의 속도로 30분간 교반하는 제1믹싱과정; 상기 제1믹싱과정을 거친 제1믹싱액 100중량부에 대해 맥주 35중량부를 첨가한 후 10분간 더 교반하는 제2믹싱과정; 상기 제2믹싱과정을 거친 제2믹싱액에 물과 천일염을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소금물 25중량부를 더 첨가한 후 10분간 더 교반하는 제3믹싱과정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세척액을 사용하게 되면, 약산인 아세트산과 강염기인 수산화나트륨이 반응하여 아래 반응식과 같이 중화반응되면서 물이 생기고, 아세트산나트륨이 만들어진다.
CH3COOH + NaOH → H2O + CH3COONa
이에 따라 얻어진 아세트산나트륨은 물 속에서 아세트산이온(CH3COO-)과 나트륨이온(Na+) 상태로 존재하고, 이들은 콘크리트표면에 작용하여 그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바이러스를 살균하게 된다.
동시에, 탄산칼슘은 이들 이온들의 활동을 촉진하도록 돕게 되고, 그 과정에서 과산화수소는 기포 발생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어 표면 세척작업을 가일층 증대시킨다.
또한, 알콜 성분과 염화나트륨 성분이 악취를 제거하고, 맥주에는 맥주 100중량부에 대해 아염소산나트륨 20중량부와, 시트릭애시드 20중량부가 더 첨가하여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살균, 탈취력을 높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메지는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옥틸아크릴아미드(Octylacrylamide) 20중량부, 송진 10중량부, 실리콘유 5.5중량부, 타피오카(tapioca) 전분 8.5중량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조성된다.
이때, 옥틸아크릴아미드(Octylacrylamide)는 표면에 피막이 생기도록 유도하여 내침식성과 발열차단성을 갖도록 하여 단열성을 강화시키면서 균열저항, 내화학성을 강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송진은 점도 조절 및 친환경적인 천연 바름재 겸 항균제로서 곰팡이 생성을 억제한다.
또한, 실리콘유는 점도 조절 및 방수성을 강화시키고 메움시 도포성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타피오카(tapioca) 전분은 점도 조절 및 송진과의 교합에 따른 무기물과의 가교 촉진 작용을 수행하여 메움부위의 탈락과 균열을 차단한다.
아울러, ATO(Antimony doped Tin Oxide)는 단열 및 차열성능 확보에 기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덧붙여, 상기 제2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제1단계를 거친 건조된 콘크리트표면에 아질산염 수용액을 3-4회 스프레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아질산염 수용액은 아질산염을 물로 10배 희석한 것을 사용하며, 아질산염이 니트로에탄의 이성질체로서 알카리성이어서 콘크리트의 중성화를 억제하고, 특히 노출 철근에 대한 방청효과가 우수하다.
한편, 상기 제3단계는 메지가 도포된 표면에 스프레이되는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표면보호층은 표면보호제를 스프레이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표면보호제는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5중량부,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15중량부, 시트르산칼륨 5중량부, 중공세라믹미소구체(Hollow Ceramic Microspheres) 5중량부, 폴리인산염 5.5중량부, 디메틸 실리콘오일 3.5중량부, 규산나트륨과 물이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수용액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여기에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표면보호제의 흐름성과 분산성을 향상시켜 표면 도포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은 고형분의 용해성 증대 및 차열기능 보강을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시트르산칼륨은 표면보호층의 피막 형성에 따른 방수성과 강도 증대를 위해 기여한다.
또한, 폴리인산염은 표면호보층의 인열강도과 인장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강화시키며, 내침식성과 내수압특성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중공세라믹미소구체(Hollow Ceramic Microspheres)는 중공체 구조로 인해 뛰어난 반사 단열 기능을 가지며 복사 열반사에 따른 열섬(Heat Island) 현상을 예방하고 도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디메틸 실리콘오일은 기포 생성을 억제하여 표면보호층의 들뜸, 균열을 억제한다.
뿐만 아니라, 규산나트륨 수용액은 콘크리트의 공극, 크랙, 크랙 부위로 침투, 충진되면서 겔화되어 치밀화시키게 된다.
특히, 규산나트륨 수용액은 충진, 치밀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자가복귀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매우 건실하고 안정적이면서 높은 방수성, 높은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를 유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게 되고, 나아가 중성화억제 및 방청기능 강화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달성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기 제4단계는 방수시트를 포설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방수시트는 단열성은 물론 차열성까지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시트는 폴리에틸렌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우루시올(Urushiol) 5.5중량부,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 8.5중량부, 메틸설포닐메테인(Methylsulfonylmethane) 5.5중량부, 옥토크릴렌(Octocrilene) 6.5중량부, 피로인산나트륨(Sodium Pyrophosphate) 4.5중량부,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Carbon Amino Silica Black) 3.5중량부를 첨가하여 조성된 조성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 경우, 우루시올(Urushiol)은 페놀유도체의 하나로서, 천연방습제이며, 천연 항산화물질인 토코페롤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대표적인 지용성 화합물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침식성과 내크랙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Cellulose Diacetate)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메틸설포닐메테인(Methylsulfonylmethane)은 유기성분과 무기성분 사이의 공극을 메워줌으로써 공극 치밀화를 달성하여 단열성, 차열성 강화는 물론 방수성과 내후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옥토크릴렌(Octocrilene, CAS No. 6197-30-4)은 맑은 황색의 액체로서, 강한 방수성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피로인산나트륨(Sodium Pyrophosph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내벽색성을 강화시킨다.
또한,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은 공극을 감소시켜 단열성과 차열성을 강화시키고 내침식성도 증대시킨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수시트를 포설하기 전에 표면보호층에 부착강화제를 먼저 도포할 수 있다.
이는 방수시트의 들뜸, 계면분리를 억제하여 방수성, 내수성, 내수압특성 및 단열성과 차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부착강화제로는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100중량부에 대해,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 10중량부; 벤조산비닐에스테르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할 수 있다.
이때,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는 연실율을 증대시켜 유연성과 가공성, 내구성을 피착재에 부여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은 CAS 넘버 135861-56-2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구형화된 피착재의 내열성과 내균열성, 크랙 방지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벤조산비닐에스테르(Benzoic acid vinyl ester)는 CAS 번호 769-78-8에 해당하는 물질로서 자외선에 대한 광열화 작용으로 자외선을 흡수하여 피착재의 표면을 보호하고 갈라짐을 억제하며, 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다른 한편, 상기 제5단계는 방수시트 표면에 마감제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때, 사용되는 마감제는 수성 아크릴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액상탄화수소(liquid hydrocarbons) 5중량부, 유기인산염(Organophosphate) 5.5중량부,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 4.5중량부, 인산에스테르(Phosphoric Acid) 3.0중량부,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 4.5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3.5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액상탄화수소(liquid hydrocarbons)는 고형분의 용해성이 뛰어나고 냉각기능이 있어 차열 기능을 강화시킨다.
그리고, 유기인산염(Organophosphate)은 기포 발생을 억제하여 고르고 균일한 상도층 형성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은 점도가 낮고 유동성이 좋아 피막형성력을 높이고, 내열안성성이 우수하며, 결합력이 우수하여 고정안정성, 부착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인산에스테르(Phosphoric Acid)는 특히, 염소성분에 의한 침식방지력을 높이는데 기여하여 내크랙성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폴리아미드아민(Poly amide-amine)은 내열, 내한성을 유지하면서 차열, 단열성을 증대시킨다.
뿐만 아니라, 수산화알루미늄은 폴리머의 소수화를 막고 친수화를 유도하여 결합력을 높이면서 차열, 단열성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콘크리트표면에서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일한 콘크리트 구조체 시료를 여러개 만들고 이에 대해 방수성을 확인하였다.
방수성은 시료 표면 4군데에 붉은색 물감을 탄 물을 스포이드로 1방울씩 떨어 뜨린 후 2시간이 경과하도록 방치한 후 붉은색 물감을 탄 물이 표면에 스며들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확인 결과, 발명재에서는 스며든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은 방수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단열성, 차열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 시료와, 비교용 일반 우레탄만 도포된 비교시료를 동일 거리에서 시료 표면에 빛을 방사하면서 20분, 40분, 60분 경과시의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상승에 따른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31.7℃, 46.6℃, 54.3℃로 상승한 다음 이후부터는 거의 상승하지 않았고 상승하더라도 매우 더디게 상승한 반면, 비교시료는 44.5℃, 59.7℃, 66.4℃까지 상승하였고 이후로도 더 상승하여 70℃를 넘어섰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차열, 단열 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표면보호층에 방수시트를 포설하기 전에 접착향상제가 도포될 수 있다.
접착향상제는 물 65중량부, 노닐아크릴레이트 12중량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16중량부, 과황산암모늄 4중량부, 중탄산나트륨 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노닐아크릴레이트 및 비닐트리에톡시실란은 밀착, 접착성 부여 등의 역할을 하고, 과황산암모늄은 촉매제 역할을 하며, 중탄산나트륨은 완충제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물질 및 구성 성분을 한정하고 혼합 비율의 수치를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 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수치 한정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마감제의 표면에는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내오염성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및 아미도콰트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및 아미도콰트의 총 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2 중량%이다.
상기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및 아미도콰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마감제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및 아미도콰트는 전체 조성물 수용액 중 1 ~ 12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마감제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2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내오염성 도포용 조성물을 마감제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감제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900 ~ 2300Å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9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3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내오염성 도포용 조성물은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 0.1 몰 및 아미도콰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도포막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오염방지 도포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4)

  1. 세척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표면을 세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세척된 표면중 패인 부분과 갈라진 부분을 메지로 메우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메움이 완료된 표면에 표면보호제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표면보호층에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시트의 표면 및 이음부분에 마감제를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사용되는 표면보호제는 수용성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5.5중량부, 이소헥사데칸(Isohexadecane) 15중량부, 시트르산칼륨 5중량부, 중공세라믹미소구체(Hollow Ceramic Microspheres) 5중량부, 폴리인산염 5.5중량부, 디메틸 실리콘오일 3.5중량부, 규산나트륨과 물이 1:9의 중량비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수용액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사용되는 메지는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옥틸아크릴아미드(Octylacrylamide) 20중량부, 송진 10중량부, 실리콘유 5.5중량부, 타피오카(tapioca) 전분 8.5중량부, ATO(Antimony doped Tin Oxide) 5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3. 삭제
  4. 세척액을 이용하여 콘크리트표면을 세척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 후 세척된 표면중 패인 부분과 갈라진 부분을 메지로 메우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후 메움이 완료된 표면에 표면보호제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를 통해 형성된 표면보호층에 방수시트를 포설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포설된 방수시트의 표면 및 이음부분에 마감제를 도포하여 마감처리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시트를 포설하기 전에 표면보호층에 부착강화제를 먼저 도포하되, 상기 부착강화제는 PBAT(Poly-Butylene Adipate Terephthalate) 100중량부에 대해,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 10중량부; 벤조산비닐에스테르 15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KR1020230103263A 2023-08-08 2023-08-08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Active KR10263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263A KR102634625B1 (ko) 2023-08-08 2023-08-08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263A KR102634625B1 (ko) 2023-08-08 2023-08-08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625B1 true KR102634625B1 (ko) 2024-02-08

Family

ID=8989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263A Active KR102634625B1 (ko) 2023-08-08 2023-08-08 크랙셀프힐링이 가능한 침투성 콘크리트 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6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44B1 (ko) 2007-04-03 2007-12-04 (주)국민산업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열화부의 단면보수 및 방수용 급결성을 갖는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639B1 (ko) * 2018-05-02 2019-02-27 하상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1950914B1 (ko) * 2017-10-16 2019-05-08 주식회사 비앤디오 급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보강과 단열 방법
KR102141508B1 (ko) * 2020-03-27 2020-08-06 신명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및 단면복구를 위한 통합 보수 보강공법
KR102362822B1 (ko) * 2019-11-12 2022-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도로 되메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 되메움 시공방법
KR20230021218A (ko) * 2021-08-04 2023-02-14 이창민 친환경 건축용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044B1 (ko) 2007-04-03 2007-12-04 (주)국민산업 철근콘크리트구조물 열화부의 단면보수 및 방수용 급결성을 갖는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0914B1 (ko) * 2017-10-16 2019-05-08 주식회사 비앤디오 급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몰탈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 보강과 단열 방법
KR101952639B1 (ko) * 2018-05-02 2019-02-27 하상우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용 기능성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 방수 공법
KR102362822B1 (ko) * 2019-11-12 2022-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아스팔트 도로 되메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 되메움 시공방법
KR102141508B1 (ko) * 2020-03-27 2020-08-06 신명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보수 및 단면복구를 위한 통합 보수 보강공법
KR20230021218A (ko) * 2021-08-04 2023-02-14 이창민 친환경 건축용 복합재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1774B2 (en) Corrosion resistant spray applied fire resistive materials
KR101731887B1 (ko) 타일 접착제 겸 줄눈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68073B1 (ko)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표면 보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KR100788021B1 (ko) 콘크리트 침투형 방수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공법
KR101900204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KR100820276B1 (ko)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058157B1 (ko) 염해방지용 침투식 방수제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KR101741177B1 (ko) 급경 고강도 무기계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보강 방법.
KR101814960B1 (ko) 속경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갖는 콘크리트 단면 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KR102531955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수용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수보강방법
KR101794154B1 (ko) 기능성 친환경 하이브리드 표면 보호용 도막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보호 방법
KR101858122B1 (ko) 친환경 무기계 나노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기능성 타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0954450B1 (ko) 축중합 스마트 세라믹계 도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강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84419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166792B1 (ko) 단면복구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보수공법
KR102266502B1 (ko) 콘크리트 단면 보수 보강공법
KR20150075466A (ko) 방수성 혼화제를 구비하는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
KR102093646B1 (ko) 친환경 침투형 무기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방식 시공 방법
KR1020606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 도장 조성물 및 방수 도장 방법
KR101798953B1 (ko) 방수 방식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1012541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방식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06247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공방법
KR101965949B1 (ko) 단열과 흡습을 통한 결로방지용 세라믹 도료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