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4550B1 -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 Google Patents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50B1
KR102634550B1 KR1020220133771A KR20220133771A KR102634550B1 KR 102634550 B1 KR102634550 B1 KR 102634550B1 KR 1020220133771 A KR1020220133771 A KR 1020220133771A KR 20220133771 A KR20220133771 A KR 20220133771A KR 102634550 B1 KR102634550 B1 KR 102634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transmitter
sound signal
channel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37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이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희 filed Critical 이정희
Priority to KR102022013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onitoring a sound signal, which comprises: a transmitter connected to a sound output terminal of a device generating the sound signal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to acquire the sound signal and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another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pecific channel; and at least one receiver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pecific channel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to a user. The specific channel corresponds to a specific frequency of a UHF band. The receiver may include a mounting unit for hanging the receiver on the neck of the user and an earphone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Description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어폰 장치{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헤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onic devices,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arphone/headphone device for receiving sound signal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signals to the user's ears.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아프리카 TV 등의 플랫폼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전문 방송인이 아닌 개인들이 해당 플랫폼에 자신의 컨텐츠를 업로드할 뿐만 아니라 라이브 방송을 함으로써 팬들이나 구독자들과 함께 실시간 소통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Platforms such as Instagram, YouTube, TikTok, and Afreeca TV are widely used, and individuals who are not professional broadcasters often communicate in real time with fans and subscribers by not only uploading their own content to these platforms but also broadcasting live. I'm losing.

모니터링 이어폰은 방송을 하는 사람이 자신의 목소리가 실제로 방송을 통해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들리는지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듣기 위한 것이다. 방송을 진행하는 전문 방송인이나 가수 등은 모니터링 이어폰을 귀에 꼽고 방송을 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러한 모니터링 이어폰은 유선 형태라 유선 모니터링 이어폰을 착용하고 방송을 하기에는 움직임에 불편함이 많고 선의 길이로 인해 음향 신호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거리에도 제약이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 이어폰들은 전문 방송인에게 한정적으로 보급되고 있을 뿐 전문 방송인이 아닌 개인이 쉽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은 없다.Monitoring earphones are used for broadcasters to check how their voices are actually heard by others through the broadcast and listen in real time. Professional broadcasters and singers often broadcast with monitoring earphones in their ears. However, since these monitoring earphones are wired, it is difficult to move while broadcasting while wearing wired monitoring earphon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of the sound signal is limited due to the length of the wire. In addition, these monitoring earphones are only distributed to professional broadcasters on a limited basis, and there are no earphones that can be used easily and inexpensively by individuals other than professional broadcasters.

한편, 기존 무선 이어폰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기반한 것으로 음향 신호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1:1로 페어링되어야 하고 블루투스 통신의 가능 거리는 10미터 내외로서 유선 모니터링 이어폰과 마찬가지로 거리 제약이 있어 모니터링 이어폰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명확하다.Meanwhile, existing wireless earphones are based o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which requires a 1:1 pairing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of the sound signal, and the possible distance for Bluetooth communication is about 10 meters. As with wired monitoring earphones, there are distance restrictions, so their use as monitoring earphones is limited. is clear.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장치가 개시된다.An earphone or headphon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ound signals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signal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band is disclosed.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technical challenge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은, 상기 음향 신호를 생성하는 디바이스의 음향 출력 단자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특정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특정 채널을 통한 상기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채널은 UHF 대역의 특정 주파수와 대응되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수신기를 상기 사용자의 목에다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부와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A system for monitoring sound signals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of the device that generates the sound signal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acquires the sound signal,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another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pecific channel. a transmitter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based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specific channel from the transmitter and at least one receiver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to a user, wherein the specific channel is a specific channel in the UHF band. Corresponding to the frequency, the receiver may include a holder for hanging the receiver around the user's neck and an earphone for outputting the sound signal.

상기 송신기는, 상기 특정 채널로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로 전송하기 위한 RF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음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음향 신호 획득부, 상기 특정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채널 제어부, 상기 송신기가 하나의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는 제1모드와 상기 송신기가 복수의 상기 수신기들과 연결되는 제2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제어부, 및 상기 송신기와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수신기가 있음을 나타내는 LED를 포함하는 상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RF module for transmitting the acoustic signal to the at least one receiver through the specific channel, an acoustic signal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device, and a device capable of changing the specific channel. A channel control unit, a mode control unit for setting one of a first mode in which the transmitter is connected to one receiver and a second mode in which the transmitt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receivers, and a receive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It may include a status display unit including an LED indicating presence.

상기 수신기는, 상기 특정 채널로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RF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 상기 특정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채널 제어부, 상기 송신기가 하나의 상기 수신기와 연결되는 제1모드와 상기 송신기가 복수의 상기 수신기들과 연결되는 제2모드 중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음향 신호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n RF module for receiving the acoustic signal through the specific channel, a channel control unit capable of changing the specific channel, a first mode in which the transmitter is connected to one receiver, and a plurality of transmitters. It may include a mode control unit for setting one of the second modes connected to the receivers, and an audio signal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to the user.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송신기와 복수의 상기 수신기들의 상기 특정 채널이 모두 동일한 채널로 설정되어도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만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transmitter and the at least one receiver is set to the first mode, even if the specific channel of the transmitter and the plurality of receivers are all set to the same channel, only one of the receivers transmits the soun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You can receive it.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이어폰 장치는, 상기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1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전자 장치, 상기 제1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양 귀 중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제1이어폰, 상기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2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전자 장치, 상기 제2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양 귀 중 나머지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제2이어폰, 및 상기 제1전자 장치와 상기 제2전자 장치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목걸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UHF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제2음향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거치부 내의 전자 회로를 통해 상기 제2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제1전자 장치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UHF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An earphone device for monitoring an acoustic signal includes a first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acoustic signal constituting the acoustic signal,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first acoustic signal to one of both ears of the user. A first earphone for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a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 second sound signal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and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second sound signal to the other one of the user's ears. a second earphone for connectin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each other, and a holder configured to be shaped like a necklace and hung around the user's neck, where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UHF frequency band, the sound signal is received, the second sound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sound signal, and the second sou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electronic circuit in the holder, an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ere may be a button for changing the specific frequency of the UHF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이어폰 또는 헤드폰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음질이 깨끗하고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에 상관없이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사용하기 적절하다.An earphone or headphone device capable of receiving sound signals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signal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band is disclosed. The earphone or headphone device uses a specific frequency band, so it has clear sound quality and can reproduce sound signals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regard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making it suitable for use as monitoring earphones or headphones.

또한, 여러 개의 이어폰 또는 헤드폰 장치로 동일한 음향 소스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목에다 걸 수 있는 목걸이 형태의 거치부로 움직임이 많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ame sound source can be monitored with multiple earphones or headphone devices, and the necklace-shaped holder that can be worn around the neck does not easily leave the user who moves a lot.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장치를 사용해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음향 신호를 복수의 이어폰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음향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4a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4b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system for monitoring acoustic signals using an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shows an acoustic signal monitoring system that receives one acoustic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earphon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and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A shows a transmitter and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b shows a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아래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하,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 예가 명확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Below, several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clearly an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Additionally,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may b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processor,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도1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 장치를 사용해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Figure 1 shows a system for monitoring acoustic signals using an earphon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1을 참조하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바이스들(SD1, SD2, SD3), 복수의 디바이스들(SD1, SD2, SD3) 각각의 음향 신호를 특정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른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기들(T1, T2, T3), 송신기들(T1, T2, T3)로부터 특정 채널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각각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R1, R2, R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ystem 1000 is a plurality of devices (SD1, SD2, SD3), and the sound sign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SD1, SD2, SD3) is transmitted to another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specific channel. Transmitters (T1, T2, T3) for transmitting to the user's ears, at least one receiver ( R1, R2, R3) may be included.

특정 채널은 UHF 대역의 특정 주파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로서, 특정 채널은 UHF 대역(UltraHigh-Frequency)의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이하, 특정 채널 또는 특정 주파수는 UHF 대역의 임의의 주파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송신기와 수신기는 UHF 대역이 아닌 임의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A specific channel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frequency in the UHF band. As an example, a specific channel may be matched to a specific frequency in the UHF band (UltraHigh-Frequency). Hereinafter, the specific channel or specific frequency may be any frequency in the UHF ba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can communicate wirelessly using any frequency band other than the UHF band.

디바이스들(SD1, SD2, SD3) 각각은 음향 신호(음향 소스)를 생성 또는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TV, 라디오,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피커, 오디오 믹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가 진행하는 방송이 출력되는 전자장치로서, 음향 신호는 사용자의 육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발화하는 사용자는 헤드폰(R1)을 착용하고 라이브 방송이 재생되는 디바이스(SD1)에서 실제로 출력되는 자신의 육성을 모니터링하면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 Each of the devices SD1, SD2, and SD3 is for generating or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sound source) and may include a TV, radio, PC, laptop, smartphone, tablet PC, speaker, audio mixer, etc. For example, the devices are electronic devices that output a broadcast conducted by a user, and the sound signal may include the user's voice. For example, a user speaking during a live broadcast may wear headphones (R1) and broadcast while monitoring his or her own voice that is actually output from the device (SD1) where the live broadcast is played.

송신기(T1)는 디바이스(SD1)에서 생성 또는 출력되는 음향 소스를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수신기(R1)로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T1)는 디바이스(SD1)의 음향 출력 단자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디바이스(SD1)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 신호를 수신기(R1)로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단자는 AUX 단자, 광디지털(OPTICAL) 단자, USB 단자, HDMI 단자 등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기 위한 어떠한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R1)는 전송받은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R1)는 헤드폰, 이어폰,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수신기(R1)는 수신기(R1)를 사용자의 목에다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치부와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에 의해 움직임이 많은 사용자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을 뿐 아니라 수신기(R1)의 무게를 사용자의 목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착용감이 편해질 수 있다.The transmitter T1 may transmit the sound source generated or output from the device SD1 to the receiver R1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a frequency band. The transmitter T1 may be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device SD1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to obtain an audio signal of the device SD1 and transmit the acquired audio signal to the receiver R1. The audio output terminal may include any type for connection to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such as an AUX terminal, an optical digital (OPTICAL) terminal, a USB terminal, and an HDMI terminal. The receiver R1 can output the transmitted sound signal to the user's ears. The receiver R1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headphones, earphones, speakers, etc. The receiver R1 may include a holder for hanging the receiver R1 around the user's neck and earphones for outputting sound signals. Not only does the mount prevent the user from moving around easily, but it also distributes the weight of the receiver (R1) to the user's neck, making it more comfortable to wear.

송신기들(T1, T2, T3)과 수신기들(R1, R2, R3)은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들(T1, T2, T3)과 수신기들(R1, R2, R3) 각각의 연결은 특정 주파수 또는 채널에 기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T1)와 수신기(R1)는 채널(C03), 송신기(T2)와 수신기(R2)는 채널(C12), 및 송신기(T3)와 수신기(R3)는 채널(C20)에 기반하여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채널A, 채널B, 및 채널C는 각각 927.0MHz, 928.0MHz, 929.MHz 일 수 있다. Transmitters (T1, T2, T3) and receivers (R1, R2, R3) may communicate wirelessly based on frequency bands. Each of the transmitters (T1, T2, and T3) and the receivers (R1, R2, and R3) may be connected based on a specific frequency or channel. For example, a transmitter (T1) and a receiver (R1) are on channel C03, a transmitter (T2) and a receiver (R2) are on channel C12, and a transmitter (T3) and receiver (R3) are on channel C20. Based on this, wireless connection can be made. As an example, Channel A, Channel B, and Channel C may be 927.0MHz, 928.0MHz, and 929.MHz, respectively.

송신기(T1)와 수신기(R1)는 주파수 대역에 기반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RFID 통신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서 전파를 이용하므로 블루투스 통신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송신기(T1)와 수신기(R1)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음향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The transmitter (T1) and the receiver (R1) are connected using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based on the frequency band and can transmit acoustic signals. RFID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that recognizes information from a distance using radio waves. Since it uses radio waves, it does not only work over short distances like Bluetooth communication, but also transmits acoustic signals through the object between the transmitter (T1) and receiver (R1) even at long distances. can be transmitted.

송신기(T1)와 수신기(R1) 사이의 무선 통신은 900MHZ 이상(예를 들어, 926.5MHz~935.2MHz)의 UHF 대역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송신기(T1)와 수신기(R1)는 900MHZ 이상의 UHF(UltraHigh-Frequency) 대역 중 특정 주파수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는 특정 채널로 지칭될 수 있고 송신기(T1)의 채널과 수신기(R1)의 채널이 일치하면 수신기(R1)는 송신기(T1)로부터 음향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복수의 채널들 각각이 UHF 대역의 특정 주파수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채널들 각각이 926.5 MHz 이상 935.2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중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송신기(T1)와 수신기(R1) 사이의 무선 통신은 임의 대역의 주파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T1) and the receiver (R1) may be performed using the UHF band of 900 MHz or higher (eg, 926.5 MHz to 935.2 MHz). The transmitter (T1) and receiver (R1) can transmit acoustic signals at a specific frequency in the UHF (UltraHigh-Frequency) band of 900 MHz or higher. A specific frequency used for transmission of an acoustic signal may be referred to as a specific channel, and if the channel of the transmitter (T1) and the channel of the receiver (R1) match, the receiver (R1) can receive an acoustic signal from the transmitter (T1). .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frequency in the UHF band. For example, each of the 30 channels may be matched to a different specific frequency among the frequency bands between 926.5 MHz and 935.2 MHz.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tter (T1) and the receiver (R1) can be performed by any frequency band.

수신기의 채널은 기본적으로 송신기의 채널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T1)와 수신기(R1)는 서로 짝을 이루는 하나의 세트 장치(또는, 페어링 장치)이고 송신기(T1)가 특정 채널(C03)로 설정되면 수신기(R1)는 UHF 대역을 스캔하여 음향 신호가 감지되는 상기 특정 채널(C03)로 기본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R1)는 복수의 송신기들(T1, T2, T3)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음향 신호가 감지되더라도 자신의 페어링 장치인 송신기(T1)에 설정된 특정 채널(C03)과 동일한 채널(C03)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The receiver's channel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transmitter's channel by default. For example, the transmitter (T1) and the receiver (R1) are one set device (or pairing device) paired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transmitter (T1) is set to a specific channel (C03), the receiver (R1) uses the UHF band. It can be default set to the specific channel (C03) where the acoustic signal is detected by scann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R1) is the same as the specific channel (C03) set in the transmitter (T1), which is its pairing device, even if a plurality of sound signal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transmitters (T1, T2, T3) are detected. It can be automatically set to channel (C03).

도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음향 신호를 복수의 이어폰 장치를 통해 수신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Figure 2 shows a system for receiving one sound signal through a plurality of earphone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2를 참조하면, 시스템(2000)은 디바이스(SD), 디바이스(SD)에서 생성된 음향 신호를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다른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T), 송신기(T)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R)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의 시스템(2000)은 도1의 시스템(1000)과 동일하나 하나의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기들이 무선 통신하는 실시 예로서 도1의 시스템(1000)에 관하여 상술된 설명은 도2의 시스템(2000)에도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system 2000 includes a device (SD), a transmitter (T) for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generated by the device (SD) to another devic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frequency band, and a transmitter (T). It may include at least one receiver (R) for outputting the received sound signal to the user's ears. The system 2000 of FIG. 2 is the same as the system 1000 of FIG. 1, but is an embodiment in which one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communicate wirelessl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ystem 1000 of FIG. 1 is the system of FIG. 2 ( 2000) can also be applied.

디바이스(SD)는 음향 소스를 생성 또는 출력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TV, 라디오,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SD) is a device for generating or outputting a sound source and may include a TV, radio, PC, laptop, smartphone, tablet PC, speaker, etc.

송신기(T)는 디바이스(SD)에서 생성 또는 출력되는 음향 소스를 주파수 대역에 의해 수신기들(R)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T)는 디바이스(SD)의 음향 출력 단자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디바이스(SD)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향 신호를 수신기들(R)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ransmitter T may transmit the sound source generated or output from the device SD to the receivers R according to the frequency b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T) is connected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of the device (S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to obtain an audio signal of the device (SD) and transmit the obtained audio signal to the receivers (R). .

수신기들(R)은 수신기(H1), 수신기(H2), 수신기(H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H1, H2, H3)은 송신기(T)와 연결되어 송신기(T)로부터 동일한 음향 신호를 동시에 전송받을 수 있다.The receivers (R) may include a receiver (H1), a receiver (H2), and a receiver (H3). A plurality of receivers (H1, H2, H3) ar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T) and can simultaneously receive the same sound signal from the transmitter (T).

예로서, 송신기(T)의 송신 채널(C12)이 설정되고 복수의 수신기들(R)이 상기 설정된 송신 채널과 동일한 채널(C12)로 설정되면 복수의 수신기들(R) 각각은 송신기(T)가 전송하는 음향 신호를 채널(C12)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디바이스(SD)의 음향 신호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transmission channel (C12) of the transmitter (T) is set and the plurality of receivers (R) are set to the same channel (C12) as the set transmission channel,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ers (R) is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T) By receiving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hannel C12, multiple people can simultaneously monitor the sound signal of the device (SD).

도3은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와 수신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Figure 3 shows a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and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송신기(T)는 통신부(TC), 음향 신호 획득부(TE), 채널 제어부(TC), 모드 제어부(TM), 및 상태 표시부(TS)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C), an acoustic signal acquisition unit (TE), a channel control unit (TC), a mode control unit (TM), and a status display unit (TS).

통신부(TC)는 특정 주파수(또는, 특정 채널)로 통신하기 위한 RF(Radio Frequency) 모듈 내지 RF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는 UHF 대역 주파수일 수 있다. 음향 신호 전송을 위한 특정 주파수는 채널 제어부(TC)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통신부(TC)는 전파를 송신하고 전파를 변조함으로써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통신부(TC)를 통해 수신기(R)로 전송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TC)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RF) module or an RF chip for communicating at a specific frequency (or a specific chan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ecific frequency may be a UHF band frequency. The specific frequency for transmitting sound signals can be changed by the channel control unit (TC). The communication unit (TC) can transmit an acoustic signal by transmitting radio waves and modulating the radio waves. The acoustic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C).

음향 신호 획득부(TE)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로 디바이스(SD)와 연결되어 디바이스(SD)의 음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음향 신호 획득부(TE)는 디바이스(SD)로부터 음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AUX 단자/케이블, 광디지털(OPTICAL) 단자/케이블, USB 단자/케이블, HDMI 단자/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획득된 음향 신호는 통신부(TC)로 전달될 수 있다.The sound signal acquisition unit (TE) is connected to the device (S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interface to acquire the sound signal of the device (SD). The audio signal acquisition unit (TE) may include an AUX terminal/cable, an optical digital (OPTICAL) terminal/cable, a USB terminal/cable, and an HDMI terminal/cable for acquiring an audio signal from the device (SD). The acquired acoustic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TC).

채널 제어부(TC)는 통신부(TC)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주파수는 음향 신호 전송을 위해 현재 사용하는 특정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채널 제어부(TC)는 통신부(TC)의 동작 주파수를 926.5 MHz 이상 935.2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중 특정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는 사용자에게 특정 채널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들 각각이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채널들 각각이 926.5 MHz 이상 935.2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중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채널 제어부(TC)는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로 통신부(TC)의 채널을 설정할 수 있으며 송신기(T)에는 사용자가 채널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The channel control unit (TC) can chang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unit (TC). The operating frequency is the specific frequency currently used for transmitting acoustic signals. For example, the channel control unit (TC) may se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unit (TC) to a specific frequency among the frequency bands between 926.5 MHz and 935.2 MHz.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pecific frequency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s a specific channel.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matched to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each of the 30 channels may be matched to a different specific frequency among the frequency bands between 926.5 MHz and 935.2 MHz. The channel control unit (TC) can set the channel of the communication unit (TC) to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s, and a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channel can be located on the transmitter (T).

모드 제어부(TM)는 송신기(T)와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수신기(R)가 하나일 때의 제1모드 또는 복수일 때의 제2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The mode control unit (TM) can select one of the first mode when there is only one receiver (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T) or the second mode when there are multiple receivers (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T)와 수신기(R)가 일대일로 연결되는 제1모드 하에서, 송신기(T)는 특정 수신기(R)와 일대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1모드 하에서, 송신기와 복수의 수신기들이 모두 동일한 채널로 설정되어도 수신기들 중 하나만 음향 신호를 상기 송신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제1모드 하에서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수신기 외의 다른 수신기는 통신이 수행될 수 없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under the first mode in which the transmitter (T) and the receiver (R) are connected on a one-to-one basis, the transmitter (T)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 specific receiver (R) on a one-to-one basis. Under the first mode, even if the transmitter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are all set to the same channel, only one of the receivers can receive an acoustic signal from the transmitter. That is, under the first mode, communication cannot be performed with any receiver other than the receive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송신기(T)가 제1모드로 설정되면, 송신기(T)와 수신기(R)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 고유 번호에 기반하여 일대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송신기(T)가 특정 기기 고유 번호의 수신기로만 음향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기(R)가 특정 기기 고유 번호의 송신기로부터만 음향 신호를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송신기(T)는 임의의 정보(예를 들어, 송신기(T) 또는 수신기(R)의 기기 고유 번호, 키 정보)를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수신기(R)로 전송하고 수신기(R)는 암호화된 정보를 비밀키로 복호화함으로써 복호화가 가능한 수신기(R)와 송신기(T)의 일대일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T)는 임의의 정보를 송신기(T)에 기 저장된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수신기(R)는 암호화된 공개키를 기 저장된 개인키로 복호화함으로써 무선 연결에 필요한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제1모드 하에서, 송신기(T)는 특정 수신기(R)하고만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므로 특정 수신기(R) 외의 다른 수신기는 송신기(T)와 채널을 맞추어도 송신기(T)가 전송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When the transmitter (T) is set to the first mode, one-to-on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device unique number of at least one of the transmitter (T) and the receiver (R). The transmitter (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acoustic signal only to a receiver with a specific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receiver (R)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only from a transmitter with a specific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lternatively, the transmitter (T) encrypts random information (e.g., device unique number of the transmitter (T) or receiver (R), key information) with a secret key and transmits it to the receiver (R), and the receiver (R) encrypts By decryp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with a secret key, a one-to-one connection can be formed between the receiver (R) and the transmitter (T), which can be decrypted. For example, the transmitter (T) encrypts arbitrary information with a public key previously stored in the transmitter (T), and the receiver (R) decrypts the encrypted public key with a previously stored private key to prepare for a wireless connection. . Under the first mode, the transmitter (T) can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nly with a specific receiver (R), so even if receivers other than the specific receiver (R) match the channel with the transmitter (T),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T) cannot be received.

송신기(T)와 복수 개의 수신기(R)들이 연결되는 제2모드 하에서, 송신기(T)는 특정 채널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설정된 수신기(R)들은 송신기(T)가 전송하는 음향 신호를 동시에 전송받을 수 있다.Under the second mode in which a transmitter (T)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R) are connected, the transmitter (T) transmits an acoustic signal to a specific channel, and the receivers (R) set to the same channel as the specific channel ar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T). Transmitted sound signals can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기(T)에는 현재 연결 모드를 나타내는 제1LED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T)와 수신기(R)가 일대일로 연결(제1모드)되어 있으면 제1LED가 특정 색상(예로서,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송신기(T)와 복수의 수신기(R)들이 연결되어 있으면(제2모드) 제1LED는 꺼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T may include a first LED indicating the current connection mode. If the transmitter (T) and the receiver (R) are connected one-to-one (first mode), the first LED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blue), and if the transmitter (T)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R) are connected ( Second mode) The first LED can be turned off.

상태 표시부(TS)는 송신기(T)와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수신기(R)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TS)는 제2LED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T)가 특정 채널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있고 수신기(R)가 상기 송신기(T)와 동일한 채널로 설정되어 음향 신호를 전송받고 있으면 제2LED는 특정 색상(예로서, 녹색)으로 표시되고 송신기(T)와 현재 통신 중인 수신기가 없으면 제2LED는 꺼질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TS) may indicate that there is a transmitter (T) and a receiver (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status display unit TS may include a second LED. If the transmitter (T) is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through a specific channel and the receiver (R) is set to the same channel as the transmitter (T) and is receiving the acoustic signal, the second LED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green) If there is no receiver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transmitter (T), the second LED may be turned off.

수신기(R)는 통신부(RC), 채널 제어부(RC), 모드 제어부(RM), 상태 표시부(RS), 및 음향 신호 출력부(RO)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er (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RC), a channel control unit (RC), a mode control unit (RM), a status display unit (RS), and an audio signal output unit (RO).

통신부(RC)는 특정 주파수로 통신하기 위한 RF 모듈 내지 RF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는 UHF 대역의 주파수일 수 있다. 음향 신호 수신을 위한 특정 주파수는 채널 제어부(RC)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음향 신호는 통신부(RC)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RC) may include an RF module or RF chip for communicating at a specific frequenc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pecific frequency may be a frequency in the UHF band. The specific frequency for receiving sound signals can be changed by the channel control unit (RC). The acoustic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C).

채널 제어부(RC)는 통신부(RC)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동작 주파수는 현재 음향 신호 수신을 위한 특정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채널 제어부(RC)는 926.5 MHz 이상 935.2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중 통신부(TC)의 동작 주파수를 특정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주파수는 사용자에게 특정 채널로 표시될 수 있다. 복수의 채널들 각각이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0개의 채널들 각각이 926.5 MHz 이상 935.2MHz 이하의 주파수 대역 중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와 매칭될 수 있다. 채널 제어부(RC)는 복수의 채널들 중 하나로 통신부(RC)의 동작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수신기(R)에는 사용자가 채널 변경할 수 있는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The channel control unit (RC) can change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unit (RC). The operating frequency is a specific frequency for receiving the current acoustic signal. For example, the channel control unit (RC) may se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unit (TC) to a specific frequency among the frequency bands between 926.5 MHz and 935.2 MHz.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specific frequency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as a specific channel. Each of the plurality of channels may be matched to a specific frequency. For example, each of the 30 channels may be matched to a different specific frequency among the frequency bands between 926.5 MHz and 935.2 MHz. The channel control unit (RC) can set the operating frequency of the communication unit (RC) to one of a plurality of channels, and a button that allows the user to change the channel can be located on the receiver (R).

모드 제어부(RM)는 송신기(T)와 현재 무선 통신 중인 수신기(R)가 하나일 때의 제1모드 또는 복수일 때의 제2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모드와 제2모드는 송신기(T)의 모드 제어부(TM)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모드 하에서 수신기(R)는 송신기(T)와 연결되기 위해 송신기(T)의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설정됨은 물론 송신기(T)로부터 수신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동작이 선행될 수 있다. 제1모드 하에서, 송신기(T)는 특정 수신기(R)하고만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므로 특정 수신기(R) 외의 다른 수신기는 송신기(T)와 채널을 맞추어도 송신기(T)가 전송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제2모드 하에서 수신기(R)는 송신기(T)의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만 설정되면 송신기(T)와 연결될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RM can select one of the first mode when there is only one receiver (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ransmitter (T) or the second mode when there are multiple receivers (R) currently in wireless communication. Since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mode control unit (TM) of the transmitter (T),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under the first mode, the receiver (R) is set to the same channel as the channel of the transmitter (T)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T), and also decrypts the encrypt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nsmitter (T). This can take precedence. Under the first mode, the transmitter (T) can establis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nly with a specific receiver (R), so even if receivers other than the specific receiver (R) match the channel with the transmitter (T), the acoustic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T) cannot be received. Under the second mode, the receiver (R) can be connected to the transmitter (T) as long as the receiver (R) is set to the same channel as the channel of the transmitter (T).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R)는 현재 연결 모드를 나타내기 위한 제3LED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T)와 수신기(R)가 일대일로 연결(제1모드)되어 있으면 제3LED가 특정 색상(예로서, 파란색)으로 표시되고 송신기(T)와 복수의 수신기(R)들이 연결되어 있으면(제2모드) 제3LED는 꺼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R) may include a third LED to indicate the current connection mode. If the transmitter (T) and the receiver (R) are connected one-to-one (first mode), the 3rd LED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blue), and if the transmitter (T) and a plurality of receivers (R) are connected ( Mode 2) The third LED can be turned off.

상태 표시부(RS)는 수신기(R)와 현재 통신 중인 송신기(T)가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표시부(RS)는 제4LED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T)가 특정 채널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있고 수신기(R)가 상기 송신기(T)와 동일한 채널로 설정되어 음향 신호를 전송받고 있으면 제4LED는 특정 색상(예로서, 녹색)으로 표시되고 수신기(R)와 현재 통신 중인 송신기가 없으면 제4LED는 꺼질 수 있다.The status display unit (RS) may indicate that there is a transmitter (T)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er (R). For example, the status display unit RS may include a fourth LED. If the transmitter (T) is transmitting an acoustic signal through a specific channel and the receiver (R) is set to the same channel as the transmitter (T) and is receiving the acoustic signal, the fourth LED is displayed in a specific color (for example, green) If there is no transmitter currently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er (R), the fourth LED may be turned off.

음향 신호 출력부(RO)는 통신부(RC)에서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해주기 위한 이어폰 또는 헤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신호 출력부(RO)는 통신부(RC)에서 수신되는 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귀로 출력해주기 위한 스피커를 내장할 수 있다.The sound signal output unit (RO) may include earphones or headphones to outpu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C) to the user's ears.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RO) may have a built-in speaker to outpu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RC) to the user's ears.

수신기(R)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The receiver R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users can broadcast live.

도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기(T)와 수신기(R)를 나타내고 도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를 나타낸다. 도4b를 참조하면, 수신기(R)는 목에다 걸 수 있는 목걸이 형태의 거치부(32), 제1전자 장치(36), 제2전자 장치(38), 제1이어폰(34), 제2이어폰(3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R)는 통신부, 채널변경부, 배터리 등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사람의 귀에 꽃기에는 다소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R)는 거치부(32)를 목에다 걸고 이어폰(34, 35)을 귀에다가 꽂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부(32)는 수신기(R)가 사람의 과도한 움직임에도 이탈하지 않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각종 전자장비의 내장으로 인한 무게를 편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Figure 4a shows a transmitter (T) and a receiver (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4b shows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 4b, the receiver (R) includes a necklace-shaped holder 32 that can be worn around the neck, a first electronic device 36, a second electronic device 38, a first earphone 34, and a second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earphones (35). The receiver (R) has a built-in communication unit, channel change unit, battery, etc., so it may be somewhat heavy for the human ear. Accordingly, the receiver (R) may be configured to hang the holder 32 around the neck and insert the earphones 34 and 35 into the ears. The mounting portion 32 not only helps prevent the receiver (R) from falling off due to excessive movement of a person, but also serves to comfortably support the weight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도5는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기의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다.Figure 5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recei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5를 참조하면, 수신기(500)는 제1전자 장치(RR), 제2전자 장치(RL), 제1전자 장치(RR)와 연결된 제1이어폰(RE), 제2전자 장치(RL)와 연결된 제2이어폰(LE), 및 제1전자 장치(RR)와 제2전자 장치(RL) 사이를 연결하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함과 동시에 목걸이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목에 걸기 편하도록 목걸이 형상으로 구성되는 거치부(N)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the receiver 500 includes a first electronic device (RR), a second electronic device (RL), a first earphone (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and a second electronic device (RL). It connects the second earphone (L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and is shaped like a neckla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ear it around the neck. It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N) consisting of.

제1전자 장치(RR)는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1음향 신호(또는, 제1채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전자 장치(RL)는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2음향 신호(또는, 제2채널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제1전자 장치(RR)는 외부 장치(예로서, 송신기)로부터 UHF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 신호로부터 제2음향 신호를 분리하여 거치부(N) 내의 전자 회로를 통해 제2전자 장치(RL)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is for outputting the first sound signal (or first channel signal)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is for outputting the second sound signal (or , second channel signal).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receives an acoustic signal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UHF frequency band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transmitter) and separates the second acoustic signal from the acoustic signal to form an electronic circuit in the holder (N).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through .

제1전자 장치(RR)와 제2전자 장치(RL)는 서로 분리된 하드웨어 장치이다. 도5의 제1전자 장치(RR), 제2전자 장치(RL), 제1이어폰(RE), 제2이어폰(LE), 거치부(N)는 도4b의 제1전자 장치(36), 제2전자 장치(38), 제1이어폰(34), 제2이어폰(35), 거치부(32)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are separate hardware devices.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the first earphone (RE), the second earphone (LE), and the holder (N) in FIG. 5 ar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36 in FIG. 4b, It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38, the first earphone 34, the second earphone 35, and the mounting unit 32, respectively.

도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기(R)는 통신부, 채널변경부 등 여러가지 프로세서와 전자회로 등을 내장하고 있으므로 무게가 다소 무거운 점과 수신기(R)는 헤드폰 형태로서 사람의 귀에 거치되어야하는 점을 고려하여 주요 구성 요소들을 두 개의 하드웨어 모듈로 나누어 분배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receiver (R) has various processors and electronic circuits, such as a communication unit and a channel change unit, built in, so it is somewhat heavy and the receiver (R) is in the form of headphones and must be placed on the human ear. Considering this, major components can be divided and distributed into two hardware modules.

제1전자 장치(RR)는 통신부(RC), 채널 제어부(RC), 모드 제어부(RM), 상태 표시부(RS), 및 제1음향 신호 출력부(R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5의 통신부(RC), 채널 제어부(RC), 모드 제어부(RM), 상태 표시부(RS), 및 제1음향 신호 출력부(ROR)는 각각 도3의 통신부(RC), 채널 제어부(RC), 모드 제어부(RM), 상태 표시부(RS), 및 음향 신호 출력부(RO)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제1전자 장치(RR)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UHF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RC), a channel control unit (RC), a mode control unit (RM), a status display unit (RS), and a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ROR). The communication unit (RC), channel control unit (RC), mode control unit (RM), status display unit (RS), and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ROR) of FIG. 5 are the communication unit (RC) and channel control unit (RC) of FIG. 3, respectively. ), the mode control unit (RM), the status display unit (RS), and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RO), so detailed operation descriptions are omitted. A button for changing a specific frequency in the UHF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located 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제2전자 장치(RL)는 배터리(B)와 제2음향 신호 출력부(ROL)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수신기(5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B)는 충전 가능한 리튬 이온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B)로부터 생산된 전원은 거치부(N)의 전자 회로를 통해 제1전자 장치(RR)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음향 신호 출력부(ROL)는 도3의 음향 신호 출력부(RO)와 대응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may include a battery (B) and a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ROL). Battery B can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eceiver 500. Battery B may include a rechargeable lithium ion battery. Power generated from the battery B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through the electronic circuit of the holder N.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ROL) may correspond to the sound signal output unit (RO) of FIG. 3.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RC)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는 제1채널 신호와 제2채널 신호로 분리되고 제1채널 신호는 제1음향 신호 출력부(ROR)를 통해 출력되고 제2채널 신호는 제2음향 신호 출력부(ROL)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통신부(RC)를 통해 수신된 음향 신호는 스테레오 음향 신호이고 제1채널 신호는 우(Right) 채널 신호이고, 제2채널 신호는 좌(Left) 채널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분리된 제2채널 신호는 거치부(N)내의 전자 회로를 통해 제1전자 장치(RR)에서 제2전자 장치(RL)로 전달되고 제2음향 신호 출력부(ROL)로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C) is separated into a first channel signal and a second channel signal, and the first channel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ROR). The second channel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ROL). The sou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RC) may be a stereo sound signal, the first channel signal may be a right channel signal, and the second channel signal may be a left channel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parated second channel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R)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L) through the electronic circuit in the mounting unit (N) and output to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ROL).

제1음향 신호 출력부(ROR)는 제1채널 신호를 제1이어폰(RE)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는 제1이어폰(RE)을 통해 제1채널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제2음향 신호 출력부(ROL)는 제2채널 신호를 제2이어폰(LE)으로 전달하고 사용자는 제2이어폰(LE)을 통해 제2채널 신호를 들을 수 있다. The first sound signal output unit (ROR) transmits the first channel signal to the first earphone (RE), and the user can listen to the first channel signal through the first earphone (RE). The second sound signal output unit (ROL) transmits the second channel signal to the second earphone (LE), and the user can listen to the second channel signal through the second earphone (LE).

수신기(50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는 라이브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The receiver 500 may further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microphone, users can broadcast live.

설명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구성들 및 동작들을 제공하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위 실시 예들을 단순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얻어질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을 앞으로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여 달성될 수 있는 구현들도 포함할 것이다.The descriptions are intended to provide example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not on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so implementations that can be obtained by simply changing or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In addi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include implementations that can be easily achieved by changing or modify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향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1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1전자 장치;
상기 제1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1음향 신호를 사용자의 양 귀 중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제1이어폰;
상기 음향 신호를 구성하는 제2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2전자 장치;
상기 제2전자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제2음향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양 귀 중 나머지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제2이어폰; 및
상기 제1전자 장치와 상기 제2전자 장치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목걸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목에 걸기 위한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UHF 주파수 대역에 의한 무선 통신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로부터 상기 제2음향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거치부 내의 전자 회로를 통해 상기 제2전자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제1전자 장치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UHF 주파수 대역의 특정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한 버튼이 위치하는 이어폰 장치.
In the earphone device for monitoring acoustic signals,
a first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 first sound signal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a first earphon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first sound signal to one of the user's ears;
a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outputting a second sound signal constituting the sound signal;
a second earphon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ransmit the second sound signal to the other one of the user's ears; and
It connects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holder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necklace to be hung around the user's neck,
The first electronic device receives the sound signal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UHF frequency band from an external device, separates the second sound signal from the sound signal, and transmits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electronic circuit in the holder. Pass it to,
An earphone device in which a button for changing a specific frequency of the UHF frequency b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located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KR1020220133771A 2022-10-18 2022-10-18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Active KR1026345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71A KR102634550B1 (en) 2022-10-18 2022-10-18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3771A KR102634550B1 (en) 2022-10-18 2022-10-18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550B1 true KR102634550B1 (en) 2024-02-06

Family

ID=8985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3771A Active KR102634550B1 (en) 2022-10-18 2022-10-18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5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86A (en) * 2008-02-26 2009-08-31 박중제 Digital radio sending, a radio transmission reception and earphone system
KR102048904B1 (en) * 2018-12-26 2019-11-27 (주)로임시스템 Wearable wireless speaker and wireless speaker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2086A (en) * 2008-02-26 2009-08-31 박중제 Digital radio sending, a radio transmission reception and earphone system
KR102048904B1 (en) * 2018-12-26 2019-11-27 (주)로임시스템 Wearable wireless speaker and wireless speaker system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256199B2 (en) Assistive listening devi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streams within sound fields
US8340331B2 (en) Communication system
US9781524B2 (en) Communication system
Kim et al.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US20180124527A1 (en) Hearing assistance method utilizing a broadcast audio stream
US20160029114A1 (en) Wireless earphone set
CN101652943A (en) ANTENN AUDIO is shared
US11234078B1 (en) Optical audio transmission from source device to wireless earphones
US9936310B2 (en) Wireless stereo hearing assistance system
CN113301480A (en) Distributed sound box, sound box pairing method and distributed sound system
EP3113507B1 (en) A method and transmitter for broadcasting an audio signal to at least one headphone and a headphone
KR20190036765A (en) Fm broadcasting speaker system and receiving frequency setting method for speakers thereof
US20080137879A1 (en) Wireless audio system
KR102634550B1 (en) Earphone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by frequency band
US9178921B2 (en) Accessory device for mixing audio streams from two portable audio units, and broadcasting device comprising said accessory device
US7817017B1 (en) Television audio monitor method and system
US9113274B2 (en) Device for a hearing aid system used to register radio disturbances
TWM509493U (en) Bluetooth earphone
KR102521415B1 (en) Video Provid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Video Apparatus
CN2901757Y (en) Nasal bone conductive communication transmission and peripheral device
KR100371436B1 (en) Wireless headphone capable of selecting automatically or manually channel
JPH11308687A (en) Infrared synchronous remote control transceiver
KR101091714B1 (en) A wireless voice receiver by using infrared rays
KR200298392Y1 (en) Home theater system
EP3101915A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remot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