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4200B1 -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200B1
KR102634200B1 KR1020160098212A KR20160098212A KR102634200B1 KR 102634200 B1 KR102634200 B1 KR 102634200B1 KR 1020160098212 A KR1020160098212 A KR 1020160098212A KR 20160098212 A KR20160098212 A KR 20160098212A KR 102634200 B1 KR102634200 B1 KR 10263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egs
protrusion
brush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619A (ko
Inventor
황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8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20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2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7/00AC commutator motors or generators having mechanical commu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제공하여, 기계적 결합만으로 브러시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Brush case and motor having the motor}
실시예는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는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가 설치된다. 모터는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로터에 코일이 감긴 경우, 회전하는 로터에 감긴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정류자와 브러시(brush)가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정류자는 코일과 연결된 상태로 샤프트에 결합하여 회전하고, 브러시는 하우징에 결합되어 정류자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브러시는 정류자에 접촉하여 전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브러시는 브러시 케이스 안에 수용되며, 케이스 안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정류자에 접촉한 상태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브러시 케이스는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브러시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방식으로, 초음파 융착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방식은 융착 과정 중에 브러시 케이스가 흔들릴 수 있으며, 공차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크다.
브러시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의 결합 방식으로, 브러시의 상면을 감싼 상태에서 브러시 케이스에 마련된 다리를 커버 플레이트에 삽입하는 결합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 방식은 브러시 전체를 감싸지 못하기 때문에 브러시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가 변형될 위험이 크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러시를 전부 감싸면서도 물리적으로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할 수 있는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에 브러시 케이스를 결합하는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형상과 제2 홀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홀은 원형이며, 상기 제2 홀은 장공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홀은 원형이며, 상기 제2 홀은 각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와 제2 홀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폭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꺽여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브러시 케이스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형상과 제2 돌기의 형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 돌기는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크기와 제2 돌기의 크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정류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케이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정류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케이스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에 형성된 암수 결합구조를 통해, 기계적 결합만으로 브러시 케이스와 커버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에 형성된 암수 결합구조를 통해, 결합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돌출부를 통해 결합 공정 중 브러시 케이스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 또는 돌출부의 크기 및 형상을 달리하여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커버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는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브러시 케이스의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된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브러시 케이스의 바닥부의 두께와 돌기부의 높이를 비교한 도면,
도 9는 브러시 케이스의 다리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브러시 케이스의 저면도,
도 12는 브러시 케이스의 돌출부와 커버 플레이트의 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한 모터는 회전축(20)과, 로터(30)와, 스테이터(40)와,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30)는 스테이터(4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30)는 회전축(20)가 중심에 결합되는 로터 코어를 포함한다. 로터 코어의 둘레에 형성되어 코일이 감기는 티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티스는 스테이터(40)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티스에는 코일(32)이 감긴다. 티스에는 인슐레이터(31)가 장착되어 티스와 코일(32)을 절연시킨다.
스테이터(40)는 하우징(50)의 내측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은 로터(30)에 감긴 코일(32)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그넷은 회전축(2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N극과 S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스테이터(40)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제작되거나 하나의 코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코일(32)에 전류가 공급되면 스테이터(40)의 마그넷과 전기적 상호작용이 유발되어 로터(30)가 회전한다. 로터(3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20)도 같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20)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회전하는 로터(3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정류자(60)와 브러시 (52)가 필요하다.
정류자(60)는 회전축(20)에 결합한다. 그리고 정류자(60)는 로터(3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류자(60)는 코일(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브러시(52)는 정류자(60)에 접촉하여 코일(32)에 전류를 인가한다.
하우징(50)은 커버 플레이트(51)를 포함한다. 커버 플레이트(51)는 하우징(5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커버 플레이트(51)의 하면에는 브러시(52)가 설치된다.
도 2는 커버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커버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러시 케이스(10)는 커버 플레이트(51)에 결합한다. 커버 플레이트(51)는 돌출된 보스부(51a)가 마련된다. 브러시 케이스(10)는 보스부(51a)에 결합할 수 있다. 브러시 케이스(1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브러시 케이스(10)는 커버 플레이트(51)의 중심(C)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브러시 케이스(10)는 내부에 브러시(52)가 수용된다.
브러시 케이스(10)는 몸체(100)와, 다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와 다리(200)는 연결된 것으로, 전개되면, 하나의 판 부재일 수 있다.
도 4는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몸체(100)는 브러시(5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브러시(120)는 육면체 형태로, 단면 형상이 폭 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이러한 브러시(5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일 수 있다.
몸체(100)는 바닥부(110)과 측부(120)을 포함한다. 바닥부(110)은 브러시(52)의 바닥을 향하는 부분이다. 측부(120)은 브러시(52)의 측부를 향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바닥부(110)는 커버 플레이트(51)의 보스부(51a)에 마운팅되는 분이다.
도 5는 브러시 케이스의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부(110)는 관통홀(111,112)을 포함한다.
도 4의 x축 방향을 몸체(100)의 길이 방향이라 한다. 도 4의 y축 방향을 몸체(100)의 폭 방향이라 한다.
관통홀(111,112)은 제1 홀(111)과 제2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1)과 제2 홀(112)은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그리고 제1 홀(111)과 제2 홀(112)은 몸체(100)의 폭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1)의 중심(C)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배치되는 홀이 제1 홀(111)이고, 상대적으로 멀게 배치되는 홀이 제2 홀(113)이다.
이러한 제1 홀(111)과 제2 홀(112)은 보스부(51a)에서 돌출된 돌기부(51b,51c)와 각각 결합한다.
제1 홀(111)의 형상과 제2 홀(112)의 형상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111)은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112)은 장공형일 수 있다. 또는, 제1 홀(111)은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112)은 각형일 수 있다.
또한, 제1 홀(111)의 크기와 제2 홀(112)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2개의 돌기부(51b,51c)의 크기가 상호 동일하면, 제2 홀(112)의 크기가 제1 홀(11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 케이스(10)는 앞쪽 즉, 커버 플레이트(51)의 중심(C)에 가까운 곳이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브러시 케이스(10)의 조립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2 돌기(51c)에 비해 제2 홀(112)을 크게 할 수 있다.
다리(200)는 커버 플레이트(51)에 삽입된다. 다리(200)는 커버 플레이트(51)에서 돌출된 보스부(51a)의 체결홀(51d)에 삽입될 수 있다.
다리(200)는 몸체(100)에서 연장된다. 다리(20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다리(200) 중 어느 하나는 몸체(100)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몸체(100)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다리(200) 중 어느 하나는 몸체(100)의 측면부(120)에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다리(200) 중 다른 하나는 몸체(100)의 바닥부(110)에 연장될 수 있다.
다리(200)는 하향하여 꺽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리(200)는 몸체(10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하여 꺽여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된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홀(111)과 제2 홀(112)은 보스부(51a)에서 돌출된 돌기부(51b, 51c)와 각각 결합하고, 보스부(51a)의 체결홀(51d)에 다리(200)가 삽입되면, 브러시 케이스(10)를 기구적으로 커버 플레이트(5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홀(111)과 제2 홀(112)에 각각 삽입되는 돌기부(51b, 51c)를 통해 조립 위치의 정렬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 공정의 자동화에 유리한 구성이다.
도 7은 관통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바닥부(110)는 제1 홀(111)과 제2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1)은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홀(112)은 장공형일 수 있다.
제2 홀(112)은 좌우 유동을 구속한다. 그러나 제2 홀(112) 전후 유동은 가능하게 하여, 브러시 케이스(10)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브러시 케이스의 바닥부의 두께와 돌기부의 높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돌기부(51b, 51c)의 높이(H)는 바닥부(110)의 두께(t)보다 작아야 한다. 이는 바닥부(110)를 따라 브러시(52)가 이동하게 되는데, 돌기부(51b, 51c)에 의해 브러시(52)의 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는 브러시 케이스의 다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리(200)는 복수 개의 톱니(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1a)의 체결홀(51d)에 삽입된 톱니(210)는 브러시 케이스(10)가 커버 플레이트(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브러시 케이스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브러시 케이스의 돌출부와 커버 플레이트의 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케이스로서, 바닥부(110)는 돌출부(113,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13,114)로서,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14)는 바닥부(110)가 오목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14)는 형상이 상호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113)는 원기둥 형상이며, 제2 돌기(114)는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14)는 그 크기가 상호 상이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1)에서 돌출된 보스부(51a)는 홈부(51f,51g)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51f,51g)에는 브러시 케이스(10)의 제1 돌기(113)와 제2 돌기(114)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한 홈부(51g)는 장공형으로 형성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브러시 케이스
20: 회전축
30: 로터
40: 스테이터
50: 하우징
51a: 보스부
51b,51c: 돌기부
51d: 체결홀
60: 정류자
52: 브러시
100: 몸체
110: 바닥부
120: 측부
111: 제1 홀
112: 제2 홀
113: 제1 돌기
114: 제2 돌기
200: 다리
210: 톱니

Claims (19)

  1.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브러시 케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형상과 제2 홀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브러시 케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원형이며, 상기 제2 홀은 장공형인 브러시 케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은 원형이며, 상기 제2 홀은 각형인 브러시 케이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의 크기와 제2 홀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브러시 케이스.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제1 홀과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과 상기 제2 홀은 상기 바닥부의 길이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폭 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되는 브러시 케이스.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폭방향을 기준하여 꺽여 배치되는 브러시 케이스.
  10.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브러시 케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형상과 제2 돌기의 형상은 서로 상이한 브러시 케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원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 돌기는 각기둥 형상인 브러시 케이스.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돌기와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의 크기와 제2 돌기의 크기는 서로 상이한 브러시 케이스.
  14.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정류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케이스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모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접촉하는 모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모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의 두께보다 작은 모터.
  18.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및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이 배치되는 홀을 포함하는 정류자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정류자와 접촉하는 브러시와, 상기 브러시를 수용하는 브러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시 케이스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및
    상기 몸체에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는 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하향하여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는 복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다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닥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어느 한 측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의 다른 한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다리는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톱니를 포함하는 모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모터.
KR1020160098212A 2016-08-01 2016-08-01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ctive KR10263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12A KR102634200B1 (ko) 2016-08-01 2016-08-01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212A KR102634200B1 (ko) 2016-08-01 2016-08-01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19A KR20180014619A (ko) 2018-02-09
KR102634200B1 true KR102634200B1 (ko) 2024-02-06

Family

ID=6119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212A Active KR102634200B1 (ko) 2016-08-01 2016-08-01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169B1 (ko) * 2017-06-22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63170B1 (ko) * 2017-06-22 2022-0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브러시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710A (ja) * 2010-04-07 2011-11-04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JP2011250659A (ja) * 2010-05-31 2011-12-08 Mitsuba Corp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JP2012191676A (ja) * 2011-03-08 2012-10-04 Nippon Densan Corp モータ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6677A1 (de) * 2001-06-01 2002-12-05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Kommutatormaschine
KR20110001374A (ko) * 2009-06-30 2011-01-06 계양전기 주식회사 일체형 브러시 홀더를 구비하는 전동 모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3710A (ja) * 2010-04-07 2011-11-04 Asmo Co Ltd ブラシ保持装置
JP2011250659A (ja) * 2010-05-31 2011-12-08 Mitsuba Corp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JP2012191676A (ja) * 2011-03-08 2012-10-04 Nippon Densan Corp モータ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619A (ko) 2018-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647B1 (ko) 접속 단자, 접속 단자 유닛 및 전동기
JP5682301B2 (ja) 回転電機の製造方法
CN103066738B (zh) 用于电机的壳体部件
JP6193071B2 (ja) Dcモータ
KR102212950B1 (ko) 모터
JP6187788B2 (ja) 回転電機及び回転電機のケーブル引き出し方向の変更方法
KR20170003103A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40134800A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325134B1 (ko) 인버터 일체형 bldc 모터
CN105191074A (zh) 设置有用于机械地抵抗振动应力的衰减器的电机以及相应衰减器
KR20160094158A (ko) 모터
KR102634200B1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13969B1 (ko) 접지 단자,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455645B1 (ko) 모터
KR20170088627A (ko) 모터용 커버 조립체,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US10958124B2 (en) Motor
JP6722515B2 (ja) モータ
KR101629827B1 (ko) 개선된 접지 구조를 갖는 모터
JP2016025679A (ja) ブラシ付き直流モータ
KR102227294B1 (ko) 모터
KR102637238B1 (ko) 브러시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536249B2 (ja) 回転電機
KR101894430B1 (ko) Bldc 모터
KR102621847B1 (ko) 모터용 커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6759798B2 (ja) レゾル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7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8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