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735B1 -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3735B1 KR102633735B1 KR1020220008977A KR20220008977A KR102633735B1 KR 102633735 B1 KR102633735 B1 KR 102633735B1 KR 1020220008977 A KR1020220008977 A KR 1020220008977A KR 20220008977 A KR20220008977 A KR 20220008977A KR 102633735 B1 KR102633735 B1 KR 1026337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ontainer body
- sealing
- cover body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185—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the outer closure being a foil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이중 밀폐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덮개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 밀폐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덮개체 조립부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 밀폐용기의 사용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링지가 제거된 후 덮개체가 눌려저 용기본체의 용기입구에 더 깊숙히 조립된 밀폐용기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덮개체의 다른 실시 예
도 9는 도 8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덮개체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확대도
도 12는 도 8의 이중 밀폐용기의 사용순서도
120: 용기입구 122: 내주연
140: 체결부 142: 제1체결부 144: 제2체결부
200: 덮개체 200a: 뚜껑
220: 분리 슬라이드 222: 절취띠 224: 분리부재
240: 걸림부 242: 제1걸림부 244: 제2걸림부
246: 제3걸림부
260: 실링벽
280: 개폐 슬라이드 282: 절취띠 284: 개봉부재
300: 실링지
Claims (7)
- 내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에는 덮개체(200)가 조립되되, 덮개체(200)에는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개폐를 위한 뚜껑(200a)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 개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실링지(300)가 접착 구성되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는 상단 개구가 형성된 용기입구(120)의 외주연에 체결부(140)가 형성되어 덮개체(200)의 걸림부(240)와 상호 조립되고,
상기 덮개체(200)에는 용기본체(100)의 체결부(1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분리 슬라이드(120)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00)로부터 덮개체(200)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실링지(300)가 용기본체(100)에 접착된 상태와 실링지(300)가 용기본체(100)로부터 제거된 상태에서의 용기본체(100)와 덮개체(200) 조립 깊이를 달리하도록 용기본체(100)의 체결부(140)와 덮개체(200)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부(240)가 다단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져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20) 외주연에 형성된 체결부(140)는 용기본체와 덮개체의 조립을 위하여 단턱이 형성된 제1체결부(142)와, 용기본체와 뚜껑의 개폐를 위하여 제1체결부(142)보다 상대적으로 상단에 위치하도록 단턱이 형성된 제2체결부(144)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체(200)의 걸림부(240)는 실링지(300)가 유지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0)의 제1체결부(142)에 조립되는 제1걸림부(242)와, 실링지(300)가 유지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0)의 제2체결부(144)에 조립되는 한편 실링지(300)가 제거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00)의 제1체결부(142)에 조립되는 제2걸림부(244)와, 실링지(300)가 제거된 상태에서 용기본체(100)의 제2체결부(144)에 걸림되어 뚜껑(200a)의 개폐를 단속하는 제3걸림부(246)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기본체의 상단과 덮개체의 하단이 이단 구조로 조립이 가능하게 되어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2항에 있어서, 용기가 유통되는 과정 또는 사용되는 과정에서 덮개체(200)의 삽입깊이를 달리하여 조립할 때 안정적인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2체결부(142,144)와 제1,2,3걸림부(242,244,246)의 상,하 이격된 간격이 등간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200)와 용기본체(100)의 밀폐를 위하여 덮개체(200)에는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20) 내,외면을 가압하여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에서 제2체결부(144)를 기준으로 제3걸림부(246)와 마주보게 상대되는 실링벽(2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걸림부(246)가 제2체결부(244)에 걸린 상태에서 실링벽(260)의 외경이 용기본체(100)의 용기입구(120) 내주연(122)에 맞닿아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200)에는 제2걸림부(244)와 제3걸림부(246)의 사이에 뚜껑(200a)의 절첩 작동이 가능하도록 덮개체(200)의 둘레를 따라서 일부만 제거가 이루어지는 개폐 슬라이드(280)가 형성되어 분리 슬라이드(220)와 개폐 슬라이드(280)의 이중 슬라이드 구조로 덮개체(200)의 조립 및 뚜껑(200a)의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200)에는 뚜껑(200a)의 일단이 덮개체(200)에 연결되어 절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뚜껑(200a)의 전단에는 덮개체(200)의 외주연과 뚜껑(200a)의 전단이 걸림구조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락킹부(2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8977A KR102633735B1 (ko) | 2022-01-21 | 2022-01-21 |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8977A KR102633735B1 (ko) | 2022-01-21 | 2022-01-21 |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2852A KR20230112852A (ko) | 2023-07-28 |
KR102633735B1 true KR102633735B1 (ko) | 2024-02-19 |
Family
ID=8742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8977A Active KR102633735B1 (ko) | 2022-01-21 | 2022-01-21 |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373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1366Y1 (ko) | 2002-10-11 | 2003-01-24 | 박종범 | 식품용기의 실링지 개봉구조 |
KR100834522B1 (ko) | 2007-02-13 | 2008-06-02 | 동진기업 주식회사 | 장류 포장용기 |
KR101144439B1 (ko) | 2009-05-06 | 2012-06-14 | (주)아이디플라텍 |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
-
2022
- 2022-01-21 KR KR1020220008977A patent/KR1026337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1366Y1 (ko) | 2002-10-11 | 2003-01-24 | 박종범 | 식품용기의 실링지 개봉구조 |
KR100834522B1 (ko) | 2007-02-13 | 2008-06-02 | 동진기업 주식회사 | 장류 포장용기 |
KR101144439B1 (ko) | 2009-05-06 | 2012-06-14 | (주)아이디플라텍 |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12852A (ko) | 2023-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37745B1 (en) | Container for holding small items | |
CN109415142B (zh) | 具有堆叠构件的包装容器 | |
US7080754B2 (en) | Container/hinged lid assembly | |
EP3578477A1 (en) | Packaging container with rim and lid | |
RU2007140883A (ru) |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ар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 |
CN107406164B (zh) | 用于散装固体的纸板包装容器 | |
CZ20001863A3 (cs) | Obal | |
FR2656590A1 (fr) | Recipient a couvercle integre en matiere thermoplastique. | |
CA2715123A1 (en) | Container/lid assembly | |
KR101252567B1 (ko) | 밀폐 용기 | |
KR102633735B1 (ko) |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 |
FR2904299A1 (fr) | Emballage notamment pour produit alimentaire comportant un opercule souple surmonte d'un couvercle. | |
KR100748373B1 (ko) | 밀폐용기의 실링 | |
CN106794923B (zh) | 翻转式顶部塑料盖 | |
KR100856469B1 (ko) | 밀폐용기 | |
KR101844352B1 (ko) | 밀폐용기에 사용되는 잠금수단을 갖는 스텐뚜껑 | |
CN204846762U (zh) | 具有轮缘和盖的包装容器 | |
KR20190028033A (ko) |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 |
JP2528491Y2 (ja) | 包装用容器 | |
KR101945163B1 (ko) | 절취띠의 분리에 의해 개봉되는 용기 | |
KR100614508B1 (ko) | 식품포장용 지통 | |
JPH1053271A (ja) | 包装用容器の蓋体 | |
KR100526358B1 (ko) | 용기의 뚜껑 | |
KR200400578Y1 (ko) | 식품용기 | |
KR200208792Y1 (ko) | 빙과 용기 개폐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