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3453B1 -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453B1
KR102633453B1 KR1020160164973A KR20160164973A KR102633453B1 KR 102633453 B1 KR102633453 B1 KR 102633453B1 KR 1020160164973 A KR1020160164973 A KR 1020160164973A KR 20160164973 A KR20160164973 A KR 20160164973A KR 102633453 B1 KR102633453 B1 KR 102633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power
intensity
received
p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4741A (ko
Inventor
채용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16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45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2877 priority patent/WO2018105915A1/ko
Priority to JP2019550527A priority patent/JP7181214B2/ja
Priority to CN202310491815.3A priority patent/CN116470663A/zh
Priority to EP17878045.8A priority patent/EP3553915B1/en
Priority to CN201780082669.1A priority patent/CN110168860B/zh
Priority to CN202310498827.9A priority patent/CN116470664A/zh
Publication of KR2018006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741A/ko
Priority to US16/434,005 priority patent/US1062284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4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을 위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에 대한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하게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 기기들이 접속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시설에 통신 기능을 가진 컴퓨터 칩을 내장시킨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기기나 센서의 전원 공급 문제는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핸드셋과 아이팟 같은 뮤직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 종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시간과 수고를 요구하고 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자기장의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고주파, Microwave, 레이저 등과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RF 전송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서로 인접시킨 후 한 개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때 발생한 자속(MagneticFlux)이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일으키는 현상을 사용한 기술로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를 중심으로 빠르게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최대 수백 키로와트(k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효율도 높지만 최대 전송 거리가 1센티미터(cm) 이하이므로 일반적으로 충전기나 바닥에 인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기파나 전류 등을 활용하는 대신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 문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다른 전자 기기나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한정된 거리와 공간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단파장 무선 전력 전송 방식-간단히, RF 전송 방식-은 에너지가 라디오 파(RadioWave)형태로 직접 송수신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이 기술은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는 RF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서, 렉테나는 안테나(antenna)와 정류기(rectifier)의 합성어로서 RF 전력을 직접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즉, RF 방식은 AC 라디오파를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최근 효율이 향상되면서 상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모바일 뿐만 아니라 IT, 철도, 가전 산업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무선 충전 가능 영역에 무선 전력 수신기가 아닌 전도체-즉, 이물질(FO: Foreign Object)이 존재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전자기 신호가 이물질에 유도된다. 일 예로, FO는 동전, 클립, 핀, 볼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 사이에 FO가 존재하는 경우, 무선 충전 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FO 주변 온도 상승으로 인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무선 전력 송신기의 온도가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만약, 충전 영역에 위치한 FO가 빠르게 제거되지 않는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이 저하되어 전력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과열로 인해 기기의 손상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위치한 FO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은 무선 충전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WPC(Wireless Power Consocium)의 표준을 따르는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는 충전 영역에 배치된 이물질을 검출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송출 전력의 경로 손실에 기반한 방법과 품질 인자 값(Quality Factor Value)의 변화에 기반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송출 전력의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방법의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가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정확한 수신 전력의 세기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이물질 검출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주파수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송출 전력의 세기 대비 수신 전력의 세기가 비정상적인 수신기를 식별되면, 경로 손실을 보정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에 대한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는 전력 전송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피드백되는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되고, 상기 피드백되는 패킷은 WPC 표준에 정의된 신호 세기 패킷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제1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미리 정의된 전송 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1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옵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서 상기 옵셋 값을 차감하여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이 상기 경로 손실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검출 방법은 상기 전력 전송 단계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검출 방법은 물체 감지 후 핑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는 단계와 협상 단계에서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되는 품질 인자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품질 인자 값과 상기 결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전력 제어를 위한 제1 패킷 및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1 패킷을 수신하는 복조부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보정부와 상기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에 대한 경로 손실을 산출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패킷 및 제2 패킷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며,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상기 제1 패킷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패킷과 상기 제2 패킷은 각각 WPC 표준에 정의된 제어 오류 패킷과 신호 세기 패킷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제1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미리 정의된 전송 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1 임계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부가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옵셋 값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서 상기 옵셋 값을 차감하여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부가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이 상기 경로 손실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물체 감지 후 핑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와 협상 단계에서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되는 품질 인자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품질 인자 값과 상기 결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이물질 검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주파수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송출 전력의 세기 대비 수신 전력의 세기가 비정상적인 수신기를 식별되면, 경로 손실을 보정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검출 오류를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불필요한 전력 낭비 및 장비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 영역에 비정상적인 무선 전력 수신기가 배치되어도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Foreign Object Detection Status Packet)의 메시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패킷과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충전 시스템상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된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파워 송신기, 무선 파워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 전력 송신기, 송신단, 송신기, 송신 장치, 송신측, 무선 파워 전송 장치, 무선 파워 전송기 등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기능이 탑재된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무선 전력 수신기, 무선 파워 수신 장치, 무선 파워 수신기, 수신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수신기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기는 패드 형태, 거치대 형태, AP(Access Point) 형태, 소형 기지국 형태, 스텐드 형태, 천장 매립 형태, 벽걸이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송신기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파워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송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파워 전송 수단은 전력 송신단 코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켜 그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단 코일에서 전기가 유도되는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전자기 유도 방식에 기반한 다양한 무전 전력 전송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파워 전송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송신기로부터 동시에 무선 파워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은 무선 충전 기술 표준 기구인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및 PMA(Power Matters Alliance)에서 정의된 전자기 유도 방식의 무선 충전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전동 칫솔, 전자 태그, 조명 장치, 리모콘, 낚시찌,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수단이 장착되어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기기라면 족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충전 시스템은 크게 무선으로 전력을 송출하는 무선 전력 송신단(10), 상기 송출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 및 수신된 전력을 공급 받는 전자기기(20)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와 상이한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대역외(Out-of-band)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에 교환되는 정보는 서로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제어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단 사이에 교환되는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는 후술할 실시예들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인밴드 통신 및 대역외 통신은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단방향 통신 또는 반이중 방식의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단방향 통신은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으로만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일 수도 있다.
반이중 통신 방식은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무선 전력 송신단(10) 사이의 양방향 통신은 가능하나, 어느 한 시점에 어느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만 정보 전송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전자 기기(30)의 각종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자 기기(30)의 상태 정보는 현재 전력 사용량 정보, 실행중인 응용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CPU 사용량 정보, 배터리 충전 상태 정보, 배터리 출력 전압/전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 기기(30)로부터 획득 가능하고, 무선 전력 제어에 활용 가능한 정보이면 족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고속 충전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소정 패킷을 무선 전력 수신단(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고속 충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이를 전자 기기(30)에 알릴 수 있다. 전자 기기(30)는 구비된 소정 표시 수단-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음-을 통해 고속 충전이 가능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30) 사용자는 액정 표시 수단에 표시된 소정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을 선택하여 무선 전력 송신단(10)이 고속 충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30)는 사용자에 의해 고속 충전 요청 버튼이 선택되면, 소정 고속 충전 요청 신호를 무선 전력 수신단(20)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수신된 고속 충전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단(10)에 전송함으로써,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를 고속 충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일 예로, 도면 부호 2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단(10)에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연결되어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시분할 방식으로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할당된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분배하여 송출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10)에 연결 가능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별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도면 부호 2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단(1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들로부터 동시에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무선 전력 수신단(20)과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개수는 무선 전력 수신단(20)의 요구 전력량, 배터리 충전 상태, 전자 기기의 전력 소비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가용 전력량 등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의 감지 신호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3개의 송신 코일(111, 112, 113)이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송신 코일은 일부 영역이 다른 송신 코일과 서로 중첩될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송신기는 각각의 송신 코일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 감지 신호(117, 127)-예를 들면, 디지털 핑 신호-를 미리 정의된 순서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10에 도시된 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1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115)로부터 신호 세기 신호(Signal Strength Signal, 11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세기 신호에는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115)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신호 세기 지시자라 명함-가 포함될 수 있다.
연이어, 무선 전력 송신기는 도면 번호 120에 도시된 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통해 감지 신호(127)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신호 세기 신호(126)가 수신된 송신 코일(111, 112) 중 전력 전송 효율(또는 충전 효율)-즉,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이 좋은 송신 코일을 식별하고, 식별된 송신 코일을 통해 전력이 송출되도록-즉, 무선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의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기가 2회의 감지 신호 송출 절차를 수행하는 이유는 어느 송신 코일에 무선 전력 수신기의 수신 코일이 잘 정렬되어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한 도 3의 도면 번호 110 및 1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코일(111), 제2 송신 코일(112)에 신호 세기 지시자(116, 126)가 수신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1 송신 코일(111)과 제2 송신 코일(112) 각각에 수신된 신호 세기 신호(126)에 기반하여 가장 정렬이 잘된 송신 코일을 선택하고, 선택된 송신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상태는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410), 핑 단계(Ping Phase, 4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43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440)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4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420)로 천이할 수 있다(S401). 선택 단계(4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시키고, 수신기가 해당 무선 충전 표준에 호환되는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신호-를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2). 또한, 핑 단계(4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도 있다(S403).
핑 단계(4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 식별 및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430)로 천이할 수 있다(S404).
식별 및 구성 단계(4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5).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완료되면, 송신기는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 단계(240)로 천이할 수 있다(S406).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410)로 천이할 수 있다(S407).
또한, 전력 전송 단계(44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식별 및 구성 단계(430)로 천이할 수 있다(S408).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무선 전력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파워 전송은 크게 선택 단계(Selection Phase, 510), 핑 단계(Ping Phase, 520), 식별 및 구성 단계(Identification and Configuration Phase, 530), 협상 단계(Negotiation Phase, 540), 보정 단계(Calibration Phase, 550), 전력 전송 단계(Power Transfer Phase, 560) 단계 및 재협상 단계(Renegotiation Phase, 570)로 구분될 수 있다.
선택 단계(510)는 파워 전송을 시작하거나 파워 전송을 유지하는 동안 특정 오류 또는 특정 이벤트가 감지되면, 천이되는 단계-예를 들면, 도면 부호 S502, S504, S508, S510, S512를 포함함-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오류 및 특정 이벤트는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선택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약, 송신기가 인터페이스 표면에 물체가 놓여진 것이 감지되면, 핑 단계(520)로 천이할 수 있다. 선택 단계(510)에서 송신기는 매우 짧은 펄스의 아날로그 핑(Analog Ping)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 코일 또는 1차 코일(Primary Coil)의 전류 변화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 표면의 활성 영역(Active Area)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선택 단계(510)에서 물체가 감지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전력 공진 회로,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송신 코일 및/또는 공진 캐패시터의 품질 인자를 측정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전력 공진 회로(예를 들어 전력전송 코일 및/또는 공진 캐패시터)의 인덕턴스를 측정할 수 있다.
자세한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을 통해 대신 설명할 것이다.
품질계수 및/또는 인덕턴스는 향후 협상단계(540)에서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물체가 감지되면, 수신기를 활성화(Wake up)시키고, 감지된 물체가 무선 전력 수신기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디지털 핑(Digital Ping)을 전송한다(S501).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디지털 핑에 대한 응답 시그널-예를 들면, 신호 세기 패킷-을 수신기로부터 수신하지 못하면, 다시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핑 단계(520)에서 송신기는 수신기로부터 파워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지시하는 신호-즉, 충전 완료 패킷-을 수신하면,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도 있다(S502).
핑 단계(520)가 완료되면, 송신기는 수신기를 식별하고 수신기 구성 및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식별 및 구성 단계(530)로 천이할 수 있다(S503).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패킷 전송 오류가 있거나(transmission error), 파워 전송 계약이 설정되지 않으면(no power transfer contract)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S504).
송신기는 식별 및 구성 단계(530)에서 수신된 구성 패킷(Configuration packet)의 협상 필드(Negotiation Field) 값에 기반하여 협상 단계(540)로의 진입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면, 송신기는 협상 단계(540)로 진입할 수 있다(S505). 협상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소정 FOD 검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반면, 확인 결과, 협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곧바로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S506).
협상 단계(540)에서, 송신기는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FOD(Foreign Object Detection)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준 인덕턴스 값이 포함된 FOD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기준 품질 인자 값 및 기준 인덕턴스 값이 포함된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송신기는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FO 검출을 위한 품질 인자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기는 기준 인덕턴스 값에 기반하여 FO 검출을 위한 인덕턴스 임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기는 결정된 FO 검출을 위한 품질 인자 임계치 및 현재 측정된 품질 인자 값-예를 들면, 핑 단계 이전에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일 수 있음-을 이용하여 충전 영역에 FO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FO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FO가 검출된 경우, 전력 전송이 중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신기는 결정된 FO 검출을 위한 인덕턴스 임계치 및 현재 측정된 인덕턴스 값-예를 들면, 핑 단계 이전에 측정된 인덕턴스 값일 수 있음-을 이용하여 충전 영역에 FO가 존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 FO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FO가 검출된 경우, 전력 전송이 중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가 검출된 경우, 송신기는 선택 단계(510)로 회귀할 수 있다(S508). 반면, FO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보정 단계(550)를 거쳐 전력 전송 단계(560)로 진입할 수도 있다(S507 및 S509). 상세하게, 송신기는 FO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보정 단계(550)에서 수신단에 수신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고, 송신단에서 전송한 전력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단과 송신단에서의 전력 손실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송신기는 보정 단계(550)에서 송신단의 송신 파워와 수신단의 수신 파워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전력 손실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는 예측된 전력 손실을 반영하여 FOD 검출을 위한 임계치를 보정할 수도 있다.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송신기는 원하지 않은 패킷이 수신되거나(unexpected packet), 미리 정의된 시간 동안 원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time out), 기 설정된 파워 전송 계약에 대한 위반이 발생되거나(power transfer contract violation), 충전이 완료된 경우, 선택 단계(510)로 천이할 수 있다(S510).
또한, 전력 전송 단계(560)에서, 송신기는 송신기 상태 변화 등에 따라 파워 전송 계약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협상 단계(570)로 천이할 수 있다(S511). 이때, 재협상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송신기는 전력 전송 단계(560)로 회귀할 수 있다(S513).
상기한 파워 전송 계약은 송신기와 수신기의 상태 및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 상태 정보는 최대 전송 가능한 파워량에 대한 정보, 최대 수용 가능한 수신기 개수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기 상태 정보는 요구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는 재협상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으면, 해당 수신기로의 전력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 단계로(510) 천이할 수도 있다(S51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크게, 전력 변환부(610), 전력 전송부(620), 통신부(630), 제어부(640), 센싱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변환부(610)는 전원부(660)로부터 DC 전원이 공급되면, 이를 소정 세기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는 DC/DC 변환부(611), 인버터(612) 및 주파수 생성기(6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버터(612)는 하프 브릿지 인버터 또는 풀 브릿지 인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직류 전력을 특정 동작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이면 족하다.
DC/DC 변환부(611)는 전원부(650)로부터 공급된 DC 전력을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세기의 DC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650)는 DC 변환된 전력의 전압/전류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650)는 과열 발생 여부 판단을 위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센싱부(650)에 의해 측정된 전압/전류 값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전원부(650)로부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변환부(610)의 일측에는 전원부(6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거나, 증폭기(612)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소정 전력 차단 회로가 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인버터(612)는 DC/DC 변환된 직류 전력을 주파수 생성기(613)에 의해 생성된 기준 교류 신호에 기반하여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기준 교류 신호의 주파수-즉, 동작 주파수-는 제어부(6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동작 주파수를 조절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640)는 통신부(630)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전력 수신 상태 정보 또는(및) 전력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동작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 주파수가 생성되도록 주파수 생성기(613)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 수신 상태 정보는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정보, 수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신호는 전력 증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전력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송부(620)는 다중화기(621)(또는 멀티플렉서), 송신 코일부(6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코일부(622)는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송부(620)는 전력 전송을 위한 특정 캐리어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반송파 생성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송파 생성기는 다중화기(621)를 통해 전달 받은 인버터(612)의 출력 교류 전력과 믹싱하기 위해 특정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송신 코일에 전달되는 AC 전력의 주파수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LC 공진 특성을 송신 코일마다 상이하게 조절하는 기능이 구비된 소정 주파수 제어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송신 코일 별 공진 주파수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도 있다.
다중화기(621)는 제어부(640)에 의해 선택된 송신 코일로 교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40)는 송신 코일 별 수신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에 기반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전력 전송에 사용할 송신 코일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4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기가 연결된 경우, 송신 코일 별 시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력을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3개의 무선 전력 수신기-즉, 제1 내지 3 무선 전력 수신기-가 각각 3개의 서로 다른 송신 코일-즉, 제1 내지 3 송신 코일-을 통해 식별된 경우, 제어부(640)는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특정 타임 슬롯에 특정 송신 코일을 통해서만 교류 전력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의 길이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 전송되는 전력의 양이 제어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송신 코일 별 할당된 타임 슬롯 동안 DC/DC 변환기(611)의 출력 직류 전력의 세기를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 별 송출 전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622)을 통해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40)는 감지 신호가 전송될 시점을 타이머(655)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으며, 감신 신호 전송 시점이 도래하면,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타이머(650)는 핑 전송 단계 동안 소정 주기로 특정 이벤트 신호를 제어부(640)에 송출할 수 있으며, 제어부(640)는 해당 이벤트 신호가 감지될 때마다, 다중화기(621)를 제어하여 해당 송신 코일을 통해 디지털 핑이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어느 송신 코일을 통해 응답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복조부(632)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640)는 송신 코일 식별자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를 복조부(63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연이어,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들)을 통해서만 감지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640)는 제1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 동안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이 복수개인 경우, 가장 큰 값을 갖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수신된 송신 코일을 제2차 감지 신호 송출 절차에서 감지 신호를 가장 먼저 송출할 송신 코일로 결정하고, 결정 결과에 따라 다중화기(6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630)는 변조부(631)와 복조부(6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조부(631)는 제어부(640)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변조하여 다중화기(62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방식은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 방식, 맨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변조 방식, PSK(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차등 2단계(Differential bi-phase)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조부(632)는 송신 코일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복조된 신호에는 신호 세기 지시자, 무선 전력 전송 중 전력 제어를 위한 오류 정정(EC:Error Correction) 지시자, 충전 완료(EOC: End Of Charge) 지시자, 과전압/과전류/과열 지시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의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각종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복조부(632)는 복조된 신호가 어느 송신 코일로부터 수신된 신호인지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송신 코일에 상응하는 소정 송신 코일 식별자를 제어부(64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복조부(632)는 송신 코일(623)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64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조된 신호는 신호 세기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조 신호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각종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밴드(In-Band) 통신을 통해 상기 신호 세기 지시자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기(600)는 송신 코일부(622)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송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신 코일부(622)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기와 각종 제어 신호 및 상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송신 코일부(622)의 제1 내지 제n 송신 코일에 각각 대응되는 별도의 코일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비된 별도의 코일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상이 도 6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무선 전력 수신기가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양방향 통신은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 RFID 통신, UWB 통신, 지그비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도 6의 설명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기(600)의 전력 전송부(620)가 다중화기(621)와 복수의 송신 코일(622)을 포함하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전송부(620)는 하나의 송신 코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동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700)는 수신 코일(710), 정류기(720),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730), 부하(740), 센싱부(750), 통신부(760), 주제어부(7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760)는 복조부(761) 및 변조부(7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7의 예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기(700)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760)는 무선 전력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근거리 양방향 통신을 제공할 수도 있다.
수신 코일(710)을 통해 수신된 AC 전력은 정류부(720)에 전달할 수 있다. 정류기(720)는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직류/직류 변환기(730)에 전송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73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부하(740)에 의해 요구되는 특정 세기로 변환한 후 부하(74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750)는 정류기(720) 출력 DC 전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750)는 무선 전력 수신에 따라 수신 코일(71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부(77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750)는 무선 전력 수신기(700)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값을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부(770)는 측정된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와 비교하여 과전압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과전압이 발생된 경우, 과전압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762)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762)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수신 코일(710) 또는 별도의 코일(미도시)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주제어부(770)는 정류기 출력 DC 전력의 세기가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 신호 수신 시, 해당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762)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기(600)에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복조부(761)는 수신 코일(710)과 정류기(720) 사이의 AC 전력 신호 또는 정류기(720) 출력 DC 전력 신호를 복조하여 감지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한 후 식별 결과를 주제어부(7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주제어부(770)는 감지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 세기 지시자가 변조부(761)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770)는 복조부(760)에 의해 복조된 정보에 기반하여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고속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송신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어부(770)는 상기 도 1의 전자 기기(30)로부터 고속 충전을 요청하는 소정 고속 충전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고속 충전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761)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기기로부터의 고속 충전 요청 신호는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의 사용자 메뉴 선택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770)는 접속된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고속 충전 모드를 지원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 배터리 잔량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고속 충전을 요청하거나 무선 전력 송신기가 고속 충전을 중단하고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770)는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로의 충전 중 전기 기기의 소비 전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만약, 전자 기기의 소비 전력이 소정 기준치 이상인 경우, 주제어부(770)는 고속 충전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소정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변조부(761)에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770)는 센싱부(750)에 의해 측정된 내부 온도 값을 소정 기준치와 비교하여 과열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고속 충전 중 과열이 발생된 경우, 주제어부(770)는 무선 전력 송신기가 일반 저전력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제어부(770)는 배터리 충전률, 내부 온도, 정류기 출력 전압의 세기, 전자 기기에 탑재된 CPU 사용율, 사용자 메뉴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충전 모드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충전 모드의 변경이 필요하면, 상기 변경할 충전 모드 값이 포함된 충전 모드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신호의 변조 및 복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도면 번호 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은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내부 클락 시그널에 기반하여 전송 대상 패킷을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송 대상 패킷의 인코딩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단(10) 또는 무선 전력 수신단(20)가 특정 패킷을 전송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신호는 도 1의 도면 번호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를 가진 변조되지 않은 교류 신호일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송신단(10) 또는 무선 전력 수신단(20)이 특정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 전력 신호는 도 1의 도면 번호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된 교류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변조 방식은 진폭 변조 방식, 주파수 변조 방식, 주파수 및 진폭 변조 방식, 위상 변조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무선 전력 송신단(10) 또는 무선 전력 수신단(20)에 의해 생성된 패킷의 이진 데이터는 도면 번호 820과 같이 차등 2단계 인코딩(Differential bi-phase encoding) 이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차등 2단계 인코딩은 데이터 비트 1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두 번의 상태 전이(transitions)를 갖도록 하고, 데이터 비트 0을 인코딩하기 위하여 한 번의 상태 전이를 갖도록 한다. 즉, 데이터 비트 1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rising edge) 및 하강 에지(falling edge)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이고, 데이터 비트 0은 상기 클럭 신호의 상승 에지에서 HI 상태 및 LO 상태간의 전이가 발생하도록 인코딩된 것일 수 있다.
인코딩된 이진 데이터는 상기 도면 번호 8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이트 인코딩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 번호 83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인코딩 기법은 8비트의 인코딩된 이진 비트 스트림에 대해 해당 비트 스트림의 시작과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시작 비트(Start Bit) 및 종료 비트(Stop Bit), 해당 비트 스트림(바이트)의 오류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페리티 비트(Parity Bit)가 삽입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단(10)과 무선 전력 수신단(20) 사이의 정보 교환에 사용되는 패킷 포맷(900)은 해당 패킷의 복조를 위한 동기 획득 및 해당 패킷의 정확한 시작 비트를 식별하기 위한 프리엠블(Preamble, 910) 필드, 해당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헤더(Header, 920) 필드, 해당 패킷의 내용(또는 페이로드(Payload))를 전송하기 위한 메시지(Message, 930) 필드 및 해당 패킷에 오류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체크썸(Checksum, 940)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수신단은 헤더(920) 값에 기반하여 해당 패킷에 포함된 메시지(930)의 크기를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헤더(920)는 무선 전력 전송 절차의 각 단계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부, 헤더(920) 값은 서로 다른 단계에서 동일한 값이 정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핑 단계의 전력 전송 종료(End Power Transfer) 및 전력 전송 단계의 전력 전송 종료에 대응되는 헤더 값은 0x02로 동일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메시지(930)는 해당 패킷의 송신단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예로, 메시지(930) 필드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상대방에 대한 보고 사항(report), 요청 사항(request) 또는 응답 사항(respons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900)은 해당 패킷을 전송한 송신단을 식별하기 위한 송신단 식별 정보, 해당 패킷을 수신할 수신단을 식별하기 위한 수신단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송신단 식별 정보 및 수신단 식별 정보는 IP 주소 정보, MAC 주소 정보, 제품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충전 시스템상에서 수신단 및 송신단을 구분할 수 있는 정보이면 족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패킷(900)은 해당 패킷이 복수의 장치에 의해 수신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수신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소정 그룹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되는 패킷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은 감지된 핑 신호의 세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세기(Signal Strength) 패킷, 송신기가 전력 전송을 중단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전력 전송 종류(End Power Transfer), 제어 제어를 위한 제어 오류 패킷 수신 후 실제 전력을 조정하기까지 대기하는 시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전력 제어 보류(Power Control Hold-off) 패킷, 수신기의 구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 패킷, 수신기 식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 패킷 및 확장 식별 패킷, 일반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일반 요구 패킷, 특별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특별 요구 패킷, FO 검출을 위한 기준 품질 인자 값을 전송하기 위한 FOD 상태 패킷, 송신기의 송출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오류 패킷, 재협상 개시를 위한 재협상 패킷, 수신 전력의 세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24비트 수신 전력 패킷 및 8비트 수신 전력 패킷 및 현재 부하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충전 상태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무선 전력 송신기로 전송하는 패킷들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인밴드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인증을 위한 계측 기기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1100)는 전원부(1101),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 1110), 인버터(Inverter, 1120), 공진 회로(1130), 측정부(1140), 통신부(1160), 센싱부(1170) 및 제어부(1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11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공진 회로(1130)는 공진 캐패시터(1131) 및 송신 코일(1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통신부(1160)는 복조부(1161)와 변조부(116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101)는 외부 전원 단자를 통해 직류 전력을 인가 받아 직류-직류 변환기(1110)에 전달할 수 있다.
직류-직류 변환기(111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1101)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의 세기를 특정 세기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직류-직류 변환기(1110)는 전압의 세기 조절이 가능한 가변 전압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인버터(1120)는 변환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인버터(1120)는 구비된 복수의 스위치 제어를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인버터(1120)는 하프 브릿지(Half Bridge) 회로 및 풀 브릿지(Full Bridge)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1120)가 하프 브릿지 회로와 풀 브릿지 회로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 경우, 제어부(1180)는 인터버(1120)의 하프 브릿지 회로를 동작시킬지 풀 브릿지 회로를 동작시킬지 동적으로 결정하여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의 세기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등급(Power Class)에 따라 적응적으로 인버터(1120)의 브릿지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브릿지 모드는 하프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전력 신호를 생성하는 하프 브릿지 모드 및 풀 브릿지 회로를 이용하여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풀 브릿지 모드를 포함한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5와트(W) 이하의 저전력이 요구되거나 해당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전력 등급이 소정 저전력(LP: Low Power) 등급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180)는 하프 브릿지 모드로 동작되도록 인버터(11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15와트의 높은 전력이 요구되거나 전력 등급이 미드 파워(MP: Mid_Power) 등급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180)는 풀 브릿지 모드로 동작되도록 인버터(112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센싱부(1170)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브릿지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브릿지 모드에 따라 인버터(1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하프 브리지 모드를 통해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중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온도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0)는 하프 브리지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풀 브릿지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동일 세기의 전력 전송을 위해 풀 브릿지 회로를 통해 전압은 상승시키고, 공진 회로(1130)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감소시킴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 온도가 소정 기준치 이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에 장착되는 전자 부품에 발생되는 열의 양은 해당 전자 부품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보다 전류의 세기에 보다 민감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120)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진 회로(1130)로 전달되는 교류 전력의 세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인버터(1120)는 제어부(1180)의 제어에 따라 교류 전력 생성에 사용되는 기준 교류 신호(Reference Alternating Current Signal)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출력되는 교류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인버터(1120)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기준 교류 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른 일 예는 주파수 발진기가 인버터(1120)와 별개로 구성되어 이물질 검출 장치(11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고정된 주파수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1100)는 인버터(1120)에 구비된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제어부(118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펄스 폭 변조 신호에 따라 인버터(1120)에 구비된 스위치-예를 들면, 선택된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MOFET 스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를 제어할 있다. 제어부(1180)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즉, 듀티 레이트(Duty Rate)- 및 위상(Phase)를 제어하여 인버터(1120) 출력 전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 및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공진 회로(1130)를 통해 송출되는 전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측정부(1140)는 제어부(1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진 캐패시터(1131) 양단의 전압, 전류, 임피던스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공진 회로(1130)에 대한 품질 인자 값 및 인덕턴스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14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내부 또는 특정 위치에서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선택 단계(410 또는 510)에서 충전 영역에 배치된 물체가 감지되면, 핑 단계(420 또는 520)로의 진입 이전에 측정부(1140)는 전력 전송이 중단된 상태에서 공진 캐패시터(1131)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공진 회로(1130)에 대응되는 품질 인자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측정부(1140)는 공진 회로(1130)에 대응되는 인덕턴스 값을 더 산출할 수도 있다.
산출된 품질 인자 값 및 인덕턴스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부(1180)에 전달되고, 제어부(1180)는 소정 기록 영역에 측정부(1140)로부터 전달 받은 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협상 단계에서 변조부(1162)로부터 FOD 상태 패킷이 수신되면, FOD 상태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임계 값은 인덕턴스 임계 값 및 품질 인자 임계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결정된 값이 임계 범위인 경우, 임계 범위는 인덕턴스 임계 범위 및 품질 인자 임계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FOD 상태 패킷에는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상응하는 기준 품질 인자 값 또는(및) 기준 인덕턱스 값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수신된 기준 품질 인자 값 또는(및) 기준 인덕턴스 값을 기반으로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품질 인자 임계 값 또는(및) 인덕턴스 임계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준 품질 인자 값과 기준 인덕턴스 값의 90%에 해당되는 값이 품질 인자 임계 값 및 인덕턴스 임계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비율은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의하게 정의되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80)는 기 저장된 품질 인자 값이 결정된 품질 인자 임계 값보다 작거나 기 저장된 인덕턴스 값이 결정된 인덕턴스 임계 값보다 작은 경우,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전력 전송을 중단하고, 이물질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이 출력되도록 소정 알람 수단(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알림 수단은 비퍼, LED 램프, 진동 소자, 액정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OD 상태 패킷에 포함되는 기준 품질 인자 값은 표준 성능 테스트를 위해 지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충전 베드의 특정 위치에서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하여 산출된 품질 인자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FOD 상태 패킷에 포함되는 인덕턴스 값은 표준 성능 테스트를 위해 지정된 무선 전력 송신기의 충전 베드의 특정 위치에서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하여 산출된 인덕턴스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0)는 협상단계에서 이물질이 감지되면, 선택 단계로 회귀하며, 소정 주기로 공진 회로(1130)의 품질 인자 값 및 인덕턴스 값을 산출하도록 측정부(1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80)는 이물질이 감지된 상태에서 획득된 품질 인자 값 및 인덕턴스 값을 각각 기 결정된 품질 인자 임계 값 및 인덕턴스 임계 값과 비교하여 기 감지된 이물질이 충전 영역에서 제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이물질이 제거된 경우, 제어부(1180)는 전력 전송 단계로 진입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의 충전이 재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조부(116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밴드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180)에 전달한다.
일 예로, 전력 전송 단계(440 또는 510)에서 복조부(1161)는 전력 제어를 위해 일정 주기로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18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는 WPC 표준에 정의된 신호 세기 패킷(SSP: Signal Strength Packet) 및 제어 오류 패킷(CEP: Control Error Packe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일정 주기로 수신되는 패킷이면 족하다.
제어부(1180)는 전력 전송 단계(440 또는 510)에서 미리 정의된 제1 시간 주기 이내에 특정 피드백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충전 영역에서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력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 단계(410 또는 510)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간 주기는 해당 피드백 신호의 전송 주기에 대한 소정 배수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1100)는 선택 단계에서 물체가 감지되면, 핑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공진 회로의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고, 협상 단계에서 수신된 FOD 상태 패킷에 기반하여 결정된 품질 인자 임계 값과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0)는 전력 전송 단계(440 또는 510)에서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 세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상응하여 미리 정의된 소정 수신 전력 세기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와 수신 전력 세기를 비교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정상적인 값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확인 결과,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제어부(1180)는 수신 전력 세기에 소정 옵셋 값을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180)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와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연이어, 제어부(1180)는 산출된 경로 손실과 소정 경로 손실 임계값을 비교하여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물론,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정상인 경우, 제어부(1180)는 별도의 보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와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80)는 협상 단계에서 수신된 FOD 상태 패킷에 기반하여 결정된 품질 인자 임계 값과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전력 전송 단계에서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수신된 신호 세기 패킷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을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180)는 두 가지 이물질 판단 결과, 모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되면,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제어부(1180)는 두 가지 이물질 판단 결과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이 확정되면,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확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80)는 식별 및 구성 단계(420 및 520)에서 식별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타입에 따라 동적으로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식별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타입은 응용 소프트웨어/펌웨어/프로토콜 버전 정보, 제조사 정보, 모델 정보, 수신기 등급 또는 카테고리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된 무선 전력 수신기가 특정 제조사 또는(및) 특정 모델인 것이 확인된 경우, 제어부(1180)는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를 수행하고, 이외의 무선 전력 수신기는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Foreign Object Detection Status Packet)의 메시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 메시지(1200)는 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6비트 길이의 예약(Reserved, 1201) 필드, 2비트 길이의 모드(Mode, 1202) 필드 및 1바이트 길이의 기준 품질 인자 값(Reference Quality Factor Value, 1203)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약(1201) 필드의 모든 비트는 0으로 기록된다.
도면 번호 120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모드(1202) 필드가 이진수 ‘00’으로 설정되면, 기준 품질 인자 값(1203) 필드에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의 전원이 OFF된 상태에서 측정되어 결정된 기준 품질 인자 값이 기록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기준 품질 인자 값은 충전 영역에 놓여진 무선 전력 수신기의 근처에 FO가 없는 상태에서 송신 코일(Primary Coil)과 수신 코일(Secondary Coil)이 잘 정렬되어지는 중앙 위치에서 측정된 제1 품질 인자 값과 무선 전력 수신기의 회전 없이 중앙으로부터 일정 거리 옵셋-예를 들면, x축 및 y축으로 각각 +/- 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을 가지고 이동하면서 측정된 제2 품질 인자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품질 인자 값들은 적어도 4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된 품질 인자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310)에서 충전 영역에 배치된 물체를 감지하면(S1301), 무선 전력 전송을 일시 중단한 상태에서 공진 회로의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여 저장한 후 핑 단계(1320)로 진입할 수 있다(S1302).
핑 단계(1320)에서 이물질 검출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전력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핑 신호일 수 있음-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핑 단계(1320)에서 응답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신호(또는 신호 세기 패킷)-가 수신되면, 식별 및 구성 단계(1330)로 진입하여 식별 패킷 및 구성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수신된 식별 패킷에 기반하여 해당 수신기를 인증하고 해당 수신기로의 전력 전송을 위한 소정 구성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 있다(S1303).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협상 단계(1340)로 진입하여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에 포함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품질 인자 임계 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품질 인자 임계 값과 기 측정되어 저장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4).
판단 결과, 이물질이 존재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 단계(1310)로 회귀할 수 있다. 반면, 판단 결과,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1350)에 진입하여 식별된 무선 전력 수신기로의 무선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1350)에서 소정 제1 피드백 신호-예를 들면, 제어 오류 패킷일 수 있음-에 기반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중 이물질 검출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소정 제2 피드백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패킷-에 기반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의 현재 수신 전력 세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현재 수신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해당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가 정상적인 정보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수신되는 정보가 정상이 아닌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수신 전력의 세기를 소정 옵셋 값을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현재(또는 보정된) 수신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을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5).
상기 1305 단계의 판단 결과, 이물질이 검출된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310)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제거된 것이 확인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310)로 회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1305 단계의 판단 결과,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1350)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410)에서 충전 영역에 배치된 물체를 감지하면(S1401), 무선 전력 전송을 일시 중단한 상태에서 공진 회로의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여 소정 기록 영역에 저장한 후 핑 단계(1420)로 진입할 수 있다(S1402).
핑 단계(1420)에서 이물질 검출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 전력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핑 신호일 수 있음-을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핑 단계(1420)에서 응답 신호-예를 들면, 신호 세기 신호(또는 신호 세기 패킷)-가 수신되면, 식별 및 구성 단계(1430)로 진입하여 식별 패킷 및 구성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수신된 식별 패킷에 기반하여 충전 영역에 배치된 무선 전력 수신기의 타입을 식별하고, 식별된 타입이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가 적용되어야 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인지 확인할 수 있다(S1403).
본 실시예에서는 식별된 타입이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수신기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식별된 타입이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 적용 대상이 아닌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협상 단계에서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를 수행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한 식별 및 구성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협상 단계(144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이물질 검출 장치는 식별된 수신기가 경로 손실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 적용 대상이므로,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한 이물질 검출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전력 전송 단계(1450)로 진입할 수 있다(S1404).
이하에서는 상기 도 14에 도시된 1405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1450)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제어 오류 패킷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중 이물질 검출 장치는 소정 주기로 수신 신호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 세기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 세기 대비 수신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해당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 세기에 상응하여 수신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와 최소 수신 신호 세기-즉, 수신 신호 세기의 임계 범위-를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신호 세기 패킷에 기반하여 확인된 수신 신호 세기가 수신 신호 세기의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해당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 정보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수신 신호 세기 임계 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신호 세기 패킷에 기반하여 확인된 수신 신호 세기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임계 값을 초과하면, 해당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 정보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정상이 아닌 것이 확정되면,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에 소정 옵셋 값을 적용하여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옵셋 값은 고정된 값이거나 현재 송출중인 전력의 세기 또는 전력 등급에 비례하여 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여기서, 전력 등급은 Low Power Class, Mid Power Class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적용된 표준 및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전력 등급은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정된 수신 신호 세기(ARP)는 수신된 수신 신호 세기(RP)에서 옵셋 값을 차감하여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물질 검출 장치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와 보정된 수신 신호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을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손실을 소정 경로 손실 임계 값과 비교하여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손실 임계 값은 미리 설정된 고정된 값이거나 송신기 및 수신기의 타입에 따라 동적으로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일 예로, 산출된 경로 손실이 소정 경로 손실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무선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 1405 단계에서 이물질이 검출된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310)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기가 충전 영역에서 비정상적으로 제거된 것이 확인되거나 충전이 완료된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선택 단계(1410)로 회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1405 단계에서, 이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이물질 검출 장치는 전력 전송 단계(1450)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 단계에 진입하면, 제1 피드백 패킷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TP)를 제어할 수 있다(S1501). 여기서, 제1 피드백 패킷은 WPC 표준에 정의된 제어 오류 패킷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 표준 규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제2 피드백 패킷에 기반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RP)를 계산할 수 있다(S1502). 여기서, 제2 피드백 패킷은 WPC 표준에 정의된 신호 세기 패킷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무선 전력 송신기에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 표준 규격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계산된 수신 신호의 세기(RP)가 소정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S1503).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계산된 수신 신호의 세기(RP)가 소정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임계 범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TP)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최대 수신 신호 세기 값과, 최소 수신 신호 세기 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한 1503 단계의 비교 결과, 수신 신호의 세기(RP)가 제1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옵셋 값(Offset)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세기(RP)를 보정할 수 있다(S1504). 일 예로, 보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ARP)는 RP에서 Offset을 차감하여 산출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TP) 및 수신 신호의 세기(RP)(또는 보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ARP))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PL)을 산출할 수 있다(S1505).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기는 산출된 경로 손실(PL)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S1506). 여기서, 제2 임계값은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동작 주파수, 송신 코일 타입, 수신 코일 타입, 송출 전력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는 산출된 경로 손실(PL)이 소정 제2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임계 범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TP)에 비례하게 결정되는 최대 경로 손실 값과 최소 경로 손실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기는 산출된 경로 손실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2 임계 범위를 벗어난 경우,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소정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S1507). 이때, 무선 전력 송신기는 전력 전송을 중단하고 선택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반면, 산출된 경로 손실이 제2 임계값 이하이거나 제2 임계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기는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508).
무선 전력 수신기는 내부 회로 소자의 오류, 탑재된 소프트웨어 오류, 센서 오류 등에 의해 실제 수신되는 전력의 세기보나 큰 전력이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전력 송신기가 7와트(Watt)의 전력을 송출하면, 전송 효율을 80%이하로 가정할 때, 무선 전력 수신기에는 5.6와트 이하의 전력이 수신되어야 한다. 물론,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실제 전송 효율은 80%보다 훨씬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일부 무선 전력 수신기는 상기한 오류에 따라 6와트 이상의 전력이 수신되고 있는 것으로 무선 전력 송신기에 보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전력의 세기를 6와트 이상으로 보고하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해, 무선 전력 송신기는 소정 옵셋-예를 들면, 2와트일 수 있음-을 적용하여 수신 전력의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옵셋이 2와트이면, 보정된 수신 전력의 세기는 4와트로 결정될 수 있다. 이 후, 무선 전력 송신기는 보정된 수신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을 계산하여 이물질 존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약,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경로 손실은 매우 작은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기는 실제 무선 전력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함에도, 이물질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이물질 검출을 위한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주파수 방식의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송출 전력의 세기 대비 수신 전력의 세기가 비정상적인 수신기를 식별되면, 경로 손실을 보정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검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검출 장치(16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인증을 위한 계측 기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물질 검출 장치(1600)는 복조부(1610), 조절부(1620), 공진부(1630), 판단부(1640), 보정부(1650), 검출부(1660) 및 제어부(16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 검출 장치(1600)의 일부 구성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상에 통합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들은 회로 소자, 센서, 집적 회로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670)는 이물질 검출 장치(1600)의 전제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복조부(1610)는 무선 전력 수신기에 의해 송출된 무선 신호가 구비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복조하고, 복조된 패킷을 제어부(166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조부(1610)는 전력 전송 단계에서 수신되는 전력 제어를 위해 피드백되는 소정 패킷-예를 들면, 제어 오류 패킷- 및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전력의 세기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소정 패킷-예를 들면, 신호 세기 패킷-이 복조되면 제어부(1660)에 전달할 수 있다.
조절부(1620)는 전력 제어를 요청하는 피드백 패킷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공진부(1630)를 통해 송출되는 전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공진부(1630)는 특정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 전력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기 위한 공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단부(1640)는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예를 들면, 수신 전력의 세기에 관한 정보-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판단부(1640)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제1 임계 값을 결정하고, 수신 전력 세기가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면,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판단부(1640)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미리 정의된 전송 효율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1 임계 범위를 결정하고, 수신 전력 세기가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보정부(1650)는 판단부(1640)의 판단 결과, 정상이 아니면, 소정 옵셋 값을 이용하여 수신 전력의 세기를 보정할 수 있다.
검출부(1660)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수신 신호의 세기(또는 보정된 수신 신호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660)는 산출된 경로 손실을 소정 임계 값(또는 임계 범위)와 비교하여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이물질 검출 장치(1600)의 구성 요소들의 세부 동작은 상기한 도면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8)

  1.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의 이물질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에 대한 경로 손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에 기반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옵셋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서 상기 옵셋 값을 차감하여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는 전력 전송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피드백되는 패킷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이물질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되는 패킷은
    WPC 표준에 정의된 신호 세기 패킷인, 이물질 검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제1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미리 정의된 전송 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1 임계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이 상기 경로 손실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전송 단계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피드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가 조절되는, 이물질 검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물체 감지 후 핑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는 단계;
    협상 단계에서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제2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되는 품질 인자 임계 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품질 인자 값과 상기 결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이물질 검출 방법.
  10. 무선 전력 수신기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로부터 전력 제어를 위한 제1 패킷 및 수신 전력 세기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제2 패킷을 수신하는 복조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니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보정부; 및
    상기 보정된 수신 전력 세기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에 대한 경로 손실을 산출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정부는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옵셋 값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에서 상기 옵셋 값을 차감하여 상기 수신 전력 세기를 보정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 및 제2 패킷은 주기적으로 수신되며, 상기 제1 패킷에 기반하여 송출 전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킷과 상기 제2 패킷은 각각 WPC 표준에 정의된 제어 오류 패킷과 신호 세기 패킷인, 무선 전력 송신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최대 수신 신호 세기를 지시하는 제1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가
    상기 수신 전력 세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 및 미리 정의된 전송 효율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기에서 수신 가능한 전력 레벨을 지시하는 제1 임계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상기 제1 임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수신 전력 세기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가
    현재 송출 전력의 세기에 기반하여 경로 손실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 손실이 상기 경로 손실 임계 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 전력의 전송 경로상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7. 제10항에 있어서,
    물체 감지 후 핑 단계로의 진입 이전에 품질 인자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협상 단계에서 기준 품질 인자 값이 포함된 이물질 검출 상태 패킷을 수신하면, 상기 기준 품질 인자 값에 기반하여 제2 무선 전력 수신기에 대응되는 품질 인자 임계 값을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품질 인자 값과 상기 결정된 품질 인자 값을 비교하여 이물질을 검출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기.
  18.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9항에 기재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164973A 2016-12-06 2016-12-06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ctive KR10263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73A KR102633453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2019550527A JP7181214B2 (ja) 2016-12-06 2017-11-14 異物質検出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202310491815.3A CN116470663A (zh) 2016-12-06 2017-11-14 用于检测异物的方法和设备
EP17878045.8A EP3553915B1 (en) 2016-12-06 2017-11-14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and apparatus for same
PCT/KR2017/012877 WO2018105915A1 (ko) 2016-12-06 2017-11-14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N201780082669.1A CN110168860B (zh) 2016-12-06 2017-11-14 用于检测异物的方法和设备
CN202310498827.9A CN116470664A (zh) 2016-12-06 2017-11-14 用于检测异物的方法和设备
US16/434,005 US10622844B2 (en) 2016-12-06 2019-06-06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and apparatus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73A KR102633453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41A KR20180064741A (ko) 2018-06-15
KR102633453B1 true KR102633453B1 (ko) 2024-02-05

Family

ID=6262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973A Active KR102633453B1 (ko) 2016-12-06 2016-12-06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4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314B1 (ko) * 2018-05-16 2023-03-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32469B1 (ko) * 2018-11-19 2023-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WO2021022817A1 (zh) * 2019-08-07 2021-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位置检测的方法及系统
CN110729808B (zh) * 2019-12-03 2021-07-23 华润微集成电路(无锡)有限公司 实现无线充电系统温度控制的方法
KR102404165B1 (ko) * 2020-08-21 2022-05-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충전 패드들 사이의 오정렬 및 이물질 판별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04530A (ko) * 2021-04-1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품질 인자를 측정하는 방법및 장치
KR102672326B1 (ko) 2021-07-29 2024-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충전 시스템에서 영상 처리 기반 이물질 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682B1 (ko) * 2013-03-15 2019-12-03 지이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5637373B (zh) * 2013-10-30 2019-06-18 罗姆股份有限公司 无线受电装置及其控制电路、使用了它的电子设备、接收功率的计算方法
JP6392550B2 (ja) * 2014-02-10 2018-09-19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異常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741A (ko) 2018-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4912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JP7181214B2 (ja) 異物質検出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086042B2 (en)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material,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2633453B1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76401B1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18571A (ko) Fo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764635B1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40685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40734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38205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617673B1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20180025602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2573342B1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03810A (ko) 이물질 검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70099082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