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61B1 -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 Google Patents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3361B1 KR102633361B1 KR1020230159114A KR20230159114A KR102633361B1 KR 102633361 B1 KR102633361 B1 KR 102633361B1 KR 1020230159114 A KR1020230159114 A KR 1020230159114A KR 20230159114 A KR20230159114 A KR 20230159114A KR 102633361 B1 KR102633361 B1 KR 1026333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head
- leg portion
- predetermined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17727 AgNi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01316 A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63 powder metallu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79 visual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1 wire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01H1/021—Composite material
- H01H1/023—Composite material having a noble metal as the bas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기기기, 전자기기, 통신기기, 자동차, 전동차 및 고압용 배전설비 등의 전기회로의 개폐 또는 전기 접촉을 위해 설치되는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vet-type contact poi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ivet-type contact device installed for opening/closing or making electrical contact in electric circuits such as various electric devices, electronic devices, communication devices, automobiles, electric trains, and high-voltage distribution equipment. This relates to a riveted contact poi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일반적으로 리벳형 접점구는 조립이 쉽고, 리베팅에 의한 접촉력이 강하고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으며, 열을 가하지 않기 때문에 탄성을 잃지 않고 산화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이에 의해 산업 전반에 전기 회로의 개폐 또는 접촉을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riveted contact poin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ssemble, having a strong and stable contact force through riveting, and not losing elasticity or oxidation because they do not apply heat. As a result, they are widely used in the industry as a whole for opening and closing electrical circuits or making contacts. It is widely used for purposes.
상기와 같은 리벳형 접점구는 그 모양에 따라 솔리드형, 클래드형, 관형, 원뿔형 및 모따기형으로 구분되는데, 솔리드형은 단일 금속으로 구성되는 접점이고, 클래드형은 솔리드형의 재료를 절감시킨 형태의 접점이며, 관형은 파손되기 쉬운 대재에 사용되는 접점이고, 원뿔형은 접촉저항이 중요한 경우 사용되는 접점이며, 모따기형은 자동 리벳팅 공정에서 홀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접점이다.Rivet-type contacts as described above are classified into solid, clad, tubular, conical, and chamfered types depending on their shape. The solid type is a contact made of a single metal, and the clad type is a type that reduces the material of the solid type. It is a contact point, the tubular type is a contact point used for fragile materials, the conical type is a contact point used when contact resistance is important, and the chamfer type is a contact point tha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 hole in the automatic riveting process.
근래에는 전기 접촉 저항은 낮으면서도 구조적으로 강도가 높고 사용이 쉬운 형태의 리벳형 접점구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3130호의 복합 접점의 제조 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Recently, rivet-type contacts with low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high structural strength, and ease of use have been developed. The prior art for this purpose includes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contact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14-00431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is disclosed.
상기 특허문헌은 구리 합금 소선과, 구리 합금 소선보다 외경이 작은 은 합금 소선을 성형 금형의 구멍 내에서 맞댄 상태에서 단조함으로써, 상기 구리 합금 소선의 확경을 상기 구멍의 내주면에 의해 제한한 상태에서 상기 은 합금 소선의 외경을 상기 구멍의 내경까지 확대하면서 상기 은 합금 소선과 상기 구리 합금 소선을 접합하여 은 합금부와 구리 합금부로 이루어지는 1 차 성형체를 형성하는 1 차 성형 공정과, 상기 1 차 성형체의 상기 은 합금부, 상기 은 합금부와 상기 구리 합금부의 접합 계면 및 상기 구리 합금부를 포함하는 일단부를 단조하여 상기 플랜지부를 성형하는 2 차 성형 공정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patent document discloses that by forging a copper alloy wire and a silver alloy wire with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copper alloy wire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within a hole of a forming mold, the expansion diameter of the copper alloy wire is limi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e. A primary forming process of joining the silver alloy wire and the copper alloy wire while expanding the outer diameter of the silver alloy wire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to form a primary molded body consisting of a silver alloy portion and a copper alloy portion, and the primary molded body It consists of a secondary forming process of forming the flange portion by forging the silver alloy portion, a joint interface between the silver alloy portion and the copper alloy portion, and one end portion including the copper alloy portion.
상기 특허문헌은 구리 합금 소선과 은 합금 소선이 단조를 통해 일체로 제조되어 은의 사용량을 줄여 경제적이면서도 접촉 저항은 낮은 형태의 리벳형 접점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나, 제조과정에서 은과 구리 합금 간에 밀착되지 않고 틈이 형성되는 불량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e patent document aims to provide a riveted contact point that is economical and has low contact resistance by manufacturing a copper alloy wire and a silver alloy wire as one piece through forging,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silver used. However,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lose contact between the silver and copper alloy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with frequent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in which gaps are formed.
따라서 접촉 저항이 낮으면서도 내마모성이 높고, 접촉면의 변형이 적으면서 제조과정에서 성형품이 분리되거나 틈이 형성되는 불량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리벳형 접점구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iveted contact point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has low contact resistance, high wear resistance, less deforma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in which molded products are separated or gaps are 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벳형 접점구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접촉 저항이 낮으면서도 내마모성이 높고, 접촉면의 변형이 적으면서 제조과정에서 성형품이 분리되거나 틈이 형성되는 불량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iveted contact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low contact resistance and high wear resistance, low deforma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molded product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aim is to provide a riveted contact poi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that are separated or have gaps form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하부구조물; 상기 다리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다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단조를 통해 상기 머리부에 밀착되어 일체되는 접점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는, 단조를 통해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밀착될 때 상기 고정돌기를 감싸도록 소재가 가압되어 상기 머리부에 상기 접점부가 걸림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iveted contact poi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lower structu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up and down; a head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leg portion; and a contact porti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hrough forging and integrated with the head, wherein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ead and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the head through forging.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the material is pressed to surround the fixing protrusion, so that the contact part is locked to the head.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접점부가 AgNi계 합금 또는 AgCu계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tact portion is made of an alloy selected from AgNi-based alloy or AgCu-based allo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머리부에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는 상기 머리부에 밀착되도록 단조를 통해 가압 성형될 때, 상기 끼움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와 상기 접점부의 둘레가 들뜨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tting groove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the upper surface circumference of the head, and when the contact portion is press-molded through forg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tting groove. Another feature is that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that protrudes downward along the head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without being lifted.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끼움홈이 상부 둘레보다 하부 둘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끼움홈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호 걸림 고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tting groove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the lower circumferenc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upper circumference, so that one sid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ocking protrusion has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itting groove. Another feature is that they are formed so that they are mutually locked.
본 발명에 따르면, 머리부와 접점부가 단조를 통해 상호 일체되도록 가압 성형될 때, 머리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끼움홈의 구조를 통해 자연스럽게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게 되면서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를 통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머리부에서 접점부가 분리되어 틈이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and the contact portion are press-molded to becom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rough forging, a locking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that natur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are form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head, so that they are fitted together. This has the advantage of structurall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contact part from the head and the formation of a gap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 다리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접점구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접점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접점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iveted contact sphere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pper and lower le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iveted contact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iveted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iveted contact p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본 발명은 접촉 저항이 낮으면서도 내마모성이 높고, 접촉면의 변형이 적으면서 제조과정에서 성형품이 분리되거나 틈이 형성되는 불량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0), 머리부(20) 및 접점부(3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riveted contact point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that has low contact resistance and high wear resistance, reduces deforma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reduces the occurrence of defective products in which molded products are separated or gaps are form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ncludes a
다리부(10)는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머리부(2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이러한 다리부(10)는 용도에 따라 그 길이가 적절하게 변경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고, 또한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다리부(10)는 구리(Cu)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머리부(20)는 다리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후술되는 접점부(30)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이러한 머리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되면서 상면의 지름이 저면의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경사진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그리고 상면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링 모양의 고정돌기(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돌기(21)를 통해 접점부(30)의 접점재료가 가압 성형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고정돌기(21)에 대응되는 걸림홈(31)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a ring-
이때 고정돌기(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30)에 걸림홈(31)이 형성되고 나면, 자연스럽게 역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 단면의 두께에 비해 하부 단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일측면이 소정 각도 경사진 기울기(A1)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once the locking groove 31 is formed in the
그리고 고정돌기(21)의 높이(H1)는 접점부(30)와 충분한 결합력이 발휘되도록 5~10㎜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고정돌기(21)의 두께(T)는 접점부(30)의 접점재료가 가압될 때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10~15㎜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1 of the
이때 고정돌기(21)의 높이(H1)가 5㎜ 미만으로 형성되면 가공이 어려우면서도 접점재료가 고정돌기(21)에 걸려 고정되는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1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접점부(30)를 고정하는 고정력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우면서도 접점재료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리벳형 접점구(1)의 전기전도도가 기준 값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At this time, if the height H1 of the
또한, 고정돌기(21)의 두께(T)가 10㎜ 미만으로 형성되면 접점부(30)를 가압 성형하는 과정에서 형상이 변형되어 본래의 기능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15㎜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접점재료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리벳형 접점구(1)의 전기전도도가 기준 값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전기전도도 기준 값은 IACS(The International Annealed Copper Standard, 국제 연동 표준) 기준 70%(전도율)로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thickness T of the
한편, 머리부(20)의 상면 둘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깊이의 끼움홈(22)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끼움홈(22)을 통해 접점부(30)가 머리부(20)에 밀착되도록 가압 성형되고 나면, 고정돌기(21)와 끼움홈(22)에 대응되는 걸림홈(31)과 걸림돌기(32)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접점부(30)의 둘레와 중간 부분이 머리부(20)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Meanwhile, a
이때 끼움홈(22)은 상부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하부 둘레의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소정 각도(A2)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접점부(30)의 걸림돌기(32)의 하단 부분이 끼움홈(22)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끼움홈(22)의 높이(H2)는 접점부(30)와 충분한 결합력이 발휘되도록 5~10㎜로 형성될 수 있고, 폭(W)은 접점부(30)의 접점재료가 가압될 때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10~15㎜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H2 of the
이때 끼움홈(22)의 높이(H2)가 5㎜ 미만으로 형성되면 가공이 어려우면서도 접점재료가 고정돌기(21)에 걸려 고정되는 충분한 고정력을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10㎜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접점부(30)를 고정하는 고정력의 추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우면서도 접점재료량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At this time, if the height (H2) of the fitting groove (22) is formed to be less than 5 mm, it is undesirable because it is difficult to process and it is difficult to exert sufficient fixing force for the contact material to be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21). If it exceeds 10 mm, it is not desirable. When formed, it is difficult to expect a further increase in the fixing force for fixing the
또한, 끼움홈(22)의 폭(W)이 10㎜ 미만으로 형성되면 접점부(30)의 걸림이 불완전하여 결합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15㎜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접점재료량이 증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if the width (W) of the
이에 더해 머리부(20)의 가운데 부분에는 소정 깊이의 걸림홈(23)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걸림홈(23)에 접점부(30)가 가압되어 내부에 채워지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접점부(30)의 가운데 부분이 걸림홈(23)에 채워지는 고정돌기(33)가 형성되게 되고, 이러한 고정돌기(33)의 구성에 의해 접점부(30)가 머리부(20)의 상면에 강건하게 정착 고정되게 된다.In addition, a locking
이때 걸림홈(23)은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단면 모양이 화살촉 모양이 되도록 내측면에 걸림부(23A)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걸림홈(23)에 채워지는 고정돌기(33)가 걸림부(23A)에 걸려 역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조적으로 강건한 결합이 담보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the locking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머리부(20)의 고정돌기(21), 끼움홈(22) 및 걸림홈(23)과 접점부(30)의 걸림홈(31), 걸림돌기(32) 및 고정돌기(33)가 상호 조립되어, 결과적으로 접점부(30)의 가운데 부분, 가장자리 부분 및 가운데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공간이 각각 결합 고정되게 되고, 이를 통해 접점부(30)에 상당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머리부(20)로부터 접점부(30)가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접점부(30)는 머리부(20)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단조 성형 등을 통해 머리부(20)에 가압 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이러한 접점부(30)는 소정 크기를 가지는 원통 모양의 접점소재로 구성된 다음, 단조 등의 가압 성형 공정을 통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20) 상면에 밀착되어 일체되게 된다.This
이때 접점부(30)를 구성하는 접점소재는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가 높고 접촉 저항이 낮으며, 가공이 용이한 은(Ag)을 주재로 하는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act material constituting the
이러한 은 합금의 예로 AgNi계 합금 또는 AgCu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AgNi계 합금은 은(Ag)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마모성이 증가되고, 가공이 쉬운 장점이 있다.Examples of such silver alloys include AgNi-based alloys or AgCu-based alloys. Here, AgNi-based alloys have the advantage of relatively increased wear resistance and ease of processing compared to using silver (Ag) alone.
그리고 AgCu계 합금은 구리(Cu)의 함유량에 따라 내변색성이 감소되긴 하지만 기계적인 내마모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AgCu-based alloys have the advantage of increased mechanical wear resistance, although discoloration resistance decreases depending on the copper (Cu) cont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리벳형 접점구가 제조되는 공정의 예에 따라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riveted contac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an example.
(1) 소재 준비 단계(1) Material preparation step
이 단계는 리벳형 접점구(1)를 구성하는 다리부(10), 머리부(20) 및 접점부(30)의 소재를 준비하는 것이다.This step prepares materials for the
이때 다리부(10)는 후술되는 소재 1차 가공 단계를 통해 와이어 인발 가공이 가능하도록 소정 지름을 가지는 와이어 선재로 준비될 수 있고, 접점부(30)의 접점소재가 AgCu계 합금인 경우에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환봉 형태로 준비될 수 있으며, 접점소재가 AgNi계 합금인 경우에는 금속 분말로 준비될 수 있는데, 이는 니켈(Ni)이 은(Ag)에 고용되지 않기 때문에 후술되는 소재 1차 가공 단계에서 분말야금(Powder Metallurgy)법을 통해 AgNi계 합금으로 제조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2) 소재 1차 가공 단계(2) Material primary processing stage
이 단계는 위 소재 준비 단계를 통해 준비된 와이어 소재를 와이어 인발 가공하여 다리부(10)의 대략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동시에 접점소재가 단조 성형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준비하는 것이다.In this step, the wire material prepared through the above material preparation step is wire drawn to form the approximate shape of the
이때 접점부(30)는 접점소재가 환봉 형태로 준비되는 경우 환봉의 크기 등 규격에 맞추어 절단되고, 접점소재가 금속 분말로 준비되는 경우에는 금속 분말을 가압 성형한 다음 고온으로 가열 및 소결하여 규격에 맞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환봉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ontact material is prepared in the form of a round bar, the
(3) 소재 2차 가공 단계(3) Material secondary processing stage
이 단계는 위 1차 소재 가공 단계를 통해 다리부(10) 및 접점부(30)가 준비되고 나면, 다리부(10)에 머리부(20)를 형성시키고, 머리부(20) 위에 접점부(30)가 일체되도록 가공하는 것이다.In this step, after the
이러한 소재 2차 가공 단계는 단계에 따라 1차 단조 단계, 절삭 가공 단계 및 2차 단조 단계로 진행된다.This material secondary processing stage progresses into the primary forging stage, cutting processing stage, and secondary forging stage depending on the stage.
여기서 1차 단조 단계는 다리부(10)를 금형에 넣고, 단조 성형하여 다리부(10)의 상부에 소정 지름을 가지는 머리부(20)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다리부(10)의 상부에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원통 모양의 머리부(20)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Here, the first forging step is to place the
이때 머리부(20)는 절삭 가공 단계의 진행을 위해 최종 목표로 하는 지름과 두께보다 5~10㎜ 큰 치수를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위와 같이 다리부(10)에 머리부(20)가 일체로 성형되고 나면, 절삭 가공 단계를 통해 머리부(20)를 절삭 가공하여 고정돌기(21), 끼움홈(22) 및 걸림홈(23)의 구성을 형성하게 된다.After the
이후, 일체로 제조된 다리부(10) 및 머리부(20)와 미리 준비된 접점부(30)를 금형에 차례대로 넣고, 단조를 통해 머리부(20) 위에 접점부(30)를 가압하여 일체시키고, 이를 통해 다리부(10), 머리부(20) 및 접점부(30)가 일체로 형성된 리벳형 접점구(1)가 제조되게 된다.Thereafter, the
(4) 열처리 단계(4) Heat treatment step
이 단계는 위 소재 2차 가공 단계를 통해 리벳형 접점구(1)가 제조되고 나면, 제조된 리벳형 접점구(1)를 가열로에 넣고 소정 시간 동안 가열(열처리)하여 조직을 치밀화시키고, 이를 통해 강도를 개선하는 것이다.In this step, after the riveted contact point (1) is manufactured through the above material secondary processing step, the manufactured riveted contact point (1) is placed in a heating furnace and heated (heat tre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o densify the structure, This improves strength.
이때 가열로의 온도는 접점부(30)의 접점소재의 종류에 따라 350 ~ 500℃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furnace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range of 350 to 500°C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act material of the
(5) 연마 및 세척 단계(5) Polishing and cleaning steps
이 단계는 위 열처리 단계를 통해 리벳형 접점구(1)의 강도가 개선되고 나면, 리벳형 접점구(1)의 표면을 연마하면서 설계된 치수에 맞추어 제품을 규격화시키고, 이후 표면을 세척하여 리벳형 접점구(1)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과 유분을 제거하는 것이다.In this step, after the strength of the riveted contact port (1) is improved through the heat treatment step above, the product is standardized to the designed dimensions by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riveted contact port (1), and then the surface is cleaned to form a riveted contact port (1). This is to remove contaminants and oil on the surface of the contact port (1).
(6) 검사 단계(6) Inspection stage
이 단계는 연마 및 세척 단계를 통해 리벳형 접점구(1)가 연마 및 세척되고 나면, 머리부(20)와 접점부(30) 사이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형상이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불량품을 선별하는 것이다.In this step, after the riveted
이러한 검사 단계는 작업자에 의한 육안 검사를 통해 수동으로 진행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비전 검사를 통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se inspection steps can be performed manually through visual inspection by an operator, or automatically through vision inspection.
(7) 포장 및 출하 단계(7) Packaging and shipping steps
이 단계는 위 검사 단계를 통해 양품으로 판정된 리벳형 접점구를 소정의 수량 단위로 포장하여 출하하는 것으로, 이러한 포장 및 출하 단계는 공지된 다양한 포장 장치 및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is step is to package and ship the riveted contact points determined to be good products through the above inspection step in predetermined quantities. These packaging and shipping steps can be configured to be carried out using various known packaging devices and transfer devices.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리벳형 접점구를 형성하는 머리부와 접점부가 상호 단조를 통해 일체되도록 가압 성형될 때, 머리부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끼움홈의 구조를 통해 자연스럽게 상호 대응되는 홈과 돌기가 형성되게 되면서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를 통해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머리부에서 접점부가 분리되어 틈이 형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and the contact portion forming the riveted contact port are pressure molded to be integrated through mutual forging, grooves and protrusions that naturally correspond to each other are formed through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rotrusion and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head. As they do so, they are in a state of being fitted together, and through this,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paration of the contact part from the head part and the formation of a gap are structurally prevented.
한편, 위에서는 머리부(20)에 고정돌기(21), 끼움홈(22) 및 걸림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접점부(30)와 단조 성형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대응되는 걸림홈(31), 걸림돌기(32) 및 고정돌기(33)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에 더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10)의 저면에 소정 지름의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재질의 정착부재(12)가 더 삽입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fixing
이러한 정착부재(12)는 역 "T"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도면부호 없음)의 선단이 첨단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리벳형 접점구(1)가 사용되기 위해 다리부(10)에 외력이 가해져 변형될 때, 다리부(10)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정착부재(12)가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삽입돌기가 삽입공(11)의 안쪽으로 압입되게 되면서 소정의 고정력(정착력)을 발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정착부재(12)가 다리부(10)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변형되는 형상을 가이드하게 된다.This fixing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Abov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numerals and names have been given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names given are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and changes to various shapes predicta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simple substitution with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re within the scope of changes that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You will see this as extremely self-evident.
1: 리벳형 접점구 10: 다리부
11: 삽입공 12: 정착부재
20: 머리부 21: 고정돌기
22: 끼움홈 23: 걸림홈
23A: 걸림부 30: 접점부
31: 걸림홈 32: 걸림돌기
33: 고정돌기 A1: 고정돌기의 기울기
A2: 끼움홈의 기울기 H1: 고정돌기의 높이
H2: 끼움홈의 높이 T: 고정돌기의 두께
W: 끼움홈의 폭1: Rivet-type contact port 10: Leg portion
11: Insertion hole 12: Fixing member
20: head 21: fixing protrusion
22: Fitting groove 23: Locking groove
23A: Engaging part 30: Contact part
31: Locking groove 32: Locking protrusion
33: Fixing protrusion A1: Tilt of fixing protrusion
A2: Slope of insertion groove H1: Height of fixing protrusion
H2: Height of insertion groove T: Thickness of fixing protrusion
W: Width of insertion groove
Claims (4)
상기 다리부(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다리부(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머리부(20); 및
상기 머리부(20)의 상면에 위치되면서 단조를 통해 상기 머리부(20)에 밀착되어 일체되는 접점부(30);
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20)에는,
상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고정돌기(21)가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30)는,
단조 성형을 통해 상기 머리부(20)의 상면에 밀착될 때 상기 고정돌기(21)를 감싸도록 소재가 가압되어 상기 머리부(20)에 상기 접점부(30)가 걸림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20)에는,
상면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의 끼움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30)는,
상기 머리부(20)에 밀착되도록 단조를 통해 가압 성형될 때, 상기 끼움홈(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저면 둘레를 따라 하향 돌출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20)와 상기 접점부(30)의 둘레가 들뜨지 않고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끼움홈(22)은,
상부 둘레보다 하부 둘레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일측면이 소정 각도(A2)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는,
상기 끼움홈(22)의 기울기에 대응되는 소정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호 걸림 고정되고,
상기 다리부(10)의 저면에는,
소정 지름의 삽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1)에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재질의 정착부재(1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정착부재(12)는,
역 "T"자 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공(11)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의 선단이 첨단으로 형성되어, 리벳형 접점구(1)가 사용되기 위해 상기 다리부(10)에 외력이 가해져 변형될 때, 상기 다리부(10)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정착부재(12)가 변형되지 않고 삽입돌기가 그대로 상기 삽입공(11)의 안쪽으로 압입되게 되면서 소정의 고정력을 발휘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정착부재(12)가 상기 다리부(10)를 균일하게 가압하여 변형되는 형상을 가이드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
Leg portion 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up and down;
A head portion (20)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eg portion (10) and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leg portion (10); and
A contact portion 3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0 and integrated into the head 20 through forging;
Including,
In the head 20,
A fixing protrusion 21 is formed that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The contact portion 30 is,
When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20 through forging molding, the material is pressed to surround the fixing protrusion 21, so that the contact portion 30 is locked to the head 20. become,
In the head 20,
An insertion groove 22 of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The contact portion 30 is,
When the head 20 is press-molded through forging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20, a locking protrusion 32 protruding downward along the bottom circumferenc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tting groove 22, thereby forming the head 20 and the head 20. The circumference of the contact portion 30 is configured to maintain a coupled state without lifting,
The fitting groove 22 is,
The diameter of the lower circumferenc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upper circumference, and one side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A2),
The stopping protrusion 32 is,
It is formed to have an inclination of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fitting groove 22 and is mutually locked,
On the bottom of the leg portion 10,
An insertion hole 11 of a predetermined diameter is formed, and a fixing member 12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 rigidity is inserted and install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The fixing member 12 is,
It is formed in an inverted "T" shape, and the tip of the insertion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is formed as a tip, so that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eg portion 10 and deformed in order to use the riveted contact port 1. When this happens, the fixing member 12, which is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higher rigidity than the leg portion 10, is not deformed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hole 11 as is, thereby exerting a predetermined fix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the fixing member (12) uniformly presses the leg portion (10) to guide its deformed shape.
상기 접점부(30)는,
AgNi계 합금 또는 AgCu계 합금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조를 가지는 리벳형 접점구.
In claim 1,
The contact portion 30 is,
A rivet-type contact sphere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alloy selected from AgNi-based alloy or AgCu-based allo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9114A KR102633361B1 (en) | 2023-11-16 | 2023-11-16 |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9114A KR102633361B1 (en) | 2023-11-16 | 2023-11-16 |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3361B1 true KR102633361B1 (en) | 2024-02-05 |
Family
ID=8990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9114A Active KR102633361B1 (en) | 2023-11-16 | 2023-11-16 |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3361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4032U (en) * | 1983-11-14 | 1985-06-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ntact device |
KR950021009U (en) | 1993-12-28 | 1995-07-26 | Contact rivet | |
KR20120062857A (en) * | 2009-10-18 | 2012-06-14 | 미츠비시 머티리얼 씨.엠.아이.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al contact for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12221867A (en) * | 2011-04-13 | 2012-1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material for vacuum valve and vacuum valve |
JP2012221631A (en) * | 2011-04-05 | 2012-11-12 | Mitsubishi Material C.M.I. Corp | Composite contact |
KR20140043130A (en) | 2011-06-24 | 2014-04-08 | 니혼 덴산 산쿄 씨.엠.아이.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contact |
JP2017103127A (en) * | 2015-12-03 | 2017-06-08 | 福井鋲螺株式会社 | Terminal, storag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
KR102417333B1 (en) | 2016-12-21 | 2022-07-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
-
2023
- 2023-11-16 KR KR1020230159114A patent/KR1026333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4032U (en) * | 1983-11-14 | 1985-06-10 | 三菱電機株式会社 | contact device |
KR950021009U (en) | 1993-12-28 | 1995-07-26 | Contact rivet | |
KR20120062857A (en) * | 2009-10-18 | 2012-06-14 | 미츠비시 머티리얼 씨.엠.아이.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al contact for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1318922B1 (en) | 2009-10-18 | 2013-10-17 | 미츠비시 머티리얼 씨.엠.아이.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ical contact for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JP2012221631A (en) * | 2011-04-05 | 2012-11-12 | Mitsubishi Material C.M.I. Corp | Composite contact |
JP2012221867A (en) * | 2011-04-13 | 2012-11-12 | Mitsubishi Electric Corp | Method for manufacturing contact material for vacuum valve and vacuum valve |
KR20140043130A (en) | 2011-06-24 | 2014-04-08 | 니혼 덴산 산쿄 씨.엠.아이. 가부시키가이샤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contact |
JP2017103127A (en) * | 2015-12-03 | 2017-06-08 | 福井鋲螺株式会社 | Terminal, storag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 |
KR102417333B1 (en) | 2016-12-21 | 2022-07-05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679709B2 (en) |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US8430700B2 (en) |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connector | |
KR102388004B1 (en) | Coaxial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7296347B2 (en) | Method of forming an electrical terminal | |
DE102016106366B4 (en) | Lens cap for a TO housing | |
JP4501408B2 (en) | Fastening method | |
US7891992B2 (en) | Press-fit contact | |
KR102633361B1 (en) | Rivet type Contact with Complex Structure | |
JPS5942580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contacts | |
EP0106992A1 (en) | Contact element for electrical plug connections and a method of making such a contact | |
US6500032B2 (en) | Female metal termin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EP3413327A1 (en) | Electrical contact assembly | |
US3200226A (en) | Electrical contact member having a raised cup shaped work-hardened area | |
JP6387441B1 (en) | Terminal crimping apparatus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 |
CA1062052A (en) | Method of forming a product of two different metals | |
EP2658035B1 (en) |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and board connector | |
JP2012520549A (en) | Fixing device for wires and connecting elements | |
EP0018800B1 (en) | Manufacture of tapered bodies and electric connector receptacles made thereby | |
JPS637027B2 (en) | ||
JP2582852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ld insertion type electrical contact | |
US2890070A (en) | Rail-bond shoe attachable by conically pointed brazing pin | |
JPS622771Y2 (en) | ||
EP4196309B1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nection of a filament of a thermal source of radiation out of a refractory metal for the semiconductor and microsystems technology | |
CN216288016U (en) | Rivet type electrical contact and riveting structure | |
JP303377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lad conta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