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2313B1 -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313B1
KR102632313B1 KR1020210092605A KR20210092605A KR102632313B1 KR 102632313 B1 KR102632313 B1 KR 102632313B1 KR 1020210092605 A KR1020210092605 A KR 1020210092605A KR 20210092605 A KR20210092605 A KR 20210092605A KR 102632313 B1 KR102632313 B1 KR 10263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ead
minut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194A (ko
Inventor
장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디
Priority to KR102021009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3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3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31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3Coating with a layer; Stuffing, laminating, binding, or compressing of original meat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2Additives other than enzymes or microorganisms in meat products or meat meals
    • A23L13/428Addition of flavours, spices, colours, amino acids or their salts, peptides, vitamins, yeast extract or autolysate, nucleic acid or derivatives, organic acidifying agents or their salts or acidogens, sweeteners, e.g. sugars or sugar alcohols; Addition of alcohol-containin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돼지 머리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1);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60~90분 동안 삶는 단계(단계 3);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절단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롤(Roll)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돼지 머리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oiled Pork Head}
본 발명은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롤(Roll)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돼지머리는 돼지 도축 부산물로서 다른 부위에 비하여 돼지 잡냄새와 누린내가 심하게 나며, 이에 따라 돼지머리를 직접 섭취할 수 없어 편육형태로 가공하여 주로 섭취한다.
돼지머리를 편육으로 만들기 위하여, 먼저 돼지머리에서 털을 제거하고 핏물 및 불미한 부위를 제거한 후 반으로 자르고, 여기에 양파, 생강, 통후추, 마늘을 함께 넣고 잠길 정도로 물을 붓고 끓여 삶는다. 이후 삶은 내용물을 칼로 썰어서 결이 좋게 보이도록 면보에 감싸고 찬 곳에서 1∼2시간 눌러둔 후 얄팍하게 썰음으로써 편육이 완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편육은 새우젓 젖국과 함께 섭취한다.
그런데, 돼지머리에서 발생되는 잡냄새나 누린내의 세기가 워낙 강하기 때문에, 투입되는 조미료의 양이 달라지면 만들어진 편육에서 잡냄새 및 누린내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제조된 편육은 보존기간이 짧아 만들어진 후 수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잡냄새 및 누린내가 발생된다.
한편, 편육의 보존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방부제를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편육이 식감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통, 설사 등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고 건강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였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6394호(2010.03.10.)에는 돼지머리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돼지머리 가공식품은 돼지머리의 형태를 뭉그러짐 없이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이 나는 단점이 있다.
KR 10-2010-0026394 A 2010.03.10.
본 발명의 목적은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제거할 수 있으며, 롤(Roll)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돼지 머리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돼지 머리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1);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60~90분 동안 삶는 단계(단계 3);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절단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양념장은 생수 45~55중량%, 진간장 15~25중량%, 맛술 15~25중량%, 생강 0.1~1중량%, 팔각 0.01~0.1중량%, 양파 5~10중량%, 대파 0.1~1중량%, 배 1~5중량%, 정향 0.01~0.1중량%, 마늘 0.1~1중량%, 월계수잎 0.01~0.1중량% 및 후추 0.01~0.1중량%를 포함하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복합발효액 100중량부에 돼지 머리 50~60중량부를 20~30℃에서 2~3시간 동안 침지한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되, 상기 복합발효액은 아로니아발효액 50~60중량%, 스테비아발효액 20~30중량% 및 연잎발효액 15~2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아로니아발효액은 아로니아 80~8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10~15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5~30℃에서 2~3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며, 상기 스테비아발효액은, 스테비아잎을 140~150℃에서 30~35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상기 덖음한 스테비아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90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15~2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스테비아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비아잎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0~2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연잎발효액은, 연잎을 2.0%(w/v) 농도의 자염수에 10~15℃에서 40~45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연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한 후 1.7~1.8기압,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잎추출액 100중량부에 유산균 6~8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연잎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식감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식감 향상제는 건블루베리 80~90중량% 및 블루베리퓨레 10~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건블루베리는 블루베리 열매를 영하 20~25℃에서 2~3일 동안 1차 숙성한 다음, 6~8℃에서 10~12시간 동안 해동안 후에, 25~27℃에서 1~2일 동안 2차 숙성한 다음, 40~42℃에서 30~40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며, 상기 블루베리퓨레는 블루베리 착즙액 90~95중량%, 새싹보리 추출액 2~6중량% 및 자일리톨 1~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새싹보리 추출액은 새싹보리 100중량부에 90%(v/v) 에탄올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이취 개선제 1~5중량부를 가하고 1~5℃에서 10~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되, 상기 이취 개선제는 고구마식초 80~90중량% 및 배추출액 10~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고구마식초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고구마 45~5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20~25분 동안 가열하여 고구마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10~15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40~45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4~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1~2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6~7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5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22~25℃에서 3~4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6~10중량부, 블랙베리 6~10중량부 및 마키베리 6~1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45분 동안 가열하에 베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배 100중량부에 상기 베리추출액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6~100℃에서 30~35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은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롤(Roll)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은 돼지 머리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삶아진 돼지머리를 성형시 사용하는 롤형태의 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편육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은,
돼지 머리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1);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60~90분 동안 삶는 단계(단계 3);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슬라이스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 이전에 상기 돼지 머리를 발골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복합발효액 100중량부에 돼지 머리 50~60중량부를 20~30℃에서 2~3시간 동안 침지한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돼지 머리를 복합발효액에 침지함으로써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제거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복합발효액은 아로니아발효액 50~60중량%, 스테비아발효액 20~30중량% 및 연잎발효액 15~2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아로니아발효액은 아로니아 80~8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10~15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5~30℃에서 2~3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한다.
상기 스테비아발효액은,
스테비아잎을 140~150℃에서 30~35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상기 덖음한 스테비아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90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15~2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스테비아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비아잎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0~2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연잎발효액은,
연잎을 2.0%(w/v) 농도의 자염수에 10~15℃에서 40~45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연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한 후 1.7~1.8기압,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잎추출액 100중량부에 유산균 6~8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연잎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자염은 해수를 가마솥에 넣고 160~180℃에서 4~5일 동안 가열농축하여 석출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양념장은 생수 45~55중량%, 진간장 15~25중량%, 맛술 15~25중량%, 생강 0.1~1중량%, 팔각 0.01~0.1중량%, 양파 5~10중량%, 대파 0.1~1중량%, 배 1~5중량%, 정향 0.01~0.1중량%, 마늘 0.1~1중량%, 월계수잎 0.01~0.1중량% 및 후추 0.01~0.1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양념장은 팔각, 정향 및 월계수잎을 첨가함으로써 돼지 머리의 누린내 및 비린 맛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60~90분 동안 삶는 단계이다.
상기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중량부 미만을 가하면 돼지 머리의 누린내 및 비린 맛을 없애는 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고, 250중량부 초과하면 양념 맛이 너무 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식감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에 식감 향상제를 추가함으로써 쫀득쫀득한 식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식감 향상제는 건블루베리 80~90중량% 및 블루베리퓨레 10~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건블루베리는 블루베리 열매를 영하 20~25℃에서 2~3일 동안 1차 숙성한 다음, 6~8℃에서 10~12시간 동안 해동안 후에, 25~27℃에서 1~2일 동안 2차 숙성한 다음, 40~42℃에서 30~40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블루베리퓨레는 블루베리 착즙액 90~95중량%, 새싹보리 추출액 2~6중량% 및 자일리톨 1~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액은 새싹보리 100중량부에 90%(v/v) 에탄올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이취 개선제 1~5중량부를 가하고 1~5℃에서 10~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삶아진 돼지머리에 이취 개선제를 가하고 숙성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더욱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취 개선제는 고구마식초 80~90중량% 및 배추출액 10~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고구마식초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고구마 45~5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20~25분 동안 가열하여 고구마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10~15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40~45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4~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1~2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6~7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5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22~25℃에서 3~4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6~10중량부, 블랙베리 6~10중량부 및 마키베리 6~1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45분 동안 가열하에 베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배 100중량부에 상기 베리추출액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6~100℃에서 30~35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롤(Roll) 형태의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Roll) 형태롤 성형할 수 있는 장치는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 6은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섭취하기 용이한 두께로 슬라이스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은 돼지 머리의 누린내와 비린 맛을 탁월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롤(Roll)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은 돼지 머리의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돼지 머리로부터 뼈를 발골하였다. 복합발효액 100중량부에 뼈를 발골한 돼지 머리 60중량부를 25℃에서 2시간 동안 침지한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상기 복합발효액은 아로니아발효액 60중량%, 스테비아발효액 20중량% 및 연잎발효액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아로니아발효액은 아로니아 8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15중량% 및 자일로스 5중량%를 혼합한 후 30℃에서 2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스테비아발효액은, 스테비아잎을 140℃에서 30분 동안 덖음하고, 상기 덖음한 스테비아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중량부를 가하고 110℃에서 15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스테비아잎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스테비아잎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3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20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연잎발효액은, 연잎을 2.0%(w/v) 농도의 자염수에 15℃에서 40분 동안 침지하고, 상기 침지된 연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500중량부를 가한 후 1.7기압,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잎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연잎추출액 100중량부에 유산균 6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4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생수 47중량%, 진간장 20중량%, 맛술 20중량%, 생강 0.9중량%, 팔각 0.08중량%, 양파 7중량%, 대파 0.9중량%, 배 3중량%, 정향 0.01중량%, 마늘 1중량%, 월계수잎 0.01중량% 및 후추 0.1중량%를 혼합하여 양념장을 제조하였다.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5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90분 동안 삶았다.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도 1 참조)를 이용하여 성형시켰다.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슬라이스하여 돼지머리 편육을 제조하였다. (도 2 참조)
실시예 1에서,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50중량부를 가할 때,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식감 향상제 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돼지머리 편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식감 향상제는 건블루베리 90중량% 및 블루베리퓨레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건블루베리는 블루베리 열매를 영하 25℃에서 3일 동안 1차 숙성한 다음, 6℃에서 10시간 동안 해동안 후에, 27℃에서 1일 동안 2차 숙성한 다음, 40℃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블루베리퓨레는 블루베리 착즙액 93중량%, 새싹보리 추출액 4중량% 및 자일리톨 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새싹보리 추출액은 새싹보리 100중량부에 90%(v/v) 에탄올 400중량부를 가하고 24℃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이취 개선제 5중량부를 가하고 3℃에서 10시간 동안 숙성하는 과정을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하여 돼지머리 편육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취 개선제는 고구마식초 90중량% 및 배추출액 1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고구마식초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고구마 50중량부를 가하고 11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고구마추출액을 수득하고, 상기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5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10분 동안 액화시키고, 상기 액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5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40분 동안 당화시키고, 상기 당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4중량부를 가하고 25℃에서 2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고,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7중량부를 가하고 28℃에서 5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한 후에, 상기 초산발효액을 25℃에서 4일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10중량부, 블랙베리 10중량부 및 마키베리 10중량부를 가하고 95℃에서 40분 동안 가열하에 베리추출액을 제조하고, 배를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배 100중량부에 상기 베리추출액 400중량부를 가하고 100℃에서 3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
5㎏중량 돼지머리의 머리털을 제거하고 화염으로 돼지머리 표면을 그을려 잔여털 제거 및 살균한 다음 흐르는 식수에 그을음이 사라질 때까지 세척을 하였다. 손질된 돼지머리를 깨끗한 물속에 7시간 담가 핏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골절기로 돼지머리를 반으로 절단하였다. 양념재료를 돼지머리에 대하여 중량비로 간장 17%중량, 양파 15중량%, 감초 7중량%, 대파 12중량%, 당귀 6중량%, 마늘 18중량%, 오향 7중량% 및 물엿 18중량%를 혼합 분쇄하여 혼합양념액을 형성하였다. 절단된 돼지머리와 혼합양념액을 솥에 잠기도록 투입하고 120℃로 일정하게 2시간 30분 동안 삶았다. 돼지머리를 꺼내어 상온에서 송풍기로 2시간 건조한 뒤에 냉장실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한 후, 진공필름으로 진공수축포장하여 냉장실에 1시간 냉각하여 돼지머리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돼지머리 원육을 반을 잘라서 골을 제거하고 나서 이를 찬물에 담가 핏물을 뺐다. 이어서 핏물이 제거된 돼지머리를 준비하였다. 물 1,000 중량부에, 연잎-황칠나무잎 발효 복합체 30 중량부, 탈지미강 3 중량부, 밀 식이섬유 7.5 중량부, 설탕 5 중량부, 소금 20 중량부, 마늘 8 중량부, 양파 15 중량부, 생강 3.5 중량부, 후추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숙성액을 제조하여, 그 숙성액에 돼지머리 원육을 담가 약 30시간동안 숙성하였다. 이후 상기 숙성 결과물을 물과 함께 약 4시간 동안 끓이다가, 뚜껑을 덮어 0.2㎏f/㎠의 압력에서 약 80분 동안 삶았다. 이어서 이를 식혀서 돼지머리 편육을 얻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편육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가공식품,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편육에 대하여 성인 남여 20명을 대상으로 맛, 식감 및 냄새 제거 정도에 대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방법은 7점 채점법으로서, 7점 : 매우 좋다, 6점 : 좋다, 5점 : 조금 좋다, 4점 : 보통이다, 3점 : 조금 나쁘다, 2점 : 나쁘다, 1점 : 매우 나쁘다, 로 나타내었는데, 그 평가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식감 냄새 제거 정도
실시예 1 6.3±0.42 6.1±0.41 6.2±0.59
실시예 2 6.3±0.34 6.9±0.72 6.2±0.16
실시예 3 6.7±0.68 6.1±0.76 6.9±0.62
비교예 1 3.3±0.43 3.2±0.68 3.1±0.32
비교예 2 4.3±0.72 4.2±0.82 4.1±0.62
상기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돼지머리 편육은 맛, 식감, 냄새 제거 정도에서 있어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2의 돼지머리 편육은 실시예 1에 비하여 식감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평가를 나타냈으며, 실시예 3의 돼지머리 편육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냄새 제거 정도에 있어서 더욱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가공식품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돼지머리 편육은 실시예 1에 비하여 맛, 식감 및 냄새 제거 정도에 있어서 미흡한 평가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돼지 머리를 세척하는 단계(단계 1);
    양념장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상기 양념장 200~250중량부를 가하고 100~105℃에서 60~90분 동안 삶는 단계(단계 3);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양념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단계 4);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를 롤형태의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시키는 단계(단계 5); 및
    상기 성형된 돼지 머리를 절단하는 단계(단계 6);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복합발효액 100중량부에 돼지 머리 50~60중량부를 20~30℃에서 2~3시간 동안 침지한 후에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며,
    상기 복합발효액은 아로니아발효액 50~60중량%, 스테비아발효액 20~30중량% 및 연잎발효액 15~2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아로니아발효액은 아로니아 80~8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10~15중량% 및 자일로스 1~6중량%를 혼합한 후 25~30℃에서 2~3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며,
    상기 스테비아발효액은,
    스테비아잎을 140~150℃에서 30~35분 동안 덖음하는 단계;
    상기 덖음한 스테비아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800~90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15~20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스테비아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테비아잎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1~3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20~2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연잎발효액은,
    연잎을 2.0%(w/v) 농도의 자염수에 10~15℃에서 40~45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지된 연잎 100중량부에 정제수 500~600중량부를 가한 후 1.7~1.8기압, 95~10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연잎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잎추출액 100중량부에 유산균 6~8중량부를 가하고 25~3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여과하여 연잎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양념장은 생수 45~55중량%, 진간장 15~25중량%, 맛술 15~25중량%, 생강 0.1~1중량%, 팔각 0.01~0.1중량%, 양파 5~10중량%, 대파 0.1~1중량%, 배 1~5중량%, 정향 0.01~0.1중량%, 마늘 0.1~1중량%, 월계수잎 0.01~0.1중량% 및 후추 0.01~0.1중량%를 포함하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세척한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식감 향상제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되,
    상기 식감 향상제는 건블루베리 80~90중량% 및 블루베리퓨레 10~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건블루베리는 블루베리 열매를 영하 20~25℃에서 2~3일 동안 1차 숙성한 다음, 6~8℃에서 10~12시간 동안 해동안 후에, 25~27℃에서 1~2일 동안 2차 숙성한 다음, 40~42℃에서 30~40분 동안 건조하여 제조하며,
    상기 블루베리퓨레는 블루베리 착즙액 90~95중량%, 새싹보리 추출액 2~6중량% 및 자일리톨 1~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새싹보리 추출액은 새싹보리 100중량부에 90%(v/v) 에탄올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20~24℃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하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 이후에 상기 삶아진 돼지 머리 100중량부에 이취 개선제 1~5중량부를 가하고 1~5℃에서 10~12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가 추가되되,
    상기 이취 개선제는 고구마식초 80~90중량% 및 배추출액 10~2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고구마식초는,
    정제수 100중량부에 고구마 45~50중량부를 가하고 110~115℃에서 20~25분 동안 가열하여 고구마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액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10~15분 동안 액화시키는 단계;
    상기 액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당화효소 5~6중량부를 첨가하고 65℃에서 40~45분 동안 당화시키는 단계;
    상기 당화된 고구마추출액 100중량부에 효모 4~5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1~2일 동안 알코올 발효시켜 알코올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발효액 100중량부에 초산균 6~7중량부를 가하고 25~28℃에서 4~5일 동안 초산 발효시켜 초산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초산발효액을 22~25℃에서 3~4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며,
    상기 배추출액은,
    물 100중량부에 블루베리 6~10중량부, 블랙베리 6~10중량부 및 마키베리 6~10중량부를 가하고 90~95℃에서 40~45분 동안 가열하에 베리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배를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된 배 100중량부에 상기 베리추출액 300~400중량부를 가하고 96~100℃에서 30~35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여 배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KR1020210092605A 2021-07-15 2021-07-15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Active KR10263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05A KR102632313B1 (ko) 2021-07-15 2021-07-15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605A KR102632313B1 (ko) 2021-07-15 2021-07-15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94A KR20230013194A (ko) 2023-01-26
KR102632313B1 true KR102632313B1 (ko) 2024-02-02

Family

ID=8511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605A Active KR102632313B1 (ko) 2021-07-15 2021-07-15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3799B1 (ko) 2023-05-12 2024-09-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경푸드빌 두차돌 베이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747A (ko) * 1998-09-30 2000-04-25 김중삼 일정형상의 편육 제조방법
KR20100026394A (ko) 2008-08-29 2010-03-10 정종린 돼지머리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6790A (ko) * 2009-02-23 2009-03-13 차민호 돼지족발 편육 제조방법
KR20130135682A (ko) * 2012-06-02 2013-12-11 김혜성 한방 양념 돼지껍데기 편육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되는 한방 양념 돼지껍데기
KR20190045734A (ko) * 2017-10-24 2019-05-0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닭발 편육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194A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968B1 (ko) 돼지고기 숙성방법
KR102632313B1 (ko) 돼지머리 편육의 제조방법
KR102178337B1 (ko) 단감칩을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KR102413725B1 (ko) 초벌 막창 및 그 제조방법
KR102395314B1 (ko) 비빔오징어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3322A (ko) 천연 식품첨가제의 제조방법과 식품첨가제 및 식품첨가제를 이용한 육류 가공방법
KR102319457B1 (ko) 냉동 다시마 김치의 제조방법
KR100662014B1 (ko) 전복 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장조림
KR100665131B1 (ko) 전복 통조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통조림
JPH06225721A (ja) 発酵調味料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漬物調味料
CN112220011A (zh) 一种风味芦笋罐头及其制备方法
KR102654252B1 (ko)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용 양념장, 이를 이용한 녹차추출 발효물 함유 젓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959826A (zh) 一种风味榨菜及其制备方法
CN111149958A (zh) 一种复合苦笋汁的制备方法
KR102425007B1 (ko) 육류요리 전용 맛간장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육류요리 전용 맛간장
KR102771763B1 (ko) 감태 자리돔 젓갈 및 그 제조방법
KR102836776B1 (ko) 사찰식 김치의 제조방법
CN114365832B (zh) 一种酸菜底汤及其制备方法
KR102751337B1 (ko) 개선된 식감의 갈비탕 및 이의 제조 방법
JP6091250B2 (ja) 香辛調味液の製造方法および香辛調味ペーストの製造方法
KR102817350B1 (ko) 매운 초밥의 제조방법
KR102534992B1 (ko) 오징어 구이의 제조방법
KR102703837B1 (ko) 감태 자리돔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US1198020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adish meat with rich fiber and texture by processing radish
KR102800415B1 (ko) 물회 소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