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800B1 -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 Google Patents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1800B1 KR102631800B1 KR1020230007644A KR20230007644A KR102631800B1 KR 102631800 B1 KR102631800 B1 KR 102631800B1 KR 1020230007644 A KR1020230007644 A KR 1020230007644A KR 20230007644 A KR20230007644 A KR 20230007644A KR 102631800 B1 KR102631800 B1 KR 102631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dsole
- outsole
- groove
- lower plate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특히 밑창과 갑피가 일체로 성형되어지는 신발에 적용하여 종래보다 개선된 신발을 제공가능토록 한 것으로, 조립되는 아웃솔을 연결대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에서 연결대방향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하부판을 양측에서 가압하면 상부판이 일정각도로 접혀지도록 하여 미드솔의 결합홈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공간부로 인하여 성형할 경우에 냉각의 균일성과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sole of a shoe, and in particular to a shoe in which the sole and the upper are integrally molded,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sho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It is made of a lower plate, and a spac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able from the lower plate, so that when the lower plate is pressed from both sides, the upper plate is folded at a certain angle to provide ease of connection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This space allows for molding. In this case, it can provide uniformity and ease of coo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특히 밑창과 갑피가 일체로 성형되어지는 신발에 적용하여 종래보다 개선된 신발을 제공가능토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sole of a shoe, and in particular to a shoe in which the sole and the upper are integrally molded,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shoe compared to the prior art.
현재 신발이라고 하면 대부분 밑창(미드솔과 아웃솔)과 갑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의 신발은 밑창과 갑피가 각각 제조된 상태에서 후가공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Currently, most shoes are made up of a sole (midsole and outsole) and an upper. In most shoes, the sole and upper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n combined through post-processing.
또한 이러한 신발에서의 밑창은 착용자의 발바닥과 밀착될 수 있는 깔창(일명 인솔)이 상측에 구비될 수 있는 미드솔과 미드솔의 보호를 위한 아웃솔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ole of these shoes i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an insole (aka insol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and an outsole to protect the midsole.
또한 이러한 미드솔은 대부분 완충을 위하여 발포 또는 뻥튀기는 방식으로 발포되어질 수 있고, 아웃솔은 이러한 미드솔의 보호를 위하여 대부분 미드솔의 바닥면에 쉽게 훼손되지 않는 고무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most of these midsole can be foamed or puffed for cushioning, and the outsole is most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that is not easily damaged on the bottom of the midsole to protect the midsole.
그러나 최근에는 발포성형되어지는 미드솔의 다양한 재질의 개발로 아웃솔이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쉽게 훼손되지 않게 되는 재질로 발포성형되어짐으로 아웃솔을 보행시 지면과 강하게 밀착되거나 마찰될 수 있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아웃솔을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for foam-molded midsole, the outsole has been foam-molded into a material that is not used but is not easily damaged. Therefore, the outsole is only partially used in areas that may come into strong contact with or rub against the ground when walking. It can be attached.
따라서 이럴 경우에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아웃솔을 접착의 방식으로 부착할 경우에 접착제의 사용과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아웃솔의 다양한 형태의 성형과 성형된 아웃솔을 부착된 상태의 견고성과 수분등에 의하여도 쉽게 박리되지 않토록 하기 위하여 접착제의 선택과 이러한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의 경과 유지와 아웃솔을 부착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부착된 상태의 유지가 이러한 견고성과 박리가능성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 제조를 위하여 상당한 제조시간이 경과됨으로 인하여 결국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is case, when attaching a partially attached outsole using an adhesive method, the use of adhesive, the molding of various shapes of the outsole attached using adhesive, and the solidity and moisture of the molded outsole in the attached state can be easily removed. In order to prevent delamination, selection of adhesive, maintaining the adhesiv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attaching the outsole, and maintaining the attached state with a certain pressure while attaching the outsole can resolve this rigidity and the possibility of detachment. In this case, a significant amount of manufacturing time elapses for manufacturing, which may eventually lead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그러나 밑창과 갑피가 일체로 성형되어져 저렴한 가격으로 편안하게 착용가능토록 하기 위한 신발을 제조할 경우에는 이러한 접착의 방식으로 아웃솔을 부분적으로 접착할 경우에 불필요한 원가상승에 의하여 시장에서의 가격경쟁력의 저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when manufacturing shoes in which the sole and upper are integrally molded so that they can be worn comfortably at a low price, partially gluing the outsole using this adhesive method reduces price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due to an unnecessary increase in cost. can occur.
또한 이러한 아웃솔을 부분적으로 부착하는 방식은 제조자의 임의적인 선택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아웃솔의 부분적인 부착이 자신의 보행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아웃솔의 제공은 물론 제조시 원가를 절감가능토록 하는 방식이 요구되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partially attaching these outsoles is 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s arbitrary choice,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partial attachment of these outsole not only provides an outsole that can vary depending on the user's walking habits, but also reduces manufacturing costs. A method to enable savings was required.
따라서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조립형태의 아웃솔을 조립에 의하여 장착가능토록 제안된 것으로는 미드솔에 확장홈과 확장홈보다 작은 연결홈과 연결홈보다 넓은 안착홈이 구비되는 일정한 깊이의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대의 양단에 각각 연결대보다 폭이 큰 상부판과 하부판을 구비하고 상부판은 미드솔에 내입되어 확장홈에 내입토록 하고, 연결대는 연결홈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부판은 안착홈에 안착되게 결합토록 하여 결합된 이후에 결합홈에서 상기 조립될 수 있는 아웃솔이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하고 하부판은 미드솔의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노출면이 미드솔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아웃솔의 기능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Therefore, in response to this demand, it has been proposed that an assembled outsole can be installed by assembling a joint groove of a certain depth, which includes an expansion groove in the midsole, a connecting groove smaller than the expansion groove, and a seating groove wider than the connecting groove. ,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each having a wider width than the connecting rod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y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upper plate is inserted into the midsole and inserted into the expansion groove, and the connecting rod is positioned in the connecting groove while the lower plate It is coupled so that it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to prevent the outsole that can be assembled from being randomly removed from the coupling groove after being combined, and while the lower plate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of the midsole, the exposed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idsole, forming the outsole. This function is made possible.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조립되는 아웃솔이 발포성형되는 미드솔보다는 경질이면서 약간의 연성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결함홈에 결합할 경우에 결합에 어려움이 존재하여 반복적으로 결합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손목등에 상당한 무리가 발생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사용자가 직접 이러한 조립되는 아웃솔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종 뾰족한 공구를 사용할 경우에 잘못해서 미드솔에 손상(찢어짐)등을 유발토록 할 수 있다라는 단점이 존재함은 물론 미드솔과 조립되는 아웃솔의 서로 다른 강도의 차이로 인하여 보행도중에 발바닥에 압박이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또 다른 통증 유발원인이 될 수 있다라는 것이다.However, the disadvantage of this structure is that the assembled outsole is harder and has some ductility than the foam-molded midsole, so there is difficulty in joining it to the defective groove, so if the joining operation is repeated, significant damage to the worker's wrist, etc. There is a problem that work efficiency is reduced due to strain, and especially when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assembled outsole himself, using various sharp tools may cause damage (tearing) to the midsole by mistake. Not only does it have disadvantages, but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ngth between the midsole and the outsole assembled, pressur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while walking, which can become another cause of pain.
삭제delete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 통증원인의 해소와 동시에 조립되는 아웃솔의 성형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and is intended to improve the formability of the assembled outsole at the same time as eliminating the cause of pain as well as ease of assembly.
이를 위하여 조립되는 아웃솔을 연결대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판에서 연결대방향으로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하부판을 양측에서 가압하면 상부판이 일정각도로 접혀지도록 하여 미드솔의 결합홈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고, 이러한 공간부로 인하여 성형할 경우에 냉각의 균일성과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purpose, the assembled outsole consists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connecting rod, and a space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from the lower plate, so that when the lower plate is pressed from both sides, the upper plate is folded at a certain angle and is placed in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This is to provide ease of joining, and due to this space, uniformity and ease of cooling can be provided when molding.
또한 상기 상부판의 노출면을 하향만곡면으로 형성하여 미드솔의 결합홈에 삽입될 경우에 삽입의 용이성을 더욱더 우수하게 제공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도 착용자의 발바닥과의 밀착면을 최소로 하여 압박감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결대와 연결된 연결면이 경사각으로 이루어져 결합된 상태에서의 결합홈과의 결합력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formed as a downward curved surface to provide greater ease of insertion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and even in the inserted stat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is minimized to minimize pressure.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surfac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is formed at an inclined angle, so that the coupling force with the coupling groove in the combined state can be excellent.
또한 하부판의 노출면을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보다 외측테두리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보행시에 상기 조립되는 아웃솔의 노출면이 지면과 밀착될 경우에 미드솔보다 경도가 강한 상태에서도 경사면에 의하여 공간부가 벌어지면서 완충이 이루어져 보행시 부분 압박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edge rather than the part where the space is formed, so that when the exposed surface of the assembled outso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walking, the space opens due to the inclined surface even when the hardness is stronger than the midsole. It is cushioned to minimize partial pressure when walking.
따라서 공간부로 인하여 조립되는 아웃솔을 미드솔의 결합홈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가능토록하여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착용자가 임의적으로 조립되는 아웃솔을 다양한 형태의 것을 구매하여 착용자가 스스로 교환가능토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시 미드솔보다 단단한 경도를 갖는 조립되는 아웃솔로 인하여 착용후 발바닥에 전될되는 압박감을 공간부로 인하여 외측으로 벌어짐에 의하여 압박의 분산효과로 최소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공간부가 형성된 하부판의 노출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지면과의 밀착시 이러한 공간부가 좌우로 벌어짐이 반복되면서 압박감도 제거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outsole due to the space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which not only improves productivity, but also allows the wearer to exchange the outsole on his own by purchasing various types of outsoles that are arbitrarily assembled. Of course, due to the assembled outsole, which has a harder hardness than the midsole when used,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sole after wearing can be minimized by dispersing the pressure by spreading outward due to the space, and the exposed surface of the lower plate where this space is formed is It is made of an inclined surface, so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is space repeatedly opens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eliminating pressure.
도1은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의 외관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의 또 다른 일실시예
도3a,b는 도1 및 도2의 단면도.
도4a,b는 도3a,b의 공간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부판이 접혀진 상태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의 또 다른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이 하부판에 구비되는 경사면에 의하여 탄성작동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이 미드솔의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조립되는 아웃솔의 하부판의 노출면에 요철부가 구비된 상태의 일실시예Figure 1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external state of the assembled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ed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Figures 1 and 2.
Figure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upper plate in a folded state while the space portion of Figures 3a and b is presse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sole being assem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nother space portion is forme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elastically operated by an inclined surface provided on the lower plat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out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Figure 8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uneven portions are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lower plate of the outsole to be assembled.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dictionary meaning,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express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may exist.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조립되는 아웃솔(100)과 상기 조립되는 아웃솔(10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결함홈(210)이 구비되는 미드솔(2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to 8,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dsole 200 provided with an assembled outsole 100 and a defect groove 210 through which the assembled outsole 100 can be detachably coupled. It comes true.
이때 미드솔(200)에 구비되는 결합홈(210)은 상측으로부터 좌우로 연통되게 구비되는 확장홈(211a)이 구비되는 상부홈(211)과 상기 확장홈(211a)보다 평면단면적이 작은 연결홀(212)과 상기 연결홀(212)보다 넓은 평면단면적을 갖는 안착홈(213a)이 구비되는 하부홈(213)이 구비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210 provided in the midsole 200 is an upper groove 211 provided with an expansion groove 211a that communicat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eft and right, and a connection hole having a smaller plana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expansion groove 211a ( 212) and a lower groove 213 including a seating groove 213a having a larger plana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onnection hole 212.
이때 안착홈(213a)은 가능하면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하며, 이러한 깊이는 조립되는 아웃솔의 하부판(130)의 일정한 두께를 감쌀 수 있는 정도를 유지 가능토록 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seating groove 213a should have a certain depth if possible, and it is better to maintain this depth at a level that can cover a certain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assembled outsole.
본 발명에서는 결합홈(210)의 깊이를 미드솔의 전체 두께의 1/2~2/3의 깊이로 하는 것이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인솔을 통하여 발바닥에 전달되는 압박감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하여는 단단한 인솔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coupling groove 210 is set to a depth of 1/2 to 2/3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midsole to minimize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through the insole when worn by the wearer. To relieve this pressure, a solid insole can be provided.
또한 아웃솔을 구성하는 상부판(110)의 돌출테두리(110a)가 끼임되는 미드솔의 확장홈(211a)은 상부판(110)이 결합후 임의적인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이면서 긴밀한 밀착이 가능토록 될 수 있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아웃솔의 연결대(120)가 끼임되는 연결홀(212)의 중앙으로는 하부판(130)에서 공간부(140)가 형성될 경우에 연결대(120)에도 연통되어 상향될 수 있게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고, 가능하면 상부판(110)의 직경의 2/3이상으로 하는 것이 지지력이나 결합력 등에 가장 좋다.In addition, the expansion groove (211a) of the midsole, into which the protruding border (110a) of the upper plate (110) constituting the outsole, is inserted, is sufficient to prevent the upper plate (110) from falling out after being coupled, and to enable close adhesion. It is better to make it as large as possible, and when a space 140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30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hole 212 where the outsole connecting rod 120 is inserted, it also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ng rod 120 and moves upward. It is best to have a constant diameter as much as possible, and if possible, it is best to have more than 2/3 of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110 for support or coupling strength.
또한 미드솔의 하부홈(213)을 구성하는 안착홈(213a)의 깊이는 하부판(130)의 높이보다 약간 얕게 구비하여 하부판(130)이 안착홈(213a)에서 안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게 되면서도 지면과의 밀착시 하부판(130)의 노출면(131)이 지면과 밀착되면서 공간부(140)로 인하여 외측으로 벌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depth of the seating groove 213a constituting the lower groove 213 of the midsole is slightly shallower than the height of the lower plate 130, so that the lower plate 130 does not flow while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3a and remains on the ground.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30, it is better to allow the exposed surface 131 of the lower plate 13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and open outward due to the space 140.
또한 상기 미드솔(200)의 결합홈(210)에 조립결합되는 아웃솔(100)은 연결대(12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10)과 하부판(130)이 연결대(120)의 양단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하부판(130)에서 연결대(120)의 방향으로는 공간부(140)를 아웃솔의 바닥면에서 상부판과 급접되는 위치가지 개구되게 형성하여 하부판(130)의 테두리에서 양측으로 가압하면 상부판(110)의 돌출테두리(110a)가 하향되게 일정각도로 접혀지도록 하여 미드솔(200)의 결합홈(210)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sole 100 assembl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200 is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110 and a lower plate 13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nnecting rod 120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120. In the lower plate 130,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bar 120, a space portion 140 is formed to be open from the bottom of the outsole to a position in sharp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and when pressed from the edge of the lower plate 130 to both sides, the upper The protruding edge 110a of the plate 110 can be fold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to provide ease of coupling to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200.
또한 본 발명에서의 조립되는 아웃솔(100)은 이러한 공간부(140)로 인하여 고무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사출성형의 방식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반죽된 고무원료를 가황하는 방식으로 프레스 성형할 경우에도 성형된 이후에 냉각의 균일성과 성형의 용이성을 제공토록 할 수 있어 제조의 용이성과 품질의 우수성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utsole 100 assemb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lastic with rubber properties due to the space 140, and is molded by injection molding or press molding by vulcanizing the kneaded rubber raw material. Afterwa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uniformity of cooling and ease of molding, thereby providing ease of manufacturing and excellence in quality.
또한 이때 본 발명에서의 상기 상부판(110)의 노출면을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하향만곡면(111)으로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140)에 의하여 미드솔의 상부홈(211)의 결합홈(211a)에 결합을 위하여 접힘될 경우에 상부판(110)의 돌출테두리(110a)가 접혀지는 접힘각이 더욱더 커지도록 하면서 미드솔의 결합홈(210)에 삽입될 경우에 삽입의 용이성을 더욱더 우수하게 제공하면서도 삽입된 상태에서의 착용자의 발바닥과의 밀착면을 최소로 하여 압박감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0)을 연결대(120)와 연결된 연결면(112)이 하향경사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미드솔의 결합홈(210)의 확장홈(211a)과 연결홀(212)의 연결된 부분에서 결합된 상태에서의 확장홈(211a)의 바닥면(211b)을 가압하게 되어 결합력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부판(110)이 얇게 이루어질 경우에도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빠짐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결합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lso,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is formed as a downwardly curved surface 111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upling groove 211a of the upper groove 211 of the midsole is formed by the space 140. When folded for coupling, the folding angle at which the protruding edge 110a of the upper plate 110 is folded becomes larger, and whe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it provides greater ease of insertion. By minimizing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in the inserted state, pressur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connection surface 11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 120 of the upper plate 110 is formed at a downward angle so that the expansion groove 211a of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and the connection hole 212 ), the bottom surface (211b) of the expansion groove (211a) in the coupled state is pressed at the connected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coupling force.
Because of this, even when the upper plate 110 is made thin, arbitrary separation can be prevented in the coupled state, and at the same time, ease of coupling can be provided.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30)의 노출면(131)을 공간부(140)가 형성된 부분에서 외측테두리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면(132)으로 형성하여 보행시에 상기 조립되는 아웃솔(100)의 노출면(131)이 지면과 밀착될 경우에 아웃솔이 미드솔(200)보다 경도가 강한 상태에서도 공간부(140)와 하향되는 경사면(132)로 인하여 스스로 완충이 이루어져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될 수 있는 부분 압박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exposed surface 131 of the lower plate 13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2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edge from the portion where the space 140 is formed, so that the outsole 100 assembled when walking ), when the exposed surface 13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even when the outsole is harder than the midsole 200, the space 140 and the downward slope 132 provide self-absorbing cushioning, so that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walking. This was done to minimize possible pressure on the area.
또한 상기 공간부(140)를 도5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대(120)에서 하부판(130)으로 가면서 확장토록 할 경우에는 상부판(110)의 만곡면(111)으로 이루어지는 돌출테두리(110a)가 접혀지는 정도가 더욱더 커지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하부판(130)의 공간부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하향되게 경사면(132)으로 구비될 경우에는 벌어짐이 더욱더 용이하여 완충이 더욱더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space 140 is expanded from the connecting base 120 to the lower plate 130 as shown in FIGS. 5 and 7, a protruding border made of the curved surface 111 of the upper plate 11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gree to which 110a) is folded becomes even larger, and when the space part of the lower plate 130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132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edge, it is easier to open and the cushioning can be improved. There is.
또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30)의 살두께가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면을 외측으로 벌어지는 하향되는 방향으로 경사면(133)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미드솔(200)의 결합홈(210)을 구성하는 하부홈(213)의 안착홈(213a)에 안착된 상태에서의 안착홈(213a)의 측면(213b)을 가압토록 하여 안착의 긴밀성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3b, when the outer edge surface where the flesh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130 is forme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3 in a downward direction that spreads outward,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20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ightness of seating by pressing the side surface 213b of the seating groove 213a in the state of being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3a of the lower groove 213.
또한 접혀짐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하부판(130)의 노출면(131)에 요철면을 형성할 경우에는 이러한 요철면에 의하여 하부판을 가압할 경우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져서 적은 힘으로도 가압의 용이성을 제공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논슬립의 기능도 제공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n uneven surface is formed on the exposed surface 131 of the lower plate 130 to facilitate folding, when the lower plate is pressed by this uneven surface, the thickness becomes relatively thin, making it easy to press with little force. can be provided, and the non-sleep function can also be provided.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00)의 결합홈(210)을 형성하는 상부홈(211)의 확장홈(211a)을 절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구비토록 함으로서 상부판(110)의 하향만곡면(111)이 직사각형의 상부홈(211)의 상면(211b)과 밀착될 경우에 하향만곡면(111)의 중앙부분이 상부홈(211)의 상면(211b)을 가압하게 되면서 상부홈(211)의 상면(211b)과 틈새가 없이 긴밀한 밀착유지가 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expanded groove 211a of the upper groove 211, which forms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200,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cut surface to form a downward curved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 When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11b of the rectangular upper groove 211, the central part of the downward curved surface 111 presses the upper surface 211b of the upper groove 211, causing the upper groove 211 to It is possible to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11b without a gap.
또한 본 발명에서의 조립되는 아웃솔(100)의 연결대(12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120a)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미드솔(200)의 연결홀(212)에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미드솔(200)을 지면과 끌고 다닐 경우에도 미드솔에 조립된 상태에서 아웃솔(1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120 of the outsole 100 assembl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olyhedron 120a as shown in Figure 3b, so that it is rotated while tightly coupled to the connection hole 212 of the midsole 200. By preventing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sole 100 from rotating while assembled on the midsole even when the midsole 200 is dragged on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조립되는 아웃솔(1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착용자의 발바닥의 혈자리에 위치토록 할 경우에는 보행도중에 이러한 혈자리를 지압하는 효과도 발생가능토록 하고, 이럴 경우에 착용자의 요구에 따라 경도가 다른 조립되는 또 다른 아웃솔을 구매하여 결합함으로서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발바닥의 지압도 다양한 상태로 지압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osition where the assembled outsole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is located at the acupuncture point on the sole of the wearer's foot, the effect of acupressure such acupuncture point during walking can also be generated, and in this case, the wearer's request can be achieved. By purchasing and combining another outsole with different hardne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cupressure to the soles of the feet in various states according to the wearer's needs.
100:아웃솔
110:상부판 110a:돌출테두리
111:하향만곡면 112:연결면
120:연결대 130:하부판
131:노출면 132:경사면
133:경사면
140:공간부
200:미드솔
210:결합홈 211:상부홈
211a:확장홈 211b:상면
212:연결홀 213:하부홈
213a:안착홈 213b:측면100:Outsole
110: Upper plate 110a: Protruding border
111: Downward curved surface 112: Connection surface
120: Connecting rod 130: Lower plate
131: exposed surface 132: inclined surface
133:Slope
140: Space department
200: Midsole
210: Combining groove 211: Upper groove
211a: Expansion groove 211b: Top surface
212: Connection hole 213: Lower groove
213a: Seating groove 213b: Side
Claims (6)
상기 하부판(130)에서 연결대(120)의 방향으로는 공간부(140)를 형성하여 상부판과 근접되게 개구되어져 하부판(130)의 테두리를 양측으로 가압하면 상부판(110)의 노출면이 하향만곡면으로 이루어져 돌출테두리(110a)가 하향되게 일정각도로 접혀지도록 하여 미드솔(200)의 결합홈(210)에 결합의 용이성과 보행시 하부판이 탄성작동되어지고,
상기 미드솔의 결합홈을 형성하는 상부홈은 확보되는 공간을 절단면을 직사각형으로 구비하여 상기 아웃솔의 상부판의 하향만곡면의 중앙부분이 만곡되게 돌출되어져 상부홈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결합되어져 틈새가 없이 긴밀한 밀착유지가 가능토록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The outsole 100, which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upper groove having expansion grooves to the left and right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nection hole of the midsole and the lower groove having left and right seating grooves at the bottom,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a relatively small diameter connection bar at the upper part. It is made up of a plate and a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has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late, and the rim of the upper plate is tightly coupled to the expansion groove, the connecting rod is tightly adher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the rim of the lower plate is in the seating groove. In tightly fitting so that the exposed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exposed at the midsole,
In the lower plate 130, a space 140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ng rod 120 and is opened close to the upper plate. When the edges of the lower plate 130 are pressed on both sides, the exposed surface of the upper plate 110 is downward. It is made of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protruding edge (110a) is folded downward at a certain angle, so that it is easy to connect to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midsole 200 and the lower plate operates elastically when walking.
The upper groove forming the coupling groove of the midsole has a rectangular cut surface to secure the spac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wnward curved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outsole is curved and protrudes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groove and engage without a gap.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with a detachable outsole using an assembly method that allows for tight adhesion.
상기 연결대(120)와 연결되어 외측으로 펼쳐지는 상부판의 연결면(112)을 하향경사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부홈(211)의 바닥면을 가압하면서 밀착토록 하여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면서 상부판(110)이 임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nection surface 112 of the upper plat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tand 120 and spreads outward, is inclined at a downward angle to press and adher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groove 211,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and attaching the upper plate 110 )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with a detachable outsole using an assembly method that prevents the sole from falling out arbitrarily.
상기 하부판(130)의 노출면(131)을 공간부(140)가 형성된 부분에서 외측테두리방향으로 하향되는 경사면(132)으로 형성하여 보행시에 상기 아웃솔(100)의 노출면(131)이 지면과 밀착될 경우에 미드솔(200)보다 경도가 강한 상태에서도 공간부(140)와 하향되는 경사면으로 인하여 스스로 완충이 이루어져 보행시 발바닥에 전달될 수 있는 부분 압박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posed surface 131 of the lower plate 130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2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edge from the portion where the space 140 is formed, so that the exposed surface 131 of the outsole 100 is on the ground when walking. In the case of excessive adhesion, even in a state of stronger hardness than the midsole 200, the space 140 and the downward slope provide self-absorbing cushioning to minimize partial pressure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walking.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with a detachable outsole using an assembly method.
상기 공간부(140)를 상부판과 근접된 상태에서 연결대(120)에서 하부판(130)으로 가면서 점차 외측으로 확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with a detachable outsole using an assembly method in which the space portion 140 is gradually expanded outward from the connection bar 120 to the lower plate 130 while being close to the upper plate.
상기 아웃솔의 하부판(130)의 살두께가 형성되는 외측 테두리면을 하향되는 방향으로 점차 넓게 이루어지게 경사면(133)으로 형성하여 미드솔(200)의 하부홈을 구성하는 안착홈(213a)의 측면(213b)을 가압하면서 결합되어 결합의 긴밀성도 우수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uter edge surface on which the thickness of the lower plate 130 of the outsole is formed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133 to gradually become wider in a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side of the seating groove 213a constituting the lower groove of the midsole 200 ( 213b)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with a detachable outsole using an assembly method that is combined while pressing to improve the tightness of the connection.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기 연결대(120)의 외측면을 다각형으로 구비하여 연결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방식으로 아웃솔이 탈착되어지는 미드솔이 구비되는 신발.According to claim 1 or 2,
A shoe equipped with a midsole in which the outsole is detachable by an assembl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ase 120, where a space is formed inside, is polygonal to prevent arbitrary rotation while coupled to the connecting hole.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7644A KR102631800B1 (en) | 2023-01-18 | 2023-01-18 |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7644A KR102631800B1 (en) | 2023-01-18 | 2023-01-18 |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1800B1 true KR102631800B1 (en) | 2024-02-01 |
Family
ID=8985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7644A Active KR102631800B1 (en) | 2023-01-18 | 2023-01-18 |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180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109Y1 (en) * | 2002-01-18 | 2002-05-03 | 최기화 | shoes for preventing slip |
KR200434497Y1 (en) * | 2006-09-29 | 2006-12-21 | 조성희 | Sole |
KR20090060970A (en) * | 2009-04-22 | 2009-06-15 | 남주희 | Non slip shoes |
KR102208414B1 (en) * | 2020-01-21 | 2021-01-27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nti-slip device for Shoe |
KR20210030741A (en) * | 2019-09-10 | 2021-03-18 | 김진걸 | Shoe sole and midsole combination |
KR102304708B1 (en) * | 2020-02-19 | 2021-09-24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Block type out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oe inculding the same |
-
2023
- 2023-01-18 KR KR1020230007644A patent/KR10263180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4109Y1 (en) * | 2002-01-18 | 2002-05-03 | 최기화 | shoes for preventing slip |
KR200434497Y1 (en) * | 2006-09-29 | 2006-12-21 | 조성희 | Sole |
KR20090060970A (en) * | 2009-04-22 | 2009-06-15 | 남주희 | Non slip shoes |
KR20210030741A (en) * | 2019-09-10 | 2021-03-18 | 김진걸 | Shoe sole and midsole combination |
KR102208414B1 (en) * | 2020-01-21 | 2021-01-27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Anti-slip device for Shoe |
KR102304708B1 (en) * | 2020-02-19 | 2021-09-24 |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 Block type out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oe inculding the sam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삭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097781A1 (en) | Footwear with a separable foot-receiving portion and sole structure | |
US9265303B2 (en) | Insole pad for footwear | |
KR101601673B1 (en) | Aqua shoes having non-slip structure | |
JP2004524130A (en) | Sole with expandable structure, footwear having the so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EP2792263A1 (en) | Footwear | |
US20110214310A1 (en) | Shoe chassis | |
JP2023513959A (en) | Footwear midso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 |
US20130326905A1 (en) | Energy wave sockliner | |
KR102631800B1 (en) | Shoes equipped with a midsole that can be detached and detached by assembly | |
JPS5928903A (en) | Shoes equipped with freely detachable heels and insole system of shoes | |
US20050283997A1 (en) | Shoe sole and molds for makig the sole | |
EP1263302B1 (en) | Method of fabricating a footwear item | |
EP2465372A1 (en) | Leather shoe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KR101080873B1 (en) | Shoes with a pattern integrated lower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030182822A1 (en) | Shoe with ergonomic insole unit | |
KR102724817B1 (en) | Non-adhesive production method of foam urethane slippers | |
KR200418404Y1 (en) | Sole | |
KR20240001896U (en) | Safety boots with an inner tread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dsole | |
JP3109846U (en) | Sole insole structure | |
JP3073482U (en) | Top plate for footwear | |
KR101343658B1 (en) | shoes | |
KR101276899B1 (en) | Practicality shoes with forced ventilation | |
JP2021053229A (en) | Shoe | |
GB2517189A (en) | Footwear and methods of making footwear | |
JPS6236405Y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