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30839B1 -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839B1
KR102630839B1 KR1020230054910A KR20230054910A KR102630839B1 KR 102630839 B1 KR102630839 B1 KR 102630839B1 KR 1020230054910 A KR1020230054910 A KR 1020230054910A KR 20230054910 A KR20230054910 A KR 20230054910A KR 102630839 B1 KR102630839 B1 KR 102630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structure
sliding
block
measu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용석
권오성
황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054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8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01B3/563Protr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에 수직구조물이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 상에 세워지는 형태로 구비된 기둥판;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에 횡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중앙부에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딩홀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횡방향 일측 단부가 수직구조물에 밀착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억제하여 고정을 유도하는 고정유도판;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밀착되어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각도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상기 제1측정부의 밀착 시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Vertical structur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이나 탄성받침 또는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 등과 같은 수직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해 각도 또는 길이 등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각이나 탄성받침 또는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 등과 같은 수직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안전진단시에는 변위 측정이 이루어진다.
예컨대, 교량의 교각이나 탄성받침 또는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 등의 변형량을 측정해 냄으로써 안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전기적인 계측장비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때 전기적인 계측장비는 변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전기회로와 전기적 구동이 필요함과 더불어 전문가의 측정 시스템 운영이 필요하다.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구조물의 측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구조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고 상기 거리측정부를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와,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측정된 구조물과의 수평 거리 변화로부터 지면에 대한 구조물의 기울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조물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조물의 측면과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측정함으로써, 구조물 전체 및 특정 부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 기울기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은 전기적 회로와 기구적인 구성을 갖추어야 함에 따른 사용방법이 숙지되어야 하고, 측정 준비가 길어져 신속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57호(2018.07.0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구조물의 변위를 수시로 계측하여 이상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직구조물이 설치된 현지에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변위 측정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여 미숙련자도 수직구조물의 변위를 언제든지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수직구조물이 지지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 또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물 전체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효율을 높여 구조물의 붕괴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는, 상면에 수직구조물이 설치되거나 수직구조물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형태로서 변위 측정의 기준면에 해당하는 하부구조물 상에서 수직구조물과 인접한 상면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일체로 상기 받침판 상에 세워지는 형태로 구비된 기둥판;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횡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와 제1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딩홀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횡방향 일측 단부가 수직구조물에 밀착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 후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후면과 상기 제1회전축의 후단부 사이에 제3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하측 단부의 횡방향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억제하여 고정을 유도하는 고정유도판; 상기 슬라이딩판의 횡방향 일측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도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에서 상기 각도기의 횡방향 타측 부위에 제1지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밀착되어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각도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홀에 인접한 부위의 상기 슬라이딩판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전면에 제2지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상기 제1측정부의 밀착 시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횡방향 일측 단부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면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각도기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간격을 가지며 조절볼트를 통해 체결된 밀착블록; 상기 밀착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밀착되는 측정블록; 및 상기 조절볼트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블록의 횡방향 일측면과 상기 밀착블록의 횡방향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블록과 밀착블록을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착블록은 종방향 중앙부에 제3지침부재를 형성하고 횡방향 일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측정블록은 횡방향 타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되고 전면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유도판을 후방으로 당겨 상기 제3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는 것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슬라이딩판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직구조물이 지지하고 있는 상부구조물에 상기 측정블록이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유도판을 놓아 상기 제3탄성부재의 압축을 해제시키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다시 억제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를 통해 수직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거나 수직구조물과는 별도로 변형이 발생한 상부구조물의 변형 각도와 길이를 측정하면서 상부구조물과 밀착을 이루고 있는 상기 측정블록이 상부구조물의 변형에 따라 발생한 경사에 의해 횡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이룬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수직구조물의 변위를 수시로 계측하여 이상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직구조물이 설치된 현지에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고, 변위 측정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여 미숙련자도 수직구조물의 변위를 언제든지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직구조물이 지지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 또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 전체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효율을 높여 구조물의 붕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통해 수직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지지판과 슬라이딩판을 회전시키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구성과 이들 구성에 따른 작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겠으며, 종래와 동일 내지 동일 범주에 있는 기술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이나 탄성받침 또는 건축물의 벽체나 기둥 등과 같은 수직구조물의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해 각도 또는 길이 등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0), 기둥판(20), 지지판(30), 슬라이딩판(40), 고정유도판(50), 제1측정부(60) 및 제2측정부(70)를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받침판(10)은, 도 1, 도 2, 도 5, 도 6 및 도 8과 같이, 상면에 수직구조물(1)이 설치되거나 수직구조물(1)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형태로서, 변위 측정의 기준면에 해당하는 하부구조물(2) 상에서 수직구조물(1)과 인접한 상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받침판(10)은, 도 1, 도 2, 도 6 및 도 8과 같이, 받침판(10) 또는 받침판(10)을 포함하는 측정장치의 자중에 의해 하부구조물(2)에 거치되는 설치를 이루어 필요에 따라 수시로 수직구조물(1) 또는 수직구조물(1)이 지지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상부구조물(3)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고, 도 5와 같이, 하부구조물(2)에 앵커(A)로 고정되는 설치를 이루어 수직구조물(1) 또는 상부구조물(3)의 변위를 상시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둥판(20)은,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받침판(10)과 일체로 받침판(10) 상에 세워지는 형태로 구비된 형태일 수 있고, 상측 단부에 후술하는 지지판(30)과 슬라이딩판(4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회전축(2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지판(30)은,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기둥판(20)의 상측 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가 기둥판(20)의 상측 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회전축(2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판(30)은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후술하는 슬라이딩판(4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면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32)를 형성하여 슬라이딩판(40)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판(40)은,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지지판(30)의 전면에 인접하거나 면접촉을 이루면서 제1회전축(2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가 지지판(30)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와 제1탄성부재(31)를 통해 연결되고, 중앙부에 제1회전축(21)이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딩홀(41)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가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딩판(40)은 제1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은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최초 받침판(10)이 하부구조물(2)에 설치될 때, 제1탄성부재(31)가 어느 정도 압축을 이룰 수 있는 위치에서 받침판(10)이 하부구조물(2) 상에 배치됨이 바람직하고, 이는 제1탄성부재(31)의 탄성적인 신장과 압축에 의해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는 슬라이딩판(40)의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가 수직구조물(1)이 횡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변형에 대응하여 제1탄성부재(31)가 신장 또는 압축을 이루면서 슬라이딩판(40)의 횡방향 일측 단부가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수직구조물(1)이 횡방향 일측(좌측)으로 기울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경우, 제1탄성부재(31)는 어느 정도 압축된 최초 상태에서 횡방향 일측으로 신장되어 슬라이딩판(40)을 횡방향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수직구조물(1)이 횡방향 타측(우측)으로 기울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경우, 제1탄성부재(31)는 어느 정도 압축된 최초 상태에서 횡방향 타측으로 더 압축되어 슬라이딩판(40)을 횡방향 타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고정유도판(50)은,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기둥판(20)의 상측 단부 후면에 인접하거나 면접촉을 이루도록 제1회전축(21)에 결합되고, 후면과 제1회전축(21)의 후단부 사이에 제3탄성부재(51)가 개재되는 설치를 이루어 제1회전축(21)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하측 단부의 횡방향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52)를 형성하여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의 회전을 억제하여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이 배치된 상태의 고정을 유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방지돌기(52)는 지지판(30) 또는 지지판(30)의 가이드돌기(32) 하측 또는 횡방향 좌측과 우측(후술하는 지지판(30)과 슬라이딩판(40)의 회전에 의해 제1측정부(60)의 측정블록(67)이 상부구조물(3)에 밀착된 상태일 때 적용될 수 있음)에서 면접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지지판(30)과 슬라이딩판(40)의 회전을 방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측정부(60)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6, 도 8 및 도 9와 같이, 슬라이딩판(40)의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회전축(61)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도기(62)를 구비하고, 슬라이딩판(40)에서 각도기의 횡방향 타측 부위에 제1지침부재(63)를 형성하여 슬라이딩판(4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어 수직구조물(1)의 변형에 따른 경사의 각도를 측정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측정부(60)는, 각도기(62)의 횡방향 일측 단부(좌측 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지지블록(64)과, 지지블록(64)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간격을 가지며 조절볼트(65)를 통해 체결된 밀착블록(66)과, 밀착블록(66)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판(4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면접촉되면서 밀착되는 측정블록(67)과, 조절볼트(65)를 감싸면서 지지블록(64)의 횡방향 일측면과 밀착블록(66)의 횡방향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는 설치를 이루어 지지블록(64)과 밀착블록(66)을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68)를 포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측정부(60)는, 제1탄성부재(31)의 탄성적인 신장 또는 압축에 의해 측정블록(67)이 수직구조물(1)에 면접촉되는 형태로 밀착됨과 동시에 수직구조물(1)의 변형에 따른 경사 각도에 대응하도록 제2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기(62)가 수직구조물(1)의 변형에 따른 경사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측정부(60) 전체가 경사에 대응하는 형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직구조물(1)이 변형된 각도를 각도기(62)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고, 이는 후술할 상부구조물(3)의 변위를 측정하는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정부(70)는,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8과 같이, 슬라이딩홀(41)에 인접한 부위의 슬라이딩판(40)에 좌우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M)을 형성하고, 제1회전축(21)의 전면에 제2지침부재(71)를 형성하여 슬라이딩판(40)의 횡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1)에 제1측정부(60)의 밀착 시 수직구조물(1)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는,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교량이나 건축물 등의 전체 구조물에서 수직구조물(1)이 지지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상부구조물(3)의 변위 또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밀착블록(66)은 후술하는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키기 전을 기준하여 종방향 중앙부에 제3지침부재(66a)를 형성하고 횡방향 일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딩돌기(66b)를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측정블록(67)은 후술하는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키기 전을 기준하여 횡방향 타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67a)을 형성하여 슬라이딩돌기(66b)에 결합되고 전면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M)을 형성한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조절볼트(65)는 지지블록(64)과 밀착블록(66)에 동시에 삽입 체결되되, 지지블록(64)에 삽입된 부위에서는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을 이루고, 밀착블록(66)에 삽입된 부위에서는 체결을 위한 회전은 배제한 상태에서 밀착블록(66)의 내측에 끼워져 결합만 되어 있는 상태로 구비되어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조절볼트(65)의 회전을 통해 밀착블록(65)을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키기 전을 기준하여 밀착블록(66)의 횡방향 일측면은 폐쇄된 상태로 조절볼트(65)가 밀착블록(66)에 삽입된 부위는 횡방향 일측으로 돌출될 수 없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고정유도판(50)을 후방으로 당겨 제3탄성부재(51)를 압축시키면서 회전방지돌기(52)가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는 것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제1측정부(6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1탄성부재(31)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킨 다음, 슬라이딩판(40)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직구조물(1)이 지지하고 있는 상부구조물(3)에 측정블록(67)이 밀착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상술한 제1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판(4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제1측정부(60)가 수직구조물(1)에 밀착되는 형태와 동일한 것이다.
즉, 제1측정부(60)는 제1탄성부재(31)의 탄성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은 상부구조물(3)에 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부구조물(3)이 상측으로 올라가거나 하측으로 내려가는 변형에 따른 제1탄성부재(31)의 탄성적인 신장과 압축에 의해 상부구조물(3)에 밀착되는 제1측정부(60)의 상측 단부(측정블록(67))가 상부구조물(3)이 상측으로 올라가거나 하측으로 내려가는 변형에 대응하도록 제1탄성부재(31)가 신장 또는 압축을 이루면서 측정블록(67)이 상부구조물(3)에 밀착되는 것이다.
예컨대, 도 8과 같이, 상부구조물(3)이 상측으로 올라가 횡방향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경우, 제1탄성부재(31)는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신장되어 슬라이딩판(40)을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고, 상부구조물(3)이 하측으로 내려가 횡방향 타측(우측)으로 기울어지는 변형이 발생할 경우, 제1탄성부재(31)는 어느 정도 압축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더 압축되어 슬라이딩판(40)을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정부(60)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1탄성부재(31)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킨 다음, 도 7과 같이, 고정유도판(50)을 놓아 제3탄성부재(51)의 압축을 해제시키면서 회전방지돌기(52)가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의 회전을 다시 억제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측정부(60)와 제2측정부(70)를 통해 수직구조물(1)의 변형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거나 수직구조물(1)과는 별도로 변형이 발생한 상부구조물(3)의 변형 각도와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탄성부재(31)의 탄성적인 신장 또는 압축에 의해 측정블록(67)이 상부구조물(3)에 면접촉되는 형태로 밀착됨과 동시에 상부구조물(3)의 변형에 따른 경사 각도에 대응하도록 제2회전축(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각도기(62)가 상부구조물(3)의 변형에 따른 경사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제1측정부(60) 전체가 경사에 대응하는 형태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부구조물(3)이 변형된 각도를 각도기(62)로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탄성부재(31)에 의해 슬라이딩판(4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거리를 제2측정부(70)를 통해 측정하는 것(슬라이딩판(40)에 상하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다수의 표시눈금(M)과, 제1회전축(21)의 전면에 형성된 제2지침부재(71)를 통한 측정)에 의해, 상부구조물(3)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게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밀착블록(66)과 측정블록(67)이 이루는 슬라이딩돌기(66b)와 슬라이딩홈(67b)의 결합을 통해, 상부구조물(3)과 밀착을 이루고 있는 측정블록(67)이 상부구조물(3)의 변형에 따라 발생한 경사에 의해 횡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이룬 길이를 측정블록(67)의 전면에 형성된 다수의 표시눈금(M)과 밀착블록(66)에 형성된 제3지침부재(66a)로 측정하는 것을 통해서도 상부구조물(3)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는, 측정블록(67)과 면접촉되면서 밀착을 이루는 상부구조물(3)의 바닥면이 이미 불균일하게 기울어진 상태에서 최초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조절볼트(65)를 통해 구현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조절볼트(65)는 지지블록(64)과 밀착블록(66)의 횡방향 양측(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킨 상태를 기준하여)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사각의 형태로 적용된 지지블록(64)과 밀착블록(66)의 횡방향 양측 전방과 후방(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회전시킨 상태를 기준하여)에 4개가 각각 배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조절볼트(65)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부구조물(3)이 이미 횡방향 좌측과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조절볼트(65)들을 각각 조이거나 풀러 밀착블록(66)의 횡방향 좌측 또는 우측을 밀어 올리거나 내려오게 하여 밀착블록(66)과 측정블록(67)이 상부구조물(3)이 이루는 경사에 대응하면서 밀착되도록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블록(64)은 수평을 이루는 것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절볼트(65)들을 풀거나 조이는 것을 통해 밀착블록(66)과 측정블록(67)이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고, 이 상태에서 제1측정부(60)의 각도기(62)를 통해 상부구조물(3)이 더 변형됨에 따라, 기울어지는 경사에 따른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1측정부(60)가 상부구조물(3)에 밀착을 유지하게 됨에 따른 슬라이딩판(4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길이 변형을 측정할 수 있음은 물론 측정블록(67)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한 상부구조물(3)의 변형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는, 수직구조물(1)의 변위를 수시로 계측하여 이상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수직구조물(1)이 설치된 현지에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고, 변위 측정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여 미숙련자도 수직구조물(1)의 변위를 언제든지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수직구조물(1)이 지지하는 상부구조물(3)의 변위 또한 측정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 전체의 안전점검 및 진단의 효율을 높여 구조물의 붕괴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을 상술한 상부구조물(3)의 변위 측정을 위한 회전과 반대로 회전시켜 제1탄성부재(31)가 상측에 위치하면서 측정블록(67)이 받침판(10) 상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측정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 보관 또는 운반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슬라이딩판(40)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회전축(21)은 슬라이딩홀(41)의 최상단(지지판(30) 및 슬라이딩판(40)이 상부구조물(3)의 변위를 측정하기 위해 회전하는 것과 반대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제1탄성부재(31)를 향하는 끝단)에 위치하게 되며, 제1탄성부재(31)는 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음과 더불어 고정유도판(50)의 회전방지돌기(52)에 의해 회전이 억제된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수직구조물 2 : 하부구조물
3 : 상부구조물 10 : 받침판
20 : 기둥판 21 : 제1회전축
30 : 지지판 31 : 제1탄성부재
32 : 가이드돌기 40 : 슬라이딩판
41 : 슬라이딩홀 50 : 고정유도판
51 : 제3탄성부재 52 : 회전방지돌기
60 : 제1측정부 61 : 제2회전축
62 : 각도기 63 : 제1지침부재
64 : 지지블록 65 : 조절볼트
66 : 밀착블록 66a : 제3지침부재
66b : 슬라이딩돌기 67 : 측정블록
67a : 슬라이딩홈 68 : 제2탄성부재
70 : 제2측정부 71 : 제2지침부재
A : 앵커 M : 표시눈금

Claims (4)

  1. 상면에 수직구조물이 설치되거나 수직구조물과 연결되어 지지하는 형태로서 변위 측정의 기준면에 해당하는 하부구조물 상에서 수직구조물과 인접한 상면에 설치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일체로 상기 받침판 상에 세워지는 형태로 구비된 기둥판;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횡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인접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가 상기 지지판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타측 단부와 제1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중앙부에 상기 제1회전축이 관통하는 장공 형태의 슬라이딩홀을 횡방향으로 형성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횡방향 일측 단부가 수직구조물에 밀착되는 슬라이딩판;
    상기 기둥판의 상측 단부 후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회전축에 결합되고, 후면과 상기 제1회전축의 후단부 사이에 제3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후단부와 연결되며, 하측 단부의 횡방향 양측에 전방으로 돌출된 회전방지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억제하여 고정을 유도하는 고정유도판;
    상기 슬라이딩판의 횡방향 일측 단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도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판에서 상기 각도기의 횡방향 타측 부위에 제1지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밀착되어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각도를 측정하는 제1측정부; 및
    상기 슬라이딩홀에 인접한 부위의 상기 슬라이딩판에 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을 형성하고, 상기 제1회전축의 전면에 제2지침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상기 제1측정부의 밀착 시 수직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길이를 측정하는 제2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횡방향 일측 단부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감싸도록 전방으로 절곡되면서 간격을 갖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전방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부는,
    상기 각도기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간격을 가지며 조절볼트를 통해 체결된 밀착블록;
    상기 밀착블록의 횡방향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밀착되는 측정블록; 및
    상기 조절볼트를 감싸면서 상기 지지블록의 횡방향 일측면과 상기 밀착블록의 횡방향 타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지지블록과 밀착블록을 연결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블록은 종방향 중앙부에 제3지침부재를 형성하고 횡방향 일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슬라이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측정블록은 횡방향 타측면에 종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딩돌기에 결합되고 전면 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가지며 다수의 표시눈금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유도판을 후방으로 당겨 상기 제3탄성부재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는 것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을 회전시킨 다음 상기 슬라이딩판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직구조물이 지지하고 있는 상부구조물에 상기 측정블록이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유도판을 놓아 상기 제3탄성부재의 압축을 해제시키면서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지지판 및 슬라이딩판의 회전을 다시 억제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측정부와 제2측정부를 통해 수직구조물의 변형으로 인해 변형이 발생하거나 수직구조물과는 별도로 변형이 발생한 상부구조물의 변형 각도와 길이를 측정하면서 상부구조물과 밀착을 이루고 있는 상기 측정블록이 상부구조물의 변형에 따라 발생한 경사에 의해 횡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이룬 길이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1020230054910A 2023-04-26 2023-04-26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Active KR10263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10A KR102630839B1 (ko) 2023-04-26 2023-04-26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910A KR102630839B1 (ko) 2023-04-26 2023-04-26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839B1 true KR102630839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910A Active KR102630839B1 (ko) 2023-04-26 2023-04-26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8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57B1 (ko) 1996-05-06 1999-05-15 박병재 노크 신호 증폭 장치
KR100897587B1 (ko) * 2007-11-16 2009-05-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부 결함 측정 장치
KR20120049037A (ko) * 2010-11-08 2012-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사 회전량 측정을 이용한 대변위 측정장치
KR20200041400A (ko) * 2018-10-11 2020-04-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경사도 측정값을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변위 측정방법
KR102385744B1 (ko) * 2021-05-31 2022-04-14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7457B1 (ko) 1996-05-06 1999-05-15 박병재 노크 신호 증폭 장치
KR100897587B1 (ko) * 2007-11-16 2009-05-1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용접부 결함 측정 장치
KR20120049037A (ko) * 2010-11-08 2012-05-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경사 회전량 측정을 이용한 대변위 측정장치
KR20200041400A (ko) * 2018-10-11 2020-04-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경사도 측정값을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변위 측정방법
KR102385744B1 (ko) * 2021-05-31 2022-04-14 주식회사 한국구조진단연구원 교량 신축이음부의 안전점검을 위한 휴대용 안전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9934B2 (ja) 機械製品の撓み試験機
KR102219862B1 (ko) 시설물 안전진단시 자석 다림추를 이용한 구조물의 변위 측정 장치
KR101599903B1 (ko) 교량 현장 재하 시험을 위한 변위계 설치 시스템
KR101991890B1 (ko)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KR102191175B1 (ko)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KR101732352B1 (ko) 가드레일 지주의 수평 지지력 검사 장치
KR102698259B1 (ko) 교량 받침의 안전 진단용 변위 측정 장치
JP2019045219A (ja) せん断力試験装置
BR102015000145A2 (pt) aparelho e método de alinhamento
KR102419359B1 (ko) 장축의 직진도 검사장치
KR102149499B1 (ko) 경사도 측정값을 이용한 변위 측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변위 측정방법
KR102630839B1 (ko)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수직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102439258B1 (ko) 수평설치가 가능한 경사계장치
JP6523090B2 (ja) 墜落防止手すりの強度試験装置
KR101788618B1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방법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KR20170079025A (ko) 모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 시험 장치
KR101991888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KR101926840B1 (ko)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KR102191674B1 (ko) 변위 측정 기구
RU2749656C1 (ru) Стенд для измер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грунтов и снежно-ледяных образований резанию
KR102066429B1 (ko) 사다리의 안전성 시험 장치 및 방법
JP2004163173A (ja) 構造物の状態検出方法、検出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11017588A (ja) 法面用レーザレベル三脚
KR101926827B1 (ko)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