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의류를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등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이하 편의상 총칭하여 '스팀'이라 함) 등을 제공하여 의류의 구김제거(removing wrinkles),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의류에는 옷(clothes), 의복(apparel)뿐만 아니라, 신발, 양말, 장갑, 모자, 목도리 등과 같이 사람이 착용할 수 있는 대상과 함께 인형, 수건, 이불과 같이 사람이 사용을 하는 대상을 포함하며,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대상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 지지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대략 사각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 처리장치는 기계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캐비닛(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이 캐비닛(10)의 내부에 위치한 경우, 상기 기계실은 수용공간(S)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스팀 발생장치(미도시)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물을 저장하거나 물이 지나가는 소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 발생장치는 상기 히터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후술할 스티머(30)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되는 거치대(60)와, 거치대(60)를 회전시키는 틸팅 모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60)는 수용공간(S)에 위치할 수 있다. 거치대(60)는 캐비닛(10)의 상부에 체결되거나 매달려 지지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6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거치대(6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틸팅 모터(70)에 연결될 수 있고, 틸팅 모터(70)의 회전력에 의해 거치대(60)가 회전할 수 있다.
틸팅 모터(70)는 적어도 한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모터(70)는 2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 틸팅 모터(70)는 거치대(6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틸팅 모터(70)는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여 거치대(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거치대(60)의 회전 각도는 기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거치대(60)의 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거치대(60)는 원형 바 형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거치대(60)는 사각 바일 수 있다. 이로써, 후술할 의류 지지유닛(20)의 고리(22)가 틸팅될 수 있다.
거치대(60)에는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은 의류(C)를 지지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은 옷걸이로 명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의류 지지유닛(20)은 의류가 걸쳐지는 걸이부(21)와, 걸이부(21)를 거치대(60)에 매다는 고리(22)와, 걸이부(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사이드 프레임(23)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21)는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걸이부(21)의 상단은 고리(22)에서 멀어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1)의 상단에는 의류가 걸려 지지될 수 있다.
고리(22)는 걸이부(21)의 상단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고리(22)는 거치대(60)에 걸릴 수 있다. 거치대(60)에는 고리(22)가 전후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홈부(61)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61)는 거치대(6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고리(22)는 홈부(61)에 끼워져 거치대(60)에 매달릴 수 있고, 홈부(61)는 고리(22)를 전후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고리(22)의 적어도 일부는 거치대(6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거치대(60)의 회전시에 고리(22)가 거치대(60)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고 틸팅될 수 있다. 즉, 의류 지지유닛(20) 전체가 틸팅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의류(C)의 몸통(C1)을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23)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걸이부(20)의 양 단부에서 하측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2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바(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이드 프레임(23)이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의류 지지부재(20)에 의류(C)가 지지되는 경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3)은 의류(C)의 몸통(C1) 양측을 내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몸통(C1)은 좌우 방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면, 의류(C)의 양 팔(C2)(C3)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는 스팀이 분사되는 스티머(30)와, 스티머(3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 모터(4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장치는 스티머(30)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티머(30)는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스티머(30)는 캐비닛(10)의 수용공간(S)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티머(30)는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이동 가능하고, 전후 및 좌우 방향 이동에 대해서는 구속될 수 있다.
스티머(30)는 의류 지지유닛(20)에 지지된 의류(C)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를 리프레쉬 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티머(30)는 상하로 승강하며 의류(C)에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스티머(30)는 승강 모터(40)에 의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다. 승강 모터(40)의 회전력을 상하방향 동력으로 변환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승강 모터(4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된 리드 스크류(42)를 회전시킬 수 있고, 후술할 회전모터 브라켓(51)에는 상기 리드 스크류(42)가 체결되는 스크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모터(40)가 상기 리드 스크류(42)를 회전시키면 스티머(30), 회전모터(50), 회전모터 브라켓(51) 및 가이드 브라켓(52)는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승강 모터(40)는 캐비닛(10)의 좌우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강 모터(40)는 리드 스크류(42)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승강 모터(40)는 리드 스크류(42)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10)의 좌우 내면에는 스티머(3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41)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41)는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캐비닛(10)의 내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가 구비되고 승강 모터(40)에 상기 랙기어와 치합된 피니언 기어가 연결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승강 기어(40)는 스티머(3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스티머(30)는 전후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스팀바디(31)와, 한 쌍의 스팀 바디(3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2)와, 연결부(32)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스팀바디(31)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바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스팀바디(31)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는 한 쌍의 스팀바디(31)의 사이로 들어올 수 있다.
한 쌍의 스팀 바디(31)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와 리어 스팀바디(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와 리어 스팀바디(31B)의 사이로 들어올 수 있다.
프론트 스팀바디(31A)는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의 전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고, 리어 스팀바디(31B)는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의 배면을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각 스팀 바디(31)에는 의류(C)를 향하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팀 분사부(31C)는 홀 또는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배면에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스팀바디(31B)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스팀 분사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는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단부와 리어 스팀바디(31B)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좌측 단부 및 리어 스팀바디(31B)의 좌측 단부는 연결부(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스팀바디(31A)의 우측 단부 및 리어 스팀바디(31B)의 우측 단부는 연결부(32)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연장부(33)는 연결부(32)에서 캐비닛(10)의 내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느 하나의 연장부(33)는 프론트 스팀바디(31A) 및 리어 스팀바디(31B) 각각의 좌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에서 좌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연장부(33)는 프론트 스팀바디(31A) 및 리어 스팀바디(31B) 각각의 우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2)에서 우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스티머(30)는 한 쌍의 연결부(32)와, 한 쌍의 연장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33)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모터(5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한 쌍의 연장부(33)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 모터(50)가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 브라켓(52)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스티머(30)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는 회전 모터(5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 브라켓(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티머(30)의 양 단부가 각각 회전 모터(50)에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로써, 스티머(30)는 회전 모터(50)에 의해 회전하여 의류에 접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승강하며 스팀을 분사하여 의류(C)의 주름이나 구김을 효과적으로 펼 수 있다. 또한, 의류(C)에 다양한 각도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스티머(30), 좀 더 상세히는 연장부(33)에는 회전 모터(50)가 장착되는 회전모터 브라켓(51)이 체결될 수 있다.
회전모터 브라켓(51) 및 가이드 브라켓(52)에는 가이드바(41)가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스티머(30)와, 가이드 브라켓(52)와, 회전모터 브라켓(51)과, 회전 모터(50)는 가이드바(41)에 의해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또한, 스티머(30)에는 스팀 주입부(33A)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스팀 주입부(33A)는 연결부(3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장치(미도시)에 연결된 스팀 호스(미도시)는 스팀 주입부(33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티머(3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스티머(30)의 내부에는 스팀 주입부(33A)로 주입된 스팀을 스팀 분사부(31C)로 안내하는 이너 스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팀유로는 연장부(33)와, 연결부(32)와, 스팀 바디(31)의 내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 분사부(31C)에서 스팀이 의류(C)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거치대(60)에 거치된 의류 지지유닛(20)에 의류(C)가 걸린 경우, 의류(C)의 팔(C2)(C3)은 아래로 늘어지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몸통(C1)과 팔(C2)(C3) 사이에 겹치는 부분이 생기고 주름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분사하여 의류(C)를 리프레쉬 시킬 경우, 상기 주름을 제거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주름이 심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의류(C)가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된 상태에서 의류(C)를 리프레쉬 시킴으로써 팔(C2)(C3)과 몸통(C1) 사이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의류의 어느 하나의 팔을 리프레쉬하기 위한 거치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는 의류의 다른 하나의 팔을 리프레쉬하기 위한 거치대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대(60)는 틸팅 모터(70)(도 3 참조)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의류 지지유닛(20)은 틸팅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지지유닛(20)에 걸린 의류(C)도 틸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지지유닛(20)이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된 경우, 의류(C)의 양 팔중 어느 하나의 팔(C2)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이는 의류(C)의 양 팔 중 어느 하나의 팔(C2)은 몸통(C1)과 겹쳐지는 부분이 최소화되며 하측으로 늘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의류(C)의 몸통(C1)은 의류 지지유닛(20)의 사이드 프레임(23)에 의해 내측에서 지지되어 하측으로 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 분사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팔(C2)이 주름 없이 효과적으로 리프레쉬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지지유닛(20)이 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틸팅된 경우, 의류(C)의 양 팔중 다른 하나의 팔(C3)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이는 의류(C)의 양 팔 중 다른 하나의 팔(C3)이 몸통(C1)과 겹쳐지는 부분이 최소화되며 하측으로 늘어진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의류(C)의 몸통(C1)은 의류 지지유닛(20)의 사이드 프레임(23)에 의해 내측에서 지지되어 하측으로 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 분사하면, 상기 다른 하나의 팔(C3)이 주름 없이 효과적으로 리프레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컨트롤러(8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앞서 설명한 승강 모터(40), 회전 모터(50) 및 틸팅 모터(7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80)는 회전 모터(5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와 회전 모터(50)를 동시에 제어하여 스티머(30)의 승강 및 회전동작을 조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의류(C)에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틸팅 모터(70)를 제어하여 의류 지지유닛(20)을 틸팅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의류(C)의 팔(C2)(C3)이 하측으로 늘어지도록 의류 지지유닛(20)을 틸팅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의 제어 방법은 의류(C)가 걸린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대(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와,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와, 몸통 리프레쉬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와,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와, 몸통 리프레쉬 단계(S3)의 실시 순서는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와,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와, 몸통 리프레쉬 단계(S3)는 필요에 따라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 및 몸통 리프레쉬 단계(S3)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는 제1팔 정렬단계(S11) 및 제1팔 스캔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팔 정렬단계(S11) 시, 컨트롤러(80)는 틸팅 모터(70)를 제어하여 거치대(60)를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제1팔 스캔단계(S12)는 제1팔 정렬단계(S1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팔 스캔단계(S1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하측으로 늘어진 상기 어느 하나의 팔(C2)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는 제2팔 정렬단계(S21) 및 제2팔 스캔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팔 정렬단계(S21) 시, 컨트롤러(80)는 틸팅 모터(70)를 제어하여 거치대(60)를 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제2팔 스캔단계(S22)는 제2팔 정렬단계(S2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팔 스캔단계(S2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하측으로 늘어진 상기 다른 하나의 팔(C3)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몸통 리프레쉬 단계(S3)는 몸통 정렬단계(S31) 및 몸통 스캔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몸통 리프레쉬 단계(S3)가 제1팔 리프레쉬 단계(S1) 및 제2팔 리프레쉬 단계(S2)보다 먼저 수행되는 경우에는 몸통 정렬단계(S31)가 생략될 수 있다.
몸통 정렬단계(S31) 시, 컨트롤러(80)는 틸팅 모터(70)를 제어하여 거치대(60)를 초기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80)는 거치대(60)가 회전하지 않은 초기 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몸통 스캔단계(S32)는 몸통 정렬단계(S3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몸통 스캔단계(S3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의류 지지유닛(20)의 사이드 프레임(23)에 의해 팽팽하게 펴진 몸통(C1)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C)의 주름이 최소화되며 의류(C)의 리프레쉬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는 도 9에 도시된 의류 처리장치의 하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을 분리시키는 세퍼레이터(90)와, 세퍼레이터(9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90)는 좌우로 이동하며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가 몸통(C1)과 팔(C2)(C3)을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거치대(60)가 회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6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걸이부(21)와 고리(22)를 포함하고 사이드 프레임(23)(도 4 참조)을 포함하지 않은 의류 지지유닛(2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시중에서 흔하게 구할수 있는 일반적인 옷걸이를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세퍼레이터(9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퍼레이터(90A)는 의류(C)의 몸통(C1)과 어느 하나의 팔(C2)을 분리하고, 제2세퍼레이터(90B)는 의류(C)의 몸통(C1)과 다른 하나의 팔(C3)을 분리할 수 잇다.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 이동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9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무빙 바(91)와, 무빙 바(91)의 상단에 전후로 길게 형성된 분리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90)는, 무빙 바(91)의 하단이 체결되고 이동모터(100)에 의해 이동하는 무빙 바디(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91)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바(91)는 직선부 및 곡선부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다른 부품(미도시)들과 간섭을 회피하면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바(91)는 스티머(30)의 프론트 스팀바디(31A)와 리어 스팀바디(31B)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세퍼레이터(90)는 스티머(30)와 간섭되지 않고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바(91)의 상단에는 분리부(92)가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92)는 무빙 바(91)의 상단에서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분리부(92)는 양 단에 형성된 확장부(92A)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바(91)의 하단은 무빙 바디(93)에 체결되어 무빙 바디(93)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무빙 바디(93)는 이동 모터(100)에 의해 가이드 레일(103)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무빙 바디(93)는 무빙 바(91)가 체결된 본체(94)와, 가이드 레일(10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95)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94)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관 형상일 수 있다. 무빙 바(91)의 하단은 본체(94)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본체(94)의 외둘레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다수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리브는 가이드 블록(95)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95)에는 본체(94)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95)는 본체(9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블록(95)의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103)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드 블록은 가이드 레일(103)을 따라 좌우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90), 좀 더 상세히는 무빙 바디(93)에는 이동모터(100)의 동력이 전달되는 벨트 홀더(96)가 구비될 수 있다. 벨트 홀더(96)는 벨트(102)를 잡을 수 있다.
벨트 홀더(96)는 가이드 블록(95)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가이드 블록(95)에 체결될 수 있다. 벨트 홀더(96)는 이동 모터(100)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102)의 동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세퍼레이터(90) 전체가 좌우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동 모터(100)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모터(100)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모터 중 어느 하나는 제1세퍼레이터(90A)를 이동시킬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2세퍼레이터(90B)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모터(100)는 가이드 레일(10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각 이동 모터(100)에 연결된 벨트(102)가 서로 간섭없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세퍼레이터(90A)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100)는 가이드 레일(103)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2세퍼레이터(90B)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100)는 가이드 레일(10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세퍼레이터(90A)의 벨트 홀더(96)는 제1세퍼레이터(90A)의 가이드 블록(95)의 후방에서 체결되고, 제2세퍼레이터(90B)의 벨트 홀더(96)는 제2세퍼레이터(90B)의 가이드 블록(95)의 전방에서 체결될 수 있다.
이동 모터(100)의 동력은 벨트(102)를 통해 세퍼레이터(90)로 전달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폐곡선을 이루는 벨트(102)의 일측은 이동 모터(100)에 연결된 회전 풀리(101)에 접하고, 타측은 풀리 브라켓(104)에 설치된 지지 풀리(105)에 접할 수 있다. 회전 풀리(101)가 회전하면 회전 풀리(101)와 벨트(102) 간 마찰력에 의해 벨트(102)는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풀리(105)는 벨트(102)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며 벨트(102)를 지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90)의 벨트 홀더(96)는 벨트(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벨트(102)의 회전에 따라 세퍼레이터(9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모터(100)에 회전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 기어에 체인이 연결되고, 상기 체인에 세퍼레이터(90)의 벨트 홀더(96)가 연결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가이드 레일(103)은 캐비닛(10)의 내측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3)은 좌우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03)은 가이드 블록(95)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끼워져 세퍼레이터(9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풀리 브라켓(104)은 캐비닛(10)의 내측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동 모터(100)와 마찬가지로 풀리 브라켓(104)도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풀리 브라켓(104)는 가이드 레일(103)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이동 모터(100)와 벨트(102)로 연결된 풀리 브라켓(104)은, 전후 방향으로 다른 하나의 이동 모터(100)를 마주볼 수 있다. 이로써, 한정된 벨트(102) 길이에 대해 세퍼레이터(90)의 좌우 이동 범위가 최대로 확보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대에 거치된 의류 지지유닛과 세퍼레이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에는 세퍼레이터(90)의 초기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초기 위치 상태인 한 쌍의 세퍼레이터(90) 간 좌우 거리(L1)는 의류(C)의 몸통(C1)의 좌우 폭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대(60)에 거치되면 의류 지지 유닛(20)에 걸린 의류(C)의 몸통(C1)은 한 쌍의 세퍼레이터(90) 각각의 분리부(92)에 의해 접촉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세퍼레이터(90)는 의류(C)의 몸통(C1)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세퍼레이터가 의류의 몸통과 팔 사이로 들어간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에는 세퍼레이터(90)의 의류의 몸통과 팔 사이로 들어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세퍼레이터(90) 간 좌우 거리(L2)는, 초기 위치 상태인 한 쌍의 세퍼레이터(90) 간 좌우 거리(L1)보다 멀 수 있다. 즉,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초기 위치에 있던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의류(C)의 몸통(C1)에 접촉한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세퍼레이터(90)의 분리부(92)가 몸통(C1)과 팔(C2)(C3) 사이에 도달하면 의류(C)의 쳐짐에 의해 자연스럽게 분리부(92)가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세퍼레이터(90A)는 의류(C)의 몸통(C1)과 어느 하나의 팔(C2) 사이로 들어갈 수 있고, 제2세퍼레이터(90B)는 의류(C)의 몸통(C1)과 다른 하나의 팔(C3)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세퍼레이터(90)의 분리부(92)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므로, 분리부(92)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가는 즉시 이동이 멈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간 이후에도 소정의 거리만큼 더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는 의류의 어느 하나의 팔을 리프레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90)는 일 방향으로 이동하여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을 몸통(C1)과 분리하여 하측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각각 일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세퍼레이터(90A)는 제2세퍼레이터(90B)보다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이 하측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제1세퍼레이터(90A)와 제2세퍼레이터(90B) 간 좌우 거리(L3)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간 직후의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 사이의 좌우 거리(L2)보다 가까울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거치대(60)는 원형 바(bar)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세퍼레이터(90)에 의해 의류(C)에 인가된 기계력에 의해 의류 지지유닛(20)의 고리(22)가 거치대(60)에 대해 미끄러지며 의류 지지 유닛(20) 및 의류(C)가 틸팅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이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세퍼레이터(90A) 만이 일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세퍼레이터(90B)는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을 몸통(C1)과 분리시켜 하측으로 늘어뜨리는 것도 가능하다.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이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 분사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팔(C2)이 주름 없이 효과적으로 리프레쉬될 수 있다.
도 14은 의류의 다른 하나의 팔을 리프레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90)는 타 방향으로 이동하여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을 몸통(C1)과 분리하여 하측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각각 타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세퍼레이터(90B)는 제1세퍼레이터(90A)보다 더 많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이 하측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제2세퍼레이터(90B)와 제1세퍼레이터(90A) 간 좌우 거리(L4)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간 직후의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 사이의 좌우 거리(L2)보다 가까울 수 있다.
세퍼레이터(90)에 의해 의류(C)에 인가된 기계력에 의해 의류 지지유닛(20)의 고리(22)가 거치대(60)에 대해 미끄러지며 의류 지지 유닛(20) 및 의류(C)가 틸팅될 수 있다. 이로써,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이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세퍼레이터(90B) 만이 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세퍼레이터(90A)는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을 몸통(C1)과 분리시켜 하측으로 늘어뜨리는 것도 가능하다.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이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 분사하면, 상기 다른 하나의 팔(C3)이 주름 없이 효과적으로 리프레쉬될 수 있다.
도 15는 의류의 몸통을 리프레쉬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퍼레이터(9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의류(C)의 양 팔(C2)(C3)을 몸통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거치대(60)를 통과하는 가상 수직면(P)에 대해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지지유닛(20) 및 의류(C)는 틸팅되지 않고, 의류(C)의 몸통(C1)이 아래로 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의류(C)의 양 팔(C2)(C3)이 몸통(C1)과 분리된 상태에서 제1세퍼레이터(90A)와 제2세퍼레이터(90B) 간 좌우 거리(L5)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간 직후의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 사이의 좌우 거리(L2)보다 멀 수 있다.
의류(C)의 양 팔(C2)(C3)이 몸통(C1)과 분리된 상태에서 스티머(30)가 승강 및 스팀 분사하면, 몸통(C1)이 주름 없이 효과적으로 리프레쉬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 및 회전 모터(50) 이외에 이동 모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80)는 이동 모터(100)를 제어하여 세퍼레이터(9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80)는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를 초기 위치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는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80)는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 중 적어도 하나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을 몸통(C1)과 분리시켜 하측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80)는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을 몸통(C1)과 분리시켜 하측으로 늘어뜨릴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80)는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의류(C)의 양 팔(C2)(C3)을 몸통(C1)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하기의 제어 방법은 의류(C)가 걸린 의류 지지유닛(20)이 거치대(60)에 거치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분리 단계(S4)와, 제1팔 리프레쉬 단계(S5)와, 제2팔 리프레쉬 단계(S6)와, 몸통 리프레쉬 단계(S7)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과는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팔 리프레쉬 단계(S5)와, 제2팔 리프레쉬 단계(S6)와, 몸통 리프레쉬 단계(S7)가 순차적으로 시행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팔 리프레쉬 단계(S5) 및 제2팔 리프레쉬 단계(S6)에서 의류(C)의 몸통(C1)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리 단계(S4) 시, 컨트롤러(80)는 이동 모터(100)를 제어하여 초기 위치에 있던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가 의류(C)의 몸통(C1)과 팔(C2)(C3) 사이로 들어가도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세퍼레이터(90A)는 의류(C)의 몸통(C1)과 어느 하나의 팔(C2) 사이로 들어갈 수 있고, 제2세퍼레이터(90B)는 의류(C)의 몸통(C1)과 다른 하나의 팔(C3) 사이로 들어갈 수 있다.
제1팔 리프레쉬 단계(S5)는 제1팔 정렬단계(S51) 및 제1팔 스캔단계(S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팔 정렬단계(S51) 시, 컨트롤러(80)는 각 이동 모터(100)를 제어하여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류(C)의 어느 하나의 팔(C2)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제1팔 스캔단계(S52)는 제1팔 정렬단계(S5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1팔 스캔단계(S5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하측으로 늘어진 상기 어느 하나의 팔(C2)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제2팔 리프레쉬 단계(S6)는 제2팔 정렬단계(S61) 및 제2팔 스캔단계(S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팔 정렬단계(S61) 시, 컨트롤러(80)는 각 이동 모터(100)를 제어하여 제1세퍼레이터(90A) 및 제2세퍼레이터(90B)를 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류(C)의 다른 하나의 팔(C3)은 몸통(C1)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제2팔 스캔단계(S62)는 제2팔 정렬단계(S6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제2팔 스캔단계(S6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하측으로 늘어진 상기 다른 하나의 팔(C3)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몸통 리프레쉬 단계(S7)는 몸통 정렬단계(S71) 및 몸통 스캔단계(S72)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 정렬단계(S71) 시, 컨트롤러(80)는 이동 모터(100)를 제어하여 제1세퍼레이터(90A)와 제2세퍼레이터(90B)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의류(C)의 몸통(C1)은 양 팔(C2)(C3)과 분리되어 하측으로 늘어질 수 있다.
몸통 스캔단계(S72)는 몸통 정렬단계(S71)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몸통 스캔단계(S72) 시, 컨트롤러(80)는 승강 모터(40)를 제어하여 스티머(30)를 승강시킬 수 있고, 스티머(30)에서 스팀을 분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티머(30)는 하측으로 늘어진 몸통(C1)을 스캔하며 리프레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