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9260B1 - 조명기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260B1
KR102629260B1 KR1020230082908A KR20230082908A KR102629260B1 KR 102629260 B1 KR102629260 B1 KR 102629260B1 KR 1020230082908 A KR1020230082908 A KR 1020230082908A KR 20230082908 A KR20230082908 A KR 20230082908A KR 102629260 B1 KR102629260 B1 KR 10262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lighting fixture
fixed base
coupled
moun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2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3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mounted by means of a rigid support, e.g. bracket or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3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actuated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조명기구 장착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기구 장착장치는 요입홈을 가지는 단속브라켓을 포함하고 조명기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고정베이스, 고정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베이스 및 회동베이스를 고정베이스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밀착기구를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밀착기구는, 고정베이스 측으로 볼록한 제1상태 및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제2상태의 두 가지 안정상태를 가지고 특정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상태 및 제2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회동베이스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고정베이스에 결합되고 탄성부재가 제2상태일 때 탄성부재를 고정베이스 측으로 가압하는 반력고정부를 포함하고, 회동베이스의 일단이 요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제2결합부에 제1결합부가 장착된다.

Description

조명기구 장착장치{Luminair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천장에 밀착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도면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반력수단은 걸쇠뭉치의 자유단이 벌어져 있는 상태일 때에는 걸쇠뭉치가 오므려지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고, 걸쇠뭉치가 오므려지며 반력수단이 탄성변형 임계치 이상 변형되는 경우 반력수단은 걸쇠뭉치가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며, 이로써 천장면과 조명기구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특허문헌 2의 도면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2의 반력수단은 걸쇠부재의 자유단이 벌어져 있는 상태일 때에는 걸쇠부재가 오므려지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고, 걸쇠부재가 오므려지며 반력수단이 탄성변형 임계치 이상 변형되는 경우 반력수단은 걸쇠부재가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며, 이로써 천장면과 조명기구 사이에 들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최근 조명기구의 두께가 얇아지고 있는 추세이나 특허문헌 1의 조명기구 설치구조는 그의 메커니즘 상 조명기구에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가져야 하므로 그보다 얇은 두께에 조명기구를 설치하는데 사용되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 반력수단은 걸쇠뭉치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 걸쇠뭉치가 회전할 때 반력수단의 회전축에 가까운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응력의 집중이 반력수단의 복원탄성력을 저하시키거나 심한 경우 상실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2에서도 반력수단이 걸쇠부재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바 걸쇠부재가 회전할 때 반력수단의 회전축에 가까운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응력의 집중이 반력수단의 복원탄성력을 저하시키거나 심한 경우 상실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 걸쇠뭉치의 자유단이 베이스 브라켓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회전하는 경우 걸쇠뭉치에 의하여 반력수단의 양단에 베이스 브라켓부의 반대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반력수단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문헌 2에서 걸쇠부재의 자유단이 베이스 브라켓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회전하는 경우 걸쇠부재에 의하여 반력수단의 양단에 베이스 브라켓의 반대측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반력수단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 단속돌기가 진입홈 내부로 의도한 것보다 더 깊게 삽입되는 것을 확장날개가 방지하나, 확장날개가 반력수단이 배치된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어 단속돌기의 과삽입을 확실히 방지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KR 2276897 B1 KR 2344343 B1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기구를 지지할 수 있는 강한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두께가 얇은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의 어느 한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장치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쉽게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속돌기가 슬라이드홈 내부에 의도한 것보다 깊게 삽입되는 것이 예방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는, 조명기구를 천장에 밀착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로서, 요입홈을 가지는 단속브라켓을 포함하고 조명기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고정베이스, 고정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베이스 및 회동베이스를 고정베이스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밀착기구를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밀착기구는, 고정베이스 측으로 볼록한 제1상태 및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제2상태의 두 가지 안정상태를 가지고 특정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상태 및 제2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회동베이스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고정베이스에 결합되고 탄성부재가 제2상태일 때 탄성부재를 고정베이스 측으로 가압하는 반력고정부를 포함하고, 회동베이스의 일단이 요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제2결합부에 제1결합부가 장착된다.
여기서 제1결합부는 조명기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의 높이는 프레임의 높이보다 낮다.
여기서 프레임 및 제2결합부의 높이는 10mm 미만이다.
반력고정부는 양단이 고정베이스에 결합되어 고정베이스와 함께 폐곡선을 이루고, 탄성부재는 폐곡선 내에 삽입된다.
여기서 회동베이스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반력고정부는 관통공을 관통한다.
탄성부재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의 스프링으로서 그의 연장방향이 회동베이스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이 회동베이스의 고정베이스 반대측 면에 결합된다.
반력고정부는 고정베이스의 일부분을 펀칭 후 절곡시킨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너비방향이 요입홈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너비는 요입홈의 너비보다 넓고, 회동베이스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너비방향에 수직한 양측 모서리로부터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기립된 걸림윙을 가진다.
고정베이스는 회동베이스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복수 개, 및 복수의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지지플레이트는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립부를 가지고, 연결플레이트에는 기립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천공된다.
본 발명의 조명기구 장착장치는 조명기구를 지지할 수 있는 강한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두께가 얇다.
또한, 조명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쉽게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탄성부재의 어느 한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장치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단속돌기가 슬라이드홈 내부에 의도한 것보다 깊게 삽입되는 것이 예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에 조명기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조명기구 측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천장 측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단속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단속브라켓에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타측 단속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단속브라켓에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속돌기를 요입홈 내에서 슬라이딩 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1구성 요소가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2 또는 제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천장에 밀착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부에 조명기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속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는 제1결합부(100) 및 제2결합부(200)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00)는 요입홈(111)을 가지는 단속브라켓(110)을 포함하고 조명기구에 결합된다, 제2결합부(200)는 고정베이스(210), 고정베이스(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베이스(220) 및 회동베이스(220)를 고정베이스(210)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밀착기구(230)를 포함한다.
밀착기구(230)는 회동베이스(22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31) 및 고정베이스(21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31)를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반력고정부(232)를 포함한다.
탄성부재(231)는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볼록한 제1상태 및 고정베이스(210)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제2상태의 두 가지 안정상태를 가지고, 특정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제1상태 및 제2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반력고정부(232)는 탄성부재(231)가 제2상태일 때 즉, 탄성부재(231)가 고정베이스(210)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상태일 때에 탄성부재(231)를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회동베이스(220)의 일단이 단속브라켓(110)의 요입홈(111)에 삽입됨으로써 조명기구에 결합된 제1결합부(100)가 제2결합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결합부(1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는 제1결합부(100)는 프레임(120) 및 단속브라켓(110)을 포함한다.
프레임(120)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프레임(12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형의 조명기구를 장착시키기 위하여 원형의 프레임(120)이 채택될 수 있다.
프레임(120)에 조명기구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20)은 10mm 이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는 바 슬림한 조명기구를 장착하는 경우 조명기구 자체의 높이보다 조명기구가 천장으로부터 더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조명기구를 천장에 장착시킬 수 있다.
철재패널(12)의 가장자리가 프레임(120)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조명기구와 제1결합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천장에 장착시키거나 천장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조명기구는 예컨대 철재패널(12) 및 철재패널(12)로 덮인 광원(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결합부(100)를 매개로 제2결합부(200)에 조명기구를 결합시키기 위한 단속브라켓(110)이 프레임(120)의 내측 가장자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속브라켓(110)의 나사체결 지점의 적어도 일부와 철재패널(12)의 나사체결 지점의 적어도 일부는 동일할 수 있다.
단속브라켓(110)은 직사각형 형태의 프레임(120)의 상호 마주하는 두 변 각각에 두 개씩 총 네 개가 결합될 수 있다.
단속브라켓(110)은 마주하는 변 방향으로 개방된 요입홈(111)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120)의 내측 가장자리에 나사결합된다.
단속브라켓(110)의 요입홈(111)에는 후술할 제2결합부(200)의 회동베이스(220)의 말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회동베이스(220)가 단속브라켓(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구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요입홈(111)은 회동베이스(220)의 수평방향 길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길게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 단속브라켓(110)은, 회동베이스(220)가 수직방향으로 진입하여 단속브라켓(1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요입홈(111)과 연통하는 진입홈(112)을 가질 수 있다. 진입홈(112)은 요입홈(111)의 수평방향 일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속브라켓(110) 구조에 따르면 회동베이스(220)를 진입홈(112)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단속브라켓(110)에 삽입한 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회동베이스(220)가 수직방향으로 단속브라켓(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레임(120)의 두 변에 각각 한 쌍의 단속브라켓(110)이 설치되는데, 이 중 한 쌍의 단속브라켓(110)만이 진입홈(112)을 가진다.
조명기구를 장착시켰을 때에 제2결합부(200)가 프레임(12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조명기구를 천장에 압착시키기 위한 강한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조명기구가 천장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속브라켓(110)의 높이는 프레임(120)과 같거나 프레임(120)보다 작고 프레임(120)이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프레임(120)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0)의 높이는 근래 10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조명기구가 상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10mm미만으로 정해질 수 있다.
프레임(120)과 철재패널(12) 간의 나사결합 지점 중 일부에는 안전고리(13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안전고리(130)는 로프의 자유단에 고리가 결합된 것으로서 그 고리는 천장에 연결될 수 있어 조명기구를 조명기구 장착장치에 설치하는 과정, 또는 조명기구의 사용 중의 낙하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결합부(200)>
특히 슬림한 조명기구가 의도치 않게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결합부(200)의 높이는 프레임(120)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200)는 10mm 미만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아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200)의 구조적 특징과 그에 따른 효과는 제2결합부(200)가 10mm 미만의 매우 얇은 높이를 가지더라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조명기구 측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부의 천장 측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베이스(210)는 회동베이스(220)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11) 복수 개 및 복수의 지지플레이트(211)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베이스(210)는 회동베이스(220)가 결합되는 것이라면 그 구성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플레이트(211) 및/또는 연결플레이트(213)에는 다수의 나사체결홀(211b)이 천공된다. 나사체결홀(211b)들은 고정베이스(210)를 천장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장공형태로 천공될 수 있고 그 방향과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플레이트(211)의 일부분과 연결플레이트(213)의 일부분이 포개어 배치되며, 지지플레이트(211)는 지지플레이트(211)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립부(211c)를 가지고 연결플레이트(213)에는 기립부(211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공이 천공될 수 있다. 작업자는 기립부(211c)를 삽입공에 삽입한 후 기립부(211c)를 절곡시킴으로써 별도의 결합기구 없이도 지지플레이트(211)와 연결플레이트(213)를 쉽게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립부(211c)는 지지플레이트(211)의 일부분을 펀칭한 후 절곡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211)와 연결플레이트(213)의 결합이 용이해지며 결합기구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지지플레이트(211)와 연결플레이트(213)는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는 등 그 결합방식이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1) 각각이 대응되는 프레임의 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플레이트(211)에 한 쌍의 회동베이스(220)가 결합된다. 각각의 회동베이스(220)는 그의 일단이 대응되는 고정브라켓(110)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지지플레이트(211)는 회동베이스(2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홀더(211a)를 구비한다. 힌지홀더(211a)는 지지플레이트(211)의 일부를 펀칭하여 절곡시킨 것일 수 있다.
회동베이스(220)는 개수 및 위치는 단속브라켓(11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00)는 네 개의 단속브라켓(110)을 가지며 제2결합부(200)는 네 개의 회동베이스(220)를 가지나 단속브라켓(110) 및 회동베이스(22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플레이트(213)에 의하여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211)가 상호 결합되고 각각의 지지플레이트(211)에 한 쌍의 회동베이스(220)가 결합됨으로써 두 쌍의 회동베이스(220)가 연결플레이트(213)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취급 및 관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베이스(220)는 관통공(224)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25)를 가지고, 힌지홀더(211a)에 회동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돌기(221)가 베이스 플레이트(225)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단속브라켓(110)의 요입홈(111)에 끼워지는 단속돌기(222)가 베이스 플레이트(225)의 회전단부로부터 돌출형성된다. 그러나 회동베이스의 구성 및 그 구성들의 배치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플레이트(225)는 그의 너비방향이 요입홈(111)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25)의 너비는 요입홈(111)의 너비보다 넓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225)가 요입홈(111)에 과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25)가 요입홈(111)에 과삽입되는 것을 보다 철저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베이스(220)는 베이스 플레이트(225)의 상기 너비방향에 수직한 양측 모서리로부터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기립된 걸림윙(223)을 가질 수 있다.
반력고정부(232)는 양단이 고정베이스(210)에 결합되어 고정베이스(210)와 함께 탄성부재(231)가 삽입되는 폐곡선을 이룬다. 일 실시예에서 반력고정부(232)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양단이 고정베이스(210)에 결합된다. 여기서 반력고정부(232)가 고정베이스(210)에 결합된다는 것은 반력고정부(232)와 고정베이스(21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반력고정부(232)는 고정베이스(210)의 일부분을 펀칭 후 절곡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작방식에 의하면 제품의 원가 및 가공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 반력고정부(232)가 상기 관통공(224)을 관통한다. 회동베이스(220)가 고정베이스(210)에 포개어져 있을 때에 반력고정부(232)는 회동베이스(220)의 관통공(224)을 통하여 돌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력고정부(232)의 적어도 일부분은 탄성부재(231)의 고정베이스(210) 반대측에 배치된다. 반력고정부(232)는 고정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이동하지 않는 반면, 반력고정부(232)에 삽입된 탄성부재(231)는 회동베이스(220)와 함께 반력고정부(232)와 고정베이스(210)가 이루는 삽입공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231)의 회동범위는 반력고정부(232)에 의하여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231)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의 스프링으로서 그의 연장방향이 회동베이스(220)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이 회동베이스(220)의 고정베이스(210) 반대측 면에 결합된다. 탄성부재(231)는 반력고정부(232)와 고정베이스(210)가 이루는 폐곡선 내에 삽입된다. 탄성부재(231)가 고정베이스(210)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제2상태일 때에 고정베이스(210)는 탄성부재(231)를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부재(231)와 그에 결합된 회동베이스(220)를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밀착시킨다. 고정베이스(210)는 탄성부재(231)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지점에 탄성부재(231)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베이스(220)의 자유단이 고정베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탄성부재(231)의 일측 모서리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탄성부재(231)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동베이스(220)의 자유단이 고정베이스(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과회전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231)의 양단에는 회동베이스(220)의 반대측방향 힘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231)가 회동베이스(220)로부터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는다.
탄성부재(231)가 제1상태일 때에는 회동베이스(220)가 고정베이스(210)에 대하여 벌어져 있다가 작업자가 회동베이스(220)를 고정베이스(210) 측을 향하여 회전시키면 탄성부재(231)가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볼록하게 뒤집히도록 변형되면서 반력고정부(232)가 탄성부재(231)의 탄성력에 대하여 가하는 반력이 탄성부재(231) 및 회동베이스(220)를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밀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231)는 회동베이스(220)가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하여 오므려지지 않게 하려는 반발력을 제공하고, 회동베이스(220)에 탄성 임계치를 초과하는 외력이 강제로 작용되는 경우 반발력이 역전되어 오히려 회동베이스(220)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반대방향으로의 반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천장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2결합부(200)가 천장에 설치된다. 제2결합부(200)의 탄성부재(231)는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볼록한 상태이고 회동베이스(220)는 바닥을 향해서 벌어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조명기구가 결합된 제1결합부(100)를 제2결합부(200)에 결합하게 되는데 제1결합부(100)에 마련된 안전고리(130)를 천장에 결속하여 추락사고를 예방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토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측 단속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단속브라켓에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전고리(130)를 결속한 후 작업자는 제1결합부(100)의 한쪽 변에 마련된 두 개의 단속브라켓(110)에 제2결합부(200)의 단속돌기(222)가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단속돌기(222)가 끼워지는 단속브라켓(110)은 진입홈(112)이 없는 요입홈(111)만이 형성된 측의 단속브라켓(110)이다.
도 8은 도 7의 타측 단속돌기가 그에 대응되는 단속브라켓에 끼워진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단속돌기를 요입홈(111) 내에서 슬라이딩 시킨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후 작업자는 제1결합부(100)의 나머지 단속브라켓(110)의 진입홈(112)에 나머지 단속돌기(222)가 수직방향으로 진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단속돌기(222)가 요입홈(111)을 따라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 시켜 조명기구의 설치위치가 확정되도록 한다.
이후, 조명기구를 천장측으로 밀어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외력에 의하여 회동베이스(220)가 천장측으로 접히며 고정베이스(210) 측으로 오므려지게 되고 탄성부재(231)의 변형방향이 반전되어 탄성부재(231)가 고정베이스(210)의 반대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고 반력고정부(232)가 탄성부재(231)에 가하는 반력에 의하여 제1결합부(100)가 천장에 밀착 및 고정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조명기구를 조명기구 장착장치의 원터치 작동방식에 의해 쉽고 빠르게 천장에 밀착시켜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결합부(200)를 천장에 선 결합한 후에 조명기구를 베이스 브라켓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밀어서 가압함으로써, 밀착기구(230)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조명기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회동베이스(220)가 벌어진 상태일 때에는 탄성부재(231)가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회동베이스(220)가 오므려지지 않게 하는 반발력을 제공하고, 회동베이스(220)에 반발력에 대한 탄성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에는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작용하여 회동베이스(220)가 벌어지지 않도록 회동베이스(220)를 끌어당기는 반발력을 제공함으로써, 천장과 조명기구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조명기구 장착장치의 구조가 슬림하기 때문에 프레임(120) 내부의 공간적 여유가 생겨 보다 다양한 두께의 조명기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회동베이스(220)의 자유단이 고정베이스(210)의 반대측으로 회전할 때에도 탄성부재(231)의 일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므로 탄성부재(231)가 변형되지 않고 그 탄성복원력이 오랜기간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부재(231)는 회동베이스(220)가 과회전하더라도 고정베이스(210)로부터 쉽게 결합해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발명보다도 효과적으로 회동베이스(220)가 요입홈(111)에 과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2: 철재패널
100: 제1결합부
110: 단속브라켓
111: 요입홈
120: 프레임
200: 제2결합부
210: 고정베이스
220: 회동베이스
230: 밀착기구
231: 탄성부재
232: 반력고정부

Claims (10)

  1. 조명기구를 천장에 밀착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로서,
    요입홈을 가지는 단속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고정베이스, 상기 고정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베이스 및 상기 회동베이스를 상기 고정베이스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밀착기구를 가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기구는, 상기 고정베이스 측으로 볼록한 제1상태 및 상기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제2상태의 두 가지 안정상태를 가지고 특정 임계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상태 및 상기 제2상태 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베이스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고정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2상태일 때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고정베이스 측으로 가압하는 반력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베이스의 일단이 상기 요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결합부에 상기 제1결합부가 장착되고,
    상기 반력고정부는 양단이 상기 고정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와 함께 폐곡선을 이루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곡선 내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베이스는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반력고정부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조명기구에 결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보다 낮은 조명기구 장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및 상기 제2결합부의 높이는 10mm 미만인 조명기구 장착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형의 스프링으로서 그의 연장방향이 회동베이스의 회전축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장방향 일단과 타단이 상기 회동베이스의 상기 고정베이스 반대측 면에 결합된 조명기구 장착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력고정부는 상기 고정베이스의 일부분을 펀칭 후 절곡시킨 것인 조명기구 장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너비방향이 상기 요입홈의 너비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너비는 상기 요입홈의 너비보다 넓고,
    상기 회동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너비방향에 수직한 양측 모서리로부터 상기 고정베이스의 반대측으로 기립된 걸림윙을 가지는 조명기구 장착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는 상기 회동베이스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복수 개, 및 복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장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기립부를 가지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기립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천공된 조명기구 장착장치.
KR1020230082908A 2023-05-24 2023-06-27 조명기구 장착장치 Active KR102629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067054 2023-05-24
KR1020230067054 2023-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260B1 true KR102629260B1 (ko) 2024-01-25

Family

ID=89721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908A Active KR102629260B1 (ko) 2023-05-24 2023-06-27 조명기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7701B1 (ko) * 2024-07-25 2025-05-16 위버스 주식회사 승강형 락커를 구비한 원터치 장착 등기구
KR102833843B1 (ko) 2024-07-25 2025-07-15 위버스 주식회사 회동형 락커를 구비한 원터치 장착 등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288B1 (ko) * 2020-07-03 2021-04-14 조소형 천장등 고정장치
KR20210060413A (ko) * 2019-07-18 2021-05-26 주식회사 초록조명 조명등 브라켓
KR102276897B1 (ko) 2021-03-25 2021-07-12 조소형 천장 직부형 평판조명기구의 설치구조
KR102344343B1 (ko) 2021-07-16 2021-12-27 조소형 평판조명기구용 천장브라켓 어셈블리 설치구조
KR20230027965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413A (ko) * 2019-07-18 2021-05-26 주식회사 초록조명 조명등 브라켓
KR102240288B1 (ko) * 2020-07-03 2021-04-14 조소형 천장등 고정장치
KR102276897B1 (ko) 2021-03-25 2021-07-12 조소형 천장 직부형 평판조명기구의 설치구조
KR102344343B1 (ko) 2021-07-16 2021-12-27 조소형 평판조명기구용 천장브라켓 어셈블리 설치구조
KR20230027965A (ko) * 2021-08-20 2023-02-28 주식회사 말타니 등기구 체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7701B1 (ko) * 2024-07-25 2025-05-16 위버스 주식회사 승강형 락커를 구비한 원터치 장착 등기구
KR102833843B1 (ko) 2024-07-25 2025-07-15 위버스 주식회사 회동형 락커를 구비한 원터치 장착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464B2 (en) Mounting structure of coupler for sprinkler
KR102629260B1 (ko) 조명기구 장착장치
CN101403484B (zh) 面板构件支架
US9737174B2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EP4329191B1 (en) Device and system for mounting solar panels to metal roofs
CZ26132U1 (cs) Sestava sprchových dverí
WO2020253305A1 (zh) 滑轨及机柜
US10995939B2 (en) Removable positioning of light fixtures
CN101432532B (zh) 固定装置
KR101973319B1 (ko) 천장 프레임 체결용 고강도 행거
KR200479832Y1 (ko) 가구의 슬라이딩 도어용 슬라이더
US7525044B2 (en) Wireway section with hinged cover
CN110145085A (zh) 一种可调节异形曲面铝板安装结构
CN113250452A (zh) 阴角模板及模板框架
KR101969058B1 (ko) 임시구조물조립장치
KR100419526B1 (ko) 간이착탈형 2축경첩구조
US11454063B2 (en) Mounting structure for roller blind
CN212984956U (zh) 一种合页的安装结构
KR200274769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커버 고정용 클램프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CN114382367A (zh) 一种快装式的紧固组件、铰链、拉手和门锁
CN102198859A (zh) 用于机舱内部组件的装配装置
KR20210146072A (ko) 볼트용 방수장치
RU228509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етли
CN222949279U (zh) 一种室外装饰装修幕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