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8910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910B1
KR102628910B1 KR1020230097070A KR20230097070A KR102628910B1 KR 102628910 B1 KR102628910 B1 KR 102628910B1 KR 1020230097070 A KR1020230097070 A KR 1020230097070A KR 20230097070 A KR20230097070 A KR 20230097070A KR 102628910 B1 KR102628910 B1 KR 10262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using
mounting bracket
concrete structure
precast concr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한
Original Assignee
오종한
페이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한, 페이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종한
Priority to KR102023009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9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6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 E04B1/165Structures made from masses, e.g. of concrete,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with or without making use of additional elements, such as permanent forms, substructures to be coated with load-bearing material with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장착하는 작업시 몰탈의 주입을 포함한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Mounting brackets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a mounting method precast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mounting brackets}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건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장착하는 작업시 몰탈의 주입을 포함한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에 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도시에서 주거형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입주자에게 편리한 점도 많지만, 평형 별로 내부 설계가 획일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는 주거시설이 아니라 거대한 동일한 형태의 콘크리트 상자에 사람들이 갇혀 살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최근 들어서는 건축물에 관한 입면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아파트 입면디자인의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돌출 발코니의 설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돌출발코니를 건축물에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 매우 많고 그에 따라 시공이 복잡함에 따라 설치비용이 상승하고, 시공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한국 등록특허 10-2060275를 제안한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발명에 의하면, 거치부를 거치 브라켓에 삽입 한 이후에, 거치 브라켓 내부에 고정용 몰탈을 주입하는 경우, 아래에서 주입을 해야하며, 그러한 경우, 주입을 하는 도중에 몰탈이 아래로 쏟아지지 않도록 별도의 커버부재를 대고 진행을 하고, 추후 커버부재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10-2060275 (2020. 2. 1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하는 작업시 몰탈의 주입을 포함한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단차지게 구분되며, 단차 부분에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볼트가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블록은 단차진 부분보다 위에 설치되며 지지블록과 하부 하우징의 하면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별도의 거치구조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블록은 별도의 거치 구조물에 상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너트가 볼트에 대해서 조여지는 경우, 지지블록은 별도의 거치구조물 상부의 가압하여 거치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 상부 영역에 몰탈이 주입되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배치되는 거치부의 위치에 맞게 구조물의 거치 브라켓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 내부에 거치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에 지지 블록을 장착하여 거치부와 거치 브라켓을 조립하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의 상부에 몰탈을 주입하여 몰탈을 거치 브라켓 내부에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몰탈을 거치 브라켓의 아래 방향에서 주입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은 몰탈을 거치 브라켓의 위에서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몰탈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 브라켓과 거치부간의 거치 블록을 통한 조립 작업이 발코니를 포함한 구조물의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의 용이성과 신속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이 설치된 구조물의 상부 일부의 구조도이다.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 내부에 장착될 거치부의 분해도이다.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 내부에 장착될 거치부의 결합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의 결합도이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의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과 거치부의 결합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과 거치부의 결합 전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과 거치부간에 지지블록이 결합되기 전의 결합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과 거치부간에 지지블록이 결합된 후의 결합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100)이 적용되는 구조물(B)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일예로 발코니가 될 수 있다. 구조물(B)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구조물(B)에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 브라켓(100)과 앵커 브라켓(300)이 배치되어 있다.
도1은 발코니로 예시를 들은 구조물(B)의 일부(좌측)만 도시한 것인데, 구조물(B) 전체의 양 측에는 거치 브라켓(100)이 배치되고, 거치 브라켓(100) 사이에는 다수의 앵커 브라켓(300)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건물의 외벽에는 앵커 볼트(400)와 거치부(200)가 배치되어 있는데, 앵커 볼트(400)는 앵커 브라켓(300)에 삽입된 후 커플러에 의하여 체결되어 앵커 브라켓(300)과 결합된다.
앵커 브라켓(300)과 앵커 볼트(400)가 결합된 이후에 앵커 브라켓(300)에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여 마감을 한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200)의 일부는 건물 벽체(A)에 매립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건물 벽체(A) 외부에 노출되어서 구조물(B)에 마련되는 거치 브라켓(1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벽체(A)에 고정되는 거치부(200)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건물 벽체(A)에 매립되는 매립 블록(210)과, 매립 블록(210)의 양 옆에 상하 방향으로 뻗어서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는 지지 다리(220)를 포함한다.
지지 다리(220)는 매립 블록(210)의 측면에 접합되어 뒤 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다가 위 아래로 뻗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 다리(220)의 단부에는 매립되었을때 그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확경부(221)가 마련되어 있다.
매립 블록(210)의 전면에는 전면에 상하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되고 결합공(232)이 형성되는 요철판(230)이 마련되고, 요철판(230)의 앞에는 후면에 요철이 마련되는 거치 블록(240)이 마련되며, 거치 블록(240)에는 결합공(232)에 대응되는 관통공(241)이 마련된다.
요철판(230)과 거치 블록(240)에 서로 마주보는 요철이 형성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슬립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거치 블록(240)의 전면에는 거치 블록(24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추후 거치 브라켓(100)에 위치에 맞게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전면판(250)이 마련되며, 전면판(250)에는 장공 형태의 가이드 홈(251)이 마련되어 좌우 방향으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 홈(251)과, 관통공(241)과, 결합공(232)에는 결합 나사(260)가 삽입되어 전면판(250), 거치 블록(240), 요철판(230)을 결합시킨다.
도3은 거치 브라켓(100)을 도시한 것이다
거치 브라켓(100)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에 볼트(121)와 너트(122)로 마련되어 상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체결 부재(120)와, 체결 부재(120)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 블록(130)과, 하우징(110)에 연결되며 하우징(110)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바(140)는 거치 브라켓(100)이 구조물(B) 내부에서 정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10)은 그 상부에서 본 형태가 'ㄷ'자 형태를 갖는 상부 하우징(111)과, 상부 하우징(111)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며 그 전면에서 본 형태가 'I' 형태로 된 하부 하우징(112)을 포함한다.
즉, 상부 하우징(111)은 후방벽과 후방벽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11)은 후면과 측면이 막혀져 있고, 상부와 하부와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111)의 전면 테두리부(111a)는 절곡되어 날개 형태로 마련되는데, 이 부분은 구조물(B)의 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하부 하우징(112)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 하우징(112)의 좌우 상면 테두리 부분이 단차진 부분을 형성하고, 그 좌우 단차면(112a)에는 체결 부재(120)를 구성하는 볼트(121)가 각각 위쪽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게 배치된다.
지지 블록(130)은 상부 하우징(111)의 개방된 영역에서 하강하여 볼트(12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은 단차면(112a)의 위쪽에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 지지 블록(130)의 좌우 폭은 하부 하우징(112)의 내부 공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하부 하우징(112)의 하면에는 아래를 막는 바닥판(112b)이 마련되는데, 이는 상부 하우징(111)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통해서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는 경우에 주입된 몰탈이 하부로 빠져 나가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하우징(112)은 후방벽과, 후방벽의 양측 전면에 마련되는 측벽이 마련되는데, 측벽의 상면은 후술할 단차면(112a)을 구성하고, 측벽의 전면 형상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부 하우징(112)의 하면은 바닥판(112b)에 의하여 구현된다.
전면의 개방된 공간은 구조물(B)이 건물 외벽(A)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막혀 있으므로, 전면의 개방된 공간으로도 몰탈이 빠져나가지 않고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온전히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블록(130)과 하부 하우징(112)의 하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술한 거치부(200)의 전면판(250) 및 거치 블록(240)이 삽입되고, 전면판(250)과 거치 블록(240)의 상면을 지지 블록(130)이 눌러서 고정함으로써, 거치부(200)와 거치 브라켓(100) 간의 결합 관계가 완성된다.
즉, 체결 부재(120)를 구성하는 너트(122)가 볼트(121)에 대해서 조여지는 경우, 지지 블록(130)은 별도의 거치부(200) 상부를 가압하여 거치부(2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결합 관계가 도 4에서 나타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구조물(B)의 상면과 거치 브라켓(100)의 상부 테두리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구조물(B)의 후면과, 하우징(110)의 전면 개방부의 테두리(111a)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구조물(B)을 건물 외벽(A)에 고정시키는 공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조물(B)을 크레인 등으로 들어서 구조물(B)에 이미 배치되어 있는 거치 브라켓(100)의 전면 개방부의 위치를 건물 외벽(A)에 위치한 거치부(200)의 위치에 매칭시켜서, 거치부(200)가 거치 브라켓(100)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12)의 바닥판(112b)의 위에 거치부(200)가 배치되고, 거치부(200)의 양측에 하우징(110)의 단차면 및 체결부재의 볼트(121)가 위치한다. 이때, 지지 블록(130)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블록(130)을 체결 부재(120)를 구성하는 볼트(121)에 끼워서 결합시키고, 그 위에 너트(122)를 결합시켜서 조이면, 지지 블록이 거치 블록(240) 및 전면판(250)의 윗면을 가압한다.
그리고, 바닥판(112b)이 거치 블록(240)과 전면판(250)의 아랫면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구조물(B)의 앵커 브라켓(300)은 앵커 볼트(400)들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물(B)과 건물 외벽(A) 사이의 결합 구조물들이 체결되기 때문에, 구조물(B)이 건물 외벽(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7의 화살표 방향으로 시멘트 몰탈을 주입하면, 몰탈이 하우징 내부에 누적되면서, 거치부(200)의 거치 블록(240) 및 전면판(250), 그리고, 지지 블록(130) 등을 둘러싸면서, 이들의 고정 상태를 고착화 시킨다.
종래 기술에서는 몰탈을 거치 브라켓의 아래 방향에서 주입하여야 했으나, 본 발명은 몰탈을 거치 브라켓(100)의 위에서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몰탈 작업이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은 하부 하우징(112)의 저면 또는 바닥면이 개방되어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브라켓(100)의 하우징(110)은 PC콘크리트에 의하여 그 후면과 양측면과 바닥면이 막혀져 있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111)의 위쪽에서 몰탈을 부어도 하부 하우징(112)의 저면을 막고 있는 콘크리트 및 하우징(110)의 전방 개구부를 막고 있는 건물 벽과 하우징(110)의 측면벽과 후방벽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도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바닥판(112)의 저면에 요철부(112b-1)가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 요철부(112b-1)의 역할은 바닥판(112)과 그 하면에 있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고, 콘크리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바닥판(112)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바닥판(112)의 저면에는 돌기부 형태나 또는 굴곡된 형태의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슬립방지 및 접촉 면적 증대를 위한 구조라면 그 형상은 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바닥판(112)이 막혀있는 플레이트가 아니라 메쉬 또는 메탈라스와 같은 망(112c) 형태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망 형태가 됨으로써 바닥판(112)과 그 하면에 있는 콘크리트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고, 콘크리트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바닥판(112)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112)을 구성하는 망의 눈이 매우 촘촘할 뿐더러, 바닥판(112)의 아래에는 콘크리트로 막혀 있으므로 하우징(110)의 측벽과, 후방벽, 저면의 콘크리트 및 바닥판(112)과, 하우징(110)의 전면 개방부를 막고 있는 건물 벽체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부에 몰탈을 부어도 몰탈이 외부로 새지 않고 그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거치 브라켓 110: 하우징
111: 상부 하우징 112: 하부 하우징
120: 체결부재 130: 지지 블록
140: 지지바 200: 거치부
210: 매립 블록 220: 지지다리
230: 요철판 240: 거치 블록
250: 전면판 300: 앵커 브라켓
400: 앵커 볼트

Claims (10)

  1.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단차지게 구분되며,
    단차 부분에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볼트가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단차진 부분보다 위에 설치되며
    지지블록과 하부 하우징의 하면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에 별도의 거치구조물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별도의 거치 구조물에 상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너트가 볼트에 대해서 조여지는 경우, 지지블록은 별도의 거치구조물 상부의 가압하여 거치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 상부 영역에 몰탈이 주입되는 경우, 하우징 내부에 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바닥은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이 장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하부 하우징의 바닥에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는 바닥판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는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고 슬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메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10. 건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거치부의 위치에 맞게 구조물의 거치 브라켓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 내부에 거치부를 삽입하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에 지지 블록을 장착하여 거치부와 거치 브라켓을 조립하는 단계와;
    거치 브라켓의 상부에 몰탈을 주입하여 몰탈을 거치 브라켓 내부에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브라켓은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며 하우징의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바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갖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은 단차지게 구분되며,
    단차 부분에 체결부재를 구성하는 볼트가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KR1020230097070A 2023-07-25 2023-07-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Active KR10262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070A KR102628910B1 (ko) 2023-07-25 2023-07-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7070A KR102628910B1 (ko) 2023-07-25 2023-07-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910B1 true KR102628910B1 (ko) 2024-01-24

Family

ID=8971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070A Active KR102628910B1 (ko) 2023-07-25 2023-07-25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91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2981A1 (en) * 2007-03-15 2008-09-18 Permasteelisa Cladding Technologies, L.P. Curtain wall anchor system
KR101595396B1 (ko) * 2014-09-30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조립형 돌출발코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0275B1 (ko) 2019-05-14 2020-02-11 오종한 돌출발코니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2981A1 (en) * 2007-03-15 2008-09-18 Permasteelisa Cladding Technologies, L.P. Curtain wall anchor system
KR101595396B1 (ko) * 2014-09-30 2016-02-19 삼성물산 주식회사 조립형 돌출발코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60275B1 (ko) 2019-05-14 2020-02-11 오종한 돌출발코니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6629A (en) Composite building panel
US5542218A (en) Structural support frame for ceramic tile corner seats and service trays
KR10262891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용 거치 브라켓 및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장착 방법
US20090044479A1 (en) Wall panel apparatuses and methods
JP3251262B2 (ja) Pc板取付け方法および取付け構造
KR20090013479A (ko) 가변형 계단 벽면 거푸집
CN117927088A (zh) 一种装配式装饰一体化围墙单元及装配方法
JP3641038B2 (ja) 外断熱基礎構造
JP2004352457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におけるシャフトユニットの接合構造
US5121582A (en) Soap dish anchoring system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JP3743612B2 (ja) 勝手口ポーチ
JP2552864B2 (ja) 地下室等の壁パネル
JP2019044423A (ja) 地下室の施工方法
JP3247755B2 (ja) 土間・ポーチ構造
JPH06336811A (ja) 建築物外壁改修構造
EP0489669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entre la bordure d'un plancher suspendu et une paroi adjacente
KR200347936Y1 (ko) 조립식 욕실
JPH0330477Y2 (ko)
FR2498919A1 (fr) Dispositif pour la pose d'un appareil sanitaire
JPS6214247Y2 (ko)
JPS6334010Y2 (ko)
CZ30042U1 (cs) Železobetonová prefabrikovaná tvarovka podzemní provětrávané předstěny budovy
KR200399882Y1 (ko) 지하이중벽의 내벽 구축용 패널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