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8338B1 - 소형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형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338B1
KR102628338B1 KR1020210098990A KR20210098990A KR102628338B1 KR 102628338 B1 KR102628338 B1 KR 102628338B1 KR 1020210098990 A KR1020210098990 A KR 1020210098990A KR 20210098990 A KR20210098990 A KR 20210098990A KR 102628338 B1 KR102628338 B1 KR 102628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fractive power
satisfies
qcon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7472A (ko
Inventor
최순철
노기연
배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21009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338B1/ko
Priority to US17/813,265 priority patent/US20230048740A1/en
Publication of KR2023001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광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1 < P1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2렌즈의 굴절능 P2는 0.4 < P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측 면의 곡률 C6은 -0.01 < C6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의 굴절능 P4는 -0.1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의 굴절능 P5는 0.7 < P5를 만족하고, 상기 제6렌즈의 굴절능 P6은 P6 < -0.7을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으로,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소형 경량이면서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소형 렌즈 시스템{Small lens system}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렌즈의 굴절능을 설정하여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기능이 점차 커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광각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으며, 휴대하기에 간편하게 소형화를 요구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화질, 고성능, 소형화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의 렌즈를 유리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하고 있으며, 고해상도의 구현을 위해 렌즈의 매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보편적이다.
최근 스마트폰은 디스플레이의 확장으로 인해 카메라 개구부를 작게하여 소형화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를 위해 제1렌즈의 유효경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스마트폰에 장착되는 소형렌즈는 스마트폰의 두께의 제약 때문에 렌즈 시스템의 길이(total track length)가 짧을수록 유리하다.
또한, 센서의 고해상도화가 진행되면서 고해상도의 렌즈가 요구되고 있으나, 종전의 렌즈 시스템은 민감도가 매우 높아 성능 수율이 저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미국 특허청 등록번호 US8379323B2와 US8830595B2에 따른 렌즈 광학계는, 물체 측으로부터 6매의 렌즈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렌즈의 길이와 관련 있는 TTL(렌즈 전면(물체측 면)에서 상면(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이 길고, 제1렌즈에 스탑(stop)이 위치하면서 굴절능이 크기 때문에 민감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2렌즈가 음의 굴절능을 가지면서 제1렌즈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민감도가 높은 구조를 띄고 있다.
또한 종래의 렌즈 시스템에서는 대부분 제1렌즈 및 제2렌즈에 파워가 집중되어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파워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민감도가 높아 공차에 예민한 단점이 있다.
특히, 초소형 렌즈 시스템에 있어서 공차가 예민하게 되면, 제품마다 성능이 달라지게 되므로, 전체 렌즈 시스템의 공차에 대한 민감도를 완화시켜 비교적 용이한 방법으로 제품의 성능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각 렌즈의 굴절능과 형태를 설정하여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1 < P1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2렌즈의 굴절능 P2는 0.4 < P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측 면의 곡률 C6은 -0.01 < C6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의 굴절능 P4는 -0.1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의 굴절능 P5는 0.7 < P5를 만족하고, 상기 제6렌즈의 굴절능 P6은 P6 < -0.7을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으로,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0.1 < |SAG42|+|SAG51| < 0.5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7mm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5mm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5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14mm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 렌즈의 굴절능을 설정하고, 제1렌즈의 굴절능을 매우 작게 하고, 제2렌즈가 양면 볼록하고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하여 공차 민감도를 완화시켜 성능 재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5렌즈는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고, 제6렌즈는 강한 음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여 렌즈의 길이를 단축하도록 하며,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과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TTL을 줄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성능의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 - 종래 기술에 따른 소형 렌즈 시스템.
도 3 -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4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5 -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6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7 -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8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9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10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도 11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12 -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색수차가 보정되도록 하고, 6매의 렌즈를 사용했음에도 TTL이 짧아 두께가 얇거나 소형의 카메라 모듈, 특히 스마트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각 렌즈의 굴절능을 설정하고, 제1렌즈의 굴절능을 매우 작게 하고, 제2렌즈가 양면 볼록하고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하여 공차 민감도를 완화시킨 것이다.
또한 제5렌즈는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고, 제6렌즈는 강한 음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여 렌즈의 길이를 단축하도록 하며,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과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TTL을 줄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성능의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및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를 포함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0.01 < P1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L2)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0.4 < P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측 면의 곡률 C6은 -0.01 < C6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0.1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0.7 < P5를 만족하고,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은 P6 < -0.7을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_)으로,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각 렌즈의 굴절능을 설정하고, 상기 제1렌즈(L1)에 스탑이 위치하고 굴절능을 매우 작게 하고, 상기 제2렌즈(L2)가 양면 볼록하고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하여 민감도를 완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01을 만족하도록 하여 제1렌즈(L1)의 유효경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카메라 개구부를 작게 하여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01을 만족하도록 하여, 매우 약한 굴절능을 갖도록 하여 공차 민감도를 완화시켜 성능 재현성이 우수한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렌즈(L1)의 가공시 형상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출시 수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차를 완화시켜 성능 재현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적용에 유리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렌즈(L2)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0.4 < P2를 만족하도록 하여, 제1렌즈(L1)와 함께 민감도를 완화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제4렌즈(L4)는 약한 굴절능을 가지면서, 상기 제5렌즈(L5)는 강한 양의 굴절능 0.7 < P5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6렌즈(L6)는 강한 음의 굴절능 P6 < -0.7을 갖도록 하여 렌즈의 길이를 단축하도록 하며,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과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TTL을 줄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성능의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0.1 < |SAG42|+|SAG51| < 0.5을 만족하도록 하여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7mm을 만족하도록 하며,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5mm을 만족하도록 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14mm을 만족하도록 하여, 민감도를 줄이고, 렌가간 길이를 단축시켜 소형 렌즈 시스템 구현에 적절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시스템은, 상기 제1렌즈(L1)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L2)의 아베수(V2), 상기 제3렌즈(L3)의 아베수(V3), 상기 제4렌즈(L4)의 아베수(V4), 상기 제5렌즈(L5)의 아베수(V5), 상기 제6렌즈(L6)의 아베수(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을 만족하도록 한다.
이는 아베수가 높은 재료와 낮은 재료를 교대로 사용함으로써, 색수차 보완 및 성능 보완을 통해 고해상도 소형 렌즈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L1~L6)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모두 비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구면수차 및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각 렌즈들은 길이를 줄이는데 유리한 굴절율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색수차 보정에 유리하도록 아베수가 적절히 배분된 재료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총 6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축을 따라 물체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로 배열된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굴절능, 형태 등을 적절히 설계하여, 소형 경량이면서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각 렌즈의 굴절능을 설정하고, 제1렌즈(L1)에 스탑이 위치하고 굴절능을 매우 작게 하고, 제2렌즈(L2)가 양면 볼록하고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가지도록 하여 공차 민감도를 완화시키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제5렌즈(L5)는 강한 양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고, 제6렌즈(L6)는 강한 음의 굴절능을 갖도록 하여 렌즈의 길이를 단축하도록 하며,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과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도록 하여 렌즈 시스템의 TTL을 줄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고성능의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stop)는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 시스템을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 type
(면 타입)
Y radius
(Y 곡률반경)
Thickness
(두께)
Glass Code
(글래스 코드)
Y Semi-Aperture
(Y-반구경)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1 Sphere Infinity 0.0000 0.7145
2 Qcon Asphere 2.1199 0.1573 535000.5600 0.6900
Stop Qcon Asphere 2.0649 0.0421 0.6915
4 Qcon Asphere 1.3159 0.3975 544100.5600 0.6997
5 Qcon Asphere -7.3890 0.0718 0.6906
6 Qcon Asphere -3.5406 0.1000 670000.1940 0.6500
7 Qcon Asphere Infinity 0.3080 0.6703
8 Qcon Asphere 1.6411 0.1039 670000.1940 0.7336
9 Qcon Asphere 1.8476 0.4178 0.8005
10 Qcon Asphere 12.2632 0.4910 544100.5600 0.9800
11 Qcon Asphere -0.6224 0.0594 1.3856
12 Qcon Asphere -3.9286 0.1400 535000.5600 1.6756
13 Qcon Asphere 0.5125 0.1412 1.8240
14 Sphere Infinity 0.1100 BK7_SCHOTT 2.1034
15 Sphere Infinity 0.6204 2.1436
Image Sphere Infinity -0.0004 2.520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에서 z는 렌즈 시스템에서 z축에 평행한 면의 새그(sag), c는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vertex curvature),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 r은 렌즈의 축으로부터의 거리(radial distance), rn은 정규화 반경(normalization radius), u는 r/rn, am은 m번째 Qcon 계수, Qm con은 m번째 Qcon 다항식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2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232e-10을 만족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P2 = 0.481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P4 = 0.055를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P5= 0.909를 만족하며,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는, P6 = -1.19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 TOPL은, 를 만족한다. 또한, 상기 TOPL과 상고 Himg는, TOPL/Himg = 1.563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SAG42|+|SAG51| = 0.4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의 상측 면의 곡률 C6, C6 = 0.1e-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07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16을 만족하며,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154를 만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4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4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렌즈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stop)는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 type
(면 타입)
Y radius
(Y 곡률반경)
Thickness
(두께)
Glass Code
(글래스 코드)
Y Semi-Aperture
(Y 반-구경)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1 Sphere Infinity 0.0000 0.7308
2 Qcon Asphere 2.5613 0.1000 535000.5600 0.7100
Stop Qcon Asphere 2.5264 0.1284 0.6914
4 Qcon Asphere 1.4644 0.4113 544100.5600 0.7094
5 Qcon Asphere -4.0313 0.0500 0.6907
6 Qcon Asphere -2.9268 0.1000 640000.2340 0.6540
7 Qcon Asphere Infinity 0.3600 0.6901
8 Qcon Asphere 1.8469 0.1314 670000.1940 0.8168
9 Qcon Asphere 1.7843 0.3775 0.8826
10 Qcon Asphere 34.2167 0.5774 544100.5600 0.9700
11 Qcon Asphere -0.6075 0.1223 1.2133
12 Qcon Asphere -2.0283 0.1400 535000.5600 1.4904
13 Qcon Asphere 0.6470 0.1716 1.8955
14 Sphere Infinity 0.1100 BK7_SCHOTT 2.2067
15 Sphere Infinity 0.6100 2.2475
Image Sphere Infinity 0.0100 2.52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및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4와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201e-11을 만족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P2 = 0.495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P4 = -0.002를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P5= 0.909를 만족하며,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는, P6 = -1.114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 TOPL은, 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TOPL과 상고 Himg는, TOPL/Himg = 1.674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SAG42|+|SAG51| = 0.29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의 상측 면의 곡률 C6, C6 = 0.1e-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09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16을 만족하며,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4를 만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6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stop)는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 type
(면 타입)
Y radius
(Y 곡률반경)
Thickness
(두께)
Glass Code
(글래스 코드)
Y Semi-Aperture
(Y 반-구경)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1 Sphere Infinity 0.0000 0.7270
2 Qcon Asphere 2.5725 0.1000 535000.5600 0.7100
Stop Qcon Asphere 2.5375 0.1306 0.7094
4 Qcon Asphere 1.6720 0.3975 544100.5600 0.7257
5 Qcon Asphere -3.6487 0.1010 0.7162
6 Qcon Asphere -2.7843 0.1300 634000.2390 0.6540
7 Qcon Asphere Infinity 0.3132 0.7044
8 Qcon Asphere 2.3376 0.1545 670000.1940 0.8168
9 Qcon Asphere 2.1658 0.3824 0.8995
10 Qcon Asphere -6.0252 0.4785 544100.5600 1.0000
11 Qcon Asphere -0.5614 0.1372 1.1652
12 Qcon Asphere -2.0165 0.2456 535000.5600 1.6453
13 Qcon Asphere 0.7453 0.2794 2.0730
14 Sphere Infinity 0.1100 BK7_SCHOTT 2.2496
15 Sphere Infinity 0.6100 2.2858
Image Sphere Infinity 0.0100 2.52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및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6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169e-13을 만족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P2 = 0.464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P4 = -0.015를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P5= 0.909를 만족하며,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는, P6 = -1.0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 TOPL은, 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TOPL과 상고 Himg는, TOPL/Himg = 1.75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SAG42|+|SAG51| = 0.30을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의 상측 면의 곡률 C6, C6 = 0.1e-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15를 만족하며,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337을 만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8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8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4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stop)는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 type
(면 타입)
Y radius
(Y 곡률반경)
Thickness
(두께)
Glass Code
(글래스 코드)
Y Semi-Aperture
(Y 반-구경)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1 Sphere Infinity 0.0000 0.7154
2 Qcon Asphere 2.1555 0.1598 535000.5600 0.6900
Stop Qcon Asphere 2.0997 0.0500 0.6923
4 Qcon Asphere 1.3069 0.3895 544100.5600 0.7007
5 Qcon Asphere -9.0425 0.0763 0.6962
6 Qcon Asphere -3.8328 0.1000 680000.1850 0.6540
7 Qcon Asphere Infinity 0.3084 0.6732
8 Qcon Asphere 1.6475 0.1059 670000.1940 0.7789
9 Qcon Asphere 1.8441 0.4125 0.7988
10 Qcon Asphere 10.9167 0.4886 544100.5600 0.9700
11 Qcon Asphere -0.6254 0.0588 1.4028
12 Qcon Asphere -3.7977 0.1400 535000.5600 1.6880
13 Qcon Asphere 0.5150 0.1404 1.8800
14 Sphere Infinity 0.1100 BK7_SCHOTT 2.1716
15 Sphere Infinity 0.6242 2.2145
Image Sphere Infinity -0.0042 2.520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및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8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151e-7을 만족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P2 = 0.472를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P4 = 0.053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P5= 0.909를 만족하며,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는, P6 = -1.19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 TOPL은, 을 만족한다. 또한, 상기 TOPL과 상고 Himg는, TOPL/Himg = 1.562를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SAG42|+|SAG51| = 0.39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의 상측 면의 곡률 C6, C6 = 0.1e-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08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17을 만족하며,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145를 만족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0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5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물체(object)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 및 제6렌즈(L6)의 순서로 배치되게 된다. 조리개(stop)는 상기 제1렌즈(L1)와 상기 제2렌즈(L2)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 표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들의 수치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Surface type
(면 타입)
Y radius
(Y 곡률반경)
Thickness
(두께)
Glass Code
(글래스 코드)
Y Semi-Aperture
(Y 반-구경)
Object Sphere Infinity Infinity
1 Sphere Infinity 0.0000 0.7338
2 Qcon Asphere 2.5665 0.1000 535000.5600 0.7100
Stop Qcon Asphere 2.5316 0.1402 0.6917
4 Qcon Asphere 1.5034 0.4054 544100.5600 0.7064
5 Qcon Asphere -3.8070 0.0500 0.6907
6 Qcon Asphere -2.7664 0.1000 634000.2390 0.6540
7 Qcon Asphere Infinity 0.3706 0.6945
8 Qcon Asphere 1.9422 0.1432 670000.1940 0.8168
9 Qcon Asphere 1.8553 0.3812 0.9004
10 Qcon Asphere -35.6526 0.5854 544100.5600 0.9700
11 Qcon Asphere -0.5939 0.1304 1.2062
12 Qcon Asphere -2.0563 0.1550 535000.5600 1.6124
13 Qcon Asphere 0.6705 0.2086 2.0730
14 Sphere Infinity 0.1100 BK7_SCHOTT 2.2452
15 Sphere Infinity 0.6100 2.2816
Image Sphere Infinity 0.0100 2.520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체(object) 측으로부터 제1렌즈(L1), 제2렌즈(L2), 제3렌즈(L3), 제4렌즈(L4), 제5렌즈(L5)및 제6렌즈(L6)가 배치되며, 각 렌즈의 Qcon 비구면에 따른 Qcon polynomial(Qcon 다항식)은 상기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로부터 Qcon 계수는 다음 표 10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굴절능 P1은, P1 = 0.737e-10을 만족하며, 상기 제2렌즈(L2)의 굴절능 P2는, P2 = 0.493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굴절능 P4는, P4 = -0.005를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L5)의 굴절능 P5는, P5= 0.909를 만족하며, 상기 제6렌즈(L6)의 굴절능 P6는, P6 = -1.083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L1)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 TOPL은, 를 만족한다. 또한, 상기 TOPL과 상고 Himg는, TOPL/Himg = 1.720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L5)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SAG42|+|SAG51| = 0.33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L3)의 상측 면의 곡률 C6, C6 = 0.1e-17을 만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렌즈(L1)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06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L4)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197을 만족하며, 상기 제5렌즈(L5)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424를 만족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첫 번째 데이타는 구면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각 그래프는 입사되는 광선의 파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프들이 중심수직축선에 근접할수록 그리고 서로 근접할수록 구면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구면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2의 두 번째 데이타는 비점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초점(mm)을,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그래프 S는 렌즈와 수평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새지털(sagital)을 나타내고, 그래프 T는 렌즈와 직각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선인 탄젼셜(tangential)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그래프 S와 T가 가까울수록 그리고 중심수직축에 근접할수록 비점수차의 보정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비점수차는 0.025mm(초점)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 12의 세 번째 데이타는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로축은 왜곡도(%)를, 세로축은 상고(mm)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수차곡선이 -2~2% 범위 내에 들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왜곡수차로 optical distortion(광학적 왜곡)은 2% 이하로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L1 : 제1렌즈 L2 : 제2렌즈
L3 : 제3렌즈 L4 : 제4렌즈
L5 : 제5렌즈 L6 : 제6렌즈

Claims (7)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및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능 P1은 -0.01 < P1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2렌즈는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이 볼록하며, 상기 제2렌즈의 굴절능 P2는 0.4 < P2를 만족하고,
    상기 제3렌즈는 음의 굴절능을 가지며, 상측 면의 곡률 C6은 -0.01 < C6 < 0.01을 만족하고,
    상기 제4렌즈의 굴절능 P4는 -0.1 < P4 < 0.1을 만족하고,
    상기 제5렌즈의 굴절능 P5는 0.7 < P5를 만족하고,
    상기 제6렌즈의 굴절능 P6은 P6 < -0.7을 만족하고,
    상기 렌즈 시스템 전체의 광로정(TOPL)은 제1렌즈의 물체측 면에서 이미지 센서까지의 거리에 각각의 렌즈의 굴절율을 곱한 값의 합()으로, 상고(Himg)는 TOPL/Himg < 1.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42,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 면 유효경 최외각의 Sag값 SAG51은,
    0.1 < |SAG42|+|SAG51| < 0.5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1과 중심 두께 ct1은,
    |et1 - ct1| < 0.07m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4와 중심 두께 ct4는,
    |et4 - ct4| < 0.05m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의 상측 면 유효경 높이에서의 렌즈의 두께 et5와 중심 두께 ct5는,
    |et5 - ct5| > 0.14mm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든 면이 비구면을 이루며,
    모든 렌즈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아베수(abbe number, V1), 상기 제2렌즈의 아베수(V2), 상기 제3렌즈의 아베수(V3), 상기 제4렌즈의 아베수(V4), 상기 제5렌즈의 아베수(V5), 상기 제6렌즈의 아베수(V6)는,
    50 < V1 < 60, 50 < V2 < 60, 15 < V3 < 30, 15 < V4 < 30, 50 < V5 < 60, 50 < V6 < 60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0210098990A 2021-07-28 2021-07-28 소형 렌즈 시스템 Active KR102628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90A KR102628338B1 (ko) 2021-07-28 2021-07-28 소형 렌즈 시스템
US17/813,265 US20230048740A1 (en) 2021-07-28 2022-07-18 Small len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990A KR102628338B1 (ko) 2021-07-28 2021-07-28 소형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72A KR20230017472A (ko) 2023-02-06
KR102628338B1 true KR102628338B1 (ko) 2024-01-23

Family

ID=8517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990A Active KR102628338B1 (ko) 2021-07-28 2021-07-28 소형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048740A1 (ko)
KR (1) KR102628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520B1 (ko) * 2021-03-30 2023-08-22 주식회사 세코닉스 민감도가 완화된 소형 렌즈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58031A1 (en) 2017-03-28 2019-08-22 Largan Precision Co.,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285858A1 (en) 2016-05-20 2019-09-19 Largan Percision Co., Ltd.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339493A1 (en) 2013-09-06 2019-11-07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Mobile device and optical imaging lens thereof
US20200049948A1 (en) 2018-08-10 2020-02-13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150391A1 (en) 2018-11-09 2020-05-14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system,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838B1 (ko) * 2014-12-08 2017-02-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KR102467261B1 (ko) * 2015-10-30 2022-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TWI653481B (zh) * 2017-06-09 2019-03-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擷取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39493A1 (en) 2013-09-06 2019-11-07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Mobile device and optical imaging lens thereof
US20190285858A1 (en) 2016-05-20 2019-09-19 Largan Percision Co., Ltd.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20190258031A1 (en) 2017-03-28 2019-08-22 Largan Precision Co.,Ltd.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049948A1 (en) 2018-08-10 2020-02-13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20200150391A1 (en) 2018-11-09 2020-05-14 Largan Precision Co.,Ltd. Imaging optical system,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7472A (ko) 2023-02-06
US20230048740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8433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imaging lens
KR102342281B1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20160313538A1 (en) Photographic Lens System Enabling Reduction in Tightness of Manufacturing Tolerance
KR20150070858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CN109709660B (zh) 摄像光学镜头
CN113341539B (zh)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CN112327458A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1812806A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1736305B (zh) 摄像光学镜头
KR102268263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628338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20240020775A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274547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268261B1 (ko) 소형 렌즈 시스템
KR102373360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CN213690084U (zh) 光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1404199B1 (ko) 촬상렌즈 유닛
KR102491911B1 (ko)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KR102345282B1 (ko) 고해상도 렌즈 시스템
KR102314726B1 (ko) 초광각 렌즈 시스템
KR102340488B1 (ko) 광각 렌즈 시스템
KR102752966B1 (ko)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KR101804842B1 (ko) 구면 렌즈를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KR20140009948A (ko) 촬상렌즈 유닛
KR101404200B1 (ko) 촬상렌즈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