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7345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45B1
KR102627345B1 KR1020180147072A KR20180147072A KR102627345B1 KR 102627345 B1 KR102627345 B1 KR 102627345B1 KR 1020180147072 A KR1020180147072 A KR 1020180147072A KR 20180147072 A KR20180147072 A KR 20180147072A KR 102627345 B1 KR102627345 B1 KR 102627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display device
battery
protrusions
cover gl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0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1591A (en
Inventor
안형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34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5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 아래에 배치되는 EL 모듈;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EL 모듈을 수용 지지하는 세트 프레임; 상기 세트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EL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아래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배터리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를 가지며, 상기 커버 글라스에서 전달되는 외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충격저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glass; an EL module disposed under the cover glass; a set frame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cover glass and the EL modul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set frame and disposed below the EL module; a battery disposed below the support plate; and a shock reduction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battery and absorbs and disperses external shock transmitted from the cover glass.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L 디스플레이 장치(EL Display devic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 display device.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또는 표시장치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In the recent information society, the importance of display devices as visual information delivery media is being further emphasized, and in order to occupy a major position in the future, they must meet requirements such as low power consumption, thinness, weight reduction, and high image quality. .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EL) 등의 발광형 소자를 이용한 발광 디스플레이와,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 소자를 이용한 비발광 디스플레이로 나눌 수 있다.Displays include Cathode Ray Tube (CRT), Light Emitting Diode (LED), 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plasma that emit light. Light-emitting display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such as display panels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electroluminescence (EL), and non-light-emitting displays that do not emit light themselv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LCD). It can be divided into non-emissive displays using devices.

이 가운데 발광형 소자인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 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 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광하게 된다.Among these, the EL display device, which is a light-emitting device,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n organic compound layer (HIL, HTL, EML, ETL, EIL) formed between them.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holes passing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re moved to the emitting layer (EML) to form excitons, and as a result, the emitting layer (EML) It emits visible light.

EL 디스플레이는 예를들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무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이 있다.EL displays include, for examp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and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s.

또한,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EL을 각각 포함한 픽셀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픽셀들의 휘도를 조절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신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압(Vgs)에 따라 EL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동 전류에 비례하는 EL의 발광량으로 표시 계조(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 display device arranges pixels each containing EL in a matrix form and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pixels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video data. Each pixel includes a driving TFT (Thin Film Transistor) that controls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 according to the voltage (Vgs) applied between its gate electrode and source electrode, and is indicated by the amount of EL emission proportional to this driving current. Gradation (brightness) can be adjusted.

한편, EL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술의 진보에 따라 기존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급부상중이다.Meanwhile,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EL display devices are manufactured using flexible materials such as plastic instead of the inflexible glass substrate used in existing displays, so they can maintain display performance even when bent like paper. Display devices are rapidly emerging as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Flexible display devices utilize plastic thin-film transistor substrates rather than glass and can be used as highly durable unbreakable devices, bendable devices that can be bent without breaking, rollable devices that can be rolled up, and foldable folder devices. It can be classified as foldable, etc. These flexible display devices have advantages in space utilization, interior design, and design, and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대면적화를 구현하기 위해, 접힌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폴딩/언폴딩 기능을 구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particular,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recently on foldable display devices that are portable in a folded state and implement a folding/unfolding function to display images in an unfolded state in order to achieve ultra-thinness, lightness, and miniaturization as well as large area. It is becoming.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폰, 울트라 모바일 피씨(ultra-mobile PC), 전자책, 전자신문과 같은 모바일 장치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Foldable display device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TVs and monitors, as well as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ultra-mobile PCs, e-books, and electronic newspaper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EL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버 글라스(10, Cover Glass), 세트 프레임(20, Set Frame), EL 모듈(30, EL Module), 배터리(40, Battery), 커버 바텀(50, Cover Botto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EL display device 1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cover glass 10, a set frame 20, an EL module 30, and a battery 40. Battery) and a cover bottom (50, Cover Bottom).

상술한 바와 같이 EL 디스플레이 장치(1)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면서, 폴딩/언폴딩 동작을 위해 커버 글라스(10)는 기존의 두께보다 한층 더 얇아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EL display device 1 is implemented as a foldable display device, the cover glass 10 is becoming thinner than the existing thickness for folding/unfolding operations.

그런데 커버 글라스(10)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외부 충격(Force)이 발생할 경우, 커버 글라스(10)는 외충격량의 흡수가 미흡하여 EL 모듈(30)의 손상(Damage)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as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10 becomes thinner, the cover glass 10 is insufficient in absorbing the external force,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EL module 30. .

따라서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충격에 의해 EL 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reduce damage to the EL module due to external shock because it can absorb and disperse external shock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is thin.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 아래에 배치되는 EL 모듈;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EL 모듈을 수용 지지하는 세트 프레임; 상기 세트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EL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 아래에 배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배터리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를 가지며, 상기 커버 글라스에서 전달되는 외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충격저감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glass; an EL module disposed under the cover glass; a set frame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cover glass and the EL module; a support plate provided on the set frame and disposed below the EL module; a battery disposed below the support plate; and a shock reduction unit that has a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battery and absorbs and disperses external shock transmitted from the cover glass.

상기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세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shock reducing protrusion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impact reducing protrusion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상기 충격저감부는 상기 충격저감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충격완화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pact reduc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mpact relieving grooves disposed between the impact reducing protrusions.

상기 충격저감돌기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충격완화홈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protrusion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groove.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배터리를 향해 돌출된 제1 충격저감돌기; 및 상기 제1 충격저감돌기 보다 상기 배터리로부터 더 이격되는 높이를 갖는 제2 충격저감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include a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And it may include a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having a height that is further away from the battery than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상기 제1 충격저감돌기와 상기 제2 충격저감돌기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are comprised of a plurality and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상기 충격저감부는 일자형 패턴, 격자형 패턴, 원형 패턴, 다각형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The impact reduction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traight pattern, a grid pattern, a circular pattern, and a polygonal pattern.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세트 프레임의 충격저감부에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충격에 의해 EL 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becomes thin, external shock can be absorbed and dispersed in the shock reduction portion of the set frame,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EL module due to external shock.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충격저감돌기가 일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격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7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다각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ing protrusions of Figure 3 form a straight pattern.
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grid-like pattern.
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circular pattern.
Figure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polygonal patter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clearly revealed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film), region, pad or pattern.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and “under” include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another layer.” do. Additionally, the standards for top/top or bottom/bottom of each floor are explained based on the drawing.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In the drawings, size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dditionally,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Additionally,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dicate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일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straight pattern.

도 3 및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커버 글라스(100, Cover Glass), 세트 프레임(200, Set Frame), EL 모듈(300, EL Module), 배터리(400, Battery), 커버 바텀(500, Cover Botto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3 and 4, the display device 10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ver glass (100), a set frame (200), and an EL module (30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400) and a cover bottom (500).

커버 글라스(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표시 영역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커버 글라스(100)는 매우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편광판(POL Hard Coating) 코팅 또는 보호필름(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The cover glass 100 may cover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device 101. The cover glass 100 is made of a very thin thickness, and a polarizing plate (POL Hard Coating) coating or a protective film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또한 커버 글라스(100)는 터치패널(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센서 줄을 촘촘하게 설치해 압력이 가해질 경우 위치를 좌표로 알아내는 감압식과, 커버 글라스(100) 표면에 전하를 충전하고 그 둘레에 센서들을 설치한 후 접촉 시에 전하가 상실된 정도를 감지해 접촉이 이루어진 곳을 파악하는 정전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ver glass 100 may be provided with a touch panel (not shown). These touch panels include a pressure-sensitive type that densely installs rows of sensors that respond to pressure applied to the surface to determine the location through coordinates when pressure is applied, and a touch panel that charges the surface of the cover glass (100) with electric charge and installs sensors around it before making contact. It can be applied as an electrostatic method that detects the degree of loss of charge and determines where contact was made.

커버 글라스(100)의 아래에는 EL 모듈(300)이 배치된다. EL 모듈(300)은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HIL, HTL, EML, ETL, EIL)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 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 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광하게 된다.An EL module 300 is disposed below the cover glass 100.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L module 300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n organic compound layer (HIL, HTL, EML, ETL, EIL) formed between them. The organic compound layer includes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When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and cathode electrodes, holes passing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re moved to the emitting layer (EML) to form excitons, and as a result, the emitting layer (EML) It emits visible light.

또한, EL 모듈(300)은 EL을 각각 포함한 픽셀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픽셀들의 휘도를 조절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신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압(Vgs)에 따라 EL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동 전류에 비례하는 EL의 발광량으로 표시 계조(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L module 300 arranges pixels, each including EL, in a matrix form and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pixels according to the gray level of video data. Each pixel includes a driving TFT (Thin Film Transistor) that controls the driving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 according to the voltage (Vgs) applied between its gate electrode and source electrode, and is indicated by the amount of EL emission proportional to this driving current. Gradation (brightness) can be adjusted.

세트 프레임(200)은 커버 글라스(100)와 EL 모듈(300)을 수용 지지하며, 상부 프레임, 상부 커버, 케이스, 하우징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트 프레임(200)은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t frame 200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cover glass 100 and the EL module 300, and may be called various names such as upper frame, upper cover, case, and housing. For example, the set frame 200 may be made of aluminum (Al) and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지지판(210)은 세트 프레임(200)에 구비되며, EL 모듈(300) 아래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세트 프레임(200)은 커버 글라스(100)와 EL 모듈(300)을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는 지지판(210)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0 is provided on the set frame 200 and is placed below the EL module 300. For example, the set frame 200 may include a frame that accommodates the cover glass 100 and the EL module 300 and forms an exterior, and a support plate 210 positioned horizontally inside the frame.

따라서 지지판(210)의 상부 영역에는 커버 글라스(100)와 EL 모듈(300)이 순차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지지판(210)의 아래에는 배터리(400)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ver glass 100 and the EL module 300 may be located sequentially in the upper area of the support plate 210, and the battery 400 may be placed below the support plate 210.

배터리(400)로 도시된 영역은 배터리(400)뿐만 아니라 EL 구동에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들이 위치할 수 있다.The area shown as the battery 400 may contain not only the battery 400 but also other components required for EL driving.

커버 바텀(500)은 배터리(400) 하부에 위치하며 세트 프레임(200)과 결합되며, 배터리(400) 및 EL 구동에 필요한 다른 구성 요소를 지지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부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바텀(500)은 바닥부만으로 이루어지거나 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 바텀(500)은 사각판 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일측에서 일정 높이 상부로 돌출된 측면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커버 바텀(500)은 예시적일 뿐 다양한 형상의 커버 바텀(500)이라도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ver bottom 500 is located below the battery 400 and is combined with the set frame 200, supports the battery 400 and other components required for EL driving, and forms the lower appearance of the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cover bottom 500 may consist of only a bottom portion or may further include side portions. That is, the cover bottom 500 may include a square plate-shaped bottom portion and a side portion protruding upward at a certain height from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cover bottom 500 is merely an example, and even cover bottoms 500 of various shapes can be applied to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충격저감부(600)는 커버 글라스(100)에서 전달되는 외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기 위해서 지지판(210)에서 배터리(400)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와, 충격저감돌기(610)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충격완화홈(6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저감돌기(610)는 배터리(400)와 접촉될 수도 있으나 미세한 공간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The shock reduction unit 600 includes a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0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210 toward the battery 400 in order to absorb and disperse external shock transmitted from the cover glass 100, and a shock reduction protrusion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mpact relieving grooves 620 disposed between 610). Here, the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battery 400, but may be spaced apart by a small spac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저감돌기(610a)는 지지판(210)의 세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방향은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글라스(100) 또는 지지판(210)의 길이가 긴 방향을 의미하고, 가로 방향은 세로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은 서로 위치가 바뀔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a may b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210. Here, 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vertical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glass 100 or the support plate 210 is long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cour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may change positions.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a)는 지지판(210)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a)의 이격된 공간에는 다수의 충격완화홈(620a)이 충격저감돌기(610a)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저감부(600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패턴을 이루면서 지지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충격완화홈(620, 620a)은 충격완화뿐만 아니라 에어 갭(Air Gap)을 형성하여 방열 면적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hock reducing protrusions 610a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210. Here, a plurality of shock alleviation grooves 620a may be located between the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0a in spaced apart spaces of the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0a. In this way, the impact reduction part 600a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late 210 while forming a straight pattern as shown in FIG. 4. The shock relief grooves 620 and 620a can serve not only to relieve shock but also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area by forming an air gap.

여기서 충격저감돌기(610a)의 가로방향 길이는 충격완화홈(620a)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충격저감돌기(6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100)로부터 외충격(Force)이 발생하면 충격력을 분산시켜 전달하는 경로를 이루므로 충격완화홈(620)에 비해 길이(또는 두께)가 더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다.Her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a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tion groove 620a. As shown in FIG. 3, the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 forms a path to distribute and transmit the impact force when an external impact (Force) occurs from the cover glass 100, so it has a length (or It is more efficient to have a larger thickness.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커버 글라스(100)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세트 프레임(200)에 구비된 충격저감부(600, 600a)에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충격에 의해 EL 모듈(300)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absorb and disperse external shock in the shock reduction portions 600 and 600a provided in the set frame 200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100 becomes thinner. Therefore, damage to the EL module 300 due to external shock can be reduced.

한편, 충격저감부(600, 600a)는 전술한 일자형 패턴뿐만 아니라 격자형 패턴, 원형 패턴, 다각형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pact reduction portions 600 and 600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rid pattern, a circular pattern, and a polygonal pattern as well as the straight pattern described above.

도 6은 도 3의 충격저감부가 격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Figure 6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grid-like patter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저감부(600c)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c)가 지지판(210)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저감돌기(610c)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c)들 사이에는 충격완화홈(610c)이 위치한다.As shown in FIG. 6, the impact reduction portion 600c may be arranged in a grid shape such that a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c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support plate 210. Here, the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c has a square cross-section, and an impact reduction groove 610c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c.

본 실시예에서도 충격저감돌기(610c)의 가로방향 길이는 충격완화홈(620c)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protrusion 610c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groove 620c.

도 5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원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Figure 5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circular patter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저감부(600b)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b)가 지지판(210)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원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저감돌기(610b)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b)들 사이에는 충격완화홈(620b)이 위치한다.As shown in FIG. 5, the impact reduction portion 600b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pattern such that a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b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support plate 210. Here, the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b)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n impact reduction groove (620b)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b).

본 실시예에서도 충격저감돌기(610b)의 가로방향 길이는 충격완화홈(620b)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s well,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protrusion 610b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impact reducing groove 620b.

도 7는 도 3의 충격저감부가 다각형 패턴을 이루는 것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Figure 7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impact reduction part of Figure 3 forms a polygonal patter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저감부(600d)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d)가 지지판(210)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서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다각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저감돌기(610d)는 원형의 다각형(예를 들어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d)들 사이에는 충격완화홈(620d)이 위치한다. 물론, 다각형은 육각형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칠각형 등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실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impact reduction portion 600d may be arranged in a polygonal pattern such that a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d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support plate 210. Here, the shock reducing protrusion 610d has a circular polygonal (for example, hexagonal) cross section, and an impact relieving groove 620d is loc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ing protrusions 610d. Of course, polygons are not limited to hexagons, and may be implemented as polygons of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s, pentagons, and heptagons.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par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2)에서 다수의 충격저감돌기(610, 620)는 높이가 서로 다른 제1 충격저감돌기(610)와 제2 충격저감돌기(6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display device 102 of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0 and 620 may includ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0 and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s 611 of different heights. You can.

예를 들어 제1 충격저감돌기(610)는 제2 충격저감돌기(611)보다 배터리(400)에 더 돌출된 높이를 가지며, 제2 충격저감돌기(611)는 제1 충격저감돌기(610)보다 배터리(400)로부터 더 이격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충격저감돌기(610)의 높이가 제2 충격저감돌기(611)의 돌기보다 높을 수 있다. 도면상으로 제1 충격저감돌기(610)가 배터리(400)와 접촉된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제1 충격저감돌기(610)는 배터리(400)와 이격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has a height that protrudes more from the battery 400 than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1,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1 is greater than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It may have a height that is further away from the battery 400. That is, the height of the first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1. Although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is shown in contact with the battery 400 in the drawing,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400.

여기서 제1 충격저감돌기(610)와 제2 충격저감돌기(611)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충격저감돌기(610)는 외측에만 위치하도록 최소한의 개수를 가질 수도 있고, 제2 충격저감돌기(611)의 숫자보다 적은 숫자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높이 단차를 갖는 제1 충격저감돌기(610)와 제2 충격저감돌기(611)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서 에어 갭과 방열면적이 더욱 커질 수 있다.Here,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1 are comprised of a plurality and may be arranged alternately. Of course, the first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0 may have a minimum number so that they are located only on the outside, or may have a smaller numb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611. By including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1 having a height step, the air gap and heat dissipation area can be further increased compar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글라스(100)에서 전달된 충격을 제1 충격저감돌기(610)와 제2 충격저감돌기(611)에서 흡수하고 분산시키게 되는데, 제2 충격저감돌기(611)는 제1 충격저감돌기(610)와 비교하여 배터리(400)와 더욱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400)로 충격력이 전달되는 영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this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bsorbs and disperses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cover glass 100 through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0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611. Since the protrusion 611 is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400 compared to the first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10, the influence of impact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battery 400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의 특징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일자형 패턴뿐만 아니라 격자형 패턴, 원형 패턴, 다각형 패턴들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Additionally, the features of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traight pattern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to grid-shaped patterns, circular patterns, and polygonal patterns.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다양한 전자 장비에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smartphones, and tablet PC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세트 프레임의 충격저감부에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충격에 의해 EL 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cover glass becomes thin, external shock can be absorbed and dispersed in the shock reduction part of the set frame,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EL module due to external shock. .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102 : 디스플레이 장치 200 : 세트 프레임
210 : 지지판 300 : EL 모듈
400 : 배터리 500 : 커버 바텀
600, 600-1, 600a, 600b, 600c, 600d, 600e : 충격저감부
610, 610a, 610b, 610c, 610d : 충격저감돌기(제1 충격저감돌기)
620, 620a, 620b, 620c, 620d : 충격완화홈
611 : 제2 충격저감돌기
101, 102: display device 200: set frame
210: support plate 300: EL module
400: Battery 500: Cover Bottom
600, 600-1, 600a, 600b, 600c, 600d, 600e: Impact reduction unit
610, 610a, 610b, 610c, 610d: Impact reduction protrusion (first impact reduction protrusion)
620, 620a, 620b, 620c, 620d: Impact relief groove
611: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Claims (9)

커버 글라스;
상기 커버 글라스 아래에 배치되는 EL 모듈;
상기 커버 글라스와 상기 EL 모듈을 수용 지지하는 세트 프레임; 및
상기 EL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세트 프레임은,
상기 커버 글라스, 상기 EL 모듈 및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EL 모듈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배터리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를 가지며, 상기 커버 글라스에서 전달되는 외충격을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충격저감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ver glass;
an EL module disposed under the cover glass;
a set frame that accommodates and supports the cover glass and the EL module; and
Includes a battery disposed below the EL module,
The set frame is,
a frame that accommodates the cover glass, the EL module, and the battery and forms an exterior;
a support plate extending inside the frame and disposed between the EL module and the battery; and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late toward the battery and an impact reduction unit that absorbs and disperses external shock transmitted from the cover gl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세로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ing protrusions are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지지판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plurality of shock reducing protrusio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upport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부는 상기 충격저감돌기들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충격완화홈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hock reducing un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hock alleviating grooves disposed between the shock reducing protrus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 각각의 가로방향 길이는 상기 다수의 충격완화홈 각각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horizontal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protrusions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length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mpact reduction groov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충격저감돌기는
상기 배터리를 향해 돌출된 제1 충격저감돌기; 및
상기 제1 충격저감돌기 보다 상기 배터리로부터 더 이격되는 높이를 갖는 제2 충격저감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plurality of shock reduction protrusions are
a first shock-reduc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 having a height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than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격저감돌기와 상기 제2 충격저감돌기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first shock reduction protrusions and the second shock reduction protrusions, which are arranged alternately.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저감부는 일자형 패턴, 격자형 패턴, 원형 패턴, 다각형 패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hock reduction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straight pattern, a grid pattern, a circular pattern, and a polygonal patter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부에서 상기 세트 프레임과 결합되는 커버 바텀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bottom coupled to the set frame below the battery.
KR1020180147072A 2018-11-26 2018-11-26 Display device Active KR102627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72A KR102627345B1 (en) 2018-11-26 2018-11-26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72A KR102627345B1 (en) 2018-11-26 2018-11-26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91A KR20200061591A (en) 2020-06-03
KR102627345B1 true KR102627345B1 (en) 2024-01-19

Family

ID=71087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072A Active KR102627345B1 (en) 2018-11-26 2018-11-26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3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2427A (en) * 2022-07-22 2022-10-1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13B1 (en) * 2005-05-24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KR20070091981A (en) * 2006-03-08 2007-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Plasma display device
KR20080022721A (en) * 2006-09-07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co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102335421B1 (en) * 2015-07-03 2021-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nal structure of the same
KR102660569B1 (en) * 2016-10-31 2024-04-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657011B1 (en) * 2016-12-28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Touch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KR102563263B1 (en) * 2016-12-30 2023-08-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nted circiut board modul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811424B1 (en) * 2017-10-12 2017-12-21 주식회사 하이딥 Touch pressure detectable touch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91A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238B1 (en) Display device
CN111383529B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8934227B2 (en) Display device
US9698362B2 (en) Roll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system
US878998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1440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20120113369A1 (en) Optical adhesive film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7564940A (en) Double-sided OLED display
KR102703643B1 (en) Foldable Display Having Step Stack Structure
KR20110030184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N103578365A (en) Display apparatus
WO202021126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627345B1 (en) Display device
US8531349B2 (en) Dual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95144A (en) OLED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01350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074241A (en) Transparent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29541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660569B1 (en) Display device
CN114388574A (en) Display device
KR10062344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100604273B1 (en) Manufacturing apparatus for tray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same
KR20140084547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747299B1 (en) Dual EL panel and dual EL display
KR20050082963A (en)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pa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