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6936B1 -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 Google Patents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936B1
KR102626936B1 KR1020230165932A KR20230165932A KR102626936B1 KR 102626936 B1 KR102626936 B1 KR 102626936B1 KR 1020230165932 A KR1020230165932 A KR 1020230165932A KR 20230165932 A KR20230165932 A KR 20230165932A KR 102626936 B1 KR102626936 B1 KR 10262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ctivated
safety helmet
outer shell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6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재혁
박성찬
박은영
Original Assignee
허재혁
박성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재혁, 박성찬 filed Critical 허재혁
Priority to KR102023016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9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86Airbag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은,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개구 및 착용을 위한 하부개구를 포함하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외부 쉘 및 상기 외부 쉘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패딩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외부 쉘에 내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부 홈에 내장되고 내부 패딩에 의하여 덮이며, 활상화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하는 내부 활성 에어백; 및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아래를 향해 개구된 하단 홈에 내장되며, 활성화시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의 아래를 향해 팽창하는 외부 활성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어서, 착용자의 머리뿐만 아니라 목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와 기도 확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SAFETY HELMET WITH AIGBAG}
본 발명은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발생시 착용자의 경추를 보호하고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나 자전거 등을 운전하며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경우, 헬멧의 착용은 머리와 뇌의 손상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으나, 기존의 헬멧은 목 부위에 대한 충분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기존 헬멧의 무게와 구조상의 한계로 인해 착용감이 불편하고 환기가 원활하지 않아, 사용자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외장재와 내장재로 구성된다. 외장재는 주로 강도가 높고 충격에 견디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며, 내장재는 충격을 흡수하는 발포성 수지물 또는 다른 충격 흡수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머리를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으나, 외부 충격이 내부로 쉽게 전달되어 완전한 보호가 어렵다.
특히, 현재까지의 헬멧은 내장재와 외장재가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공간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아, 충돌 시 외부 충격이 쉽게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머리 뿐만 아니라 목 부위에도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위험이 있다.
종래의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9190호(2020.04.09.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68096호(2023.05.17.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발생시, 머리뿐만 아니라 목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뿐만 아니라 기도 확보까지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은,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개구 및 착용을 위한 하부개구를 포함하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외부 쉘 및 상기 외부 쉘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패딩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외부 쉘에 내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부 홈에 내장되고 내부 패딩에 의하여 덮이며, 활상화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하는 내부 활성 에어백; 및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아래를 향해 개구된 하단 홈에 내장되며, 활성화시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의 아래를 향해 팽창하는 외부 활성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상기 안전 헬멧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경추 뒷부분을 덮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사용자의 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내장되는 기도확보용 에어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활성화 시,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젖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상기 충격 감지 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후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은,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개구 및 착용을 위한 하부개구를 포함하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외부 쉘 및 상기 외부 쉘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패딩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외부 쉘에 내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부 홈에 내장되고 내부 패딩에 의하여 덮이며, 활상화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하는 내부 활성 에어백; 및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아래를 향해 개구된 하단 홈에 내장되며, 활성화시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의 아래를 향해 팽창하는 외부 활성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상기 안전 헬멧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경추 뒷부분을 덮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사용자의 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내장되는 기도확보용 에어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활성화 시,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젖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상기 충격 감지 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후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을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에서 에어백이 활성화된 예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에서 외부 활성 에어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배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에서 기도확보용 에어백이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에 포함된 에어백들을 제어하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상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에서 에어백이 활성화된 예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은 본체(100) 및 페이스 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이 개구되고, 착용을 위해 하부가 개구될 수 있다. 페이스 쉴드(200)는 반투명의 평면 또는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페이스 쉴드(200)는 본체(100)의 앞면에 장착될 수 있다. 페이스 쉴드(200)는 본체(100)의 전방의 개구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 페이스 쉴드(200)는 하단 양측단에 구비된 힌지를 통해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페이스 쉴드(200)는 사용자의 눈을 바람, 먼지, 벌레 등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면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외부 쉘(110)은 플라스틱, 카본 파이버, 또는 키틀라 등의 강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0)는 외부 쉘(110) 및 내부 패딩(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의 외부 쉘(110)은 충격을 최초로 받아 분산시키며, 외부의 물리적 요소로부터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 패딩(120)은 외부 쉘(110)에 추가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착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고할 수 있다. 내부 패딩(120)은 폼 또는 기타 충격 흡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부 패딩(120)은 외부 쉘(110)의 내면에 고정되거나 착탈될 수 있다.
본체(100)는 외부 쉘(110) 및 내부 패딩(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친가드(101) 및 에어 벤트(102) 및 스트랩(103)이 설치될 수 있다.
친가드(101)는 전면 충돌 시 아래턱을 보호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친가드(101)는 외부 쉘(110)과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친가드(101)는 본체(100)의 하단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친가드(101)는 약간의 곡률을 가지며 외관 쉘에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안전 헬멧(10)은 친가드(1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친가드(101)를 구비한 안전 헬멧(10)은 풀페이스 헬멧(full-face helmet)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친가드(101)가 없는 안전 헬멧(10)은 오픈페이스(open-face helmet)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에어 벤트(102)는 안전 헬멧(10)의 내부의 습기와 열을 배출하여 사용자의 편안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에어 벤트(102)는 작은 홀 또는 슬릿 형태로 외부 쉘(110)의 여러 위치에 분산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103)은 아래턱 아래로 감아 안전 헬멧(10)이 머리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스트랩(103)은 띠 형태로, 안전 헬멧(10)의 하단의 양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스트랩(103)은 버클, 또는 기타 메커니즘을 통해 조절 및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0)(또는 외부 쉘(110))은 하나 이상의 내부 홈(111) 및 하단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내부 홈(111)에는 내부 활성 에어백(300)이 내장될 수 있다. 하단 홈(112)에는 외부 활성 에어백(400)이 내장될 수 있다.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충돌이나 급정거 등의 상황에서 착용자의 머리나 얼굴 부위를 보호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착용자의 경추 손상을 방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내부 홈(111)은 외부 쉘(110)의 내부를 향해 개구(opening)되어, 내부 활성 에어백(300)이 활성 되었을 때, 외부 쉘(110)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할 수 있다.
하단 홈(112)은 본체(100)의 후방 하단을 향해 개구 될 수 있다. 하단 홈(112)에 내장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활성 되었을 대, 본체(100)의 후방 하단을 향해 팽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내부 홈(111)에, 비활성 또는 축소된 상태에서 내장될 수 있다.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충격 감지 센서가 특정 충격을 감지하면 급속히 팽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부 활성 에어백(300)의 팽창 메커니즘은 가스 생성 장치나 압축된 공기 통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내부 홈(111)은 외부 쉘(110)의 내부면에 위치해 있으며 내부를 향해 개구 될 수 있어서, 내부 활성 에어백(300)이 팽창하면 외부 쉘(110)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메울 수 있다.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하단 홈(112)에 비활성 또는 축소된 상태에서 내장될 수 있다.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충격 감지 센서가 특정 충격을 감지하면 급속히 팽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가스 생성 장치나 압축 공기 장치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하단 홈(112)은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을 향해 개구 될 수 있어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이 팽창하면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을 커버할 수 있다.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은, 사용자가 안전 헬멧(10)을 착용하였을 때, 목 뼈(또는 경추)가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을 통해 오토바이 착용자이 치명적인 부상을 입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에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배면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사용자가 안전 헬멧(10)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경추부분을 덮는 중앙부(410) 및 상기 중앙부(410)의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420)는 사용자의 목을 적어도 일부 두르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헬멧(10)은 친가드(101)가 없는 오픈페이스 헬멧일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날개부(420)는 활성화되었을 때, 친가드(101)를 대신하여, 사용자의 턱을 일부 가리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에서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이 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에는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을 더 구비될 수 있다.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활성화될 경우 사용자의 목을 뒤로 젖혀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고 후에 착용자가 의식을 잃거나 충격으로 인해 기도가 막히는 상황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외부 쉘(110)에서 하단 홈(112)이 위치한 부분에서, 본체(100)의 내부를 향하는 개구를 가진 경추 홈(113)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하단 홈(112)에 외부 활성 에어백(400)과 함께 내장될 수 있다.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활성화 시,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젖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의 팽창 메커니즘은 가스 생성 장치나 압축된 공기 통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헬멧(10)에 포함된 에어백들을 제어하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전 헬멧(10)의 제어부(600)는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에어백 제어모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의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는 안전 헬멧(10)에 대한 충격을 사고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모듈(630)은 충격 감지 센서(610)가 감지한 사고 발생에 응답하여, 충격 감지 센서(610)에 연결된 내부 활성 에어백(300), 외부 활성 에어백(400) 및 기도확보용 에어백(500) 중 하나 이상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헬멧에 설치될 수 있는 충격 감지 센서(61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압력 센서 등이 있으며, 이들은 충돌의 크기나 방향, 회전 움직임, 압력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 센서(62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마그네틱 센서 등을 포함하고, 이들은 착용자의 기울기, 회전 움직임,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한 방향 판단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센서들은 내부 활성 에어백(300), 외부 활성 에어백(400),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에 각각 설치되어 복합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안전 헬멧(10)을 착용한 착용자에게 사고가 발생한 지 여부는 이러한 센서들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에서 일정 임계치 이상의 가속도가 감지되고, 자이로스코프에서 빠른 회전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 사고 발생으로 판단하여 에어백을 활성화한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착용자의 움직임이 없거나 미미하다면, 정지 상태로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 기도확보용 에어백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의 센서가 연동되어 있어, 사고 감지와 에어백 활성화를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는 하나 이상의 내부 활성 에어백(300), 외부 활성 에어백(400) 및 기도확보용 에어백(500)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에 포함된 복수의 센서가 연동하여 사고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활성 에어백(300), 외부 활성 에어백(400) 및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에어백 제어모듈(630)에 제어에 응답하여 활성화 되도록 가스 생성 장치 또는 압축 공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백 제어모듈(630)은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 중 하나 이상의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사고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에어백 제어모듈(630)은 사고 발생여부가 식별되면 내부 활성 에어백(300), 외부 활성 에어백(400) 및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의 활성을 야기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 생성 장치는 점화 회로, 화약, 가스발생제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터일 수 있다. 가스 생성 장치는 에어백 제어모듈(630)으로부턴 활성화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점화회로는 점화제에 전기점화를 일으키고, 그 순간 화약은 기폭하여 뜨거운 열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후, 뜨거운 열기는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 질소가스가 발생하며 해당 질소가스가 각각의 에어백에 전달되어 팽창시킬 수 있다.
압축 공기 장치는 전자석(솔레노이드)을 이용한 밸브 개폐방식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가스 컨테이너 내부에 압축 가스가 밀폐되어 있고, 해당 컨테이너는 전자석에 의해 개폐되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밸브의 끝단에는 각각의 에어백이 연결되어 있어 인플레이터가 에어백 제어모듈(630)의 제어에 따라 전자석을 구동시켜 밸브를 개방하는 경우, 가스 컨테이너 내부의 압축 가스가 에어백으로 배출되어 팽창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에어백 팽창을 위한 가스는 한정된 것이 아니며 실험 및 공정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인플레이터의 구조 역시, 화약 점화 및 전자석 방식이 개별 또는 혼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충격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는 내부 활성 에어백(300)과 외부 활성 에어백(400)이 활성화 된 후, 내부 활성 에어백(300) 만이 비활성화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를 통해 사고 발생후 안전 헬멧(10)의 착용자가 안전 헬멧(10)의 내부에서 내부 활성 에어백(300)의 팽창에 의해 느껴지는 압박감에서 해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충돌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활성화된 외부 활성 에어백(400)을 통해 착용자가 사고 후에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충격 감지 센서(610)가 충격을 감지한 후, 또한 다시 착용자의 정지 상태를 감지한 후에 활성화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착용자가 정지된 상태에서 기도확보가 이뤄지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 중 하나 이상의 감지 값에 기반하여 사고가 발생이 식별된 다음, 충격 감지 센서(610) 또는 자세 센서(620)는 사용자의 정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는 사고의 발생이 식별된 다음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후)이 지난 후에 사용자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정지 상태'란 착용자가 움직임이 없거나 미미한 움직임만을 보이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자세 센서(620)나 다른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특히, 정지 상태는 착용자의 속도, 가속도, 자세 변화 등이 일정 임계값 이하로 떨어졌을 때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정지 상태는 충돌 또는 사고 후 착용자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거나, 움직임이 크게 줄어들어 기도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정지 상태가 감지되면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이 활성화되어 착용자의 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격 감지 센서(610) 및 자세 센서(620)는 사고가 식별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가 지난 후에 착용자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사고 후에도 일시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실제로 기도확보가 필요한 상황인지를 더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함이다.
물리적 손상: 목을 젖히는 동작은 착용자의 목이나 척추에 부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고 상황에서 목 주위의 다른 부분이 이미 부상을 입은 상태라면 상황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헬멧의 내부에서 활성화되는 에어백, 경추를 보호하도록 외부에서 활성화되는 에어백 및, 사고 발생 후 착용자의 기도를 확보하도록 동작하는 기도확보용 에어백을 구비하여, 머리뿐만 아니라 목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와 기도 확보 기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은,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개구 및 착용을 위한 하부개구를 포함하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외부 쉘(110) 및 상기 외부 쉘(110)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패딩(120)을 포함하는 본체(100); 상기 외부 쉘(1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내부 홈(111)에 내장되어 내부 패딩(120)에 의하여 덮이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하는 내부 활성 에어백(300); 및 상기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에 형성된 하단 홈(112)에 내장되며,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개구에서 하단을 향해 팽창하는 외부 활성 에어백(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상기 안전 헬멧(10)을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경추 뒷부분을 덮는 중앙부(410) 및 상기 중앙부(410)의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420)는 사용자의 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활성 에어백(300)은 충격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110)의 후방 하단에 내장되는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활성화 시,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젖히도록,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400)은 충격 감지 센서(610)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도확보용 에어백(500)은 상기 충격 감지 센서(610)가 충격을 감지한 후의 정지 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에 관한 것으로, 헬멧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 안전 헬멧 100 : 본체
101 : 친가드 102 : 에어 벤트
103 : 스트랩 110 : 외부 쉘
111 : 내부 홈 112 : 하단 홈
113 : 경추 홈 120 : 내부 패딩
200 : 페이스 쉴드 300 : 내부 활성 에어백
400 : 외부 활성 에어백 410 : 중앙부
420 : 날개부 500 : 기도확보용 에어백
600 : 제어부 610 : 충격 감지 센서
620 : 자세 센서 630 : 에어백 제어모듈

Claims (5)

  1.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개구 및 착용을 위한 하부개구를 포함하는 반구 형상을 가지고, 외부 쉘 및 상기 외부 쉘의 내면에 부착되는 내부 패딩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외부 쉘에 내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내부 홈에 내장되고 내부 패딩에 의하여 덮이며, 활상화시 상기 본체의 내부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하는 내부 활성 에어백; 및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형성되고 아래를 향해 개구된 하단 홈에 내장되며, 활성화시 상기 본체의 하부개구의 아래를 향해 팽창하는 외부 활성 에어백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 쉘의 후방 하단에 내장되는 기도확보용 에어백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활성화 시 사용자의 목이 뒤로 젖히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상기 안전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경추 뒷부분을 덮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양측에 연결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사용자의 목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일정 시간 후에 비활성화 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활성 에어백은 충격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충격에 응답하여 활성화된 후 활성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도확보용 에어백은 상기 충격 감지 센서가 충격을 감지한 후의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정지 상태를 감지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것인,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KR1020230165932A 2023-11-24 2023-11-24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Active KR10262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5932A KR102626936B1 (ko) 2023-11-24 2023-11-24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65932A KR102626936B1 (ko) 2023-11-24 2023-11-24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936B1 true KR102626936B1 (ko) 2024-01-18

Family

ID=8971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932A Active KR102626936B1 (ko) 2023-11-24 2023-11-24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9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080A (ko) * 2005-10-26 2008-07-22 하브딩 스베리지 에이비 신체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0047854A (ja) * 2008-08-19 2010-03-04 Systec:Kk エアバッグ装備ヘルメット
KR102099190B1 (ko) 2019-10-15 2020-04-09 우인덕 듀얼 에어백 안전 헬멧
KR20230068096A (ko) 2021-11-10 2023-05-17 이시창 스마트 에어 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080A (ko) * 2005-10-26 2008-07-22 하브딩 스베리지 에이비 신체를 보호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0047854A (ja) * 2008-08-19 2010-03-04 Systec:Kk エアバッグ装備ヘルメット
KR102099190B1 (ko) 2019-10-15 2020-04-09 우인덕 듀얼 에어백 안전 헬멧
KR20230068096A (ko) 2021-11-10 2023-05-17 이시창 스마트 에어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6609A (en) Helmet
EP1933656B1 (en) Helmet
US5390367A (en) Helmet and shoulder pads having inflatable protective means to protect cervical spine
US20090158509A1 (en) Apparatus for Reducing Brain and Cervical Spine Injury Due to Rotational Movement
CA2990314C (en) Helmet
US5287562A (en) Helmet to protect cervical spine against axial impact forces
US20090064396A1 (en) Apparatus for reducing brain and cervical spine injury due to rotational movement
TWI878457B (zh) 具有氣囊的保護頭盔
US6709062B2 (en) Head restraint for a passenger of a vehicle
JP2004076167A (ja) 安全用ヘルメットのための頭部保護体
JP2004508235A (ja) モータバイク乗員用の多部品保護衣
US20080030010A1 (en) Airbag Module For Protection Of The Cervicodorsal Region
US20150021962A1 (en) Child car seat, intended to be joined to the seat of a motor vehicle
US20230157399A1 (en) Sports helmet
KR102626936B1 (ko) 에어백을 구비한 안전헬멧
CN215775831U (zh) 一种护颈及二次护头头盔
CA3022258A1 (en) Helmet with inflatable airbag
KR19990043989A (ko) 사람의 머리 및 몸통보호장치
US20230248101A1 (en) Wearable protection device
KR102510511B1 (ko) 접이식 헬멧
WO2024214346A1 (ja) 保護装置及び保護方法
HK40073803A (en) Protective helmet with airbag
WO2024252756A1 (ja) 保護装置
ES2911244A1 (es) Casco de proteccion para motos o similares con sistema de "airbag" incorporado
WO2024194362A1 (en)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