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6237B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237B1
KR102626237B1 KR1020210132937A KR20210132937A KR102626237B1 KR 102626237 B1 KR102626237 B1 KR 102626237B1 KR 1020210132937 A KR1020210132937 A KR 1020210132937A KR 20210132937 A KR20210132937 A KR 20210132937A KR 102626237 B1 KR102626237 B1 KR 10262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ore
winding
disposed
winding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890A (ko
Inventor
심용섭
Original Assignee
심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용섭 filed Critical 심용섭
Priority to KR102021013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2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2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트랜스포머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 일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권선; 및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센터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은, 상기 코어의 중공을 적어도 두 번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개시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는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트랜스포머는 1차 권선(primary winding), 2차 권선(secondary winding) 및 코어(co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단면적 및 권선이 코어에 감긴 횟수 등에 따라 다양한 전류값 및 전압값을 얻을 수 있다. 센터탭 트랜스포머(center tap transformer)는 1차 권선 및/또는 2차 권선의 중간 지점에 연결되는 센터탭을 더 포함한다.
트랜스포머에 인가되는 전류 및 전압의 값이 크지 않은 경우, 권선의 단면적이 넓지 않아 권선을 코어에 감기 용이하다. 따라서, 권선 및 코어의 구조가 문제되지 않는다. 반면, 대용량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권선의 단면적이 매우 넓어지고, 휨성(flexibility)이 저하된다. 그에 따라, 권선을 코어에 감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센터탭 트랜스포머에서는 다양한 값의 전류 및 전압을 이용하기 위해 복수 개의 2차 권선이 병렬로 배치된다. 종래의 센터탭 트랜스포머는, 각 권선의 중성점(neutral point)을 모두 연결하는 경우 중성점과 2차 권선의 연결 단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중성점과 2차 권선의 연결 단자가 동일한 방향으로 노출되고, 여러 개의 2차 권선이 병렬로 배치되어 센터탭 트랜스포머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복수 개의 권선이 적어도 두 번 코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대용량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권선을 코어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와 센터탭이 코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센터탭이 포함된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 일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권선; 및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센터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은, 상기 코어의 중공을 적어도 두 번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스포머는 복수 개의 권선이 적어도 두 번 코어를 관통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대용량 전압 및 전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권선을 코어에 용이하게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랜스포머는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와 센터탭이 코어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됨으로써, 센터탭이 포함된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1 내지 제4 상단베이스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2 연결부를 제외하고 나타낸 좌측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1 연결부를 제외하고 나타낸 우측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1 내지 제4 상단베이스를 제외하고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2 연결부를 제외하고 나타낸 좌측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제1 연결부를 제외하고 나타낸 우측 측면도이다.
본 개시에 따른 트랜스포머(transformer, 100)의 기술적 특징은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의 구조를 종래기술의 그것과 달리함으로써, 트랜스포머(100)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스포머(100)의 1차 권선(primary winding)에 대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권선의 구조가 반드시 2차 권선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1차 권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후술할 제1 권선(first winding, 400) 및 제2 권선(second winding, 500)은 트랜스포머(100)의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의 일부를 구성한다. 결과적으로, 후술할 제1 권선(first winding, 400) 및 제2 권선(second winding, 500)과 트랜스포머(100)의 1차 권선(primary winding) 및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은 다른 의미를 가진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어(core, 200), 다이오드(diode, 300), 제1 권선(first winding, 400), 제2 권선(second winding, 500) 및 센터탭(center tap, 6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권선(400)은 제1 상단베이스(first upper base, 410), 제1 중간부(first central part 420), 제1 하단베이스(first lower base, 430), 제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440), 제2 상단베이스(second upper base, 450), 제2 중간부(second central part, 460) 및 제2 하단베이스(second lower base, 4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권선(500)은 제3 하단베이스(third lower base, 510), 제3 중간부(third central part, 520), 제3 상단베이스(third upper base, 530), 제2 연결부(second connecting part, 540), 제4 하단베이스(fourth lower base, 550), 제4 중간부(fourth central part, 560) 및 제4 상단베이스(fourth upper base, 570)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200)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트랜스포머(10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코어(200)는 제1 상단베이스(410), 제2 상단베이스(450), 제3 상단베이스(530) 및 제4 상단베이스(570)가 형성하는 평면(이하 '상부 평면')과 제1 하단베이스(430), 제2 하단베이스(470), 제3 하단베이스(510) 및 제4 하단베이스(550)가 형성하는 평면(이하 '하부 평면')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은 적어도 일부가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코어(200)의 중공에는 제1 중간부(420), 제2 중간부(460), 제3 중간부(520) 및 제4 중간부(560)가 배치될 수 있다. 코어(200)는 원형 또는 사각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코어(200)의 형상이 반드시 원형 또는 사각형 실린더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이오드(300)는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과 연결되는 부재로서, 센터탭(60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이오드(300)는 제1 권선(400)의 일단부 및 제2 권선(50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300)와 센터탭(600)은 코어(2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오드(300)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제1 권선(400)의 일단부 및 제2 권선(50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의 일단부는 트랜스포머(10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트랜스포머(10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은 코어(200)의 중공을 적어도 두 번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권선(400)의 일부는 코어(2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는 방향 및/또는 코어(20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1 권선(400)의 타단부는 센터탭(6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의 일단부는 다이오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의 일단부와 센터탭(600)은 코어(2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의 일부는 코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코어(2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은 제1 상단베이스(410), 제1 중간부(420), 제1 하단베이스(430), 제1 연결부(440), 제2 상단베이스(450), 제2 중간부(460) 및 제2 하단베이스(4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의 일단부는 트랜스포머(100)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트랜스포머(100)의 타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은 코어(200)의 중공을 적어도 두 번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권선(500)의 일부는 코어(20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는 방향 및/또는 코어(20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권선(500)의 타단부는 센터탭(6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의 일단부는 다이오드(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의 일단부와 센터탭(600)은 코어(2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의 일부는 코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코어(20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은 제3 하단베이스(510), 제3 중간부(520), 제3 상단베이스(530), 제2 연결부(540), 제4 하단베이스(550), 제4 중간부(560) 및 제4 상단베이스(5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은 금(Au), 은(Ag), 구리(Cu) 및 알루미늄(Al) 등의 도전성(electrical conductivity) 재질로 형성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베이스(410)는 트랜스포머(100)의 우측 상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우측은 트랜스포머(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을 의미한다. 제1 상단베이스(410)는 제1 권선(400)의 일단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상단베이스(410)의 일부와 다이오드(30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단베이스(410)와 다이오드(300)가 연결되도록, 제1 상단베이스(410)의 일부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베이스(410)의 일부에는 복수 개의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베이스(410)의 다른 일부에는 제1 중간부(4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중간부(420)의 일단은 제1 상단베이스(4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하단베이스(430)와 연결된다. 제1 중간부(420)는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코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단베이스(430)는 트랜스포머(100)의 우측 하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단베이스(430)의 일부는 제1 중간부(420)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1 하단베이스(430)의 다른 일부는 제1 연결부(440)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440)의 일부는 제1 하단베이스(430)와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2 상단베이스(450)와 연결된다. 제1 연결부(440)는 트랜스포머(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40)는 코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코어(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단베이스(450)는 트랜스포머(100)의 우측 상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단베이스(450)의 일부는 제1 연결부(440)와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2 중간부(460)와 연결된다.
제2 중간부(460)의 일단은 제2 상단베이스(450)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2 하단베이스(470)와 연결된다. 제2 중간부(460)는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코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단베이스(470)는 트랜스포머(100)의 우측 하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단베이스(470)는 제1 권선(400)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단베이스(470)의 일부와 센터탭(6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단베이스(470)의 다른 일부에는 제2 중간부(460)가 연결된다.
제3 하단베이스(510)는 트랜스포머(100)의 좌측 하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은 트랜스포머(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을 의미한다. 제3 하단베이스(510)는 제2 권선(500)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하단베이스(510)의 일부와 다이오드(300)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하단베이스(510)와 다이오드(300)가 연결되도록, 제3 하단베이스(510)의 일부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하단베이스(510)의 일부에는 복수 개의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하단베이스(510)의 다른 일부에는 제3 중간부(520)가 연결될 수 있다.
제3 중간부(520)의 일단은 제3 하단베이스(5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3 상단베이스(530)와 연결된다. 제3 중간부(520)는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코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상단베이스(530)는 트랜스포머(100)의 좌측 상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상단베이스(530)의 일부는 제3 중간부(520)의 타단과 연결된다. 제3 상단베이스(530)의 다른 일부는 제2 연결부(540)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540)의 일부는 제3 상단베이스(530)와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4 하단베이스(550)와 연결된다. 제2 연결부(540)는 트랜스포머(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540)는 코어(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코어(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하단베이스(550)는 트랜스포머(100)의 좌측 하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하단베이스(550)의 일부는 제2 연결부(540)와 연결되며, 다른 일부는 제4 중간부(560)와 연결된다.
제4 중간부(560)의 일단은 제4 하단베이스(550)와 연결되며, 타단은 제4 상단베이스(570)와 연결된다. 제4 중간부(560)는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코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상단베이스(570)는 트랜스포머(100)의 좌측 상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상단베이스(570)는 제2 권선(500)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4 상단베이스(570)의 일부와 센터탭(600)이 연결될 수 있다. 제4 상단베이스(570)의 다른 일부에는 제4 중간부(560)가 연결된다.
제1 상단베이스(410), 제2 상단베이스(450), 제3 상단베이스(530), 제4 상단베이스(570), 제1 하단베이스(430), 제2 하단베이스(470), 제3 하단베이스(510) 및 제4 하단베이스(550)는 상부 평면과 하부 평면이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평면 및 하부 평면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부 평면 및 하부 평면의 형상 및 구조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른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의 사이에는 절연체(insulator)가 배치될 수 있다.
센터탭(600)은 제1 권선(400)의 타단부 및 제2 권선(500)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센터탭(600)은 제2 하단베이스(470) 및 제4 상단베이스(570)와 연결될 수 있다. 센터탭(600)과 제1 권선(400)의 일단부 및 제2 권선(500)의 일단부는 코어(2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권선(400)은 제1 상단베이스(410), 제1 중간부(420), 제1 하단베이스(430), 제1 연결부(440), 제2 상단베이스(450), 제2 중간부(460) 및 제2 하단베이스(4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권선(400)은 제1 중간부(420) 및 제2 중간부(460)에 의해 적어도 두 번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권선(500)은 제3 하단베이스(510), 제3 중간부(520), 제3 상단베이스(530), 제2 연결부(540), 제4 하단베이스(550), 제4 중간부(560) 및 제4 상단베이스(5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 권선(500)은 제3 중간부(520) 및 제4 중간부(560)에 의해 적어도 두 번 코어(200)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권선의 단면적이 넓은 경우에도 코어(200)에 제1 권선(400) 및 제2 권선(500)을 용이하게 여러 번 감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의 회로 및 다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1 권선(400)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제1 상단베이스(410)에는 다이오드(300, D1)의 애노드(anode) 단자가 연결된다. 제2 권선(500)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제3 하단베이스(510)에는 다이오드(300, D2)의 애노드 단자가 연결된다. 다이오드(300, D1, D2)의 캐소드(cathode) 단자는 서로 연결되어 정류 회로의 포지티브(P) 단자를 형성한다. 제1 권선(400)의 타단부를 구성하는 제2 하단베이스(470) 및 제2 권선(500)의 타단부를 구성하는 제4 상단베이스(570)는 센터탭(600)에 의해 연결된다. 센터탭(600)은 정류 회로의 네거티브(N) 단자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1 권선(400)의 일단부 및 제2 권선(500)의 일단부와 센터탭(600)이 코어(20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배치되어 트랜스포머(100)의 구조가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센터탭 트랜스포머 200: 코어
300: 다이오드 400: 제1 권선
410: 제1 상단베이스 420: 제1 중간부
430: 제1 하단베이스 440: 제1 연결부
450: 제2 상단베이스 460: 제2 중간부
470: 제2 하단베이스 500: 제2 권선
510: 제3 하단베이스 520: 제3 중간부
530: 제3 상단베이스 540: 제2 연결부
550: 제4 하단베이스 560: 제4 중간부
570: 제4 상단베이스 600: 센터탭

Claims (16)

  1.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어;
    일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의 상부 및 하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권선; 및
    상기 복수개의 권선의 일단부 또는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센터탭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권선 각각은,
    상기 코어의 중공을 적어도 두 번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권선은,
    일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의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권선; 및
    일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트랜스포머의 타측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권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트랜스포머의 우측 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단베이스;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우측 하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하단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선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우측 하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하단베이스;
    상기 트랜스포머의 우측 상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상단베이스;
    상기 제1 상단베이스 및 상기 제1 하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1 중간부;
    상기 제2 상단베이스 및 상기 제2 하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2 중간부; 및
    상기 제1 하단베이스 및 상기 제2 상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간부 및 상기 제2 중간부는 상기 코어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코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어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선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좌측 하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하단베이스; 및
    상기 트랜스포머의 좌측 상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상단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권선은,
    상기 트랜스포머의 좌측 상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3 상단베이스;
    상기 트랜스포머의 좌측 하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하단베이스;
    상기 제3 상단베이스 및 상기 제3 하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3 중간부;
    상기 제4 상단베이스 및 상기 제4 하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4 중간부; 및
    상기 제3 상단베이스 및 상기 제4 하단베이스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중간부 및 상기 제4 중간부는 상기 코어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코어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어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탭은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기준으로, 상기 센터탭과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일단부는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Anode)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되,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의 사이에는 절연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권선은,
    상기 코어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코어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코어의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1020210132937A 2021-10-07 2021-10-07 트랜스포머 Active KR10262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37A KR102626237B1 (ko) 2021-10-07 2021-10-07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937A KR102626237B1 (ko) 2021-10-07 2021-10-07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90A KR20230049890A (ko) 2023-04-14
KR102626237B1 true KR102626237B1 (ko) 2024-01-16

Family

ID=8594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937A Active KR102626237B1 (ko) 2021-10-07 2021-10-07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2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86B1 (ko) * 2014-11-11 2016-04-14 주식회사 다원시스 센터탭 트랜스포머
US20160314896A1 (en) 2015-04-27 2016-10-27 Delta Electronics, Inc. Center-tapped transformer
KR102283854B1 (ko) 2021-02-17 2021-07-30 삼형전자(주) 트랜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064B1 (de) * 2011-10-31 2015-11-15 Fronius Int Gmbh Hochstromtransformator, transformatorelement, kontaktplatte und sekundärwickl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hochstromtransformat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886B1 (ko) * 2014-11-11 2016-04-14 주식회사 다원시스 센터탭 트랜스포머
US20160314896A1 (en) 2015-04-27 2016-10-27 Delta Electronics, Inc. Center-tapped transformer
KR102283854B1 (ko) 2021-02-17 2021-07-30 삼형전자(주) 트랜스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890A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139B1 (en) High-current electrical coil construction
US6952153B2 (en) Electrical transformer
US10141098B2 (en) Coil component
US10847455B2 (en) Power module and power device
US6342778B1 (en) Low profile,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s
US7248138B2 (en)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inductor winding with added metal foil layers
JP2019016746A (ja) コイル部品
CN105895304B (zh) 线圈部件
US6972657B1 (en) Power converter and planar transformer therefor
JP2019016745A (ja) コイル部品
US20040108929A1 (en) Transformer
CN102067252A (zh) 含至少两个由超导性导体带组成的导体组合的用于电阻式开关元件的导体配置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US20230094775A1 (en) Planar transformer
CN105931815B (zh) 平面变压器
KR102626237B1 (ko) 트랜스포머
KR102687173B1 (ko) 평면형 트랜스포머
KR101611886B1 (ko) 센터탭 트랜스포머
US11101711B2 (en) 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stator part and winding method thereof
KR101028817B1 (ko) 무유도 권선형의 고온 초전도 전류 제한기
KR102619640B1 (ko) 평면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소자
US7295095B2 (en) Electr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90392982A1 (en) Passive component structure
CN210722706U (zh) 滤波变压装置
CN222619524U (zh) 电感器及电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