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4993B1 - Construction machinery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achin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993B1
KR102624993B1 KR1020190027626A KR20190027626A KR102624993B1 KR 102624993 B1 KR102624993 B1 KR 102624993B1 KR 1020190027626 A KR1020190027626 A KR 1020190027626A KR 20190027626 A KR20190027626 A KR 20190027626A KR 102624993 B1 KR102624993 B1 KR 102624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uxiliary mode
mode
auxiliary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6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8663A (en
Inventor
이수광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993B1/en
Priority to CN202010166453.7A priority patent/CN111675102B/en
Publication of KR2020010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6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99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시동 및 비상 가동이 가능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차량 제어 장치;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주행 직진 제어 밸브; 및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 및 보조 모드 릴레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struction machinery capable of emergency start and emergency operation, compris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n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a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nd a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a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and an auxiliary mode relay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RY}Construction Machinery{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시동 및 비상 가동이 가능한 건설 기계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struction machinery, and in particular to construction machinery capable of emergency start and emergency operation.

굴삭기, 휠로더 등과 같은 건설 기계는 통상적으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압력을 통해 붐, 암, 버켓, 및 주행 모터, 선회 모터 등과 같은 다수의 작업기를 구동하는 유압 시스템으로 구성된다.Construction machines such as excavators, wheel loaders, etc. typically use a hydraulic pump driven by an engine, and a hydraulic pump that drives a number of working machines such as booms, arms, buckets, travel motors, and slewing motors through the pressure of hydraulic oil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It consists of a system.

그러나, 전자 유압 펌프를 사용하는 건설 기계의 경우에, 차량 제어 장치(Vehicle Control Unit)에 이상이 발생되면, 정상적인 시동 스위치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건설 기계의 시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construction machinery using an electro-hydraulic pump, if an error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unit, the construction machinery may not start despite normal operation of the ignition switch.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5663호 (2013.07.05.)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75663 (2013.07.05.)

본 발명은 비상 시동 및 비상 가동이 가능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achine capable of emergency start and emergency opera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차량 제어 장치;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주행 직진 제어 밸브; 및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 및 보조 모드 릴레이를 포함한다.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vehicle control device; an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a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nd a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a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and an auxiliary mode relay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제어 밸브 및 제 2 제어 밸브로 상기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류가 공급된다.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a preset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nd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is supplied.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 2 제어 밸브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로 상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및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류가 공급된다.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perform a preset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nd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Current is supplied.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제 1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제 2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mode switch includes: a first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a third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nd a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는,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상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상기 보조 모드 릴레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주행 직진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상기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주행 직진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ncludes: a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nd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an auxiliary mode switch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register and the auxiliary mode relay; a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and a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travel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전자 제어 장치; 스타트 모터; 상기 스타트 모터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시동 스위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배터리와 상기 시동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시동 제어 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start motor; A starting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tarting motor and the battery; an ignition control switch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connected between a battery and the ignition switch; And, it includes an emergency start mode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a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시동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직접 연결된다.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상기 배터리와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사이에 접속된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control un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의 턴-온시 동작하는 경광등을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warning light that operates wh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is turned on.

본 발명에 따른 건설 기계는 비상 시동 및 비상 가동이 가능하다.The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mergency start and emergenc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보조 모드 스위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및 주변 구성 요소들 간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보조 모드 스위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tart mode switch, an auxiliary mode switch, and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of FIG. 1 and surrounding components.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uxiliary mode switch a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of FIG. 1.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process steps, well-known device structure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mbiguous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the drawing,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layers and ar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being "directly above" the 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said to be “right on top” of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Additionally, when a part of a layer, membrane,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below”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it is “directly below” another part, but also cases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Conversely, when a part is said to be “right below”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such a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are used as a single term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directions of the element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if an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is turned over,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 Accordingly, the illustrative term “down” may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Elements can also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so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Additionally,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or third component, etc., and similarly, the second or thir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lternately.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exca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보조 모드 스위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및 주변 구성 요소들 간의 회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보조 모드 스위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start mode switch, an auxiliary mode switch, and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of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of FIG. 1 and surrounding components.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and 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uxiliary mode switch a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of FIG. 1.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 보조 모드 스위치(120),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 배터리(130), 제 1 차단기(201), 제 2 차단기(202), 전원 공급 제어부(170), 시동 제어 스위치(180), 시동 스위치(190), 전자 제어 장치(140), 차량 제어 장치(150), 스타트 모터(160), 제 1 제어 밸브(301), 제 2 제어 밸브(302),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 보조 모드 릴레이(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 공급 제어부(170)는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an auxiliary mode switch 120,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a battery 130, First breaker 201, second breaker 202, power supply control unit 170, ignition control switch 180, ignition switch 190,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vehicle control device 150, starter motor (160), first control valve 301, second control valve 302, driving straight control valve 303,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first driving mode It includes a register 501, a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and an auxiliary mode relay 600. Here,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170 includes a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a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제 1 차단기(201)는 배터리(130)와 전자 제어 장치(140) 사이에 연결된다.The first breaker 201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30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제 2 차단기(202)는 배터리(130)와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사이에 연결된다.The second breaker 202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30 and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는 제 2 차단기(202)와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 사이에 연결된다.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breaker 202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는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와 전자 제어 장치(140) 사이에 접속된다. 이때,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와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간의 접점은 전자 제어 장치(140)에 연결된다.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At this tim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and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시동 제어 스위치(180)는 배터리(130)와 시동 스위치(19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시동 제어 스위치(180)의 제어 단자는 전자 제어 장치(140)에 연결된다. 시동 제어 스위치(180)는 릴레이 스위치일 수 있다.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30 and the ignition switch 190. At this time,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The starting control switch 180 may be a relay switch.

시동 스위치(190)는 배터리(130)와 스타트 모터(160)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시동 스위치(190)의 제어 단자는 시동 제어 스위치(180) 및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시동 스위치(190)는 릴레이 스위치일 수 있다.The starting switch 190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30 and the starting motor 160. At this time,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90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and the ground terminal. The starting switch 190 may be a relay switch.

스타트 모터(160)의 일측 단자는 시동 제어 스위치(180)에 연결되고, 스타트 모터(160)의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One terminal of the start motor 160 is connected to the starting control switch 180,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tart motor 160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의 일측 단자는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차단기(202)를 통해 배터리(130)에 연결된다. 그리고, 그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의 타측 단자는 시동 스위치(190)의 제어 단자에 연결된다. 다시 말하여,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는 배터리(130)와 시동 스위치(190)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다.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와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 간의 접점은 전자 제어 장치(140)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through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breaker 20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90. In other words,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30 and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90.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차량 제어 장치(150)는 전자 제어 장치(140)에 연결된다. 차량 제어 장치(150)는 시동 스위치(190)(또는 시동 버튼)가 온(on)될 때 시동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시동 스위치(190)가 온될 때,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가 턴-온된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outputs a start signal when the start switch 190 (or start button) is turned on. Additionally, when the ignition switch 190 is turned on,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are turned on.

시동 신호는 전자 제어 장치(140)에 공급된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140)는 이 시동 신호와 함께 턴-온된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를 통해 배터리(130)의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는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가 턴-온된 이후 턴-온된다.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와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는 일정 기간 동안 동시에 턴-온 상태로 유지된다.A start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Additionally,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receiv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130 through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which are turned on with the starting signal.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is turned on after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is turned on.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are simultaneously maintained in the turn-on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전자 제어 장치(140)는 시동 신호에 따라 시동 제어 스위치(180)를 턴-온시킨다. 턴-온된 시동 제어 스위치(180)를 통해 배터리(130)의 전압이 시동 스위치(190)의 제어 단자에 공급된다. 그러면, 시동 스위치(190)가 턴-온되고, 그 턴-온된 시동 스위치(190)를 통해 배터리(130)의 전압이 스타트 모터(16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스타트 모터(160)가 동작하여 굴삭기의 엔진이 회전한다.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turns on 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according to the ignition signal. The voltage of the battery 130 is su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90 through the turned-on ignition control switch 180. Then, the starting switch 190 is turned on,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130 is supplied to the starting motor 160 through the turned-on starting switch 190. Accordingly, the start motor 160 operates and the engine of the excavator rotates.

한편,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되면 시동 스위치(190)가 온된 경우에도 그 차량 제어 장치(150)로부터 시동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단, 시동 스위치(190)가 온된 경우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는 턴-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전자 제어 장치(140)는 시동 제어 스위치(180)를 턴-온 시키지 않는다. 즉,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되면 시동 스위치(190)가 온된 경우에도 시동 제어 스위치(180)가 턴-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시동 스위치(190)도 턴-온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타트 모터(160)가 동작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되면 시동 스위치(190)가 온된 경우에도 굴삭기의 엔진이 회전하지 않는다.Meanwhile, if an error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 starting signal is not output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190 is turned on. However, when the ignition switch 190 is turned on, the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are turned on.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140 does not turn on 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That is, if an error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e ignition control switch 180 does not turn on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190 is turned on. Accordingly, the starting switch 190 is not turned on, and therefore the starting motor 160 does not operate. In other words, if an error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e excavator engine does not rotate even when the ignition switch 190 is turned on.

그러나,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를 통해 스타트 모터(160)가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는 시동 스위치(190)에 직접 연결된다.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가 턴-온되면, 턴-온된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171) 및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172)를 통해 시동 스위치(190)의 제어 단자로 배터리(130)의 전압이 직접 공급된다. 이에 따라, 시동 스위치(190)가 턴-온될 수 있다. 그러면, 스타트 모터(160)가 동작하여 굴삭기의 엔진이 회전할 수 있다.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턴-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를 위쪽으로 올리면 그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가 턴-온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그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가 턴-오프될 수 있다.However, eve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e start motor 160 can be operated through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For this purpose,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gnition switch 190. Wh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turned on, the voltage of the battery 130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190 through the turned-on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1 and the second power control switch 172. This is supplied directly. Accordingly, the ignition switch 190 may be turned on. Then, the start motor 160 operates so that the engine of the excavator can rotate.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may be manually turned on by an operator. For example, if the worker manually lifts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upward,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may be turned on, and if the worker manually lifts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downward,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may be turned on. When lowered,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may be turned off.

제 1 제어 밸브(301),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는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유동을 제어한다. 굴삭기의 작업기(예를 들어, 붐, 암 및 버켓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들(301, 30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통해 구동되며, 그 굴삭기의 주행 모터는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통해 구동된다. The first control valve 301,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traveling straight control valve 303 control the flow of hydraulic oil discharged from the hydraulic pump. The excavator's work tool (e.g., at least one of the boom, arm, and bucket) is driven through hydraulic oil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301 and 302, and the excavator's travel motor is operated by a travel straight control valve. It is driven by hydraulic oil supplied from (303).

보조 모드 스위치(120)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는 제 1 제어 밸브(301),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제어 밸브(301) 및 제 2 제어 밸브(302)로 전류가 공급되고,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로 전류가 공급되고, 제 1 제어 밸브(301)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302)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의 선택 모드에 관계없이,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보조 모드 스위치(120)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보조 모드 스위치(120)를 위쪽으로 올리면 그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보조 모드 스위치(120)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그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를 위쪽으로 올리면 그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며,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그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작업 모드로 전환된다.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control the operations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303. Meanwhil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current is supplied to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driving straight control valve 303, and the first 1 No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trol valve (301). Meanwhil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302 are controll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dditionally,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regardless of the mode selected by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a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n operator.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manually raises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upward,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when the operator manually moves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downward,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and when the operator manually raises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upwar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operator directly manually assists. When the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moved downwar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work mode.

보조 모드 스위치(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 및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를 포함한다.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내지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들(121 내지 124)이 모두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며, 그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내지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들(121 내지 124)이 모두 구동 모드로 전환된다.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ncludes a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a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a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and a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 includes.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witches 121 to 124 are all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and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witches 121 to 124 are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All of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witches 121 to 124 are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일측 단자는 제 1 제어 밸브(301)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접속되며, 그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타측 단자는 보조 보드 선택 스위치에 포함된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일측 단자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1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When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ncluded in the auxiliary board selection switch.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의 일측 단자는 제 1 제어 밸브(30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접속되며, 그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의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s connected to any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ground terminal.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When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일측 단자는 제 2 제어 밸브(302)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접속되며, 그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타측 단자는 보조 보드 선택 스위치에 포함된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일측 단자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130). For example, when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When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ncluded in the auxiliary board selection switch.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의 일측 단자는 제 2 제어 밸브(302)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접속되며, 그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의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is connected to any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ground terminal.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For example, when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When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 및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를 포함한다.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내지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들이 모두 작업 모드로 전환되며, 그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내지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들이 모두 주행 모드로 전환된다.As shown in FIG. 3,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ncludes a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a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a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and a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ncludes a mode selection switch 134. When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work mode,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es 134 are all switched to the work mode, and when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es 134 are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ll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es 134 are switched to driving mode.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일측 단자는 보조 모드 스위치(120)에 연결되며, 그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타측 단자는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 및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타측 단자는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에 연결되며, 그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타측 단자는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에 연결된다. 한편, 보조 모드 스위치(120)에 포함된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동작에 따라,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의 일측 단자는 그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의 타측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One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and the first driving mode.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registers 501. For example, when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and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When the switch 131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501. Meanwhi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included i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one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can be connected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일측 단자는 보조 모드 스위치(120)에 연결되며, 그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타측 단자는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 및 보조 모드 릴레이(6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타측 단자는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에 연결되며, 그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타측 단자는 보조 모드 릴레이(600)에 연결된다. 한편, 보조 모드 스위치(120)에 포함된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동작에 따라,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일측 단자는 그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121)의 타측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One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and the auxiliary mode relay ( 60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For example, when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and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When the switch 132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relay 600. Meanwhi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included i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one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auxiliary mode switch 121. can be connected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의 일측 단자는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되며, 그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의 타측 단자는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303,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second terminal.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driving mode registers 502. For example, when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s switched to the work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 133)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의 일측 단자는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그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의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되며, 그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의 타측 단자는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One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is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303,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ground terminal. 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following. For example, when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is switched to the work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 When 134)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한편, 보조 모드 릴레이(600)는 코일(602), 이 코일(602)에 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603) 및 스위치(601)를 포함한다. 스위치(601)의 일측 단자는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 및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의 각 일측 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그 스위치(601)의 타측 단자는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 및 더미 단자(70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601)의 타측 단자는 더미 단자(700)에 연결되며, 그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스위치(601)의 타측 단자는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에 연결된다. 한편, 전술된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그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타측 단자는 코일(602)에 연결될 수 있다. 코일(602)의 일측 단자는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의 타측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코일(602)의 타측 단자는 스위치(601)의 일측 단자에 연결된다.Meanwhile, the auxiliary mode relay 600 includes a coil 602, a diode 603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coil 602, and a switch 601. One terminal of the switch 601 is commonly connected to each one terminal of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501, and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and the switch 601 The other terminal is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and the dummy terminal 700. 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work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witch 601 is connected to the dummy terminal 700, and when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switch ( The other terminal of 601)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Meanwhile, when the above-described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may be connected to the coil 602. One terminal of the coil 602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coil 602 may be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witch 601.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 및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의 각 일측 단자는 배터리(130)에 연결된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one terminal of each of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501, and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is connected to the battery 130.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내지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들(121 내지 124)이 모두 비구동 모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 밸브(301)의 일측 단자 및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되며, 제 2 제어 밸브(302)의 일측 및 타측 단자는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들(301, 302)은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의 선택 모드에 관계없이,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에는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비구동 모드로 전환된 상태일 때, 전술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되면, 제 1 제어 밸브(301),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가 동작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굴삭기의 작업기 및 주행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다.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the first to fourth auxiliary mode switches 121 to 124 are all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Accordingly,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nd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301 and 302 are controll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dditionally,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current is not supplied to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regardless of the mode selected by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non-driving mode, if an error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travel straight control valve 303 does not operate. Accordingly, the work machine and travel motor of the excavator do not operate.

그러나, 전술된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면, 전술된 작업기 또는 주행 모터가 동작할 수 있다. However, eve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above-described vehicle control device 150, if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above-described work machine or travel motor can be operated.

예를 들어,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제어 밸브(301)의 일측 단자는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 및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를 통해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2)에 연결되며, 제 1 제어 밸브(301)의 타측 단자는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를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되며, 제 2 제어 밸브(302)의 일측 단자는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 및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를 통해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에 연결되며, 제 2 제어 밸브(302)의 타측 단자는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를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되며,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일측 단자는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되며, 그리고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타측 단자는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150)에 연결된다. 또한, 보조 모드 릴레이(600)의 스위치의 타측 단자는 더미 단자(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제어 밸브(301) 및 제 2 제어 밸브(302)로 제 1 및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401, 402)에 따른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굴삭기의 작업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one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 and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402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One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is connected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401 through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and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 The other terminal of 302)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and one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30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rough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Additionally, the other terminal of the switch of the auxiliary mode relay 600 may be connected to the dummy terminal 700. Accordingly, curren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mode registers 401 and 402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301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Therefore,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e excavator's work machine can operate normally.

또 다른 예로서, 보조 모드 스위치(120)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제어 밸브(301)의 일측 단자는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 및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2)를 통해 보조 모드 릴레이(600)의 코일(602)에 연결되며, 제 1 제어 밸브(301)의 타측 단자는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122)를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되며, 제 2 제어 밸브(302)의 일측 단자는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123) 및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1)를 통해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에 연결되며, 제 2 제어 밸브(302)의 타측 단자는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124)를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되며,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일측 단자는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3)를 통해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에 연결되며, 그리고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의 타측 단자는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4)를 통해 접지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보조 모드 릴레이(600)의 스위치의 타측 단자는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스위치는 코일(602)에 흐르는 전류(약한 전류)에 의해 전환되면서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2)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로 제 1 및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501, 502)에 따른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코일(602)의 높은 저항으로 인해 제 1 제어 밸브(301)에는 실질적으로 전류가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 제어 장치(150)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굴삭기의 주행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one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is connected to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 132) and the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2 is connected to the coil 602 of the auxiliary mode relay 600,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301 is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122.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one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501 through the third auxiliary mode switch 123 and the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1, and the 2 The other terminal of the control valve 302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124, and one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control valve 303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through the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3. 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de register 50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control valve 303 is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through the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4. Additionally, the other terminal of the switch of the auxiliary mode relay 60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That is, the switch is switched by the current (weak current) flowing in the coil 602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502. Accordingly, curren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ravel mode registers 501 and 502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At this time, virtually no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301 due to the high resistance of the coil 602. Therefore, even if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50, the excavator's travel motor can operate normally.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driving an exca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굴삭기의 시동 스위치(190)가 온되었을 때, 굴삭기가 정상적으로 시동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First, when the starting switch 190 of the excavator is turned 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cavator starts normally (S1).

만약, 굴삭기가 정상적으로 시동되지 않으면, 작업자는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를 온시킨다(S2). 이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110) 온될 때, 조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S2). 예를 들어, 경광등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광은 주기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If the excavator does not start normally, the operator turns o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S2). Wh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10 is turned on, distres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S2). For example, light may be generated from a warning light. This light may blink periodically.

한편, 굴삭기가 정상적으로 시동되면, 굴삭기의 조이스틱 및 페달의 조작에 의해 굴삭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3).Meanwhile, when the excavator is started normally,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xcavator is operating normally by operating the joystick and pedal of the excavator (S3).

만약, 조이스틱 및 페달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굴삭기가 동작하지 않는다면, 작업자는 보조 모드 스위치(120)를 구동 모드로 전환하고,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130)를 작업 모드 또는 주행 모드로 전환한다(S4). 그러면, 제 1 제어 밸브(301), 제 2 제어 밸브(302)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303)로 레지스터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S5). 이에 따라 조이스틱 및 페달의 조작에 의해 굴삭기의 작업기 및 주행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험지에 위치한 굴삭기가 안전한 곳으로 탈출할 수 있다(S6).If the excavator does not operate despite operation of the joystick and pedal, the operator switches the auxiliary mode switch 120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130 to the work mode or driving mode (S4) . Then, the current preset by the regist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301, the second control valve 302, and the straight travel control valve 303 (S5). Accordingly, the work machine and travel motor of the excavator can operate normally by operating the joystick and pedal. In this case, an excavator located in a rough area can escape to a safe place (S6).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 및 방법은 전술된 굴삭기 외에도 휠로더 및 지계차와 같은 다양한 건설 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tructur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machines such as wheel loaders and forklif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cavato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30: 배터리 110: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170: 전압 공급 제어부 171: 제 1 전원 제어 스위치
172: 제 2 전원 제어 스위치 201: 제 1 차단기
202: 제 2 차단기 140: 전자 제어 장치
150: 차량 제어 장치 180: 시동 제어 스위치
190: 시동 스위치 160: 스타트 모터
130: Battery 110: Emergency start mode switch
170: voltage supply control unit 171: first power control switch
172: second power control switch 201: first breaker
202: second circuit breaker 140: electronic control device
150: vehicle control device 180: ignition control switch
190: starting switch 160: starting motor

Claims (9)

차량 제어 장치;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및 제 2 제어 밸브;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주행 직진 제어 밸브; 및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에 연결된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 및 보조 모드 릴레이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vehicle control device;
an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first and second control valves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an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a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onstruction machine comprising a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a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and an auxiliary mode relay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작업 모드로 전환되면, 제 1 제어 밸브 및 제 2 제어 밸브로 상기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working mode, a preset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nd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Construction machinery suppli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가 구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주행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 2 제어 밸브 및 주행 직진 제어 밸브로 상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및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전류가 공급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auxiliary mode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s switched to the driving mode,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perform a preset ope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nd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Construction machinery powered by electric cur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제 1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 모드 스위치;
상기 제 2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보조 모드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4 보조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mode switch is,
a first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 second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a third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onstruction machine comprising a fourth auxiliary mode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는,
상기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상기 제 1 주행 모드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보조 모드 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작업 모드 레지스터 및 상기 보조 모드 릴레이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상기 주행 직진 제어 밸브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상기 제 2 주행 모드 레지스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주행 직진 제어 밸브의 타측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및 접지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4 보조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4,
The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is,
a first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auxiliary mode switch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working mode register and the first driving mode register;
a secon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an auxiliary mode switch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working mode register and the auxiliary mode relay;
a third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driv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driving mode register; and
A construction machine comprising a fourth auxiliary mode selection switch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traveling straight ahead control valve and selectivel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nd a ground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된 전자 제어 장치;
스타트 모터;
상기 스타트 모터와 배터리 사이에 연결된 시동 스위치;
상기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배터리와 상기 시동 스위치 사이에 연결된 시동 제어 스위치; 및,
상기 배터리와 상기 시동 스위치의 제어 단자 사이에 접속된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1,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start motor;
A starting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starting motor and the battery;
an ignition control switch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connected between a battery and the ignition switch; and,
Construction machinery comprising an emergency start mode switch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a control terminal of the starting switc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는 상기 시동 스위치의 제어 단자에 직접 연결된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6,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terminal of the start switc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 사이에 접속된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6,
Construction machinery further comprising a power supply control un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스타트 모드 스위치의 턴-온시 동작하는 경광등을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According to claim 6,
Construction machinery further comprising a warning light that operates when the emergency start mode switch is turned on.

KR1020190027626A 2019-03-11 2019-03-11 Construction machinery Active KR1026249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26A KR102624993B1 (en) 2019-03-11 2019-03-11 Construction machinery
CN202010166453.7A CN111675102B (en) 2019-03-11 2020-03-11 Emergency driv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626A KR102624993B1 (en) 2019-03-11 2019-03-11 Construction machin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63A KR20200108663A (en) 2020-09-21
KR102624993B1 true KR102624993B1 (en) 2024-01-12

Family

ID=7243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626A Active KR102624993B1 (en) 2019-03-11 2019-03-11 Construction machiner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4993B1 (en)
CN (1) CN111675102B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2540B2 (en) * 1989-04-12 1998-07-02 油谷重工株式会社 Travel control device for wheeled excavator
KR960027597U (en) * 1995-01-28 1996-08-17 Excavator's Drive Preparation
KR100594854B1 (en) * 2004-03-10 2006-06-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How to control work device in case of emergency
KR101640603B1 (en) * 2009-12-18 2016-07-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Working machine position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working machine position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1907A (en) * 2009-12-22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Electronic Hydraulic Control System Using Variable Behavior and Its Method
KR20110072606A (en) * 2009-12-23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Switchgear for construction machinery
KR101742322B1 (en) * 2010-12-24 2017-06-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comprising emergency controller for electro-hydraulic pump
KR102054519B1 (en) 2011-12-27 2019-12-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Hydraulic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KR20140036755A (en) * 2012-09-18 2014-03-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Safety alarming apparatus for using start switch on starting mode of heavy equipment
KR101575090B1 (en) * 2014-04-28 2015-12-0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iping kit controller for option attachment exca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663A (en) 2020-09-21
CN111675102A (en) 2020-09-18
CN111675102B (en)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2782B2 (en) Work machine display
KR102496324B1 (en) battery operated machine
WO2016158539A1 (en) Shovel
US10337170B2 (en) Driving straight ahead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91360B1 (en) Electric Construction Machinery
JP7430068B2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s and work vehicles
KR101058463B1 (en) Display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2624993B1 (en) Construction machinery
KR102455945B1 (en) Emergency drive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JP6621431B2 (en) Hydraulic drive device for hydraulic excavator
CN110468902B (en) A protect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excavator when pilot operation fails
JP2012227001A (en) Conduction failure prevention device for connector terminal part for construction machine
JP5385362B2 (en) Work machine
KR20110077064A (en) Hydraulic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US20190330824A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JP4451224B2 (en) Work status notific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EP4424931A1 (en) Construction machine
JP7556812B2 (en) Construction Machinery
JPH05125746A (en) Hydraulic pilot circuit of work machine
JPH11158942A (en) Alarm device of working machine
JP2003056011A (en) Slewing type construction machine
JP2560328Y2 (en) Safety mechanism of earthmoving machine operation lever
JP2012162952A (en) Working machine
CN116917583A (en) Electric working machinery
JPH05149428A (en) Work vehicle traveling speed chang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