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888B1 -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 Google Patents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24888B1 KR102624888B1 KR1020230034866A KR20230034866A KR102624888B1 KR 102624888 B1 KR102624888 B1 KR 102624888B1 KR 1020230034866 A KR1020230034866 A KR 1020230034866A KR 20230034866 A KR20230034866 A KR 20230034866A KR 102624888 B1 KR102624888 B1 KR 102624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aper
- paper tableware
- tableware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조 효율성이 향상된 종이식기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with improved manufacturing efficiency.
최근 소비자의 편의성을 위해 종이로 제조된 종이식기를 사용하고 있다. 종이식기를 제조하는 고정은 종이식기의 측면을 접합시킨 상태에서 종이식기의 바닥을 조립, 접합시킨 후, 종이식기의 상단을 말아 고정시키는 공정을 따라 수행된다.Recently, paper tableware made of paper has been used for consumer convenience. Fixing to manufacture paper tableware is performed by assembling and joining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with the sides of the paper tableware joined, and then rolling and fixing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이러한 종이식기는 사용자의 안전상을 이유로 인해 본등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방수를 위한 표면 코팅(폴리에틸렌 등)에 열과 압력을 가해서 코팅을 일부 녹여 접합 공정을 수행하고 있다.For reasons of user safety, these paper tableware do not use adhesive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such as adhesives, and th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the surface coating (polyethylene, etc.) for waterproofing to partially melt the coating.
이에 따라, 종이식기를 접착시키는 공정에서는 종이식기에 열을 가해야 하나, 열을 필요 이상으로 가할 경우 종이가 손상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며 열을 적게 가할 경우 방수 코팅이 접착에 필요한 만큼 녹지 않아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gluing paper tableware, heat must be applied to the paper tableware, but if more heat is applied than necessary, the paper will be damaged and its quality will deteriorate, and if less heat is applied, the waterproof coating will not melt as much as necessary for adhesion, reducing the adhesiveness. There was a problem with this falling.
아울러, 종이식기는 종이에 일정 수준 이상의 수분이 더해져야하나, 수분이 과다할 경우 종이가 눅눅해져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paper tableware requires a certain level of moisture to be added to the paper, but if the moisture is excessive, the paper becomes soggy and its shape is deformed.
이에 따라, 열과 수분을 이용하여 종이식기의 접합 효율이 향상된 제조장치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 demand for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improved bonding efficiency of paper tableware using heat and moisture is increasing significantly.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종이식기 제조장치는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조립하는 제조부 및 제조부에서 전달된 종이식기를 바닥을 접착하고 종이식기의 상면을 말아주는 컬링부 및 제조부 및 컬링부와 연결되어 제조부 및 컬링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컬링부는, 종이식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회전부, 종이식기의 하부를 예열시키는 예열부, 종이식기의 하부와 접촉하여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측면가열부, 종이식기의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가열부, 종이식기의 상면을 말아주는 커브부 및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 배치되며 예열부, 측면가열부, 바닥가열부 및 커브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종이식기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includes a manufacturing unit that assembles the sides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a curling unit that glues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delivered from the manufacturing unit, and rolls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It is connected to the part and the curling part and includes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manufacturing part and the curling part, and the curling part includes a rotating part that grips and moves the paper tableware, a preheating part that preheats the lower part of the paper tableware, and a processor that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paper tableware to form the paper tableware. The side heating unit that presses the sides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from the side, the bottom heating unit that heats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he curved part that rolls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and the bottom heating unit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otating par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part that moves the part and the curved part up and down.
상기 예열부, 상기 측면가열부, 상기 바닥가열부 및 상기 커브부는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브부는, 상기 종이식기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종이식기의 상단을 말아주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분구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1 에지부, 상기 제1 에지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사선부 및 상기 예열부에 중심부에 위치하며 평편하게 형성된 평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부, 상기 사선부 및 상기 평상부는 상기 종이식기를 예열하는 예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사선부는 상기 사선부를 따라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선부의 표면을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예열공간에 배치한 경우,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예열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바닥가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3 에지부 및 상기 제3 에지부를 연결하고 하부에 위치된 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하부에 배치된 제3 열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에지부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종이식기가 배치되는 바닥가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분구를 통해 상기 가압부가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 수중기를 분사하며,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preheating part, the side heating part, the bottom heating part, and the curve part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the curve part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gripping part and the gripping part for holding the paper tableware, and moves downward to the It includes a pressurizing part that rolls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and the gripping part includes a moisture port that sprays water vapor alo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lding part. The preheating part includes a first edge part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center part of the first edge part. It includes a diagonal portion whose height increases toward the center and a flat top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reheat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edge portion, the diagonal portion and the flat top portion form a preheating space for preheating the paper tableware. wherein the diagonal portion includes a first heating elemen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along the diagonal portion to heat the surface of the diagonal portion to a first temperature, and the processor is configured to, when the paper cutlery is placed in the preheating space, The support part is raised so that the dishes are spaced apart from the preheating part, and the bottom heating part includes a cylindrical third edge part and a circular plate connected to the third edge part and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and the circular plate is at the lower part. It includes a third heating element disposed, wherein the third edge portion and the circular plate form a bottom heating space in which the paper cutlery is disposed, and the processor By spraying air, the support part can be raised so that the paper cutler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ircular plate.
상기 측면가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2 에지부 및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삽입시켜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측면에서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종이식기가 삽입되는 접합공간; 및 상기 접합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열부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이격거리가 상기 종이식기의 일단의 측면 및 바닥과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의 측면 및 바닥과의 최단거리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이 상기 접합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열선부의 제2 온도가 상기 제1 열선부의 제1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ide heating unit includes a second edge portion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joint portion that insert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o join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from the side, and the joint unit is a joint into which the paper tableware is inserted. junction space; and a second heating wire disposed adjacent to the joint space, wherein the separation distanc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ide heating portion is the shortest between the side and bottom of one end of the paper tableware and the side and bottom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It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and the processor raises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cutlery are inserted into the joi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ing wire part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ing wire part. You can control it.
상기 측면가열부는,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종이식기와 간섭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식기가 삽입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상기 이동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는 제1 열풍이 이동하며 상기 종이식기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 상기 이동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열풍이 이동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1 열풍을 분사하는 제1 열풍구, 상기 제1 공간에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분사구 및 상기 제1 열풍구와 이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제2 열풍을 분사하는 제2 열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각각은 내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풍의 제4 온도는 상기 제2 열풍의 제5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The side heating unit includes a fixed part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floor and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a moving part arranged to face the fixed part and selectively moving toward the fixed part, the fixed part and the A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he moving part and moves up and down by interfering with the paper cutlery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part and the moving part, respectively, and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the paper cutlery is It includes a cover part to be inserted, wherein the fixing part, the moving part, the cover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form a first space in which the first hot air moves and the paper cutlery is selectively placed, and the fixing part and the moving part , the connection part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and forms a second space through which the second hot air moves, and the fixing part is a first hot air outlet for spraying the first hot air into the first space, and water vapor into the first space. It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vapor injection port for spraying water and the first hot air vent, and includes a second hot air vent for spraying second hot air into the second space, and each of the fixed part and the moving part is arranged to face the inner surface. It includes four heating elements, and the fourth temperature of the first hot air may be lower than the fifth temperature of the second hot air.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며, 바닥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가압하는 제2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상기 고정부를 향해 가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내측에 압력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센서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1 열풍과 상기 수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 공간을 상기 제4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제2 공간에 상기 제2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제2 공간을 제5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상기 커버부를 통과시켜 상기 연결부에 간섭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기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며, 측정된 압력값이 기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여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는 동안, 상기 제1 열풍과 상기 제2 열풍의 분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moving p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rts to face the fixed part, a first sliding part arranged to slide with respect to the bottom part, the cover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are arranged, and arranged to slide on an upper part of the first sliding part, It includes a second sliding part that presse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ogether with the fixing part, and a driving part that presses the second sliding part toward the fixing part, wherein a pressure sensor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sliding part. A second slid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that is selectively inserted, the second slid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pressure sensor, and the processor inserts the first hot air into the first space. and maintaining the first space at the fourth temperature by spraying the water vapor, maintaining the second space at the fifth temperature by spraying the second hot air into the second space, and maintaining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he support part is raised to pass through the cover part and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pressure valu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s compared with a preset pressure value. If the measured pressure value exceeds the preset pressure value, the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dish are pressed by pressing the second sliding part through the driving unit, and while pressing the second sliding part, the injection speed of the first hot air and the second hot air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가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생략된 측면가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r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support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he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he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he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rve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per tablew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de heating unit with the driving unit omit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de he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s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hea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These examples are merely presented as example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in case of conflict,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The description will take precedence.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oposed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un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dditionally, “uni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Identification codes (first, second, etc.) for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does not clearly state a specific order in context. It may be carried out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above.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 제조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 paper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 제조장치(1)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링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2)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열부(21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22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a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가열부(23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P)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per
종이식기 제조장치(1)는 종이식기(P)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조립하는 제조부(100), 제조부(100)에서 전달된 종이식기(P)를 바닥을 접착하고 종이식기(P)의 상면을 말아주는 컬링부(200) 및 제조부(100) 및 컬링부(200)와 연결되어 제조부(100) 및 컬링부(2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per
제조부(100)는, 종이원료를 이용하여 종이식기(P)의 측면을 접합하고, 바닥을 조립하여 컬링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종이식기(P)의 바닥은 종이식기(P)의 측면에 완전히 접합된 상태가 아니며, 컬링부(200)를 통해 완전히 접합될 수 있다.The
여기서, 도 7을 참조할 때, 종이식기(P)는 측면, 종이식기(P)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측면의 상단에 말려 종이식기(P)의 구조적 안정성을 더하는 컬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종이식기(P)의 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when referring to FIG. 7, the paper tableware (P) may include a side, a bottom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P), and curling that is rolled on the top of the side to add structural stability to the paper tableware (P). . In addition,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P) may be formed so that its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제조부(100)는 종이식기(P)의 측면을 접합하고 바닥을 조립하는 장치이면 다양할 수 있다.The
컬링부(200)는 제조부(100)의 후단에 배치되어 제조부(100)에서 전달받은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완전히 접합하고 측면의 상단을 말아주는 컬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컬링부(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Specifically,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 제조장치(1)에 내재되어 종이식기 제조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여기서, 프로세서(2)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2)(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2)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도 2 내지 도 6a을 참조할 때, 컬링부(200)는, 종이식기(P)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회전부(201), 종이식기(P)의 하부를 예열시키는 예열부(210), 종이식기(P)의 하부와 접촉하여 상기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측면가열부(220), 종이식기(P)의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가열부(230), 종이식기(P)의 상면을 말아주는 커브부 및 회전부(201)의 하부에 위치 배치되며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및 커브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지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2 to 6A, the curling
회전부(201)는 컬링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종이식기(P)의 상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회전부(201)는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가 위치하는 곳의 상부에 이동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멈추게 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부(202)가 상승하여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에 의해 제조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The
지지부(202)는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가 각각 배치되며,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02)는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를 일체로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 각각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The
지지부(202)는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커브부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예열부(210), 측면가열부(220), 바닥가열부(230) 및 커브부는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아울러, 지지부(202)는 구동원과 연결되어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프로세서(2)의 제어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를 참조할 때, 예열부(210)는 측면과 바닥이 조립된 상태의 종이식기(P)의 하부를 접합하기 이전에 예열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종이식기(P)의 하부는 종이식기(P)의 측면의 하단 및 측면의 하단과 접촉하는 바닥의 가장자리가 겹쳐진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reheating
예열부(210)는, 원통 형상의 제1 에지부(211), 제1 에지부(211)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사선부(212) 및 예열부(210)에 중심부에 위치하며 평편하게 형성된 평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heating
제1 에지부(211)는 예열부(2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어 예열부(2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에지부(211)는 사선부(212) 및 평상부(213)와 함께 종이식기(P)를 예열하는 예열공간(S210)을 형성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제1 에지부(211)는 예열공간(S210)에 열이 예열부(210)의 가장자리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사선부(212)는 제1 에지부(2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예열부(210)의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즉, 사선부(212)는 단면이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아울러, 사선부(212)는 사선부(212)를 따라 하부에 배치되어 사선부(212)의 표면을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열선부(H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열선부(H1)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열선부(H1)는 구리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열선부(H1)는 열원과 연결되어 프로세서(2)의 제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heating element H1 is connected to a heat source and its temperature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평상부(213)는 사선부(212)로부터 연장되며, 예열부(210)의 중심부에 높이 형성되며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평상부(213)에는 제1 열선부(H1)가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The
아울러, 제1 에지부(211), 사선부(212) 및 평상부(213)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 에지부(211), 사선부(212) 및 평상부(213)는 종이식기(P)를 예열하는 예열공간(S21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여기서,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가 예열공간(S210)에 배치한 경우, 종이식기(P)가 예열부(210)와 이격되도록 지지부(2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Here, when the paper cutlery (P) is placed in the preheating space (S210), the
즉, 종이식기(P)의 접착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사선부(212)로부터 열을 분산시켜 사선부(21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중첩된 영역에 열을 집중시킴과 동시에 종이식기(P)와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종이식기(P)에 급속한 열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at is, heat is dispersed from the
이에 따라, 종이식기(P)의 측면과 바다의 방수코팅에 간접적인 열을 전달하여 방수코팅의 전 영역에 고르게 열을 분산시켜 방수코팅을 예열할 수 있다. Accordingly, heat can be indirectly transferred to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P) and the waterproof coating in the sea, distributing heat evenly over the entire area of the waterproof coating, thereby preheating the waterproof coating.
즉, 방수코팅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게 되면 방수코팅의 열이 집중하게 되어 방수코팅의 일부만이 녹거나 방수코팅의 내부에 위치하는 종이식기(P)가 손상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heat is applied directly to the waterproof coating, the heat of the waterproof coating may be concentrated and only part of the waterproof coating may be melted or the paper tableware (P) located inside the waterproof coating may be damaged.
따라서, 예열부(210)와 종이식기(P)가 이격 배치된 구조를 통해 방수코팅에 열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Therefore, heat can be evenly distributed to the waterproof coating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도 5를 참조할 때, 측면가열부(220)는, 원통 형상의 제2 에지부(221) 및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삽입시켜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측면에서 접합시키는 접합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the
제2 에지부(221)는 측면가열부(2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측면가열부(2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에지부(221)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접합부(222)는 종이식기(P)가 삽입되는 접합공간(S220) 및 접합공간(S22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열선부(H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열선부(H2)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열선부(H2)는 구리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2 열선부(H2)는 열원과 연결되어 프로세서(2)의 제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second heating element H2 is connected to a heat source so that its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by the
접합부(222)는 측면가열부(220)의 하단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합부(222)의 단면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The joint 22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t the bottom of the
아울러, 접합부(222)에는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삽입되어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가압되어 접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P1) and bottom (P2) of the paper tableware (P) are inserted into the
여기서, 측면가열부(220)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이격거리(L2)는 종이식기(P)의 일단의 측면 및 바닥과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의 측면 및 바닥과의 최단거리(L1)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paration distance (L2)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이에 따라, 종이식기(P)의 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 구조이므로, 종이식기(P)의 접합이 필요한 영역이 접합부(222)에 삽입되는 경우,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중첩되는 영역이 물리적으로 벌어지게 되며, 벌어지는 과정에서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중첩되는 영역에 가압력이 가해서 상호간 물리적으로 강하게 접촉됨과 동시에 열이 가해서 방수코팅이 일부 녹아 상호간 물리적으로 접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P) is structured so that its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o when the area requiring joining of the paper tableware (P) is inserted into the joint 222, the paper tableware (P) The area where the side (P1) and the bottom (P2) overlap are physically spread, an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a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area where the side (P1) and the bottom (P2) of the paper tableware (P) overlap, creating a strong physical bond between them. Upon contact, heat is applied and the waterproof coating partially melts, allowing them to be physically bonded to each other.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접합부(222) 내에 삽입되도록 지지부(2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열선부(H2)의 제2 온도가 제1 열선부(H1)의 제1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2 온도는 방수코팅의 녹는점보다 높을 수 있다. 아울러,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은 접합부(222)와 직접 접촉하여 온도를 전달받아 열 전달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waterproof coating. In addition, the side (P1) and bottom (P2) of the paper tableware (P)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joint 222 and receive temperature, thereby greatly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바닥가열부(230)는, 원통 형상의 제3 에지부(231) 및 제3 에지부(231)를 연결하고 하부에 위치된 원형 플레이트(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3 에지부(231)는 바닥가열부(23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바닥가열부(23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The
원형 플레이트(232)는 제3 에지부(231)와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가열부(230)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원형 플레이트(232)는 하부에 배치된 제3 열선부(H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3 열선부(H3)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열선부(H3)는 구리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열선부(H3)는 열원과 연결되어 프로세서(2)의 제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third heating wire portion H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third heating wire unit H3 may include a copper heating wire. The third heating element H3 is connected to a heat source and its temperature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아울러, 제3 에지부(231)와 원형 플레이트(232)는 종이식기(P)가 배치되는 바닥가열공간(S23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커브부(290)는 종이식기(P)를 파지하는 파지부(291) 및 파지부(291)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로 이동하여 종이식기(P)의 상단을 말아주는 가압부(292)를 포함하고, 파지부(291)는 파지부(291)의 외주면을 따라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분구(291a)를 포함할 수 있다.The
파지부(291)는 종이식기(P)의 내면과 접촉하여 종이식기(P)를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파지부(291)는 필요에 따라 종이식기(P)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가압부(292)는 파지부(291)를 상측에 파지부(291)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구조이며, 필요에 따라 가압부(292)는 하부로 이동하여 종이식기(P)의 상단과 간섭되어 종이식기(P)의 상단을 말아 컬링을 구현할 수 있다.The
수분구(291a)는 파지부(291)의 외주면을 따라 종이식기(P)의 상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종이식기(P) 상단에 수증기를 분사하여 상단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다.The
수분구(291a)는 외부의 수증기원(미도시)와 연결되어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증기를 분사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종이식기(P)가 말리는 과정에서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일정 양의 수분을 종이식기(P) 상단에 제공하여 종이식기(P)가 말려 컬링되는 공정에서 종이식기(P)의 상단이 찢어지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during the process of drying the paper tableware (P), a certain amount of moisture is provided to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P)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so that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P) is dried and curled. This can prevent tearing or damage.
이때, 분사되는 수증기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종이식기(P)가 과수분이 되지 않는 양으로 조절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rayed water vapor can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to an amount that does not cause the paper cutlery (P) to become overhydrated.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가 상기 원형 플레이트(232)에 접촉하도록, 지지부(2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즉,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중첩되는 영역의 하단에 직접 열을 전달하여 방수코팅이 흘러나온 부분을 밀어 올리거나 제거하여 종이식기(P)의 하단을 정리할 수 있다.That is, the
아울러, 프로세서(2)는 제3 열선부(H3)를 제3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온도는 제2 온도보다 작고 제1 온도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온도가 제2 온도보다 큰 경우, 종이재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온도보다 작은 경우 방수코팅이 녹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제3 온도로 종이식기(P)에 접촉함으로써, 종이식기(P)의 하단에 방수코팅의 접합을 마무리할 수 있다.Therefore, by contacting the paper tableware (P) at the third temperature, bonding of the waterproof coating to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P) can be completed.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 제조장치(1)는, 종이식기(P)의 측면 및 바닥이 중첩되는 영역에 열을 순차적으로 가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접합을 가하여 열 효율이 증가되며 제조 안정성이 크게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aper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이식기 제조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a paper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가 생략된 측면가열부(22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22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 내지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220')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ide heating unit 220' with the driving part omit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ide he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s 10 and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de heating unit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제조부(100), 프로세서(2), 회전부(201), 예열부(210), 바닥가열부(230), 커버부(227), 지지부(202)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For the same configuration, the same member numbers are used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example, the
즉, 전술한 바와 차별화되는 측면가열부(2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at is, the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ide heating unit 22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bove.
측면가열부(220')는,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종이식기(P)의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부(225), 고정부(22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고정부(225)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부(226), 고정부(225)와 이동부(226)를 연결하며 종이식기(P)와 간섭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된 연결부(228) 및 고정부(225)와 이동부(226)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연결부(228)의 상부에 위치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종이식기(P)가 삽입되는 커버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heating unit 220' is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fixed to the floor,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P), the fixing
고정부(225)는 측면가열부(22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며 종이식기(P)의 외측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225)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열 전도도가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xing
예를 들어, 고정부(225)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아울러, 고정부(225)는 제1 공간(S1)에 제1 열풍을 분사하는 제1 열풍구(225a), 제1 공간(S1)에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분사구(미도시) 및 제1 열풍구(225a)와 이격되며, 제2 공간(S2)에 제2 열풍을 분사하는 제2 열풍구(225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즉, 제1 열풍구(225a) 및 수증기분사구는 고정부(225)의 내측면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열풍구(225b)는 고정부(225)의 내측면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5)의 내측면이란 이동부(226)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제1 열풍구(225a)와 제2 열풍구(225b)는 독립된 열원과 연결되어 열원으로부터 온도가 조절된 열풍을 분사할 수 있다.The first
수증기분사구는 수증기발생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발생된 수증기를 전달받아 제1 공간(S1)내로 분사할 수 있다.The water vapor jet is connected to a water vapor generator (not shown) and can receive the generated water vapor and spray it into the first space (S1).
이동부(226)는 고정부(225)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이동부(226)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부(226)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원통의 형상으로 나열될 수 있다. 즉, 이동부(226)는 하나의 고정부(225)에 대해 원심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moving
구체적으로, 이동부(226)는 바닥부(229)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226-1) 및 커버부(227)와 연결부(228)가 배치되고 제1 슬라이딩부(226-1)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고정부(225)와 함께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가압하는 제2 슬라이딩부(226-2) 및 제2 슬라이딩부(226-2)를 고정부(225)를 향해 가압하는 구동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ving
바닥부(229)는 측면가열부(220)의 중심부 바닥에 위치하며, 고정부(225)와 함께 측면가열부(22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229)는 고정부(22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아울러, 바닥부(229)는 제1 슬라이딩부(226-1)를 지지하여 제1 슬라이딩부(226-1)가 측면가열부(220)의 원심부(Z)가 위치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229)는 제1 슬라이딩부(226-1)와 레일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1 슬라이딩부(226-1)는 바닥부(229)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제2 슬라이딩부(226-2)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226-1)는 고정부(225)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e first sliding part 226-1 may be supported by the
여기서, 제1 슬라이딩부(226-1)는 제2 슬라이딩부(226-2)에 연결된 구동부(224)에 의해 간접적으로 고정부(225)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sliding part 226-1 can indirectly move toward the fixing
아울러, 제2 슬라이딩부(226-2)가 구동부(224)에 의해 고정부(22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슬라이딩부(226-1)의 상부에 형서된 간섭단차(223)에 제2 슬라이딩부(226-2)가 간섭되어 제1 슬라이딩부(226-1) 및 제2 슬라이딩부(226-2)가 일체로 고정부(225)에서 멀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ing
아울러, 제1 슬라이딩부(226-1)는 내측에 압력센서(S)가 배치되고 제2 슬라이딩부(226-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226-1a)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6-1a)는 제2 슬라이딩부(226-2)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 슬라이딩부(226-2)가 연결부(228)에 의해 고정부(225)에 가깝게 이동하는 경우, 제2 슬라이딩부(226-2)의 돌출부(226-2a)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liding part 226-1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226-1a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S is disposed and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is selectively inserted. The insertion portion 226-1a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sliding portion 226-2, and when the second sliding portion 226-2 moves closer to the fixing
제2 슬라이딩부(226-2)는 제1 슬라이딩부(226-1) 상에 위치하여 제1 슬라이딩부(226-1) 상에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슬라이딩부(226-2)는 연결부(228)에 의해 이동함과 동시에 구동부(224)에 의해 고정부(225)에 대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second sliding part 226-2 is located on the first sliding part 226-1 and can slide on the first sliding part 226-1. In addition,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can move by the connecting
압력센서(S)는 삽입부(226-1a)의 일단에 배치되어 제2 슬라이딩부(226-2)의 돌출부(226-2a)가 접촉되는 경우, 측정된 압력값을 프로세서(2)로 전달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S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part 226-1a and transmits the measured pressure value to the
구동부(224)는 제2 슬라이딩부(226-2)의 후면에 연결되어 제2 슬라이딩부(226-2)를 고정부(225)에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24)는 제2 슬라이딩부(226-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24)는 다축구조, 체인 등 다양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아울러, 제2 슬라이딩부(226-2)는 삽입부(226-1a)에 삽입되어 압력센서(S)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226-2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6-2a)는 삽입부(226-1a)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제2 슬라이딩부(226-2)가 연결부(228)에 의해 고정부(225)와 인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226-2a)가 삽입부(226-1a) 내에 위치하는 압력센서(S)와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may include a protrusion 226-2a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26-1a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pressure sensor S. When the protruding part 226-2a is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insertion part 226-1a and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moves in a direction adjacent to the fixing
또한, 고정부(225)와 이동부(226) 각각은 내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열선부(H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는 각각 내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열선부(H4)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each of the fixing
여기서, 제4 열선부(H4)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열선부(H4)는 구리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열선부(H4)는 열원과 연결되어 프로세서(2)의 제어에 의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Here, the fourth heating wire portion H4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the fourth heating wire unit H4 may include a copper heating wire. The fourth heating element H4 is connected to a heat source and its temperature can be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이에 따라, 제2 슬라이딩부(226-2)가 구동부(224)에 의해 고정부(225)와 인접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은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와 직접 접촉하여 가압됨과 동시에 제4 열선부(H4)에 의해 가열되어 방수코팅이 접착력을 가지도록 변형되어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이 완전히 접합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moves to be adjacent to the fixing
커버부(227)는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에 각각 배치되어 커버부(227)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공간(S1)의 제1 열풍 및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커버부(227)는 고정부(225)와 연결된 제1 커버부(227) 및 제2 슬라이딩부(226-2)에 연결되 제2 커버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아울러, 커버부(227)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종이식기(P)가 상부에서 제1 공간(S1) 내로 삽입되는 경우, 종이식기(P)의 표면과 접촉하여 제1 공간(S1)의 제1 열풍과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지속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제1 열풍과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은 제1 공간(S1)을 물리적으로 밀폐시키는 것이 아닌, 커버부(227)가 없어서 제1 열풍과 수증기가 완전히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leaking of the first hot air and water vapor to the outside may mean not physically sealing the first space S1, but preventing the first hot air and water vapor from being completely sprayed due to the absence of the
예를 들어, 커버부(227)는 고분자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연결부(228)는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228)는 고정부(225)의 내측면과 제2 슬라이딩부(226-2)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아울러, 연결부(228)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종이식기(P)의 측면 및 바닥의 하단과 간섭되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8)는 종이식기(P)의 간섭에 의해 하부로 이동함에 싸라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를 상호간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연결부(228)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어 종이식기(P)에 의해 간섭되어 모양이 변형되더라도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제2 공간(S2)에서 이동하는 제2 열풍에 의해 전달되는 온도로 종이식기(P)에 직접 접촉하여 종이식기(P)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아울러, 고정부(225), 이동부(226), 커버부(227) 및 연결부(228)는 제1 열풍이 이동하며 종이식기(P)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간(S1)은 제1 열풍에 의해 제4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4 온도는 방수코팅의 녹는점보다 높을 수 있다. 아울러, 제1 열풍의 제4 온도는 제2 열풍의 제5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예를 들어, 제4 온도는 제1 온도와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ourth temperature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temperature.
이에 따라, 제1 공간(S1)은 종이식기(P)가 완전히 접합되기 전에 방수코팅을 예열하여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가 종이식기(P)를 가압하는 경우, 접합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space (S1) preheats the waterproof coating before the paper tableware (P) is completely bonded, so that when the fixing
또한, 제1 공간(S1)에는 수증기가 이동할 수 있으며, 방수코팅의 접합에 맞는 수증기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이코팅의 방수코팅이 일부 녹는 경우, 수증기 환경에 의해 접합의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water vapor can move in the first space S1, and a water vapor environment suitable for bonding of the waterproof coating can be maintained. Accordingly, when the waterproof coating of the paper coating partially melts, the efficiency of bonding can be greatly improved by the water vapor environment.
고정부(225), 이동부(226), 연결부(228)는 연결부(228)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열풍이 이동하는 제2 공간(S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연결부(228)를 기준으로 연결부(228)의 상부는 제1 공간(S1)이 위치하고 연결부(228)의 하부는 제2 공간(S2)이 위치할 수 있다.The fixing
아울러, 제2 공간(S2)은 제2 열풍의 제5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5 온도는 제4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28)는 제5 온도에 의해 가열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온도는 방수코팅의 녹는점보다 높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pace S2 may be maintained at the fifth temperature of the second hot air. Here, the fifth temperature may be higher than the fourth temperature. Accordingly, the
이에 따라, 종이식기(P)와 접촉한 경우,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의 하부에 사이에 위치하는 방수코팅이 녹아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접할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in contact with the paper tableware (P), the waterproof coating located between the side (P1) and the bottom (P2) of the paper tableware (P) melts and forms the side (P1) and the bottom (P2) of the paper tableware (P). The floor (P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22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the operation of the
먼저, 프로세서(2)는, 제1 공간(S1)에 제1 열풍과 수증기를 분사하여 제1 공간(S1)을 제4 온도로 유지하고, 제2 공간(S2)에 제2 열풍을 분사하여 제2 공간(S2)을 제5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First, the
다음으로,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커버부(227)를 통과시켜 연결부(228)에 간섭하도록 지지부(202)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은 제1 공간(S1) 내에 위치하게 되며 제1 공간(S1)에 위치하는 종이식기(P)는 제4 온도로 열전달되어 예열될 수 있다.Next, the
아울러, 종이식기(P)는 연결부(228)와 간섭됨에 따라 연결부(228)는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연결부(228)의 양단에 위치하는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는 상호간 인접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paper cutlery (P) interferes with the
이에 따라, 제1 슬리이딩부의 돌출부(226-2a)는 제2 슬라이딩부(226-2)의 삽입부(226-1a)에 위치하는 압력센서(S)와 접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trusion 226-2a of the first sliding part may contact the pressure sensor S located in the insertion part 226-1a of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다음으로, 프로세서(2)는 압력센서(S)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기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며, 측정된 압력값이 기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구동부(224)를 통해 제2 슬라이딩부(226-2)를 가압하여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을 가압할 수 있다.Next, the
이에 따라, 종이식기(P)의 물리적인 간섭을 통해 연결부(228)의 움직임을 압력센서(S)의 압력 값으로 판단함으로써, 실직적인 구동부(224)의 시작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ctual starting point of the
따라서, 별도의 카메라를 통해 미세한 움직임을 판단하는 것보다 구동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tability of driving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determining minute movements through a separate camera.
아울러, 예열된 종이식기(P)가 구동부(224)에 의해 제2 슬라이딩부(226-2)가 고정부(225)와 인접하게 이동함에 따라, 종이식기(P)의 측면(P1)과 바닥(P2)은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에 의해 가압되어 완전히 접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reheated paper tableware (P) moves the second sliding part (226-2) adjacent to the fixing part (225) by the driving unit (224), the side (P1)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P) (P2) can be completely joined by being pressed by the fixing
여기서, 고정부(225)와 제2 슬라이딩부(226-2)의 내측면은 제4 열선부(H4)에 의해 방수코팅의 녹는점보다 높은 제6 온도를 종이식기(P)에 전달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Here, the inner surfaces of the fixing
아울러, 프로세서(2)는, 제2 슬라이딩부(226-2)를 가압하는 동안, 제1 열풍과 제2 열풍의 분사속도를 증가시켜, 방수코팅의 접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2)는, 종이식기(P)가 삽입되는 동안 유출되는 일부 열을 보강하기 위해 접합되는 동안 제1 열풍과 제2 열풍의 분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가열부(220)는 구조적 동작을 통해 종이식기(P)를 예열, 접합하여 종이식기(P)의 제조 안정성을 더함과 동시에 제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only a few examples are described among the various embodiments performed by the present inventor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restricted thereto, and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1: 종이식기 제조장치 P: 종이식기
2: 프로세서 100: 제조부
200: 컬링부 210: 예열부
220, 220': 측면가열부 230: 바닥가열부1: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equipment P: Paper tableware
2: Processor 100: Manufacturing Department
200: curling unit 210: preheating unit
220, 220': side heating unit 230: bottom heating unit
Claims (5)
상기 제조부에서 전달된 종이식기를 바닥을 접착하고 종이식기의 상면을 말아주는 컬링부; 및
상기 제조부 및 상기 컬링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조부 및 상기 컬링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컬링부는,
종이식기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회전부;
상기 종이식기의 하부를 예열시키는 예열부;
상기 종이식기의 하부와 접촉하여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측면에서 가압하는 측면가열부;
상기 종이식기의 바닥을 가열하는 바닥가열부;
상기 종이식기의 상면을 말아주는 커브부; 및
상기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 배치되며 상기 예열부, 상기 측면가열부, 상기 바닥가열부 및 상기 커브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 상기 측면가열부, 상기 바닥가열부 및 상기 커브부는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커브부는,
상기 종이식기를 파지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며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종이식기의 상단을 말아주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을 따라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분구를 포함하고,
상기 예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1 에지부;
상기 제1 에지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사선부; 및
상기 예열부에 중심부에 위치하며 평편하게 형성된 평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부, 상기 사선부 및 상기 평상부는 상기 종이식기를 예열하는 예열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사선부는 상기 사선부를 따라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선부의 표면을 제1 온도로 가열하는 제1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예열공간에 배치한 경우,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예열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바닥가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3 에지부; 및
상기 제3 에지부를 연결하고 하부에 위치된 원형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하부에 배치된 제3 열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에지부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종이식기가 배치되는 바닥가열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분구를 통해 상기 가압부가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 수중기를 분사하며,
상기 종이식기가 상기 원형 플레이트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는 종이식기 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partment that assembles the sides and bottom of paper tableware; and
A curling unit that glues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delivered from the manufacturing unit and curls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and
A processor connected to the manufacturing unit and the curling unit to control the manufacturing unit and the curling unit,
The curling unit,
A rotating part that holds and moves the paper cutlery;
A preheating unit that preheats the lower part of the paper tableware;
A side heating unit that contacts the lower part of the paper tableware and presse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from the side;
a bottom heating unit that heats the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A curved portion that rolls the upper surface of the paper tableware; and
A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rotating part and moving the preheating part, the side heating part, the bottom heating part, and the curved part up and down,
The preheating unit, the side heating unit, the bottom heating unit, and the curve unit are sequentially arranged to be spaced apart,
The curve part,
A holding part for holding the paper tableware; and
It includes a pressure part located at the top of the grip part and moving downward to roll the top of the paper tableware,
The gripper includes a moisture port that sprays water vapor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pper,
The preheating unit,
A first edge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diagonal portion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edge portion and increasing in height toward the center; and
It includes a flat top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reheating unit,
The first edge portion, the diagonal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form a preheating space for preheating the paper tableware,
The diagonal portion includes a first heating element disposed below the diagonal portion to heat the surface of the diagonal portion to a first temperature,
The processor,
When the paper cutlery is placed in the preheating space, the support part is raised so that the paper cutlery is spaced apart from the preheating part,
The floor heating unit,
A third edge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It includes a circular plate connecting the third edge portion and located at the bottom,
The circular plate includes a third heating element disposed at the bottom,
The third edge portion and the circular plate form a floor heating space where the paper cutlery is placed,
The processor,
Water is sprayed through the moisture port before the pressurized part moves downward,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that raises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paper tableware contacts the circular plate.
상기 측면가열부는,
원통 형상의 제2 에지부; 및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삽입시켜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측면에서 접합시키는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는,
상기 종이식기가 삽입되는 접합공간; 및
상기 접합공간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2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가열부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이격거리가 상기 종이식기의 일단의 측면 및 바닥과 상기 일단과 대향되는 타단의 측면 및 바닥과의 최단거리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이 상기 접합부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2 열선부의 제2 온도가 상기 제1 열선부의 제1 온도보다 높도록 제어하는 종이식기 제조장치.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ide heating part,
A second edge portion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It includes a joint part that insert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o join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from the side,
The joint is,
A joint space into which the paper cutlery is inserted; and
It includes a second heating wire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joint space,
The separation distanc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ide heating unit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side and bottom of one end of the paper tableware and the side and bottom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The processor,
Rais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sides and bottom of the paper cutlery are inserted into the joint part,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that controls 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second heating wire unit to be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of the first heating wire unit.
상기 측면가열부는,
원통 형상으로 배치되고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접촉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를 향해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며 상기 종이식기와 간섭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된 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의 내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탄성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종이식기가 삽입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 상기 이동부,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연결부는 제1 열풍이 이동하며 상기 종이식기가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제1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 상기 이동부,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열풍이 이동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1 열풍을 분사하는 제1 열풍구;
상기 제1 공간에 수증기를 분사하는 수증기분사구; 및
상기 제1 열풍구와 이격되며, 상기 제2 공간에 제2 열풍을 분사하는 제2 열풍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 각각은 내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4 열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열풍의 제4 온도는 상기 제2 열풍의 제5 온도보다 낮은 종이식기 제조장치.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ide heating part,
A fixing part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ixed to the floor and contacting the side of the paper tableware;
a moving part disposed to face the fixed part and selectively moving toward the fixed part;
a connecting part that connects the fixed part and the moving part, moves up and down in interference with the paper cutlery, and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t includes a cover part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xed part and the moving part, respectively, and located on an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part,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into which the paper cutlery is inserted,
The fixing part, the moving part, the cover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form a first space in which the first hot air moves and the paper cutlery is selectively placed,
The fixed part, the moving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are located below the connecting part and form a second space through which the second hot air moves,
The fixing part,
a first hot air vent spraying the first hot air into the first space;
a water vapor nozzle for spraying water vapor into the first space; and
It includes a second hot air ven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t air vent and sprays a second hot air into the second space,
Each of the fixed part and the moving part includes a fourth heating element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rface,
The fourth temperature of the first hot air is lower than the fifth temperature of the second hot air.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부와 마주보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며,
바닥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된 제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함께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가압하는 제2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상기 고정부를 향해 가압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는 내측에 압력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라이딩부는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압력센서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공간에 상기 제1 열풍과 상기 수증기를 분사하여 상기 제1 공간을 상기 제4 온도로 유지하고, 상기 제2 공간에 상기 제2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제2 공간을 제5 온도로 유지하며,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상기 커버부를 통과시켜 상기 연결부에 간섭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키고,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을 기 설정된 압력값과 비교하며,
측정된 압력값이 기 설정된 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가압하여 상기 종이식기의 측면과 바닥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슬라이딩부를 가압하는 동안, 상기 제1 열풍과 상기 제2 열풍의 분사속도를 증가시키는 종이식기 제조장치.According to paragraph 4,
The moving par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ieces facing the fixing part,
a first sliding portion arranged to slide relative to the bottom portion; and
a second sliding part on which the cover part and the connecting part are disposed to slide and move on top of the first sliding part and presse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together with the fixing part; and
A driving unit that presses the second sliding unit toward the fixed unit,
The first sliding part includes an insertion part into which a pressure sensor is disposed and the second sliding part is selectively inserted,
The second sliding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selectively contacts the pressure sensor,
The processor,
The first hot air and the water vapor are sprayed into the first space to maintain the first space at the fourth temperature, and the second hot air is sprayed into the second space to maintain the second space at the fifth temperature. And
Raising the support part so that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pass through the cover part and interfere with the connection part,
The pressure value measured through the pressure sensor is compared with the preset pressure value,
When the measured pressure value exceeds the preset pressure value, the second sliding part is pressed through the driving unit to press the side and bottom of the paper tableware,
A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that increases the injection speed of the first hot air and the second hot air while pressing the second sliding pa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4866A KR102624888B1 (en) | 2023-03-17 | 2023-03-17 |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4866A KR102624888B1 (en) | 2023-03-17 | 2023-03-17 |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888B1 true KR102624888B1 (en) | 2024-01-15 |
Family
ID=8954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4866A Active KR102624888B1 (en) | 2023-03-17 | 2023-03-17 |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24888B1 (en)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8665A (en) * | 1993-09-07 | 1995-03-14 | Toppan Printing Co Ltd | Bottom molding apparatus for paper container and aseptic filling and packing apparatus |
KR200167065Y1 (en) | 1999-07-30 | 2000-02-15 | 이정호 | Adhesive equipment of underlay hiting hot wind to paper cup former |
JP2003320599A (en) * | 2002-04-30 | 2003-11-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paper cup |
JP2004001579A (en) * | 2003-09-12 | 2004-01-08 | Tokan Kogyo Co Ltd | Tubular object molding apparatus |
US20040112949A1 (en) * | 2002-12-12 | 2004-06-17 | Hed Aharon Zeev | Disposable and biodegradable paper cup |
KR101999507B1 (en) | 2019-05-13 | 2019-07-12 | 주식회사 제일씨앤씨 | Preheating system of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
KR102193792B1 (en) * | 2020-07-08 | 2020-12-21 | 나은지 | Laminating apparatus |
EP3831591A1 (en) * | 2019-12-07 | 2021-06-09 | Zhejiang New Debao Machinery Co., Ltd | Horizontal high-speed paper cup/paper bowl forming machine |
KR20220128804A (en) * | 2021-03-15 | 2022-09-22 | 김수창 | Paper lid manufacturing method |
-
2023
- 2023-03-17 KR KR1020230034866A patent/KR1026248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8665A (en) * | 1993-09-07 | 1995-03-14 | Toppan Printing Co Ltd | Bottom molding apparatus for paper container and aseptic filling and packing apparatus |
KR200167065Y1 (en) | 1999-07-30 | 2000-02-15 | 이정호 | Adhesive equipment of underlay hiting hot wind to paper cup former |
JP2003320599A (en) * | 2002-04-30 | 2003-11-11 | Dainippon Printing Co Ltd |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paper cup |
US20040112949A1 (en) * | 2002-12-12 | 2004-06-17 | Hed Aharon Zeev | Disposable and biodegradable paper cup |
JP2004001579A (en) * | 2003-09-12 | 2004-01-08 | Tokan Kogyo Co Ltd | Tubular object molding apparatus |
KR101999507B1 (en) | 2019-05-13 | 2019-07-12 | 주식회사 제일씨앤씨 | Preheating system of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paper cup |
EP3831591A1 (en) * | 2019-12-07 | 2021-06-09 | Zhejiang New Debao Machinery Co., Ltd | Horizontal high-speed paper cup/paper bowl forming machine |
KR102193792B1 (en) * | 2020-07-08 | 2020-12-21 | 나은지 | Laminating apparatus |
KR20220128804A (en) * | 2021-03-15 | 2022-09-22 | 김수창 | Paper lid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15680C (en) | Flocked transfer and article of manufacture including the flocked transfer | |
US8863804B2 (en) | Device for coating a workpiece | |
KR102624888B1 (en) | Paper tableware manufacturing device | |
HUP0000206A2 (en) | Method for coating adhesive surfaces of fastening elements with hot-melt adhesives | |
JP63626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a plurality of friction facing elements to a friction facing support | |
CZ330094A3 (en) | Connecting press | |
KR101188138B1 (en) | Method for bonding edge-sheet to side of panel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US6360803B1 (en) | Laminator | |
KR100241041B1 (en) | Joining method of green board and bonding board of green board | |
KR101432063B1 (en) | Welding apparatus for waterproof sheet | |
JPS62100574A (en) | Bonding | |
JPH0648448A (en) | Envelope and sealing thereof | |
TW201130441A (en) | Machine for assembling the sides of shoes using water-based glue | |
JPS63421Y2 (en) | ||
JPS5841133B2 (en) | Kan no seizouhou | |
KR100739027B1 (en) | How to attach foam material to color steel sheet | |
WO2024036842A1 (en) | Method for bonding microfiber fabric on roof | |
JP3007189B2 (en) | How to apply hot melt adhesive to groove | |
JPH06311998A (en) | Absorber of disposable product and its production | |
JPH04824B2 (en) | ||
JP3805882B2 (en) | Honeycomb structur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N101070001A (en) | Method for making synthesized leather with metal luster | |
CN119184417A (en) | Heel shaping processing technology and processing equipment | |
KR20070087851A (en) | Melamine Laminated Plywood Manufacturing Method | |
JPH06315408A (en) | Method to laminate substrate made of synthetic resin with shee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