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2785B1 - 계란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계란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785B1
KR102622785B1 KR1020230003362A KR20230003362A KR102622785B1 KR 102622785 B1 KR102622785 B1 KR 102622785B1 KR 1020230003362 A KR1020230003362 A KR 1020230003362A KR 20230003362 A KR20230003362 A KR 20230003362A KR 102622785 B1 KR102622785 B1 KR 102622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ver
egg
external rib
rib
pack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희
유장선
Original Assignee
(주)하이픽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픽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하이픽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0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7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eggs
    • B65D85/324Containers with compartments made of pres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2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minated or bonded to the inner wall of a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란의 중심부로부터 계란의 일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제1포장덮개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계란의 타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2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제2포장덮개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2포장덮개부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포장덮개부 외부에 방사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외부리브부; 및 상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포장덮개부 외부에 방사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외부리브부;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계란 포장 용기{Packing box for egg}
본 발명은 계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란의 유통 및 운반 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거나 낙하 시 발생하는 충격에 내부에 수용된 계란이 파손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계란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시대는 택배를 통하여 우수한 종자의 계란을 먼 거리에 있는 가정이나 판매점에 전달하여 안전한 상태로 계란을 받아보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이 계란을 택배 차량이나 버스 또는 기차, 항공기를 통하여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포장처리된 계란이 외적 충격으로부터 깨지지 않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실용신안 제20-047556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계란이 수납되는 공간을 가지는 격자유닛이 필요하고, 격자유닛에 끼워지는 계란을 개별 포장용기로 포장하되 상기 격자유닛을 외부 박스 내부에 수용하여 제공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각각의 계란을 포장하여 구획된 격자유닛에 수용하게 하는 것이므로 각각의 계란을 포장하는 시간이 많이 들어 포장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계란 판매비용 부담이 지적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격자유닛에 계란이 수용된 상태이더라도 택배 이송 시 외적 충격이 전, 후, 좌, 우측 포장박스에 인가하게 되면 격자유닛이 찌그러질 염려가 있어 수용된 계란의 파손 염려가 지대하고, 외부 박스를 완충판으로하여 상, 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지만 외부 박스의 충격이 격자유닛 상, 하에 전달되므로 역시 격자유닛이 눌리면서 찌그러질 염려가 있어 수용된 계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히, 계란 파손 시 파손된 계란 액이 흘러 주변 계란들을 오염시키거나, 주변 계란들로 흐른 상태로 굳어서 계란 인출 시 포장용기와 함께 굳어 인출이 되지 않거나 주변 계란까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20873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계란 포장 용기와 대비하여 부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경량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발생하거나 낙하 시 가하여지는 충격에 효율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계란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계란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계란의 중심부로부터 계란의 일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제1포장덮개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계란의 타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2수용공간부가 형성된 제2포장덮개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의 둘레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 상기 제2포장덮개부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제2결합부; 상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포장덮개부 외부에 방사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외부리브부; 및 상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포장덮개부 외부에 방사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2외부리브부;를 포함하는 계란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평평한 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장덮개부는 상기 제1결합부 외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는 상기 제1손잡이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2결합부 외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에 의하면,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 사이로 계란을 수용하고 결합시킨 경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하여지거나 소정 높이에서 낙하하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된 제1외부리브부와 제2외부리브부, 결합부 그리고 모서리부가 돌출된 평면부 등이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 계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송 및 운반의 편의성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계란을 한 개씩 보관하는 경우 제1포장덮개부와 제2포장덮개부의 결합 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외부 충격에 보다 효율적인 완충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사시도; 및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계란 포장 용기의 전개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결합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100)는 제1포장덮개부(101), 제2포장덮개부(102), 제1결합부(131), 제2결합부(132), 제1내부리브부(141), 제2내부리브부(142), 제1외부리브부(151) 및 제2외부리브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는 계란(1)의 중심부로부터 계란의 일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된다. 전체적으로 상기 제1수용공간부(111) 내부는 계란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내부리브부(141) 등에 의하여 계란 외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계란(1)의 타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2수용공간부(112)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상기 제2수용공간부(112) 내부는 계란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내부리브부(142) 등에 의하여 계란 타측 외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도시 및 설명의 편의상, 도 4에서는 계란이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 내부에 완전히 끼워진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계란의 외부보다 마진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제1수용공간부(111)와 제2수용공간부(112)가 계란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히다.
한편,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는 상당히 얇은 두께로 소정 강직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계란의 외형 파악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둘레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도면상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하부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1몸체부(121)가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제1몸체부(121) 하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제1수평부(131a)와, 상기 제1수평부(131a)의 단부를 따라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1수직절곡부(131b)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도면상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상부에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2몸체부(122)가 구비되되,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제2몸체부(122)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131)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제1수평부(131a)에 면상 접촉되도록 하는 제2수평부(132a)와, 상기 제1수직절곡부(131b) 내측에 상기 제1수직절곡부(131b) 둘레를 전체적으로 면상 압착되도록 상기 제2수평부(132a) 단부를 따라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2수직절곡부(1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는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상부 중앙측에는 전체적으로 지면에 수평하면서 모서리부가 뭉툭하게 형성된 대략 삼각형태의 제1평면부(105)가 구비되되, 상기 제1평면부(105)의 모서리부와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제1몸체부(121)를 상하로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외부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가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 사이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의 원주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의 원주방향에 따른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평면부(105) 상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가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는 각각 세 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가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서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와 반대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는 제1내부리브부(141)가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 사이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외부리브부(152)도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외부리브부(152)는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하부 중앙측에는 상기 제1평면부(105)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전체적으로 지면에 수평하면서 모서리부가 뭉툭하게 형성된 대략 삼각형태의 제2평면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2평면부의 모서리부와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제2몸체부(122)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포장덮개부(10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가 구비되고,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 사이로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도 각각 세 개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가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서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내부에는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제2내부리브부(142)가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 사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내부리브부(141)와 제2내부리브부(142)가 형성하는 내면은 서로 연결 시 전체적으로 일반적인 계란의 외형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는 상기 제1결합부(131) 외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부(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는 상기 제1손잡이부(181)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2결합부(132) 외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부(18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181)와 제2손잡이부(182)가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며 상기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2)를 이용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를 결합 시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와 제2외부리브부(152)는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100)는 평면상 상기 손잡이부(181, 182)를 제외한 최대 직경(b, 도 3 참조)이 63~67mm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부(181, 182)까지 포함하는 최대 길이(a, 도 3 참조)가 72~77m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100)에 의하면,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 사이로 계란을 수용하고 결합시킨 경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하여지거나 소정 높이에서 낙하하는 경우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와 제2외부리브부(152), 결합부(131, 132) 그리고 평면부(105) 등이 충격을 흡수하여 내부 계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계란을 한 개씩 보관이 가능하게 되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의 결합 시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외부 충격에 보다 효율적인 완충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별도의 튜브형 수용포장재를 이용하여 상기 튜브형 수용포장재 내부에 복수 개의 계란 포장 용기(100)를 담아 보관 및 이송 시에는 이중의 충격 완충 효과를 얻게 되어 보다 강한 충격에도 계란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계란 포장 용기의 전개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200)는 서로 폴딩되는 형태로 제1덮개부(221)와 제2덮개부(222)가 구비되되, 폴딩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상기 제1덮개부(221)와 제2덮개부(222)는 다수 행 및 다수 열로 각각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12)에는 각각 계란의 절반 정도가 수용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계란 포장 용기(200)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각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12) 중앙부에 제1평면부(205)와 제2평면부(205) 및 제1외부리브부(251)와 제2외부리브부(252) 등이 적용되며, 상기 제1덮개부(221)와 제2덮개부(222)를 폴딩 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끼움돌기(232)와 끼움홈(231)이 각각 상기 제2덮개부(222)와 제1덮개부(221)에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12)에 적용되는 상기 제1외부리브부(251)와 제2외부리브부(252)는 메인외부리브부와 보조외부리브부로 나뉘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덮개부(221)와 제2덮개부(222) 둘레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끼움돌기(232)가 상기 끼움홈(231)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제1손잡이부(281)와 제2손잡이부(28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여러 개의 계란을 계란 포장 용기에 수용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외부리브부 등에 의하여 외부 충격에 내부 수용된 계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는 10개의 계란이 수용되는 계란 포장 용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동일한 구성으로 15개나 20개 등 다양한 개 수의 계란을 수용하는 계란 포장 용기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들에 따른 게란 포장 용기 전체적으로 조밀하게 1mm 정도로 돌출된 돌기부가 포장용기 전체적으로 둘러 쌓인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여 외부 충격을 돌기들에 분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계란 포장 용기
101: 제1포장덮개부
102: 제2포장덮개부
131: 제1결합부
132: 제2결합부
141: 제1내부리브부
142: 제2내부리브부
151: 제1외부리브부
152: 제2외부리브부
181: 제1손잡이부
182: 제2손잡이부

Claims (3)

  1. 제1포장덮개부(101), 제2포장덮개부(102), 제1결합부(131), 제2결합부(132), 제1내부리브부(141), 제2내부리브부(142), 제1외부리브부(151) 및 제2외부리브부(15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는 계란(1)의 중심부로부터 계란의 일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1수용공간부(111)가 형성되되, 상기 제1수용공간부(111) 내부는 계란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1내부리브부(141)에 의하여 계란 외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계란(1)의 타측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2수용공간부(112)가 형성되되, 상기 제2수용공간부(112) 내부는 계란의 일측 외형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되 상기 제2내부리브부(142)에 의하여 계란 타측 외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는 소정 강직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하부에는 하측으로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1몸체부(121)가 구비되며,
    상기 제1결합부(13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제1몸체부(121) 하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제1수평부(131a)와, 상기 제1수평부(131a)의 단부를 따라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1수직절곡부(13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상부에는 상측으로 이단 절곡된 형태로 제2몸체부(122)가 구비되되,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제2몸체부(122)의 둘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부(131)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2결합부(132)는 상기 제1수평부(131a)에 면상 접촉되도록 하는 제2수평부(132a)와, 상기 제1수직절곡부(131b) 내측에 상기 제1수직절곡부(131b) 둘레를 전체적으로 면상 압착되도록 상기 제2수평부(132a) 단부를 따라 하측으로 수직 절곡된 제2수직절곡부(13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는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는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상부 중앙측에는 지면에 수평하면서 모서리부가 뭉툭하게 형성된 삼각형태의 제1평면부(105)가 구비되고,
    상기 제1평면부(105)의 모서리부와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제1몸체부(121)를 상하로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의 외부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가 구비되고,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 사이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가 구비되며,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의 원주방향에 따른 폭은 상기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의 원주방향에 따른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평면부(105) 상단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가 상부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는 각각 세 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 내부에는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와 반대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이루는 제1내부리브부(141)가 상기 제1메인외부리브부(151a)와 제1보조외부리브부(151b)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외부리브부(152)는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외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제2외부리브부(152)는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하부 중앙측에는 상기 제1평면부(105)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지면에 수평하면서 모서리부가 뭉툭하게 형성된 삼각형태의 제2평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평면부의 모서리부와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의 제2몸체부(122)를 연결하면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2포장덮개부(102)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이격 간격마다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가 구비되고,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 사이로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가 구비되며,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는 각각 세 개씩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내부리브부(142)가 상기 제2메인외부리브부(152a)와 제2보조외부리브부(152b) 사이로 구비되며,
    상기 제1내부리브부(141)와 제2내부리브부(142)가 형성하는 내면은 서로 연결 시 계란의 외형에 대응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는 상기 제1결합부(131) 외측으로 돌출된 제1손잡이부(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2포장덮개부(102)는 상기 제1손잡이부(181)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제2결합부(132) 외측으로 돌출된 제2손잡이부(18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손잡이부(181)와 제2손잡이부(182)가 대응되는 위치를 이루며 상기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132)를 이용 상기 제1포장덮개부(101)와 제2포장덮개부(102)를 결합 시 상기 제1외부리브부(151)와 제2외부리브부(152)는 상하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계란포장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230003362A 2023-01-10 2023-01-10 계란 포장 용기 Active KR102622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362A KR102622785B1 (ko) 2023-01-10 2023-01-10 계란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362A KR102622785B1 (ko) 2023-01-10 2023-01-10 계란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785B1 true KR102622785B1 (ko) 2024-01-09

Family

ID=8953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362A Active KR102622785B1 (ko) 2023-01-10 2023-01-10 계란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7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656A (ja) * 2005-03-17 2006-09-28 Kurihara Seisakusho:Kk 合成樹脂製卵包装容器とその多数個取り用トレー材
KR200488132Y1 (ko) * 2018-03-29 2018-12-17 주식회사 리싸이텍 계란 포장용 덮개
KR102087306B1 (ko)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중부종합물산 계란포장용기
KR200492837Y1 (ko) * 2020-08-19 2020-12-17 주식회사 영인테크놀로지 계란 포장 용기
KR102275958B1 (ko) * 2020-09-16 2021-07-13 (주)대명솔루션 휴대성을 향상시킨 계란판
KR20220101798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삼초마을 계란 보관용 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6656A (ja) * 2005-03-17 2006-09-28 Kurihara Seisakusho:Kk 合成樹脂製卵包装容器とその多数個取り用トレー材
KR200488132Y1 (ko) * 2018-03-29 2018-12-17 주식회사 리싸이텍 계란 포장용 덮개
KR102087306B1 (ko)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중부종합물산 계란포장용기
KR200492837Y1 (ko) * 2020-08-19 2020-12-17 주식회사 영인테크놀로지 계란 포장 용기
KR102275958B1 (ko) * 2020-09-16 2021-07-13 (주)대명솔루션 휴대성을 향상시킨 계란판
KR20220101798A (ko) *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삼초마을 계란 보관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86300A (en) Nestable shock damping container
ES2609802T3 (es) Envase de producto que utiliza un indicador de información contenido en una bandeja de producto
KR101102365B1 (ko) 계란포장용 상자
JP2003063569A (ja) 梱包用緩衝材および梱包物
KR101124703B1 (ko) 과일포장박스
KR200488132Y1 (ko) 계란 포장용 덮개
ES2569260T3 (es) Envase celular para suspensión resistente a choques para transporte y almacenamiento seguros
CN218752180U (zh) 改进包装系统
KR102622785B1 (ko) 계란 포장 용기
KR101321474B1 (ko) 완충 포장용기
KR20110010315U (ko) 에어백 포장
KR200424470Y1 (ko) 다용도 포장용기
KR200492837Y1 (ko) 계란 포장 용기
CN110789813B (zh) 一种装配式木质包装盒
KR101874247B1 (ko) 상품 포장용 상자
KR102183320B1 (ko) 계란 포장상자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101186444B1 (ko) 계란포장용기
KR20110004018U (ko) 포도용 택배상자
KR101953986B1 (ko) 와인병 보호 커버
KR20110051659A (ko) 과일 포장방법
KR102630087B1 (ko) 포장용 종이 패키지와 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안전 박스
WO2013084015A1 (en) Container for bottles of drinks
KR200427816Y1 (ko) 과일포장박스
KR102401852B1 (ko) 달걀 수납 케이스용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1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