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1868B1 -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68B1
KR102621868B1 KR1020220021809A KR20220021809A KR102621868B1 KR 102621868 B1 KR102621868 B1 KR 102621868B1 KR 1020220021809 A KR1020220021809 A KR 1020220021809A KR 20220021809 A KR20220021809 A KR 20220021809A KR 102621868 B1 KR102621868 B1 KR 102621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urner
air
flame
injector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831A (ko
Inventor
문성철
Original Assignee
문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철 filed Critical 문성철
Priority to KR1020220021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68B1/ko
Priority to PCT/KR2023/002370 priority patent/WO2023158276A1/ko
Publication of KR2023012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0002Cleaning burner parts, e.g. burner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외측 화염링을 제공하도록 캡으로 상부가 폐쇄되고 가스-공기를 분출하는 복수 개의 외측 화염 포트를 가진 외측 파트와 내측 화염링을 제공하도록 다른 캡으로 상부가 폐쇄되고 외측 파트와 이격되어 중앙부에 가스-공기를 분출하는 복수 개의 화염 포트를 가진 내측 파트로 구성된 헤드, 조리기기 상판에 조립되고 헤드와 일부가 이격되어 배치된 인젝터 홀더, 인젝터 홀더내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벤투리관, 인젝터 홀더의 벽에 고정되고, 벤투리관에서 이격하여 벤투리관으로 가스를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인젝터를 포함하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인젝터 홀더 상부면은 평평하고, 하나 이상의 벤투리관 확산부는 인젝터 홀더내에 형성된 하나의 팽창 챔버와 바로 연통하고, 팽창 챔버는 하나의 직상 수직 채널을 통해 외측 파트의 외측 환형 챔버와 연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버너의 일차공기 증가, 화염 균일화 및 청소성 향상 관련 기술이다.

Description

가스버너{Gas burn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용 가스버너는 가스를 분사하는 인젝터를 고정하고 일차공기를 유입하는 인젝터 홀더, 화염링을 제공하도록 캡으로 상부를 폐쇄하고 가스-일차공기(이하, ‘가스-공기’라 함)를 배출하는 복수 개의 화염 포트를 가진 헤드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버너가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일차공기와 이차공기가 필요하다. 일차공기는 가스분출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이고 이차공기는 화염링 형성시 주위에서 공급되는 공기이다. 버너는 이러한 일차공기 및 이차공기가 적절히 공급되어야 효과적인 연소가 이뤄지고 안전이 확보된다.
버너는 화염링에 따라 싱글(Single), 듀얼(Dual) 또는 트리플(Triple) 등으로, 화염의 분출방향에 따라 수평형, 경사형 또는 수직형 등으로 구분된다.
싱글 버너는 하나의 벤투리관에 하나 이상의 화염링을 갖도록 구성되고 1-웨이 밸브(Way valve)와 함께 사용된다. 듀얼 버너는 둘 이상의 벤투리관과 하나의 헤드에 고화력을 내는 외측의 외측 파트(Part)와 저화력을 내는 중앙의 내측 파트로 구성되어 이중링으로 되고 각 화염링이 별도로 조절되도록 2-웨이 밸브와 함께 사용된다. 트리플 버너는 보통 듀얼 버너의 외측 파트의 안쪽에 화염링을 추가하여 삼중링으로 한 것이다. 이들 버너는 조리를 고려하여 용도와 목적에 따라 유효하게 사용된다.
버너는 빠르고 다양한 조리를 위하여 고화력과 저화력까지 넓은 범위의 화력조절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버너는 고화력에서 충분한 일차공기 및 이차공기를 획득하여 불완전연소를 최대한 방지되어야 한다.
버너는 고화력을 얻기 위하여 분사하는 가스량에 비례하여 일차공기와 이차공기를 많이 증가시켜 연소성을 향상시키고 연소된 가스를 원활히 배출하여야 한다. 일차공기 및 이차공기를 많이 증가시키는 요소는 인젝터 구조, 벤투리관 수량과 배치, 벤투리관의 형상과 크기, 가스-공기의 흐름구조, 화염링의 배치 및 이차공기의 유입 구조 및 방법 등이다.
특히, 가스-공기의 흐름구조는 헤드까지 최단 거리로 하여 일차공기량이 증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벤투리관에서 유출하는 가스-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저항을 최소로 받아 곧바로 화염링을 제공하는 헤드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최단 구조화 과정에서 가스-공기 흐름이 편향될 수 있지만 화염의 균일화는 이뤄지도록 한다.
버너는 고화력으로 인해 조리과정에서 종종 조리물이 용기를 넘쳐서 버너캡으로 떨어져 버너 내부로 스며들거나 인젝터 홀더 상부면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 버너의 인젝터 홀더 상부면이 복잡하면 청소에 큰 불편을 준다. 버너에서 낙하하는 조리물이 흐르는 버너 부위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단순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허 10-1887258호는 화력을 얻기 위해 인젝터 홀더에 한 쌍의 긴 수평 벤투리관을 적용하고, 수평 벤투리관 후단에 칸막이가 없는 아치형 채널의 2개 브런치와 그 브런치 양 단부에 수직 채널을 배치하고, 인젝터 홀더 상부면에 공동을 두어 그 공동속에 인젝터를 고정하고 조리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주위와 차단하며, 일정 통로를 통해 내측 파트의 일차공기가 유입하도록 하는 구조를 적용한다.
본 발명은 버너의 일차공기 증가, 화염 균일화 및 청소성 향상 관련 기술이다.
본 발명은 버너에서 벤투리 효과로 얻어진 가스-공기의 흐름을 최단화하여 일차공기를 증가하고, 화염을 균일화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낙하하는 조리물 흐름의 원활과 오염될 수 있는 부위를 보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목적 및 추가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개시된 특징들을 통합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순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후술하는 기술수단에 의해 조리기기용 가스버너에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일차공기를 증가시켜 연소성을 높여 버너의 고화력을 확보하고 화염의 균일화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낙하하는 조리물이 흐르는 버너 부위를 평평하게 하고 오염될 수 있는 버너 내부를 보이도록 하여 청소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듀얼 버너의 전체도
도 2는 듀얼 버너의 인젝터 홀더 상부를 투영하는 인젝터 홀더의 투시도
도 3은 더블 버너의 인젝터 홀더 상부를 투영하는 인젝터 홀더의 투시도
도 4는 듀얼 버너 인젝터 홀더 A-A면 단면도
도 5는 더블 버너 인젝터 홀더 B-B면 단면도
도 6은 듀얼 버너의 외측 파트 캡을 제거한 상태의 경사 평면도
도 7은 더블 버너의 외측 파트 캡을 제거한 상태의 경사 평면도
도 8은 듀얼 버너의 인젝터 홀더의 경사 평면도
도 9는 듀얼 및 더블 버너의 외측 파트를 포함한 헤드의 평면도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싱글 버너는 하나의 벤투리관에 하나 이상의 화염링을 갖도록 구성되고 1-웨이 밸브(Way valve)와 함께 사용되는 버너로 헤드에 고화력을 내는 외측의 외측 파트(Part)와 저화력을 내는 중앙의 내측 파트로 구성된 더블(Double) 버너를 포함된다. 듀얼 버너는 둘 이상의 벤투리관과 하나의 헤드에 고화력을 내는 외측의 외측 파트(Part)와 저화력을 내는 중앙의 내측 파트로 구성되어 이중링으로 하고 각 화염링이 조절되도록 2-웨이 밸브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더블 버너는 인젝터 홀더(Injector holder)내에 하나의 수평 벤투리관(Venturi tube)을 보유한 버너를, 듀얼(Dual) 버너는 인젝터 홀더내에 둘 이상의 수평 벤투리관을 보유한 버너를 말한다.
다음은 가스버너의 일차공기 증가, 화염 균일화 및 청소성 향상 관련 발명을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듀얼 버너의 전체도이다.
듀얼 버너는 인젝터 홀더(2)가 고정 스크류(Screw, 4)에 의해 조리기기 상판(Top plate, 1)에 고정되고, 가스-공기를 분출하는 복수 개의 외측 화염 포트(24, 25)를 가진 외측 파트(5)와 외측 파트(5)와 이격되어 중앙부에 가스-공기를 분출하는 복수 개의 화염 포트를 가진 내측 파트(6)로 구성된 헤드(Head, 7)가 인젝터 홀더(2) 위에 배치되며, 제1 캡(Cap, 8)과 제2 캡(9)은 헤드(7)의 외측 파트(Part, 5)와 내측 파트(6)에 각각 올려지고, 2-웨이 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외측 파트(5)와 내측 파트(6)의 화염이 각각 조절되는 버너이다. 이 점에서 더블 버너도 비슷한 구조이나, 형상을 달리하여 1-웨이 밸브에 의해 외측 파트(5)와 내측 파트(6)의 화염이 동시에 조절되는 버너이다.
도 2는 듀얼 버너의 인젝터 홀더 상부를 투영하는 인젝터 홀더의 투시도이다.
인젝터 홀더(2)는 인젝터 홀더 상부(2a)와 인젝터 홀더 하부(2b)가 결합된 것으로, 헤드(7)의 외측 파트(5)에 가스-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은 가스 유입구(10), 인젝터(13), 공동(14), 벤투리관(15), 팽창 챔버(18) 및 수직 채널(19) 순으로 연통 연속성(2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벤투리관(15) 옆에 쌍으로 배치된 또 하나의 인젝터(16)와 벤투리관(17)도 같은 팽창 챔버(18) 및 수직 채널(19)를 거쳐 연통 연속성(2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더블 버너의 인젝터 홀더 상부를 투영하는 인젝터 홀더의 투시도이다.
헤드(7)의 외측 파트(5)에 가스-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은 가스 유입구(51), 인젝터(52), 공동(53), 벤투리관(54), 팽창 챔버(55) 및 수직 채널(19) 순으로 연통 연속성(2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듀얼 버너의 인젝터 홀더 A-A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듀얼 버너의 외측 버너 캡을 제거한 상태의 경사 평면도로 가스-공기가 헤드(7)의 외측 파트(5)에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가스 유입구(10)는 밸브 및 가스배관(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도록 인젝터 홀더(2)의 수직 외벽에 배치되고 인젝터(13, 16)로 가스를 흐르도록 한다.
인젝터(13, 16)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가스 유입구(1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수평으로 분사하기 위해 외벽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인젝터(13, 16)의 출구 구경은 분사하는 가스량을 한정하므로 외측 파트(5)의 화력을 결정한다.
공동(14)은 인젝터(13, 16)와 벤투리관(15, 17)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인젝터(13, 16)에서 가스가 분사(20)될 때 인젝터 홀더(2) 상부와 헤드(7) 하부 사이(21)로 일차공기(α)가 유입하여 가스와 함께 벤투리관(15, 17)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빈 공간이다. 공동(14)은 하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부가 열려 있는 탑 브리더(Top breather)와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열려 있는 바톰 브리더(Bottom breather)를 포함하고 도 4는 탑 브리더의 예를 보여 준다.
벤투리관(15, 17)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베르누이 방정식을 응용하여 벤투리 효과로 일차공기(α)를 유입시킨다. 벤투리관이 중력방향과 반대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은 일차공기 유입에 불리하므로 일차공기를 더 많이 유입시켜 고화력을 얻기 위해서 벤투리관을 수평으로 배치한다. 벤투리관(15, 17)은 유입부(Inlet, 15a, 17a), 목부(Throat, 15b, 17b), 확산부(Diffuser, 15c, 17c)로 구성된다. 일차공기(α)가 벤투리관으로 가장 많이 유입되도록 인젝터(13, 16)와 벤투리관(15, 17)의 중심선이 수평으로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가스-공기의 흐름구조는 헤드까지 최단 거리로 하여 일차공기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즉, 벤투리관에서 유출하는 가스-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저항을 최소로 받아 곧바로 화염링을 제공하는 헤드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최단 구조화 과정에서 가스-공기 흐름이 편향될 수 있지만 화염의 균일화는 이뤄지도록 한다. 아래의 각 설명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발명의 실시예이다.
팽창 챔버(18)는 어떠한 채널이나 터널을 거치지 않고 벤투리관 확산부(15c, 17c)와 연통하도록 벤투리관 출구(15d, 17d)에 바로 배치한다. 이러한 팽창 챔버(18)의 배치는 벤투리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최대한 줄여 일차공기(α)가 팽창 챔버(18)에 최대한 많이 유입하도록 한다.
팽창 챔버(18)는 벤투리관 출구(15d, 17d)를 통과하는 가스-공기가 빨리 분산되어 수직 채널(19)로 직상하고 외측 화염링(26)이 균일화하는데 기여하도록 내용적을 키운다. 그러나, 수직 채널(19)이 하나의 채널이어서 가스-공기 흐름의 편향을 가져와 화염 균일화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챔버(18)는 벤투리관 출구(15d, 17d)로부터 먼 부분의 인젝터 홀더 하부(2b)를 분배 경사면(30)으로 하여 수직 채널(19) 및 외측 환형 챔버(23)로 원활한 가스-공기의 흐름과 분배를 유도한다. 또한, 분배 경사면(30)이 벤투리관 출구(15d, 17d)에 더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가스-공기의 흐름변화를 주어 외측 환형 챔버(23)에서의 가스-공기 분배를 더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벤투리관 출구(15d, 17d)는 인젝터 상하부(2a, 2b)에 칸막이(31, 32) 또는 하부(2b)에 칸막이(32)를 한 팽창 챔버(18)와 바로 연통하고, 팽창 챔버(18)는 하나의 직상 수직 채널(19)을 통해 외측 환형 챔버(23)와 연통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벤투리관(15, 17)으로부터 팽창 챔버(19)로 배출되는 가스-공기가 상호충돌하여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막는데 기여한다.
수직 채널(19)은 팽창 챔버(18)의 바로 위에 하나 배치하여 팽창 챔버(18)에 도달한 가스-공기가 외측 파트(6)의 외측 환형 챔버(23)로 직상하도록 한다. 수직 채널(19) 단면적은 팽창 챔버(18) 단면적과 크기를 같이 하여 가스-공기의 흐름저항이 없도록 한다.
도 5는 더블 버너의 인젝터 홀더 B-B면 단면도이고, 도 7은 더블 버너의 외측 파트 캡을 제거한 상태의 경사 평면도로 가스-공기가 헤드(7)의 외측 파트(5)에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가스 유입구(51)는 밸브 및 가스배관(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한 가스가 유입되도록 인젝터 홀더(2)의 수직 외벽에 배치되고 인젝터(52)로 가스를 흐르도록 한다.
인젝터(52)는 가스 유입구(10)로부터 유입된 가스를 수평으로 분사하기 위해 외벽과 수직으로 배치된다. 인젝터(52)의 출구 구경은 분사하는 가스량을 한정하므로 외측 파트(5)의 화력을 결정한다.
공동(53)은 인젝터(52)와 벤투리관(54)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인젝터(52)에서 가스가 분사(56)될 때 인젝터 홀더(2) 상부와 헤드(7) 하부 사이(57)로 일차공기(α)가 유입하여 가스와 함께 벤투리관(54)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빈 공간이다. 공동(53)은 하부가 폐쇄되어 있고 상부가 열려 있는 탑 브리더(Top breather)와 상부가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열려 있는 바톰 브리더(Bottom breather)를 포함하고 도 5는 탑 브리더의 예를 보여 준다.
벤투리관(54)은 하나로 구성되어 베르누이 방정식을 응용하여 벤투리 효과로 일차공기(α)를 유입시킨다. 벤투리관이 중력방향과 반대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은 일차공기 유입에 불리하므로 일차공기를 더 많이 유입시켜 고화력을 얻기 위해서 벤투리관을 수평으로 배치한다. 벤투리관(54)은 유입부(Inlet, 54a), 목부(Throat, 54b), 확산부(Diffuser, 54c)로 구성된다. 일차공기(α)가 벤투리관으로 가장 많이 유입되도록 인젝터(52)와 벤투리관(54)의 중심선이 수평으로 상호 일치되도록 한다.
가스-공기의 흐름구조는 헤드까지 최단 거리로 하여 일차공기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즉, 벤투리관에서 유출하는 가스-공기가 흐르는 통로의 저항을 최소로 받아 곧바로 화염링을 제공하는 헤드에 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최단 구조화 과정에서 가스-공기 흐름이 편향될 수 있지만 화염의 균일화는 이뤄지도록 한다. 아래의 각 설명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발명의 실시예이다.
하나의 팽창 챔버(55)는 어떠한 채널이나 터널을 거치지 않고 벤투리관 확산부(54c)와 연통하도록 벤투리관 출구(54d)에 바로 배치한다. 이러한 팽창 챔버(55)의 배치는 벤투리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공기의 흐름에 저항을 최대한 줄여 일차공기(α)가 팽창 챔버(55)에 최대한 많이 유입하도록 한다.
팽창 챔버(55)는 벤투리관 출구(54d)를 통과하는 가스-공기가 빨리 분산되어 수직 채널(19)로 직상하고 외측 화염링(26)이 균일화하는데 기여하도록 내용적을 키운다. 그러나, 수직 채널(19)이 하나의 채널이어서 가스-공기 흐름의 편향을 가져와 화염 균일화를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팽창 챔버(55)는 벤투리관 출구(54d)로부터 먼 부분의 인젝터 홀더 하부(2b)를 분배 경사면(30)으로 하여 수직 채널(19) 및 외측 환형 챔버(23)로 원활한 가스-공기의 흐름과 분배를 유도한다. 또한, 분배 경사면(30)이 벤투리관 출구(54d)에 더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게 하여 가스-공기의 흐름변화를 주어 외측 환형 챔버(23)에서의 가스-공기 분배를 더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수직 채널(19)은 팽창 챔버(55)의 바로 위에 하나 배치하여 팽창 챔버(55)에 도달한 가스-공기가 외측 파트(6)의 외측 환형 챔버(23)로 직상하도록 한다. 수직 채널(19) 단면적은 팽창 챔버(55) 단면적과 크기를 같이 하여 가스-공기의 흐름저항이 없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젝터(13, 16, 52)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벤투리관(15, 17, 54)의 벤투리 효과에 의해 동공(14, 53)에서 일차공기(α)를 유입시켜 가스-공기로 되어 벤투리관 출구(15d, 17d, 54d)과 바로 연통된 팽창 챔버(18, 55)와 그 직상의 수직 채널(19)을 거쳐 외측 파트(6)의 외측 환형 챔버(23)에 도달한다. 이 연통 연속성(22)에서 거리, 흐름저항 및 와류를 최소화하여 일차공기(α) 증가시켜 버너의 연소성 향상을 도모하여 버너의 고화력을 확보한다.
도 8은 듀얼 버너의 인젝터 홀더의 경사 평면도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젝터 홀더 상부면(3)이 함몰이나 공동없이 평평하게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리물이 낙하하더라도 어려움이 없이 편리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고, 내측 파트(6)에 가스를 분사하는 인젝터(33)는 인젝터 홀더 상부면(3)보다 높게 위치하여 낙하하는 조리물이 접촉하지 않도록 함을 보여 준다. 한편, 팽창 챔버(18, 55)는 채널이나 통로 등이 없어 시각적으로 바닥면이 모두 보이므로 낙하하는 조리물이 외측 파트(5)의 외측 화염 포트(27)을 통해 수직 채널(19)을 거쳐 팽창 챔버(18, 55)로 유입되어 오염된다 하더라도 청소를 못하지 않거나 해체할 필요없이 청소가 가능하다.
도 9는 듀얼 및 더블 버너의 외측 파트를 포함한 헤드의 평면도이다.
헤드(7)은 외측 파트(5), 내측 파트(6), 외측 파트(5)와 내측 파트(6) 사이의 뚫린 공간인 이차공기 유입구(34), 내측 파트(6)에서 외측 파트(5)로 불옮김하는 하는 불옮김 화염 포트(28) 및 불옮김 터널(29) 등으로 구성된다.
외측 파트(5)는 수직 채널(19) 출구와 연통하고 가스-공기를 보유하고 분배하는 외측 환형 챔버(23) 및 가스-공기를 분출하는 외측 화염 포트(24, 25) 등으로 구성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 채널(19)을 통과한 가스-공기는 외측 환형 챔버(23)로 직상하여 각부 주 외측 화염 포트(24) 및 보조 외측 화염 포트(25)로 분배되어 이차공기(27)를 얻어 외측 화염링(26)을 형성한다. 또한, 외측 환형 챔버(23)의 가스-공기는 외측 파트(5)의 안쪽인 내측 파트(6) 방향 화염 포트(도시되지 않음)로 분출되어 추가적인 화염링(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삼중링의 트리플 버너로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 영역 또는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 인젝터 홀더 3 : 인젝터 홀더 상부면
5 : 외측 파트 6 : 내측 파트
7 : 헤드 8, 9 : 캡
13, 16, 52 : 인젝터 14 : 공동
15, 17, 54 : 벤투리관 18, 55 : 팽창 챔버
19 : 수직 채널 23 : 외측 환형 챔버
24, 25 : 외측 화염 포트(주, 보조) 26 : 외측 화염링
30 : 분배 경사면 31, 32 : 칸막이

Claims (4)

  1. 복수 개의 외측 화염 포트를 가진 외측 파트와 상기 외측 파트와 이격되어 중앙부에 복수 개의 화염 포트를 가진 내측 파트로 구성되고 캡으로 폐쇄되는 헤드;
    조리기기 상판에 조립되고 상기 헤드와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내부에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벤투리관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가스를 유입하는 인젝터를 고정시키는 인젝터 홀더;
    상기 한 개 이상의 벤투리관의 벤투리관 확산부와 연통하고 직상의 수직 채널을 통해 외측 환형 챔버와 연통하는 팽창 챔버; 및
    가스-공기가 상기 수직 채널을 통해 상기 외측 환형 챔버로 고르게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벤투리관 확산부로부터 먼 상기 팽창 챔버의 말단을 경사지게 하는 분배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21809A 2022-02-19 2022-02-19 가스버너 Active KR102621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09A KR102621868B1 (ko) 2022-02-19 2022-02-19 가스버너
PCT/KR2023/002370 WO2023158276A1 (ko) 2022-02-19 2023-02-20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09A KR102621868B1 (ko) 2022-02-19 2022-02-19 가스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831A KR20230124831A (ko) 2023-08-28
KR102621868B1 true KR102621868B1 (ko) 2024-01-05

Family

ID=8757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09A Active KR102621868B1 (ko) 2022-02-19 2022-02-19 가스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1868B1 (ko)
WO (1) WO202315827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0897A1 (en) * 2000-01-28 2001-08-02 Bernard Dane Gas burner with multiple gas rin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106B1 (ko) * 2004-07-09 2012-11-01 디펜디 이탈리아 에스.알.엘. 다수의 화염 섹터를 포함하는 버너
PL2236921T3 (pl) * 2009-03-18 2015-04-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Ulepszony palnik gazowy
CN104713087B (zh) * 2015-03-12 2017-10-2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底杯盖及燃烧器及燃气用具
ITUB20153850A1 (it) * 2015-04-24 2017-03-24 Defendi Italy Srl Bruciatore a gas con piu corone di fiamme per piani di cottu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0897A1 (en) * 2000-01-28 2001-08-02 Bernard Dane Gas burner with multiple gas 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831A (ko) 2023-08-28
WO2023158276A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45746A1 (zh) 燃烧器及燃气用具
JP6207740B2 (ja) リッチリーン燃焼装置
US7942143B2 (en) Heating cooking appliance and burner system thereof
CN110848686A (zh) 利用小火孔和锥形管状火孔输出浓淡预混气体燃烧器
CN101889171B (zh) 烤炉用燃气燃烧器
JP4675862B2 (ja) 燃焼装置
JPH094823A (ja) 燃料燃焼バーナ
KR102621868B1 (ko) 가스버너
TW201139962A (en) Combustion device for melting furnace and melting furnace using the same
JP4179761B2 (ja) バーナ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加熱装置
KR20230098465A (ko) 가스버너
CN204786392U (zh) 一种燃气灶的炉头、炉头组件及一种燃气灶
US12352434B2 (en) Gas burner
CN209165391U (zh) 燃烧器及燃气灶具
CN113137603A (zh) 燃气分配装置及燃气热水器
KR102610572B1 (ko) 베이 가스버너
JP4459112B2 (ja) バー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媒体加熱装置
CN220152732U (zh) 分火器和燃烧器
CN219222403U (zh) 一种燃烧器引射系统及应用有该引射系统的燃气灶具
CN217560086U (zh) 一种双火排对接式风冷燃气热水器
CN221991782U (zh) 一种分气组件、燃烧器及燃气设备
JP3897493B2 (ja) ガスバーナ
JP2012241204A (ja) 熱風炉用セラミックバーナ
JPH02106608A (ja) ラジアントガスバーナ
JP2003269709A (ja) 加熱炉用の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0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