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0634B1 -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 Google Patents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634B1
KR102620634B1 KR1020210122128A KR20210122128A KR102620634B1 KR 102620634 B1 KR102620634 B1 KR 102620634B1 KR 1020210122128 A KR1020210122128 A KR 1020210122128A KR 20210122128 A KR20210122128 A KR 20210122128A KR 102620634 B1 KR102620634 B1 KR 10262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width direction
cap
conn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160A (ko
Inventor
장종훈
Original Assignee
(주)마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스트 filed Critical (주)마스트
Priority to KR102021012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6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6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3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pivo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 연장된 중공체인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로 구비되어 사각형 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방부재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서 이웃하는 측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상기 측방부재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 양측이 측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날개와, 상기 날개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된 판상이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 날개회전축이 구비되는 날개캡과, 상향 오목한 홈이 형성된 블록 형태로 상기 측방부재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날개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Shading Facility With Opening And Closing Roof}
본 발명은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되며, 우천시 빗물이 지주로 배출되어 별도의 배수구가 필요 없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 시설은 눈, 비,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사람 또는 자전거 등과 같은 기타 사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물과 건물 사이 또는 건물 현관의 이동통로의 상부에 비나 눈을 피할 수 있도록 반구형이나 아치형 등의 지붕을 갖는 다양한 구조물 형태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옥상, 야외 관중석이나 처마, 건물과 건물 사이, 주차장 입구, 지하도 입구, 급수대, 자전거 보관대, 차량승강장 등에서 햇빛과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차양 시설을 설치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양 시설은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와, 지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도록 지주의 상부에 각각 지지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과,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연이어 배치되면서 지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차양 패널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차양 시설은 지주를 설치하지 않고 건물의 측면부에 직접 지지 프레임을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여 지지시키는 형태의 구조물로 시공되기도 한다.
한편, 파고라(Pergola)는 휴게시설의 일종으로 사방이 트여있고 골조가 있는 지붕이 있어서 햇볕이나 비를 가릴수 있으며, 앉을 자리가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최근에는 건물 주변의 테라스나 가든, 옥상 등에 파고라를 설치하여 고객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형태의 차양 시설을 많이 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파고라의 경우 지붕을 이루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완전히 닫혔을 때 상단의 빗물에 대한 방수 형태가 되면서 빗물의 차단이 가능하고, 기후 조건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차양을 조절함으로써 쾌적한 야외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등 많은 이점 때문에 최근에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파고라는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비교적 높은 경우 구조물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빗물 등이 내부로 스며들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링 구조가 제시되었으나, 빗물이 액체라는 특성상 완벽한 실링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지붕을 이루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기다란 띠 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져 자체 하중에 의해 길이 중간 부분이 아래로 쳐지게 되는 등 강도 면에서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277067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날개가 닫혔을 때 날개가 겹치도록 설치되어 빗물 등이 내부로 새지 않고, 빗물이 지주를 통하여 배출되며, 부품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되고, 중공체인 날개의 내부가 분할되어 날개캡이 견고하게 조립되며, 날개부의 작동 구조가 간단한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상하 연장된 중공체인 복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로 구비되어 사각형 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방부재와, 상기 지주의 상단에서 이웃하는 측방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상기 측방부재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 양측이 측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는 날개와, 상기 날개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된 판상이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 날개회전축이 구비되는 날개캡과, 상향 오목한 홈이 형성된 블록 형태로 상기 측방부재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날개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날개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날개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며 폭 방향 일측으로 하향 만곡진 날개상부재와, 상기 날개상부재의 일측 단부로부터 폭 방향 연장되고 타측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날개상부재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날개하부재와, 상기 날개상부재와 날개하부재 사이에서 날개하부재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날개상부재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날개제1공간과 날개제2공간을 형성하는 날개격벽과, 폭 방향 일측으로 상기 날개하부재와 날개상부재의 결합부에서 상향 연장된 제1연장부와, 상기 날개상부재의 폭 방향 타측에서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제2연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날개의 제1연장부는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된 제1절곡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연장부는 단부에서 하향하며 폭 방향 외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면서 일측 날개의 제1연장부는 이웃하는 날개의 제2연장부로 삽입되고, 날개의 제2연장부는 이웃하는 날개의 제1연장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날개의 폭 방향 양단은 서로 교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날개제1공간은 날개상부재 및 날개하부재의 폭 방향 일측 단부와 날개격벽 사이에 형성되고, 날개제2공간은 날개상부재 및 날개하부재의 폭 방향 타측 단부와 날개격벽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캡은 판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1공간으로 삽입되는 캡제1삽입부와, 상기 캡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2공간으로 삽입되는 캡제2삽입부와, 상기 캡본체로부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 날개회전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제1삽입부와 캡제2삽입부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날개격벽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동수단은 상기 날개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구동로드가 구비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로드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날개캡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날개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부재와 대향하여 복수의 날개캡의 타측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연결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로드가 연장되면 날개부가 회전하면서 닫히고, 수축하면 날개부가 회전하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측방부재는 길이를 가지며 마주하여 나란한 2겹의 판상인 측방부와, 상기 측방부의 하단으로부터 내향 절곡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연장된 바닥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부와 바닥연결부 사이에는 바닥부의 상부로 상향 오목한 배수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측방부의 상단에는 길이를 따라 상향 오목한 측방부재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부재결합공의 상부로 상기 설치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의 상부로 판상의 커버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측방부재결합공에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설치부재와 커버부재가 차례로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고, 고정볼트의 머리가 측방부재결합공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측방부에 설치부재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결부는 상하 개구된 중공체인 연결제1부재와, 단면이 'ㄱ'자인 상하 연장된 막대로 단부가 상기 연결제1부재의 내면에 접하여 고정 결합되며 상기 연결제1부재로부터 상향 돌출된 연결제2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제1부재는 상기 지주의 상단에 삽입되고 측방에서 지주공으로 삽입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지주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제2부재에는 양측의 단부인 서로 직각 방향을 향하는 제2부재단부가 연결제1부재의 내면에 접하고 연결제1부재에 형성된 제1연결공을 통하여 제2부재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연결제2부재가 연결제1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이웃하여 서로 직각으로 된 상기 측방부재의 단부가 단면이 'ㄱ'자인 연결제2부재의 제2부재단부와 각각 마주하고, 연결제2부재에 형성된 제2연결공과 측방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측방부재결합공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이웃하는 측방부재가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제2부재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은 중공체인 날개의 내부가 분할되어 날개캡이 견고하게 조립되며, 날개부의 작동 구조가 간단하고, 날개가 겹치도록 설치되어 빗물 등이 내부로 새지 않고, 빗물이 지주를 통하여 배출되어 별도의 배수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부품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을 도시한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측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연결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을 도시한 사시도와 일부 확대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측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연결부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연결부가 지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의 날개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날개(121)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복수의 날개(121)가 이격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은 지주(110)와, 연결부(130)와, 측방부재(140)와, 날개부(120)와, 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110)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지주(110)는 단면이 사각형이며 상하 연장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지주(110)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격 구비되며, 본 발명에서 지주(110)는 4개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 상기 지주(110)에는 상단의 내측을 향하는 직각면에 각각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지지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110)의 상단에는 내측을 향하는 직각면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주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는 지주(110)의 상단에서 이웃하는 측방부재(140)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30)는 각각의 지주(110)의 상단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연결제1부재(133)와 연결제2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제1부재(133)는 단면이 사각형이며 상하 개구된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제1부재(133)의 단면적은 상기 지주(1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제1부재(133)에는 상기 지주공(111)이 형성된 위치에 볼트가 나사 체결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제1부재(133)는 상기 지주(110)의 상단에 삽입되고 측방에서 지주공(111)으로 삽입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지주(110)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지주(110)의 직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제1부재(133)는 돌출부에 접하여 지주(110)의 상단에 삽입되고 상기 지주공(111)과 연통되는 통공에 볼트가 나사 체결되며 결합된다. 상기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제1부재(133)는 지주(11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제2부재(135)는 단면이 'ㄱ' 자인 상하 연장된 막대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제2부재(135)에는 양측의 단부인 서로 직각 방향을 향하는 제2부재단부(1351)가 외측을 향하는 상기 연결제1부재(133)의 내면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제2부재(135)는 상기 연결제1부재(133)에 형성된 제1연결공(1331)을 통하여 제2부재단부(1351)에 형성된 나사공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연결제2부재(135)가 연결제1부재(133)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연결제2부재(135)는 상기 연결제1부재(133)로부터 상향 돌출된다. 상기 연결제2부재(135)의 직각을 이루는 각 면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의 제2연결공(1353)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재(140)는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재(140)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지주(110)의 상부로 구비되어 사각형 틀을 형성한다. 이웃하여 구비된 상기 측방부재(140)는 서로 직각을 이루어 구비된다. 이웃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기 측방부재(140)는 단부가 상기 연결제2부재(135)의 제2부재단부(1351)와 각각 마주하고, 상기 연결제2부재(135)에 형성된 제2연결공(1353)과 측방부재(140)의 단부에 형성된 측방부재결합공(1411)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이웃하는 측방부재(140)가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제2부재(135)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측방부재(140)는 측방부(141)와, 바닥부(143)와, 바닥연결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방부(141)는 길이를 가지며 마주하여 나란한 2겹의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2겹의 판상은 서로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며 구비된다. 상기 측방부(141)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상기 연결제2부재(135)의 제2연결공(1353)과 연통되는 오목한 측방부재결합공(1411)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1)은 2겹에 판상에 의하여 형성된 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틈으로 형성된 측방부재결합공(1411)과 제2연결공(1353)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측방부(141)가 연결제2부재(135)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측방부(141)의 상단에는 길이를 따라 상향 오목한 측방부재결합공(1413)이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의 개구부는 폭 방향 단부가 내향 돌출되어 측방부재결합공(1413)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부(141)의 상단에는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의 외측으로 측방부재상부연장부(1412)와 측방부재상부절곡부(1414)가 형성된다. 상기 측방부재연장부(1412)는 측방부(141)의 상단에서 상향 연장되고, 상기 측방부재상부절곡부(1414)는 측방부재상부연장부(1412)로부터 내향 절곡 형성된다.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방부재상부절곡부(1414)는 상기 측방부재상부연장부(1412)로부터 내향 절곡되고 하향 절곡되어 단부가 측방부(141)의 상단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방부재상부절곡부(1414)에는 길이 방향 양단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상부결합공(1416)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결합공(1416)에는 상기 측방부(141)의 외면을 덮는 연결커버(131)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커버(131)는 직각으로 절곡된 판상이다. 상기 연결커버(131)는 각 단부가 이웃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기 측방부재(140)의 단부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연결커버(131)의 양측면은 이웃하여 서로 직각을 이루는 상기 측방부(141)의 외면을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커버(131)의 상단은 내향 절곡되어 상부절곡부(1311)를 형성하며, 상부절곡부(1311)에는 상기 측방부(141)의 상부결합공(1416)이 형성된 위치에 연결커버결합공(1313)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커버(131)는 상부절곡부(1311)에 형성된 연결커버결합공(1313)을 통하여 측방부재상부절곡부(1414)에 형성된 상부결합공(1416)으로 나사가 삽입 체결되어 연결커버(131)가 측방부(14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바닥부(143)는 상기 측방부(141)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43)는 측방부(141)의 하단으로부터 내향 절곡 연장된다.
상기 바닥연결부(145)는 상기 바닥부(143)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연장된다.
상기 측방부(141)와 바닥연결부(145) 사이에는 바닥부(143)의 상부로 상향 오목한 배수로(147)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로(147)를 이루는 바닥부(143)와 바닥연결부(145)는 측방부(141)의 단부로부터 내향 이격되어 절단부(140-1)를 형성한다. 상기 절단부(140-1)의 단부는 상기 연결제1부재(133)의 내면과 일치하거나 연결제1부재(133)의 내면으로부터 내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절단부(140-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로(147)에 흐르는 물이 절단부(140-1)를 통해 연결제1부재(133)를 통과하고, 지주(110)를 지나 지면으로 배출되어 별도의 배수구가 필요 없다.
상기 날개부(120)는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상기 측방부재(14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120)는 길이 방향 양측이 상기 측방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날개부(120)는 날개(121)와, 날개캡(123)과, 설치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상기 측방부재(14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날개(121)는 날개상부재(1211)와, 날개하부재(1213)와, 날개격벽(1215)과, 제1연장부(1219)와, 제2연장부(1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상부재(121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며 폭 방향 일측으로 하향 만곡 형성된다.
상기 날개하부재(1213)는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일측 단부로부터 폭 방향 연장되고 타측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날개격벽(1215)은 상기 날개상부재(1211)와 날개하부재(1213) 사이에서 날개하부재(1213)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날개상부재(1211)에 결합된다. 상기 날개격벽(1215)의 양측으로 날개제1공간(1216)과 날개제2공간(1214)이 형성된다. 상기 날개제1공간(1216)은 날개상부재(1211) 및 날개하부재(1213)의 폭 방향 일측 단부와 날개격벽(1215) 사이에 형성되고, 날개제2공간(1214)은 날개상부재(1211) 및 날개하부재(1213)의 폭 방향 타측 단부와 날개격벽(121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1연장부(1219)는 폭 방향 일측으로 상기 날개하부재(1213)와 날개상부재(1211)의 결합부에서 상향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부(1219)의 단부에는 폭 방향 내향 절곡된 제1절곡부(1219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연장부(1217)는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폭 방향 타측에서 폭 방향 외향 연장된다. 상기 제2연장부(1217)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향 돌출된 연장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1217)의 단부에는 하향하며 폭 방향 외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12171)가 더 구비된다.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복수의 날개결합부(1218)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결합부(1218)는 날개(121)의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날개결합부(1218)는 폭 방향 양측의 날개하부재(1213)와 날개상부재(1211)의 결합부와, 날개하부재(1213)의 절곡부, 날개상부재(1211)와 날개격벽(1215)의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20)는 회전하면서 일측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가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로 삽입되고,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는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를 덮도록 구비된다.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날개(121)의 폭 방향 양단은 서로 교차하여 구비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캡(123)은 판상이며,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 구비된다. 상기 날개캡(123)은 캡본체(1231)와, 제1캡삽입부(1233)와, 제2캡삽입부(1235)와, 날개회전축(12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본체(1231)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본체(1231)에는 상기 날개(121)의 날개결합부(1218)가 형성된 위치에 캡결합공(12311)이 형성된다. 상기 날개캡(123)은 상기 캡결합공(12311)을 통하여 날개결합부(1218)로 나사가 삽입 체결되어 날개캡(123)이 날개(12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캡제1삽입부(1233)는 상기 날개제1공간(1216)의 단면과 같은 형태로 한 변이 만곡된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제1삽입부(1233)는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날개(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1공간(1216)으로 삽입된다.
상기 캡제2삽입부(1235)는 상기 날개제2공간(1214)의 단면과 같은 형태로 한 변이 만곡된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캡제2삽입부(1235)는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날개(121)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2공간(1214)으로 삽입된다.
상기 캡제1삽입부(1233)와 캡제2삽입부(1235)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로 날개격벽(1215)이 삽입된다.
상기 날개회전축(1237)은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다. 상기 날개회전축(1237)은 회전축이 도 11과 같이 날개격벽(1215)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며, 상향 오목한 설치홈(125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설치홈(1251)에 상기 날개회전축(1237)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날개(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상기 측방부재(140)의 측방부재상부연장부(1412)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재(125)에는 설치홈(1251)의 양측에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과 연통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볼트삽입공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125)에는 설치부재(125)의 상부로 판상의 커버부재(126)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126)에는 상기 설치부재(125)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된 위치에 설치결합공(1261)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125)는 적어도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일측에서 상기 측방부(141)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설치부재(125)의 볼트삽입공과 커버부재(126)의 설치결합공(1261)이 차례로 관통하여 너트로 나사 체결되고, 고정볼트의 머리가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측방부(141)에 설치부재(125)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설치부재(125)에는 커버부재(126)가 구비되지 않고, 고정볼트만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삽입되어 설치부재(125)의 볼트삽입공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고정볼트의 머리가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걸리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재(125)가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고정 설치되지 않으면 날개(121)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50)은 상기 날개부(120)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어 날개부(120)를 회전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수단(150)은 측방부(141)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150)은 구동부(151)와, 구동부재(153)와, 연결구동부재(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51)는 측방부(141) 내측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51)는 상기 설치부재(125)와 배수로(147)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51)는 상기 배수로(147)를 형성하는 측방부(141)와 바닥연결부(145)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51)는 실린더, 전기모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51)에는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구동로드(151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53)는 상기 설치부재(125)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53)는 판상의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재(153)는 상기 구동로드(1511)에 연결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153)는 직각삼각형의 대각선을 이루는 한 꼭지점인 제2연결부(1533)에 상기 구동로드(1511)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재(153)의 나머지 두 꼭짓점인 제1연결부(1531)와 제3연결부(1533)는 각각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날개캡(12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재(153)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3개 이상의 날개캡(12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동부재(155)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동부재(155)는 날개부(1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동부재(155)는 상기 설치부재(125)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동부재(155)는 상기 날개회전축(1237)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부재(153)와 대향하여 구비된다. 상기 연결구동부재(155)는 고정부재(나사, 볼트 등)인 연결구동연결부재(1551)가 복수의 날개캡(123)에 체결되어 연결된다.
상기 구동수단(150)의 구동에 의한 날개부(12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구동로드(1511)가 연장되면 상기 날개부(120)는 날개회전축(1237)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닫힌다. 상기 날개부(120)가 회전하면서 일측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는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로 삽입되고,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는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를 덮도록 구비된다.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날개(121)의 폭 방향 양단이 제1연장부(1219)와 제2연장부(1217)에 의하여 서로 교차하여 구비된다. 상기 구동로드(1511)가 수축하면 날개부(120)가 날개회전축(123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11의 "A"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날개(121)가 열린다.
상기 날개부(120)가 닫힌 상태에서 눈/비가 내리면 물은 제1연장부(1219) 및 제1절곡부(12191)와 날개상부재(1211)로 형성된 날개배수로(12192)에 모여 흐르게 되고, 상기 날개배수로(12192)를 통해 측방부재(140)의 배수로(147)로 흐르며 절단부(140-1)를 지나 지주(110)의 중공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100: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110: 지주 120: 날개부
130: 연결부 140: 측방부재
150: 구동수단

Claims (8)

  1. 서로 이격되어 상하 연장된 중공체인 복수의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의 상부로 구비되어 사각형 틀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방부재(140)와, 상기 지주(110)의 상단에서 이웃하는 측방부재(14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나란하게 마주하는 상기 측방부재(140) 사이에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 양측이 측방부재(14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121)를 포함하는 날개부(120)와, 상기 날개부(1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120)는 날개(121)와, 상기 날개(12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된 판상이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 날개회전축(1237)이 구비되는 날개캡(123)과, 상향 오목한 홈이 형성된 블록 형태로 상기 측방부재(14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기 날개회전축(1237)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날개(1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설치부재(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부재(140)는 길이를 가지며 마주하여 나란한 2겹의 판상인 측방부(141)와, 상기 측방부(141)의 하단으로부터 내향 절곡된 바닥부(143)와, 상기 바닥부(143)의 내측 단부로부터 상향 절곡 연장된 바닥연결부(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부(141)와 바닥연결부(145) 사이에는 바닥부(143)의 상부로 상향 오목한 배수로(14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12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며 폭 방향 일측으로 하향 만곡진 날개상부재(1211)와,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일측 단부로부터 폭 방향 연장되고 타측에서 상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날개하부재(1213)와, 상기 날개상부재(1211)와 날개하부재(1213) 사이에서 날개하부재(1213)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단이 날개상부재(1211)에 결합되어 양측으로 날개제1공간(1216)과 날개제2공간(1214)을 형성하는 날개격벽(1215)과, 폭 방향 일측으로 상기 날개하부재(1213)와 날개상부재(1211)의 결합부에서 상향 연장된 제1연장부(1219)와, 상기 날개상부재(1211)의 폭 방향 타측에서 폭 방향 외향 연장된 제2연장부(1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는 단부에서 폭 방향 내향 절곡된 제1절곡부(12191)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연장부(1217)는 단부에서 하향하며 폭 방향 외향 경사지게 절곡된 제2절곡부(12171)가 더 포함되며;
    상기 날개부(120)가 회전하면서 일측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는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로 삽입되고, 날개(121)의 제2연장부(1217)는 이웃하는 날개(121)의 제1연장부(1219)를 덮도록 구비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날개(121)의 폭 방향 양단은 서로 교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제1공간(1216)은 날개상부재(1211) 및 날개하부재(1213)의 폭 방향 일측 단부와 날개격벽(1215) 사이에 형성되고, 날개제2공간(1214)은 날개상부재(1211) 및 날개하부재(1213)의 폭 방향 타측 단부와 날개격벽(1215)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날개캡(123)은 판상의 캡본체(1231)와,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1공간(1216)으로 삽입되는 캡제1삽입부(1233)와,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날개제2공간(1214)으로 삽입되는 캡제2삽입부(1235)와, 상기 캡본체(1231)로부터 길이 방향 외향 돌출된 날개회전축(12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캡제1삽입부(1233)와 캡제2삽입부(1235)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날개격벽(121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50)은 상기 날개부(120)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구동로드(1511)가 구비된 구동부(151)와, 상기 구동로드(1511)에 연결되어 이웃하는 2개 이상의 날개캡(12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부재(153)와, 상기 날개회전축(1237)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동부재(153)와 대향하여 복수의 날개캡(123)의 타측에 연결되는 막대 형상의 연결구동부재(1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로드(1511)가 연장되면 날개부(120)가 회전하면서 닫히고, 수축하면 날개부(120)가 회전하면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부(141)의 상단에는 길이를 따라 상향 오목한 측방부재결합공(1413)이 형성되고,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의 상부로 상기 설치부재(125)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125)의 상부로 판상의 커버부재(126)가 더 포함되며;
    상기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고정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는 설치부재(125)와 커버부재(126)가 차례로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고, 고정볼트의 머리가 측방부재결합공(1413)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측방부(141)에 설치부재(125)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8.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는 상하 개구된 중공체인 연결제1부재(133)와, 단면이 'ㄱ'자인 상하 연장된 막대로 단부(1351)가 상기 연결제1부재(133)의 내면에 접하여 고정 결합되며 상기 연결제1부재(133)로부터 상향 돌출된 연결제2부재(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제1부재(133)는 상기 지주(110)의 상단에 삽입되고 측방에서 지주공(111)으로 삽입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지주(1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제2부재(135)에는 양측의 단부인 서로 직각 방향을 향하는 제2부재단부(1351)가 연결제1부재(133)의 내면에 접하고 연결제1부재(133)에 형성된 제1연결공(1331)을 통하여 제2부재단부(1351)에 형성된 나사공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연결제2부재(135)가 연결제1부재(133)에 고정 결합되고,
    이웃하여 서로 직각으로 된 상기 측방부재(140)의 단부가 단면이 'ㄱ'자인 연결제2부재(135)의 제2부재단부(1351)와 각각 마주하고, 연결제2부재(135)에 형성된 제2연결공(1353)과 측방부재(140)의 단부에 형성된 측방부재결합공(1411)으로 볼트가 삽입 체결되어 이웃하는 측방부재(140)가 직각을 이루면서 연결제2부재(135)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100).
KR1020210122128A 2021-09-14 2021-09-14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Active KR10262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28A KR102620634B1 (ko) 2021-09-14 2021-09-14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28A KR102620634B1 (ko) 2021-09-14 2021-09-14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60A KR20230039160A (ko) 2023-03-21
KR102620634B1 true KR102620634B1 (ko) 2024-01-03

Family

ID=8580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28A Active KR102620634B1 (ko) 2021-09-14 2021-09-14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214B1 (ko) * 2023-05-17 2024-05-29 김춘봉 주차면 캐노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65A (ja) * 2005-03-29 2006-10-12 Shin Nikkei Co Ltd 屋根
KR101157589B1 (ko) * 2011-10-24 2012-06-18 메코시스 주식회사 차양용 슬랫의 날개 폭 가변구조
KR102105202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7067B1 (ko) 2019-09-05 2021-07-14 이한울 지붕 개폐형 차양 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4665A (ja) * 2005-03-29 2006-10-12 Shin Nikkei Co Ltd 屋根
KR101157589B1 (ko) * 2011-10-24 2012-06-18 메코시스 주식회사 차양용 슬랫의 날개 폭 가변구조
KR102105202B1 (ko) * 2019-11-13 2020-04-28 변해울 루프 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60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280B1 (ko) 파고라 차양구조체
US8341900B2 (en) Structure for mounting on a building wall frames for holding panels such as photovoltaic panels
KR102392549B1 (ko) 개선된 거터조립체를 갖는 경량 온실
KR101907162B1 (ko) 누수 차단용 몰딩바가 구비되는 차양구조체
CA2455600C (en) Louvered roof assembly
KR102260055B1 (ko) 배수 기능이 구비된 천장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구조
KR102277067B1 (ko) 지붕 개폐형 차양 시설
KR101628686B1 (ko) 완전한 밀봉으로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는 건설 시스템
KR102620634B1 (ko) 지붕 개폐형 차양시설
EP1281314A2 (en) Ventilation device for hothouse
KR101638779B1 (ko) 구조적 완전성과 내진성을 갖는 비틀림 저항성 건설시스템
CN207314686U (zh) 一种旋转式百叶蓬
EP0607752B1 (de) Dach mit einem Dachfenster
CN112780004B (zh) 一种应用于建筑物的墙单元及组合式墙体
JP4478433B2 (ja) 建築物の換気構造
KR101352686B1 (ko) 내부 덧창 부착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
EP4414519A1 (en) Roofing with movable slats
JPH06257355A (ja) 建築用ルーバー装置
KR102734615B1 (ko) 차양 면적 조절이 가능한 캐노피 장치
JP7451116B2 (ja) 設置構造及び設置構造の施工方法
RU2815792C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ламельная кровля и её поворотная ламель
JPH0748837Y2 (ja) 組立家屋の樋構造
JP7538680B2 (ja) パネル体付き構造物及びパネル体付き構造物の製造方法
WO2024156278A1 (en) Steel pergola
GB2413340A (en) Canopy, e.g. for car 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