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0356B1 -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356B1
KR102620356B1 KR1020220164380A KR20220164380A KR102620356B1 KR 102620356 B1 KR102620356 B1 KR 102620356B1 KR 1020220164380 A KR1020220164380 A KR 1020220164380A KR 20220164380 A KR20220164380 A KR 20220164380A KR 102620356 B1 KR102620356 B1 KR 10262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reg
module
outside
rotation module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4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열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16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3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29B15/1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 B29B15/122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 B29B15/125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of reinforcements of indefinite length with a matrix in liquid form, e.g. as melt, solution or latex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1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mat, e.g. sheet moulding compound [S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5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e.g. prepregs,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cross moulding compounds [XM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72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리프레그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적층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관 형태를 이루도록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인접한 끝단부인 피접합물의 외측을 둘러싸며, 피접합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리프레그가 외측에 감기도록 하거나 감겨진 프리프레그가 풀리도록 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과의 사이에 제조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정모듈; 상기 회전모듈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회전모듈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모듈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를 피접합물의 외측에 적층할 수 있는 적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의 외부에는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가 마련되고, 상기 제조공간에는 일정 높이까지 결합제 용액이 수용되어, 상기 회전모듈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강화섬유가 풀리면서 제조공간 내의 결합제 용액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가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기는 한편, 상기 프리프레그가 일정량 형성되어 회전모듈에 감긴 후, 상기 회전모듈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가 풀리면서 적층모듈에 의해 피접합물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pparatus for joining composite material components}
본 발명은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리프레그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적층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배관 등의 부품은 단위 길이를 갖도록 제조되므로, 현장에서는 이러한 단위 길이의 부품들을 접합하여 시공이 진행된다. 기존 부품은 주로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용접을 통해 비교적 간단하고 빠른 공정으로 시공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금속부품의 높은 중량으로 인한 부담감, 부식 발생 및 내화학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체제가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복합재료를 이용한 부품이 개발되고 있다.
복합재료란 성질이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거시적으로 혼합되어 기존 단일 재료보다 유용한 기능을 발현하는 재료를 말한다. 이에, 복합재료는 단일 소재와는 달리 섬유의 종류, 수지의 종류, 배합비율, 섬유 방향, 첨가제 함유량 등에 따라 다양한 물성으로 설계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재료로는 주로 섬유강화복합재(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FRP)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섬유강화복합재는 몰드(mold)에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고강도 섬유재료를 수지를 함침하여 적층 및 경화한 것으로, 금속에 비해 경량이며 내식성, 내열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특히, 이러한 섬유강화복합재 중에서도 결합제를 강화섬유에 미리 함침시킨 시트 형태의 제품인 프리프레그(prepreg)는 역학적 특성이 뛰어나다. 이에, 선행기술 1(한국등록특허 제10-2428539호) 및 선행기술 2(한국등록특허 제10-2354945호)와 같이 공업용 재료, 비행기, 자동차 및 선박 등의 부품으로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섬유강화복합재를 이용한 부품의 접합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섬유의 제단, 수지의 배합, 수지의 함침, 적층 및 경화 등의 공정이 수반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게 된다. 이에, 높은 작업비용, 낮은 생산성, 균일하지 않은 제품품질 및 휘발성 물질의 과다 흡입 등 작업환경의 위험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2853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49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리프레그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적층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는, 관 형태를 이루도록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인접한 끝단부인 피접합물의 외측을 둘러싸며, 피접합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리프레그가 외측에 감기도록 하거나 감겨진 프리프레그가 풀리도록 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과의 사이에 제조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정모듈; 상기 회전모듈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회전모듈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모듈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를 피접합물의 외측에 적층할 수 있는 적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의 외부에는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가 마련되고, 상기 제조공간에는 일정 높이까지 결합제 용액이 수용되어, 상기 회전모듈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강화섬유가 풀리면서 제조공간 내의 결합제 용액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가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기는 한편, 상기 프리프레그가 일정량 형성되어 회전모듈에 감긴 후, 상기 회전모듈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가 풀리면서 적층모듈에 의해 피접합물에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적층모듈은, 피접합물 및 피접합물에 적층되는 프리프레그와 맞닿으며 회전되는 적층롤러와, 상기 적층롤러에 대하여 피접합물의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층모듈은, 피접합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적층모듈 중 하나는, 프리프레그의 끝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와, 프리프레그를 절단할 수 있는 커팅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모듈은, 스토퍼에 의해 프리프레그의 끝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고, 스토퍼에 의한 프리프레그의 끝단부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타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팅구는, 피접합물에 일정량의 프리프레그가 적층되면 프리프레그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듈은, 피접합물에 적층된 프리프레그를 열경화시키는 발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모듈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프리프레그가 자동으로 형성되고, 회전모듈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된 프리프레그가 피접합물에 자동으로 적층되는바, 프리프레그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적층 공정을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제1 부품과 제2 부품에 대한 외부이음 및 보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피접합물에 적층된 프리프레그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휘발성 물질 등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의 외부와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의해 제1 부품 및 제2 부품 간의 외부 이음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에 의해 프리프레그 제조 및 피접합물에 대한 프리프레그 적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프리프레그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적층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관 형태를 이루도록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인접한 끝단부인 피접합물의 외측을 둘러싸며, 피접합물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리프레그가 외측에 감기도록 하거나 감겨진 프리프레그가 풀리도록 하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과의 사이에 제조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모듈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정모듈; 상기 회전모듈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회전모듈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모듈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를 피접합물의 외측에 적층할 수 있는 적층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의 외부에는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가 마련되고, 상기 제조공간에는 일정 높이까지 결합제 용액이 수용되어, 상기 회전모듈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강화섬유가 풀리면서 제조공간 내의 결합제 용액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가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기는 한편, 상기 프리프레그가 일정량 형성되어 회전모듈에 감긴 후, 상기 회전모듈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듈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가 풀리면서 적층모듈에 의해 피접합물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100), 고정모듈(200) 및 적층모듈(300)을 포함하며, 프리프레그(10)의 제조와 제조된 프리프레그(10)를 이용한 피접합물(3)의 접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피접합물(3)은, 관 형태를 이루도록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의 인접한 끝단부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은 배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 각각의 끝단부가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 내측에서 인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조된 프리프레그(10)를 이용하여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 간을 외부 이음할 수 있다. 이때,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를 통한 프리프레그(10)의 제조는 피접합물(3)이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피접합물(3)이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A) 내측에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프리프레그(Prepreg,10)는, 강화섬유(Reinforced Fiber,20)에 결합제 용액(30)을 함침시킨 것으로 시트 형태를 이루며, 여기서의 강화섬유는 탄소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glass fiber),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 등일 수 있으며, 결합제 용액(30)는 에폭시수지(epoxy resin), 페놀수지(phenolic resin) 등과 같은 열경화성수지(thermosetting resin)일 수 있다.
회전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접합물(3)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피접합물(3)의 외측을 둘러싸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배치되는 피접합물(3)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끔 구성된다. 일 예로 회전모듈(100)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외측에 프리프레그(10)가 감기고,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감겨진 프리프레그(10)가 풀릴 수 있다.
그리고 회전모듈(100)에는 프리프레그(10)가 피접합물(3)이 위치한 내측을 향해 들어가기 위한 제1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투입구는 일 예로 적층모듈(300)과 인접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100)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회전모듈(1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통 형태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회전모듈(100)과의 사이에 제조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제조공간은 강화섬유(20)에 결합제 용액(30)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10)가 제조되는 공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제 용액(30)이 일정 높이까지 수용된다. 이를 위해 고정모듈(200)에는 결합제 용액(30)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강화섬유(20)는 고정모듈(200)의 외부에 롤 형태로 마련되며,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모듈(200)의 외측에 축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모듈(200)과 떨어진 외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모듈(200)에는 결합제 용액(30)이 수용된 높이보다 상측에 강화섬유(20)가 제조공간 내로 들어오기 위한 제2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1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강화섬유(20)가 풀리면서 제2 투입구를 통해 제조공간 내로 들어와 제조공간 내에 수용된 결합제 용액(30)을 지남에 따라 결합제 용액(30)이 강화섬유(20)에 함침되어 프리프레그(10)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10)는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기게 된다.
적층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모듈(100)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회전모듈(100)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모듈(100)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10)를 피접합물(3)의 외측에 적층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10)가 일정량 형성되어 회전모듈(100)에 감긴 후, 회전모듈(100)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10)가 풀리면서 제1 투입구를 통해 회전모듈(100)의 내측으로 들어가며 적층모듈(300)에 의해 피접합물(3)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적층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접합물(3) 및 피접합물(3)에 적층되는 프리프레그(10)와 맞닿으며 회전되는 적층롤러(310)와, 적층롤러(310)에 대하여 피접합물(3)의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가압스프링(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롤러(310)는 회전모듈(100)의 일방향 회전시 피접합물(3)과 맞닿으면서 회전한다. 그리고 적층롤러(310)는 회전모듈(100)의 타방향 회전시 제2 투입구를 통해 회전모듈(100)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10)가 피접합물(3)의 둘레를 따라 피접합물(3)을 감싸면서 적층되도록 하며, 이때 가압스프링(320)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한 압력으로 프리프레그(10)를 가압하므로 균일한 두께로 프리프레그(10)가 피접합물(3)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접합물(3)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회전모듈(10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적층된 프리프레그(10)가 일정한 두께를 이루도록 하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적층모듈(300)을 포함하는 경우, 그 중 하나의 적층모듈(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롤러(310)의 인접한 외측에 마련되어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330)와, 프리프레그(10)를 절단할 수 있는 커팅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모듈(100)은 스토퍼(330)에 의해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져, 제조된 프리프레그(10)가 외측에 감길 수 있다. 또한, 회전모듈(100)은 스토퍼(330)에 의한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타방향 회전이 이루어져, 스토퍼(330)에 의해 고정되었던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부터 적층롤러(310)를 통해 피접합물(3)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적층롤러(310)에 의해 프리프레그(10)가 피접합물(3)에 일정량 적층이 이루어지면, 커팅구는 스토퍼(330)와 인접한 프리프레그(10) 일 지점을 절단한다. 커팅구의 동작시 스토퍼(330)는 프리프레그(10)를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모듈(100)은, 피접합물(3)에 적층된 프리프레그(10)를 열경화시키는 발열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모듈(100)과 고정모듈(200)의 사이에는 결합제 용액(30)이 수용되는바, 발열부재는 회전모듈(100)의 내측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발열부재의 동작시 제조공간 내에 수용된 결합제 용액(30)을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열부재는, 피접합물(3)에 프리프레그(10)의 적층이 완료되면 일정 온도의 열을 일정 시간 동안 피접합물(3)을 향해 발산함으로써, 프리프레그(10)의 열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프리프레그(10)를 제조하고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의 인접한 끝단부인 피접합물(3)에 프리프레그(10)를 적층하는 예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접합물(3)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본 발명인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를 설치하고, 제조공간 내로 결합제 용액(30)을 주입하여 제조공간 내에 일정 높이만큼 결합제 용액(30)이 수용되도록 한다. 이후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20)를 풀어 제조공간(20) 내로 들어가도록 하고 강화섬유(20)의 끝단부가 결합제 용액(30)을 지나 결합제 용액(30)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10)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가 회전모듈(100)의 내측으로 들어가 스토퍼(33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모듈(10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정량의 프리프레그(10)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10)가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기도록 한다. 이후 스토퍼(330)에 의한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 고정을 해제하고 회전모듈(100)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10)가 풀리면서 적층모듈(300)에 의해 피접합물(3)에 적층되도록 한다. 피접합물(3)에 일정량의 프리프레그(10)가 적층되면 스토퍼(330)에 의해 프리프레그(10)를 고정시키고 커팅구를 동작시켜 프리프레그(10)를 절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모듈(100)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프리프레그(10)가 자동으로 형성되고, 회전모듈(100)의 타방향 회전에 따라 형성된 프리프레그(10)가 피접합물(3)에 자동으로 적층되는바, 프리프레그(10)의 제조 공정과 복합재료부품에 대한 프리프레그(10)의 적층 공정을 현장에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제1 부품(1)과 제2 부품(2)에 대한 외부이음 및 보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피접합물(3)에 적층된 프리프레그(10)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휘발성 물질 등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므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A :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1 : 제1 부품 2 : 제2 부품
3 : 피접합물
10 : 프리프레그 20 : 강화섬유
30 : 결합제 용액
100 : 회전모듈
200 : 고정모듈
300 : 적층모듈 310 : 적층롤러
320 : 가압스프링 330 : 스토퍼

Claims (5)

  1. 관 형태를 이루도록 복합재료로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품(1) 및 제2 부품(2)의 인접한 끝단부인 피접합물(3)의 외측을 둘러싸며, 피접합물(3)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됨에 따라 프리프레그(10)가 외측에 감기도록 하거나 감겨진 프리프레그(10)가 풀리도록 하는 회전모듈(100);
    상기 회전모듈(100)과의 사이에 제조공간이 형성되도록 회전모듈(100)의 외측을 둘러싸는 고정모듈(200);
    상기 회전모듈(100)의 내측으로 마련되어 회전모듈(100)과 함께 회전되면서 회전모듈(100) 내로 들어온 프리프레그(10)를 피접합물(3)의 외측에 적층할 수 있는 적층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모듈(200)의 외부에는 롤 형태를 이루는 강화섬유(20)가 마련되고,
    상기 제조공간에는 일정 높이까지 결합제 용액(30)이 수용되어,
    상기 회전모듈(1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강화섬유(20)가 풀리면서 제조공간 내의 결합제 용액(30)이 함침되어 프리프레그(10)가 형성되고 형성된 프리프레그(10)가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기는 한편,
    상기 프리프레그(10)가 일정량 형성되어 회전모듈(100)에 감긴 후, 상기 회전모듈(100)이 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모듈(100)의 외측에 감긴 프리프레그(10)가 풀리면서 적층모듈(300)에 의해 피접합물(3)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모듈(300)은, 피접합물(3) 및 피접합물(3)에 적층되는 프리프레그(10)와 맞닿으며 회전되는 적층롤러(310)와, 상기 적층롤러(310)에 대하여 피접합물(3)의 중심을 향해 탄성력을 작용하는 가압스프링(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모듈(300)은, 피접합물(3)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적층모듈(300) 중 하나는,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330)와, 프리프레그(10)를 절단할 수 있는 커팅구를 더 포함하여,
    상기 회전모듈(100)은, 스토퍼(330)에 의해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일방향 회전이 이루어지고, 스토퍼(330)에 의한 프리프레그(10)의 끝단부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타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커팅구는, 피접합물(3)에 일정량의 프리프레그(10)가 적층되면 프리프레그(10)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100)은, 피접합물(3)에 적층된 프리프레그(10)를 열경화시키는 발열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KR1020220164380A 2022-11-30 2022-11-30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Active KR10262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80A KR102620356B1 (ko) 2022-11-30 2022-11-30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4380A KR102620356B1 (ko) 2022-11-30 2022-11-30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356B1 true KR102620356B1 (ko) 2024-01-02

Family

ID=8951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4380A Active KR102620356B1 (ko) 2022-11-30 2022-11-30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3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720A (ko) * 2003-05-20 2004-12-02 (주)피앤에프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40123236A (ko) * 2013-04-12 2014-10-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빔
KR20160024612A (ko) * 2014-08-26 2016-03-07 전병섭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102354945B1 (ko) 2020-09-07 2022-02-07 주식회사 밥스씨앤아이 가요성 튜브와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복합재 다관절 중공 구조물을 성형하는 방법
KR102428539B1 (ko) 2021-11-17 2022-08-03 (주)한국몰드김제 Smc 시트와 프리프레그의 일체 성형을 이용한 차량 부품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720A (ko) * 2003-05-20 2004-12-02 (주)피앤에프 관 이음구와 그 성형 장치 및 방법
KR20140123236A (ko) * 2013-04-12 2014-10-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임팩트 빔
KR20160024612A (ko) * 2014-08-26 2016-03-07 전병섭 탄소융합복합소재 또는 합성수지와 금속재의 결합방법
KR102354945B1 (ko) 2020-09-07 2022-02-07 주식회사 밥스씨앤아이 가요성 튜브와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복합재 다관절 중공 구조물을 성형하는 방법
KR102428539B1 (ko) 2021-11-17 2022-08-03 (주)한국몰드김제 Smc 시트와 프리프레그의 일체 성형을 이용한 차량 부품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rabiyeh et al. An overview on current manufacturing technologies: Processing continuous rovings impregnated with thermoset resin
JP6966848B2 (ja) 補強材を有する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27330B2 (en) Hybrid lay-up mold
RU2665422C2 (ru) Непрерыв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о профилей с конструкцией слоистого типа с пенонаполнителями и профиль, наполненный жесткой пеной
US20110123343A1 (en) Wind turbine blade and methods, apparatus and materials for fabrication in the field
KR19980701706A (ko) 허니콤 코어 복합물 제품 제조 방법
WO2008147393A1 (en) Fiber reinforced composite cores and panels
JP2023554129A (ja) ロータセイル
WO2018199032A1 (ja) 構造物へのfrp材の接着構造および接着方法
KR102620356B1 (ko) 복합재료부품 접합 장치
EP3290181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a composite structure
WO2012136660A2 (en) Method for producing and connecting fibre-reinforced components and aircraft or spacecraft
RU250707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рехслойного полимер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тспкм)
CN105465141A (zh) 一种风力发电机叶片用拉挤预埋叶根连接件及其制备方法
US20130213562A1 (en) Continuous onsite-manufactured pipe
CN104806871A (zh) 玄武岩连续纤维缠绕增强竹材-木材复合管材
RU2507352C1 (ru) Панель среднего слоя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EP0390535B1 (en) Method of making a rigid structure
KR101782049B1 (ko) 유리섬유 복합 재료 파이프의 접합 방법, 구조 및 유리섬유 복합 재료 구조체의 접합 방법
EP3737653B1 (en) Fiber reinforced materials with improved fatigue performance
KR102507820B1 (ko) 다층 섬유강화 수지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성형품
US20040209027A1 (en) Slip collar
CS209261B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wound sandwich structures and apparatus for its execution
Reddy et al. Overview of Manufacturing PMC’s
US20250020258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hollow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