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20049B1 - 레이스웨이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049B1
KR102620049B1 KR1020210068626A KR20210068626A KR102620049B1 KR 102620049 B1 KR102620049 B1 KR 102620049B1 KR 1020210068626 A KR1020210068626 A KR 1020210068626A KR 20210068626 A KR20210068626 A KR 20210068626A KR 102620049 B1 KR102620049 B1 KR 10262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eparator
raceway
coupl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413A (ko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김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국 filed Critical 김동국
Priority to KR1020210068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0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0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1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배선채널을 구획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세퍼레이터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배선계획이 수월하고 배선계획이 변경되더라도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레이스웨이에 대한 것이다. 상기 레이스웨이는 내면에 세퍼레이터 장착부가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전선 또는 케이블 또는 전선과 케이블의 배선채널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레이스웨이{Raceway}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raceway)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등과 연결되는 전선이나 케이블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사용되는 레이스웨이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스웨이는 일종의 배선용 덕트로서 넓은 실내공간이나 대형 건물의 주차장 또는 기계실 등의 천장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그 하부에 조명기구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레이스웨이의 종래기술로는 레이스웨이의 내부공간을 배선되는 전선 등의 종류에 상관없이 같이 모두 같이 배선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분하지 않은 것도 있고, 강전선과 약전선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전선이나 케이블을 상호 간섭 없이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레이스웨이 내부에 격벽을 형성한 것도 있다.
전자의 것으로는 공개번호 20-2009-0002456호(고안의 명칭: 레이스웨이와 등기구의 결합구조, 고안자: 고재완 외 1)의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고, 후자의 것으로는 등록번호 10-1522389호(발명의 명칭: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발명자 장보영)의 등록특허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레이스웨이에 대해 첨부된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스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내부공간에 세퍼레이터를 형성한 레이스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10)는 바닥부(11)와 바닥부(1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양측 벽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닥부(11)에는 전선 등을 하부로 인출하여 조명기구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전선 등을 인출할 필요가 없고 전선 등의 배선 경로만 제공하기 위한 레이스웨이(10)의 바닥부(11)에는 구멍(12)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양측 벽부(13)에는 십자형 연결부재 등의 다른 부재에 결합하거나 행거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측면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스웨이(10)는 전 길이에 걸쳐 같은 단면모양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압출로 만들어진다.
위와 같은 레이스웨이(10)들 중 각종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수용할 필요가 있는 곳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양측 벽부(13)와 평행하게 설치된 세퍼레이터(15)를 형성한 레이스웨이(10)를 사용하고, 각종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서로 구분하여 수용할 필요가 없는 곳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퍼레이터를 형성하지 않은 레이스웨이(10)를 사용한다.
즉, 종래에는 배선되는 케이블이나 전선을 구분해서 배선해야할 필요의 유무에 따라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레이스웨이(10)들 중 한 종류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한다.
또한, 대형 지하주차장 등에서 도 1에 나타낸 것과 도 2에 나타낸 것을 모두 사용되는 곳이라면 양자의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해서 각각 필요한 만큼 준비를 해야 하는 데, 수요 예측이 잘못되거나 배선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 남는 것은 반납하거나 폐기해야 하고 모자라는 것을 다시 준비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필요한 레이스웨이(10)가 제때 공급되지 못해서 공사 지연에 등에 따른 손해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내부공간에 세퍼레이터(15) 유무에 따라 레이스웨이(10) 전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레이스웨이(10) 전체를 별도로 제작하기 위한 금형을 별도로 필요하고 제작 단가도 비싸다.
또한,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이스웨이(10)를 이용하여 배선작업을 할 때, 세퍼레이터(15)가 필요한 구간과 필요하지 않은 구간의 길이가 이미 만들어진 레이스웨이(10)의 길이와 맞지 않는 경우, 레이스웨이(10) 전체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고 두 종류의 레이스웨이(10)를 서로 연결해야하는 작업을 추가로 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케이블이나 전선 등을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수용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하게 배선공사 계획을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이스웨이에 대한 수요 예측이 잘못되거나 배선 계획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공사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가 있는 레이스웨이와 세퍼레이터가 없는 레이스웨이를 각각 제작하기 위한 크기가 두 종류의 큰 금형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 없이 두 종류 중 한 종류의 금형은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어서 금형의 제작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퍼레이터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퍼레이터의 탈착도 쉬운 레이스웨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는 내면에 세퍼레이터 장착부가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전선 또는 케이블 또는 전선과 케이블의 배선채널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돌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일부가 상기 제2돌기를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제2돌기를 향해 개구된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돌기는 일부가 상기 제1돌기를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제1돌기를 향해 개구된 제2결합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2결합홈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은 상기 제1결합홈보다 얕게 형성된 것이 좋다.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선채널을 분할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결합부와 상기 탈착결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선채널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때에 따라,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선채널을 분할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결합부와 상기 탈착결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선채널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탈착결합부는 상기 구획부에서 상기 제1결합홈을 향해 꺾여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돌출부와 상기 구획부에서 상기 제2결합홈을 향해 꺾여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출부는 상기 구획부에서 분기되어 상하로 형성되는 제1분기부와 상기 제1분기부에서 상기 바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를 통해 상기 구획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출부는 상기 구획부에서 분기되어 상하로 형성되고 제1분기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분기부를 통해 상기 구획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출부는 상기 제1결합돌출부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후에 상기 제2결합홈에 상기 제1결합돌출부보다 얕은 깊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스웨이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배선채널을 구획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세퍼레이터를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계획이 수월하고 배선계획이 변경되더라도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퍼레이터의 탈착이 쉬울 뿐만 아니라 세퍼레이터가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세퍼레이터가 필요한 배선채널 구간과 필요하지 않은 배선채널 구간의 길이가 이미 만들어진 레이스웨이의 길이와 맞지 않더라도 레이스웨이 전체를 절단할 필요없이 세퍼레이터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배선작업이 수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레이스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내부공간에 세퍼레이터를 형성한 레이스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의 일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 세퍼레이터가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세퍼레이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레이스웨이의 정면도,
도 6은 세퍼레이터의 정면도,
도 7은 세퍼레이터의 장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세퍼레이터가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100)는 바닥부(110)와 바닥부(110)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바닥부(110)와 함께 전선 또는 케이블 또는 전선과 케이블의 배선채널(120)을 형성하는 측벽(130)을 가진다.
바닥부(110)의 필요한 위치에는 조명기구 등에 연결하기 위한 전선이나 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측벽(130)에는 십자형 연결부재 등의 다른 부재에 연결하거나 행거를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면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측벽(130)은 바닥부(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110)의 내면에는 세퍼레이터 장착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퍼레이터 장착부(140)는 뒤에서 설명되는 세퍼레이터(150)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세퍼레이터 장착부(140)는 벽부(130)와 떨어진 위치의 바닥부(110)에 형성된 제1돌기(141)와 제2돌기(146)를 가진다. 제1돌기(141)와 제2돌기(146)는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참고하면, 제1돌기(141)는 일부가, 바람직하게, 상단의 일부가 제2돌기(146)를 향하도록 돌출된 제1걸림턱(142)을 구비하여 바닥부(110)와 함께 제2돌기(146)를 향해 개구된 제1결합홈(143)을 형성하고, 제2돌기(146)는, 바람직하게, 상단의 일부가 제1돌기(141)를 향하도록 돌출된 제2걸림턱(147)을 구비하여 바닥부(110)와 함께 제1돌기(141)를 향해 개구된 제2결합홈(148)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세퍼레이터(15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결합홈(143)은 옆으로 깊게 형성되고 제2결합홈(148)은 제1결합홈(143)보다 옆으로 얕게 형성된다.
세퍼레이터(150)는 필요에 따라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선채널(120)을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탈착결합부(151)와 탈착결합부(151)에 일체로 형성되고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채널(120)을 제1채널(121)과 제2채널(123)로 구획하는 구획부(15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구획부(156)는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의 위치, 제1채널(121) 또는 제2채널(123)의 필요한 크기 등에 따라 탈착결합부(151)에서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경사부(157)를 가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탈착결합부(151)는 구획부(156)에서 제1결합홈(143)을 향해 꺾여 제1결합홈(143)에 결합될 수 있는 제1결합돌출부(152)와 구획부(156)에서 제2결합홈(148)을 향해 꺾여 제2결합홈(148)에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돌출부(155)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제1결합돌출부(152)는,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획부(156)에서 분기되어 상하로 형성되는 제1분기부(153)와 제1분기부(153)에서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행부(153a)를 통해 구획부(156)에 연결되어 제1결합홈(143)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결합돌출부(155)는 구획부(156)에서 분기되어 상하로 형성되고 제1분기부(153)와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분기부(154)를 통해 구획부(156)에 연결되어 제2결합홈(148)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결합돌출부(155)를 제2결합홈(148)에 결합할 때, 제1분기부(153)와 제2분기부(154)가 함께 탄성변형을 할 수 있으므로 탈착결합부(151)를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 쉽게 장착 및 분해할 수 있고, 탄성을 가지므로 결합 후의 결합상태도 견고하다.
위와 같은 구성의 레이스웨이(100)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결합돌출부(152)를 제1결합홈(143)에 삽입한 상태에서, 세퍼레이터(15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1분기부(153)와 제2분기부(154)가 함께 탄성변형하면서 제2결합돌출부(155)가 제2결합홈(148)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제2결합돌출부(155)는 제1결합돌출부(152)가 제1결합홈(143)에 결합된 후에 제2결합홈(148)에 결합되며, 제1결합돌출부(152)가 결합되는 깊이보다 얕은 깊이로 제2결합홈(148)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도 4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채널(120)을 제1채널(121)과 제2채널(123)로 구획할 수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세퍼레이터(150)를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구획부(156)를 제1돌기(141) 쪽으로 밀면 세퍼레이터(150)가 회전함과 아울러 제1분기부(153)와 제2분기부(154)가 함께 탄성변형하면서 제2결합돌출부(155)가 제2결합홈(148)에서 이탈된다. 그 다음에 제1결합돌출부(152)를 제1결합홈(143)에서 이탈시키면 세퍼레이터(150)를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100)를 이용하여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 일정 구간까지만 전선이나 케이블을 구분하여 배선할 필요가 있는 구간에는 세퍼레이터(150)를 장착하고, 구분 배선이 필요치 않는 구간에는 세퍼레이터(150)를 결합하지 않고 배선 작업을 할 수 있어 배선작업이 수월하고, 배선작업 계획을 세우기가 용이하고, 배선작업 계획의 변경에도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레이스웨이를 이용하는 경우, 세퍼레이터가 있는 레이스웨이 또는 없는 레이스웨이 전체를 절단한 후 서로 연결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레이스웨이(100)를 이용하는 경우, 세퍼레이터 장착부(140)에 세퍼레이터(150)를 장착하거나 분리하면 되고, 세퍼레이터(150)가 설치되어야 할 구간이 기 만들어진 세퍼레이터(150)의 길이와 맞지 않는 경우에도 세퍼레이터(150)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장착하면 되므로 배선 작업이 매우 수월하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배선작업에 사용되는 레이스웨이를 만드는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0: 레이스웨이 110: 바닥
112: 구멍 120: 배선채널
121: 제1채널 123: 제2채널
130: 측벽 132: 측면홈
140: 세퍼레이터 장착부 141: 제1돌기
142: 제1걸림턱 143: 제1결합홈
146: 제2돌기 147: 제2걸림턱
148: 제2결합홈 150: 세퍼레이터
151: 탈착결합부 152: 제1결합돌출부
153: 제1분기부 153a: 평행부
154: 제2분기부 155: 제2결합돌출부
156: 구획부 157: 경사부

Claims (6)

  1. 내면에 세퍼레이터 장착부가 형성된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전선 또는 케이블 또는 전선과 케이블의 배선채널을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는 레이스웨이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2돌기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돌기는 일부가 상기 제2돌기를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제2돌기를 향해 개구된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돌기는 일부가 상기 제1돌기를 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와 함께 상기 제1돌기를 향해 개구된 제2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세퍼레이터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선채널을 분할하는 세퍼레이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는 상기 배선채널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부는 제1분기부와 제2분기부로 분기되고, 상기 제1분기부는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2분기부는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결합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2결합홈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돌출부는 상기 제1결합돌출부가 상기 제1결합홈에 결합된 후에 상기 제2결합홈에 상기 제1결합돌출부보다 얕은 깊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KR1020210068626A 2021-05-27 2021-05-27 레이스웨이 Active KR10262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26A KR102620049B1 (ko) 2021-05-27 2021-05-27 레이스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626A KR102620049B1 (ko) 2021-05-27 2021-05-27 레이스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3A KR20220160413A (ko) 2022-12-06
KR102620049B1 true KR102620049B1 (ko) 2024-01-02

Family

ID=8440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626A Active KR102620049B1 (ko) 2021-05-27 2021-05-27 레이스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0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195B1 (ko) * 2017-04-13 2018-11-28 린노알미늄 주식회사 간편조립형 배선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413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3510B2 (en) Downward facing receptacle assembly for cable raceway
US9413149B1 (en) Electrical box voltage divider
US7351910B1 (en) Electrical box assembly
US5792992A (en) Expandable surface raceway for wiring
CA2660932C (en) Grid system for supporting a suspended ceiling and ceiling mounted equipment
US8183471B2 (en) Cable raceway
US9670674B2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6722918B2 (en) Rail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11261601B2 (en) Cross runner connector and cross runner connector arrangement for a suspended ceiling system
KR102620049B1 (ko) 레이스웨이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CN204179586U (zh) 阴角装饰线槽
US6865851B2 (en) Modular floor panels with enclosed wireway channels
CN104197284B (zh) 组合型的装饰灯槽型材
JP4155103B2 (ja) 配線の保護構造
CA2837410A1 (en) Clip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CN204100159U (zh) 组合型的装饰灯槽型材
US8998469B1 (en) Lighted ceramic tile assembly
CN204438015U (zh) 组合型的装饰灯槽型材
US10020644B1 (en) Movable raceway
EP2458104A1 (en) Combination of a number of building blocks each having a recess
GB2502544A (en) Securing a cable to ducting cable ring or module
JP3887793B2 (ja) ケーブルラック
CN215331222U (zh) 走线灯光地脚线
US9562627B2 (en) Luminaire and improved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