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7530B1 -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 Google Patents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530B1
KR102617530B1 KR1020210051732A KR20210051732A KR102617530B1 KR 102617530 B1 KR102617530 B1 KR 102617530B1 KR 1020210051732 A KR1020210051732 A KR 1020210051732A KR 20210051732 A KR20210051732 A KR 20210051732A KR 102617530 B1 KR102617530 B1 KR 10261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5089A (en
Inventor
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일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일선시스템
Priority to KR1020210051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530B1/en
Publication of KR2022014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0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53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소화용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인근의 화기 또는 열에 노출되면 상기 소화용 물질을 자동 분출시키는 소화용 튜브 용기, 및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부양하여 배치되는 상태 표시자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품질 확인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소화용 물질이 화재시 정상작동 되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지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소화용 튜브 용기의 품질을 판독하기 더욱 수월하고 화재 시 소화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including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formed inside with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and automatically ejecting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when exposed to a nearby fire or heat, and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t includes a quality confirmation unit that visually displays the amount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a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to visually check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contains a sufficient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for normal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making it easier to read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 the event of a fire.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본 발명은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설치 전 또는 설치 후 점검 시에 품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echnology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echnology that allows visual quality confirmation to easily check whether the quality is normal or abnormal when inspecting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efore or after installation. It's about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일반적으로 자동소화장치는 화재가 일어날만한 시설이나 기계장치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소화약제가 화재부위에 살포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In general,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close to a facility or machine where a fire may occur, and is a device that detects a fire when it occurs and sprays a fire extinguishing agent on the fire area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그러나 종래의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이를 통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소화장치가 전자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작동으로 인한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고, 항시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는 점과 유지관리가 지속적으로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have problems in use due to malfunction because sensors for detecting fire and fire extinguishing devices that operate through sensors are electronic, and power must be supplied at all times and maintenance is required continuously.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resolved.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전원 방식의 자동소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무전원 방식의 자동소화장치는 화재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가 사용되지 않고 용기 내부에 소화약제를 채워넣은 다음 밀폐시킨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화재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 용기가 손상되면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자체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Recently, non-power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have been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The non-power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does not use a separate sensor to detect fire, but is simple in that the container is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agent and then sealed. When a fire occurs, the container is damaged by high temperature and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filled inside is destroyed. It has a self-discharging structure.

그러나 무전원 방식의 자동소화장치는 용기자체의 밀폐력 저하로 화재가 일어나지 않은 평상시에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용기 표면에 미세한 손상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화약제가 서서히 배출되어 화재시에 사용불능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non-power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the extinguishing agen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normal times when a fire does not occur due to a decrease in the sealing ability of the container itself, or the extinguishing agent is slowly discharged due to minor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due to external physical sho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becomes unusable in the event of a fire.

또한, 소화장치의 내부에서 소화물질이 굳어서 고체화되거나 기화되어 증발하게 되면 이를 확인할 수단이 없어서 소화장치가 화재 시, 작동이 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만져보거나 흔들어 보는 등의 수작업을 통해 확인해야 했다.In addition, if the extinguishing material solidifies or vaporizes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evaporates, there is no way to check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working in the event of a fire, so the user must manually touch or shake it. I had to check.

이에 소화장치의 설치 전후로 용기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점검할 수 있는 소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can easily inspec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ith the naked eye before and after installing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한국등록특허 제10-0773517(2007.10.30)호Korean Patent No. 10-0773517 (2007.10.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설치 전 또는 설치 후 점검 시에 품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that can easily visually check whether the quality is normal or abnormal when inspecting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efore or after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불량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교체 설치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작동 불량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llows for defects to be checked in advance, and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damage due to malfunction in the event of a fir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화용 튜브 용기 내부에 소화용 물질 표면에 부양하여 배치되는 상태 표시자를 통해 용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의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ate of the container through a status indicator place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increasing reliability. We aim to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allows visual quality confirmation.

실시예들 중에서,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내부에 소화용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인근의 화기 또는 열에 노출되면 상기 소화용 물질을 자동 분출시키는 소화용 튜브 용기, 및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부양하여 배치되는 상태 표시자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품질 확인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at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and automatically ejects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when exposed to a nearby fire or heat, and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t includes a quality confirmation unit that visually displays the amount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a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이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마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has a certain length and is made in the shape of a tube, and includes a container body forming a space inside filled with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and a finishing member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container body. It can be included.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는 상기 인근의 화기가 용기 외표면으로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인근의 열이 상기 용기 외표면으로 간접 전달되는 경우 상기 용기 외표면의 특정 영역에서 생성되는 파열공을 통해 상기 소화용 물질을 분출시킬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used for extinguishing the fire through a rupture hole cre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nearby fire is directly transfer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heat nearby is indirectly transfer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terials can be ejected.

상기 품질 확인부는 상기 소화용 물질 보다 비중이 낮은 상기 상태 표시자를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외표면의 특정 위치에 품질 기준선을 표시하여 상기 품질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태 표시자의 부양 위치로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에 있는 상기 소화용 물질의 양을 표시할 수 있다.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is provided with the status indicator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displays a quality baseline at a specific loca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ased on the quality baseline.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can indicate the amount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 th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상기 품질 확인부는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떠 있는 상기 상태 표시자의 위치가 상기 품질 기준선 보다 높으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가 화재시 정상작동 되기 충분한 양의 소화용 물질을 갖는 사용가능상태로 확인하고, 상기 상태 표시자의 위치가 상기 품질 기준선 보다 낮으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가 화재시 정상작동 되기 부족한 양의 소화용 물질을 갖는 사용불가능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The quality checker determines that if the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whi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provided in a sufficient amount for normal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It can be confirmed to be in a usable state with extinguishing materials, and if the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is lower than the quality baselin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can be confirmed to be in an unusable state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s to operate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

상기 상태 표시자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형광물질로 도포될 수 있다.The status indicator may be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실시예들 중에서,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인근의 화재 발생 전조 증상을 감지하는 화재 사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mong embodiment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penetrated into the interior from one 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n real time through the pressure sensor to determine the vicin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pre-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precursor symptoms of a fire.

실시예들 중에서,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화재 사전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화재 사전 감지부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수집하면서 화재 예방 및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모니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mong embodiment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is connected to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by wire or wirelessly to collect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to prevent fire. It may further include a fire monitor unit that generates monitoring information for prevention and detectio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설치 전 또는 설치 후 점검 시에 품질의 정상 또는 이상 여부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quality is normal or abnormal when inspecting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efore or after instal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불량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교체 설치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작동 불량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sually displays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llows it to be checked in advance for defects and can be replaced, thereby reducing damage due to malfunction in the event of a fi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는 소화용 튜브 용기 내부에 소화용 물질 표면에 부양하여 배치되는 상태 표시자를 통해 용기의 상태를 표시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의 품질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a status indicator place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o prevent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by preventing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소화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의 시각적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 FIG. 2.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visual display state of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examples described in the text. In other word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that can realize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s, s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Meanwhile,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neighboring"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refer to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them. It is intended to specify the existence of a combina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For each step, identification codes (e.g., a, b, c, etc.)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s do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specified, events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dditionally,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be distributed across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xtinguishing system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시스템(100)은 소화 장치(110), 소화 방재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사용자 단말(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100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a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a database 150, and a user terminal 170.

소화 장치(110)는 화재를 지연시키고 화재 발생시 소화용 물질을 분출하여 화재 진압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소화용 물질을 포함하는 소화용 튜브 용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화 장치(110)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작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압을 모니터링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설치된 공간의 화재 발생 상황을 검출하여 긴급 상황에 관한 알림을 외부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화 장치(110)는 소화 방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소화 장치(110)들은 소화 방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may correspond to a device that delays a fire and performs a fire suppression operation by ejecting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when a fire occurs, and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containing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that is difficult for people to access or in a small space wher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can monitor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y monito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can detect a fire occurrence situation in the installed space and provide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to an external system. To this e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fire extinguishing device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한편, 소화 장치(110)는 산업 현장의 전기 PNL 및 전자기기 PNL 내부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 있고,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특정 온도(예를 들어, 70도)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소화용 물질을 분출하는 소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소화 장치(110)는 소화 감시 장치(130)와 시스템 연동하여 화재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고 화재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설비운전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inside the electrical PNL and electronic device PNL at industrial sites, and automatically extinguishes fi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ed space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for example, 70 degrees) or higher. It can provide a fire extinguishing action that ejects the material.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is linked to the fire monitoring device 130 to detect fire risks in advance an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measures to prevent fire occurrence,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electrical facilities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facility operation. You can contribute.

소화 장치(110)는 폐소공간에 설치하기 전 또는 설치 후 주기적으로 화재에 대해 정상작동 가능한 상태인지 품질의 점검이 필요하다. 특히, 소화용 튜브 용기 자체의 밀폐력 저하 또는 용기 표면의 손상으로 소화용 물질이 누출되거나 장시간동안 사용되지 않아 내부에 충진된 소화용 물질이 굳어서 덩어리지거나 기화되어 충진량이 감소하면 소화용 튜브 용기는 화재시에 사용불능상태가 되기 때문에, 평상시에 품질 확인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소화용 튜브 용기의 품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needs to be checked periodically before or after installation in a closed space to ensure that it is in a state of normal operation against fire. In particular, i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leaks due to a decrease in the sealing power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tself or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or i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filled inside hardens, clumps, or evaporates and the filling amount decreases due to not being used for a long tim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may catch fire. Since it becomes unusable when used, regular quality check is necessary. To this end,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visually displays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소화 방재 장치(130)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위험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고, 화재 예방 조치가 수행되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소화 방재 장치(130)는 소화 장치(110)와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소화 장치(11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is a computer or It can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can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can exchange data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소화 방재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소화 방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소화 감시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화 방재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may store information regarding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database 150. Meanwhile, unlike FIG. 1, the fire extinguishing monitoring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database 150 therein. Additionally,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memory, user input/output unit, and network input/output uni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데이터베이스(150)는 소화 방재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각 소화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모니터링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소화 방재를 위한 시설, 장비 및 인력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화 방재 장치(130)가 소화 장치(110)와 연동하여 화재 감시, 진단, 방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eded in the fire-fighting and disaster prevention process. The database 150 may store moni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facilities, equipment, and personnel for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can be stored in the process of providing fire monitoring, diagnosis, and disaster prevention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사용자 단말(170)은 화재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70)은 소화 방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70)들은 소화 방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7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hecking fire-related inform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phone, laptop, or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variety of devices such as a tablet PC. . The user terminal 17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7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at the same time.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70)을 통해 특정 시설이나 전기설비와 연관된 소화 방재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소화 방재와 연관된 감시 정보를 확인하여 건물 또는 시설 관리자에게 화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can check fire-fighting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specific facility or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70, and check moni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fire-fighting disaster prevention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fire to the building or facility manag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 소화용 물질(220), 화재 사전 감지부(230), 연결선(240) 및 품질 확인부(2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a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30, a connection line 240, and a quality confirmation unit 250. ) and consists of.

소화용 튜브 용기(210)는 내부에 소화용 물질(220)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인근의 화기 또는 열에 노출되면 소화용 물질(220)을 자동 분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소화용 튜브 용기(210)는 용기본체(211)와 용기본체(211)의 양단 개구를 밀봉하는 마감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formed to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therein and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eject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when exposed to nearby fire or heat. In one embodimen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may include a container body 211 and a closing member 213 that seals openings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211.

용기본체(211)는 원통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용기본체(211)의 수용공간에는 소화용 물질(220)이 채워진다. 용기본체(211)의 양단부에는 용기본체(211)가 밀봉구조를 갖도록 마감부재(213)가 각각 설치된다.The container body 211 is ma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receiving space is formed there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11 is filled with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Closing members 213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211 so that the container body 211 has a sealing structure.

용기본체(211)는 플라스틱 계열의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재발생시 특정 고온(110℃∼130℃ 이상의 온도)에서 파열이 이루어져 수용공간에 채워진 소화용 물질(22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The container body 211 may be made of a plastic-based polymer, and in the event of a fire, it ruptures at a certain high temperature (temperature above 110°C to 130°C)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discharged. It is one composition.

용기본체(211)는 튜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틱이나 호스 등 설치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211)는 대략 1∼2㎜ 두께로 얇게 구성하여 화재발생시 열에 의해 빠르게 파열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ainer body 211 may be in the form of a tub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of various shapes and length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such as a stick or hose.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211 is constructed to be thin, approximately 1 to 2 mm thick, so that it can be quickly ruptured by heat in the event of a fire.

마감부재(213)는 용기본체(211)의 개방된 양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개방부위를 밀폐하는 밀봉캡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감부재(213)는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211)의 양단부를 열성형하여 용기본체(211)의 일부분으로 개방부위를 자체적으로 밀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열성형은 별도의 성형장치를 통해 용기본체(211)가 변형가능한 온도조건에서 중앙으로 오므려 일정 형태로 성형이 이루어지고 닫혀진 중앙부분은 용융과정을 거쳐 매끄럽게 다듬게 된다. 마감부재(213)에는 화재 사전 감지부(230)가 설치되게 된다. The finishing member 213 may be configured as a sealing cap that is fitted into both open ends of the container body 211 and seals the open portion. The closing member 213 may be configured to self-seal the open portion as a part of the container body 211 by thermoforming both ends of the open container body 211. Here, thermoforming is performed by shrinking the container body 211 to the center under deformable temperature conditions through a separate molding device to form a certain shape, and the closed central portion is smoothed through a melting process. A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30 is installed in the finishing member 213.

소화용 물질(220)은 액상으로 이루어져 용기본체(211)의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적은 양으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론 가스, 질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계 또는 할로겐 화합물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경에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설치된 전기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청정 소화약재를 사용할 수 있다. 소화용 물질(220)은 특성상 일반적인 물보다 낮은 비점을 갖고 있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강한 압력으로 팽창하게 된다. 여기에서,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압을 측정하여 화재 발생의 전조 증상으로 외기온도의 상승을 추정할 수 있고 화재 발생에 대해 예지할 수 있다.The extinguishing material 220 is made of liquid and is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11. It may be composed of an inert gas such as halon gas, nitrogen, or carbon dioxide or a halogen compound so that fire can be extinguished even in a small amount.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clean fire extinguishing agents that do not harm the environment and do not affect installed electrical equipment can be used.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has a lower boiling point than general water due to its nature, and expands with strong pressure as the temperature rises. Here,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can estimate the increase in external temperature as a precursor symptom of fire occurrence and predict the occurrence of fire.

화재 사전 감지부(230)는 용기본체(211)의 일측에 설치된 마감부재(213)에 결합되어 용기본체(211)의 인근 화재 전조 증상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화재 사전 감지부(230)는 용기본체(211)의 내압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사전 감지부(230)는 커넥터 방식으로 마감부재(213)와 체결될 수 있고 내압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가 용기본체(211) 내부의 소화용 물질(220) 수용공간으로 연결되도록 마감부재(213)에 관통 결합된다. 여기에서, 압력 센서는 용기본체(211)의 인근 외기온도의 상승에 따른 화재 전조 증상을 예지할 수 있도록 온도와 비례관계에 있는 용기본체(211)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는 수단이 된다.The fire pre-detection unit 230 is coupled to the finishing member 213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11 and is configured to detect signs of fire in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body 211.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3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that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211.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30 can be connected to the finishing member 213 in a connector manner, and the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internal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space containing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inside the container body 211. ) is penetratingly coupled to. Here, the pressure sensor serves as a means of detec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ontainer body 211 in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emperature so as to predict fire warning symptoms due to an increas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near the container body 211.

화재 사전 감지부(230)에는 연결선(240)이 인출되어 화재 모니터부와 연결될 수 있다. 화재 사전 감지부(230)는 연결선(240)을 통해 화재 모니터부와 통신을 할 수 있고 측정된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압을 포함한 화재 전조 증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 connection line 240 may be drawn out from the fire advance detection unit 230 and connected to the fire monitor unit.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fire monitor unit through the connection line 240 and transmit fire precursor symptom information including the measured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품질 확인부(25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정상작동 가능한 품질 상태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품질 확인부(25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를 설치하기 전에 또는 배전반 등 소화 대상에 설치한 후 점검시에 분리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품질 확인부(25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 상태 표시자(251)를 구비하고 상태 표시자(251)의 부양을 통해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태 표시자(251)는 소화용 물질(220) 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태 표시자(251)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태 표시자(251)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 충진된 소화용 물질(220)의 표면에 부양되며 배치된다. 상태 표시자(251)는 표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태 표시자(251)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를 길이방향으로 세우면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서 상부로 승강하여 소화용 물질(220)의 표면에 떠있게 되어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 있는 소화용 물질(220)의 충진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250 can visually display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so that it can be easily confirmed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in a quality state capable of normal operation. In one embodiment, the quality check unit 250 is separated during inspection before installing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or after installing it on a fire extinguishing object such as a switchbo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Visually displays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so that you can check. 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250 is provided with a status indicator 251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visually displays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by floating the status indicator 251. . Here, the status indicator 251 may be composed of a buoyant body with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For example, the status indicator 251 may be made of a sponge material. The status indicator 251 is provided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is suspended and disposed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filled i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The status indicator 251 can be easily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by applying a fluorescent material to its surface. The status indicator 251 is rais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whe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thereby floating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The filling state of the extinguishing material 220 inside the 210) is visually displayed.

품질 확인부(25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외표면에 품질 기준선(253)을 표시하고 품질 기준선(253)을 기준으로 하여 상태 표시자(251)의 부양 위치가 품질 기준선(253) 보다 높으면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화재시 정상작동이 되는 사용가능상태를 의미하고 품질 기준선(253) 보다 낮으면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화재시 정상작동이 되지 않은 사용불능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품질 확인부(250)를 통해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정상상태인지 또는 불량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품질 확인부(25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에 들어있는 소화용 물질(220)의 양을 표시할 수 있고 용기 품질 저하로 소화용 물질(220)이 누출되어 화재 소화에 필요한 양 이하로 떨어지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250 displays a quality baseline 253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251 is based on the quality baseline 253. If it is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253), it mean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in a usable state in which it operates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and if it is lower than the quality standard (253), it mean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in an unusable state in which it does not operate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can do. The user can easily visually check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in a normal or defective state through 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250. That is, the quality check unit 250 can display the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the amount required to extinguish a fire due to leakag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due to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container. It can display a state that falls below.

도 3은 도 1에 있는 소화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 FIG. 1.

도 3을 참조하면,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 화재 사전 감지부(330), 품질 확인부(350) 및 화재 모니터부(3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a quality confirmation unit 350, and a fire monitor unit 370.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내부에 소화용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인근의 화기 또는 열에 노출되면 소화용 물질을 자동 분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인근의 화기 또는 열이 증가하는 경우 자동 분출을 위한 파열공이 생성될 수 있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로 구현되어 인근의 화기 또는 열이 70도 이상 증가하는 경우 일측면이 파열될 수 있고, 내압에 의해 내부에 포함된 물질을 용기 외부로 분출시킬 수 있다.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formed to contain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herein and can automatically eject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when exposed to nearby fire or heat. To this end,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create a rupture hole for automatic ejection when a nearby fire or heat increases.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made of a plastic-based material, so when nearby fire or heat increases by more than 70 degrees, one side may rupture, and the material contained inside may be push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due to internal pressure. It can be ejected with

한편,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재질의 특성상 협소한 공간에도 쉽게 적용 가능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상 및 길이로의 변경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건물의 분전반 등과 같이 화재 발생 위험도가 높은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공간의 구조에 따라 특정 부분을 절곡시킨 후 설치될 수 있다.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분전반 등의 전기설비함의 랙(철제프레임)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can be easily applied even in narrow space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can be basically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can be easily changed to various shapes and lengths.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be installed in a space with a high risk of fire occurrence, such as a distribution panel in a building, and may be installed after bending a specific part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spac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can be fixedly installed on a rack (steel frame) of an electrical equipment box such as a distribution board.

일 실시예에서,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화재 발생시 특정 영역에서의 파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해당 특정 영역의 재질을 다른 영역과 다르게 적용시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중간 지점에서의 파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중간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더 얇게 구성될 수 있고 전체 길이의 1/3 또는 2/3에 해당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과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파열 지점이나 파열에 따른 분출 방향을 일정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용기의 재질이나 두께를 다른 영역과 다르게 적용시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material of the specific area differently from other areas in order to induce rupture in the specific area when a fire occurs. For examp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middle region is thinner than other regions in order to induce rupture at the middle point, and the region corresponding to 1/3 or 2/3 of the total length is different from the other regions. It may be composed of a different material. In other words,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the material or thickness of the container differently from other areas in order to consistently induce the rupture point or the direction of ejection due to rupture.

일 실시예에서,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인근의 화기가 용기 외표면으로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인근의 열이 용기 외표면으로 간접 전달되는 경우 용기 외표면의 특정 영역에서 생성되는 파열공을 통해 소화용 물질을 분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화기에 직접 노출되거나 주변의 온도가 특정 온도 이상 올라가는 경우 자동으로 파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영역 별로 재질의 두께를 조절하거나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파열되는 지점이나 분출되는 방향을 특정 지점이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nearby fire is transferred or indirectly through a burst hole cre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when nearby heat is transfer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Extinguishing substances may be ejected. To this end,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be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rupture when directly exposed to fire or when the surrounding temperature rises above a certain temperature. In additio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can guide the point of rupture or direction of ejection to a specific point or direction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for each region or making it of different materials.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에 연결되어 소화 장치(110) 설치 인근의 화재 전조 증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압력 센서(331)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331)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부로 연결되어 소화용 튜브 용기(3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압 정보는 인근의 외기온도 변화에 따른 소화용 튜브 용기(310) 내부의 압력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내압 정보는 화재 발생에 따른 온도 증가에 관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화재 사전 감지부(330)에 의해 측정된 내압 정보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를 추정하고 지속적인 온도 상승의 상황으로부터 화재 발생을 사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can detect signs of a fire near the install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In one embodiment,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o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includes a pressure sensor 331 for this purpose. can do. The pressure sensor 33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can measure the pressure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Here, the internal pressure information refers to the change in pressure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ccording to the change in nearby external air temperature. Accordingly, the internal pressure information may correspond to information regarding temperature increase due to fire occurrence. In other words, the internal pressur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can be used to estimate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wher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installed an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 fire in advance from a situation of continuous temperature rise.

한편,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을 측정하여 화재 전조 증상을 감지할 수 있다.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압력 센서(331)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화재 전조 증상을 요소별로 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인근 외기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불꽃감지센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사전 감지부(33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부 상태, 즉 내압과 함께 외기온도, 습도, 스파크 및 연기 발생 등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310) 인근의 화재 전조 증상의 요소가 되는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can detect fire precursor symptoms by measu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he fire advance detection unit 33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331,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various sensors to detect fire precursor symptoms for each element. For example,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that can measu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urrounding air nea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 flam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spark generation, and a smok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smoke. It may include etc. The fire pre-detection unit 330 detects the internal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hat is, the internal pressure as well as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humidity, sparks, and smoke, and provides a warning sign for a fire nea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t can play a role in acquir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becomes an element of symptoms.

품질 확인부(35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가 화재시 정상 작동이 되는 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품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품질 확인부(35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부에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부양하는 상태 표시자를 구비하고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외표면에 품질 기준선을 표시하여 품질 기준선을 기준으로 하여 상태 표시자의 부양 위치에 따라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품질 기준선은 화재시 정상적으로 소화 작동이 될 수 있는 소화용 물질의 필요양으로 결정될 수 있다.The quality confirmation unit 350 visually displays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in the event of a fire, allowing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o be easily checked. The quality check unit 350 is provided with a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displays a quality baselin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o reference the quality standard. Thus, the quality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can be confirmed according to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Here, the quality baseline can be determined as the required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normal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in the event of a fire.

화재 모니터부(370)는 화재 사전 감지부(330)가 설치된 소화용 튜브 용기(310)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재 사전 감지부(330)와 유무선 연결될 수 있다. 화재 모니터부(370)는 화재 사전 감지부(330)를 통해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상태를 수집하면서 화재 예방 및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모니터부(350)는 화재 사전 감지부(330)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화재 모니터부(3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화 방재 장치(130)와 연결될 수 있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be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n which the fire advance detection unit 330 is installe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advance detection unit 330 by wire or wirelessly.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collect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through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and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for fire prevention and detection. The fire monitor unit 35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330 to an external device. The fire monitor unit 350 may be connected to the fire extinguishing and disaster prevention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may transmit monitoring informatio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일 실시예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331)의 동작을 제어하여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용기 튜브(310)의 내압에 관해 실시간 감시하고 소화용 용기 튜브(310)의 인근에 화재 전조 증상이 감지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시스템으로의 알림은 메시지, 음성, 진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에 관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고, 모니터링 과정에서 수집된 정보에서 정상 범위 밖의 이상 신호를 검출하여 관련 정보를 외부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331 for measuring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Here, the fire monitor unit 370 monitor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container tube 310 in real time and provides notification to an external system through the network when fire precursor symptoms are detected near the fire extinguishing container tube 310. can do. At this time, notifications to the external system can be implemented and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messages, voices, and vibrations. The fire monitor unit 370 can store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n the internal memory, detects abnormal signals outside the normal range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monitoring process, and sends the relevant information to an external system. Can be transmitted.

일 실시예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용기 튜브(310)에 대한 실시간 감시를 수행하여 소화용 용기 튜브(310)의 내압 및 내압 변화율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을 측정하고 단위 시간 당 내압의 변화에 관한 내압 변화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perform real-time monitoring of the fire extinguishing vessel tube 310 and transmit monitor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internal pressure and internal pressure change rate of the fire extinguishing vessel tube 310 to an external system. Here, the fire monitor unit 370 can mea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calculate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rate related to the change in internal pressure per unit time.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이 특정 임계값 보다 커지면 화재 전조 증상으로 판단하고 해당 시점을 포함하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의 내압 변화율을 산출하여 내압 변화율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 등의 단계로 화재 위험을 구분하고 화재 위험 단계에 따른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이 특정 임계값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인근 외기온도가 상승하는 경우로 추정할 수 있고 해당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특정 시간 구간 동안에 대한 내압 변화율을 산출하여 화재 가능 외기온도의 기준 내압 범위와 비교하여 화재 위험 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 모니터부(370)는 내압 변화율이 기준 내압 범위에 속하면 화재 경고 단계, 기준 내압 범위 이상인 경우 화재 위험 단계, 기준 내압 범위 이하인 경우 화재 주의 단계로 판단할 수 있다. The fire monitor unit 370 determines that it is a fire precursor symptom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becomes greater than a certain threshold, calculates the rate of change in internal pressure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including that point, and issues a caution or warning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in internal pressure. You can classify fire risks into levels such as , risk, etc. and generate alarms according to the fire risk levels. In one embodiment,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estimate that wh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rises above a certain threshold, the outdoor temperature nea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ncreases, and The fire risk level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rate of change in internal pressure for a specific tim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point in time and comparing it to the standard internal pressure range of the outdoor temperature where fire is possible. For example,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determine a fire warning stage when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rate is within the standard internal pressure range, a fire danger level when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rate is above the standard internal pressure range, and a fire caution level when the internal pressure change rate is below the standard internal pressure range.

일 실시예에서,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 변화율에 기초하여 내압이 증가하다 급격히 감소하는 경우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파열로 판단하고 알람 발생을 통해 용기파열을 알릴 수 있다. 소화용 튜브 용기(310)가 파열된 경우 화재 발생에 따른 자동 소화 상태로 볼 수 있어 외부 시스템에서 후속 방재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e monitor unit 370 determine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has ruptured when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and then rapidly decreases based on the rate of chang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and generates an alarm. It can signal rupture. I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is ruptured, it can be viewed a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tate due to a fire, allowing subsequent disaster prevention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an external system.

한편, 소화용 튜브 용기(310)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부에 포함된 소화용 물질이 자연 배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내압 감소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화재 모니터부(370)는 소화용 튜브 용기(310)의 교체나 점검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알람을 발생시켜 관리자 또는 점검자에게 이를 사전에 알릴 수 있다. Meanwhil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naturally discharge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therein over time, and accordingly,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may decrease. At this time, the fire monitor unit 370 may generate an alarm and inform the manager or inspector in advance of the need for replacement or inspec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310.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의 시각적 표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visual display state of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소화 장치(110)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 소화용 물질(220) 보다 비중이 낮은 상태 표시자(251)를 구비하고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외표면의 특정 지점에 품질 기준선(253)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태 표시자(251)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서 상부로 승강이 가능한 부력체로, 소화용 튜브 용기(210)를 세우면 소화용 물질(220)의 표면에 떠있게 된다. 이때, 품질 기준선(253)을 기준으로 하여 상태 표시자(251)의 위치에 따라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화재시 정상작동이 되는 사용가능상태인지 또는 사용불가능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태 표시자(251)가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서 품질 기준선(253) 보다 높은 위치에 떠있으면 사용자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가 화재시 정상작동 될 수 있는 양의 소화용 물질(220)을 갖는 사용가능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상태 표시자(251)가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내부에서 품질 기준선(253) 보다 낮은 위치에 떠있으면 사용자는 소화용 튜브 용기(210)의 밀폐력 저하 또는 용기 표면의 파손에 의해 소화용 물질(220)이 외부로 배출되어 화재시 소화하기 부족한 양의 소화용 물질(220)을 갖는 사용불가능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state indicator 251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on the out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 quality baseline (253) is marked at a specific point on the surface. Here, the status indicator 251 is a buoyant body that can be lift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and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whe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erected.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251 based on the quality baseline 253,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is in a usable state that operates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or is in an unusable state. . If the status indicator 251 is floating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quality baseline 253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has an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 that can be operated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It can be confirmed to be in a usable state with (220). If the status indicator 251 is floating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quality baseline 253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the user may us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due to a decrease in the sealing forc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0 or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Since (2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in an unusable state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20) to extinguish a fi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시스템
110: 소화 장치 130: 소화 방재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사용자 단말
210, 310: 소화용 튜브 용기
211: 용기본체 213: 마감부재
220: 소화용 물질 230, 330: 화재 사전 감지부
240: 연결선 250, 350: 품질 확인부
251: 상태 표시자 253: 품질 기준선
331: 압력 센서
370: 화재 모니터부
100: Digestion system with visual quality check
110: fire extinguishing device 130: fire extinguishing disaster prevention device
150: database 170: user terminal
210, 310: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211: container body 213: finishing member
220: fire extinguishing material 230, 330: fire preliminary detection unit
240: Connection line 250, 350: Quality confirmation unit
251: Status indicator 253: Quality baseline
331: pressure sensor
370: Fire monitor unit

Claims (8)

내부에 소화용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인근의 화기 또는 열에 노출되면 상기 소화용 물질을 자동 분출시키는 소화용 튜브 용기;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부양하여 배치되는 상태 표시자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의 양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품질 확인부;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일측에서 내부로 관통 연결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압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인근의 화재 발생 전조 증상을 감지하는 화재 사전 감지부; 및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와 이격 설치되고 상기 화재 사전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어 상기 화재 사전 감지부를 통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상태를 수집하면서 화재 예방 및 감지를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화재 모니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품질 확인부는
상기 소화용 물질 보다 비중이 낮은 상기 상태 표시자를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외표면의 특정 위치에 품질 기준선을 표시하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품질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상태 표시자의 부양 위치로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에 있는 상기 소화용 물질의 양을 표시하여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가 정상상태인지 또는 불량상태인지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화재 모니터부는
상기 압력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압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여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인근 외기온도의 지속적인 상승을 추정하고 화재 전조 증상 및 소화용 튜브 용기의 파열을 예측하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내압이 특정 임계값 보다 커지면 화재 전조 증상으로 판단하고 해당 시점을 포함하는 특정 시간 구간 동안의 내압 변화율을 산출하여 내압 변화율에 따라 주의, 경고, 위험의 단계로 화재 위험을 구분하고 화재 위험 단계에 따른 알람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A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formed to contain a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and automatically ejects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when exposed to nearby fire or heat.
A quality confirmation unit that visually displays the amount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a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fire-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 fire pre-detection unit that includes a pressure sensor connected through the inside of one 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measu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n real time through the pressure sensor to detect precursor symptoms of a fire in the vicinity; and
A fire monitor unit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connected to the fire pre-detection unit by wire or wirelessly to collect the status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hrough the fire pre-detection unit and generate monitoring information for fire prevention and detection. Including,
The quality verification department
The state indicator having a lower specific gravity than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provided insid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 quality baseline is marked at a specific posi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nd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ate, the amount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displayed by the floating position of the state indicator based on the quality baseline, thereby visually providing whethe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in a normal state or a defective state,
The fire monitor unit
By analyzing whether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which is measured in real time through the pressure sensor, changes over time,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external temperature nea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estimated and fire precursor symptoms and rupt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are estimated. Predict, and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becomes greater than a certain threshold, it is judged to be a fire warning symptom, and the rate of change in internal pressure during a specific time period including that point is calculated, and the fire is divided into caution, warning, and dangerous levels according to the rate of change in internal pressur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that distinguishes hazards and generates alarms according to fire risk lev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에 상기 소화용 물질이 채워지는 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하고 상기 압력 센서가 관통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A container body having a certain length and being shaped like a tube to form a space inside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filled; and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comprising a finishing member that is fitted to both ends of the container body to seal the container body and through which the pressure sensor is penet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는
상기 인근의 화기가 용기 외표면으로 직접 전달되거나 또는 상기 인근의 열이 상기 용기 외표면으로 간접 전달되는 경우 상기 용기 외표면의 특정 영역에서 생성되는 파열공을 통해 상기 소화용 물질을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When fire in the vicinity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heat in the vicinity is indirectly transm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ejected through a rupture hole created in a specific area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확인부는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세운 상태에서 상기 소화용 물질의 표면에 떠 있는 상기 상태 표시자의 위치가 상기 품질 기준선 보다 높으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가 화재시 정상작동 되기 충분한 양의 소화용 물질을 갖는 사용가능상태로 확인하고, 상기 상태 표시자의 위치가 상기 품질 기준선 보다 낮으면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가 화재시 정상작동 되기 부족한 양의 소화용 물질을 갖는 사용불가능상태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uality verification unit
When the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higher than the quality standard when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ufficient amount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used for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to operate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Visu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rmed to be in a usable state, and if the position of the status indicator is lower than the quality baseline,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is confirmed to be in an unusable state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extinguishing material to operate normally in the event of a fir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with quality assur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표시자는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용 튜브 용기의 외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형광물질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atus indicator is
A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visual quality confi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coated with a fluorescent material so that it can be identified from the outside of the fire extinguishing tube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51732A 2021-04-21 2021-04-21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Active KR1026175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32A KR102617530B1 (en) 2021-04-21 2021-04-21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732A KR102617530B1 (en) 2021-04-21 2021-04-21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89A KR20220145089A (en) 2022-10-28
KR102617530B1 true KR102617530B1 (en) 2023-12-27

Family

ID=8383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732A Active KR102617530B1 (en) 2021-04-21 2021-04-21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53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53Y1 (en) * 2003-09-08 2003-11-19 신한전기공업주식회사 oil gauge of transformer
KR101853631B1 (en) * 2017-06-30 2018-05-02 상원엔지니어링(주)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ple monitoring and selective fire extinguish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517B1 (en) 2005-06-28 2007-11-06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A sensing and monitoring device of fire extinguishing chemical in a fire extinguisher
CN104812450B (en) * 2013-09-27 2018-06-08 日防股份有限公司 Automatic fire extinguisher
KR102157992B1 (en) * 2018-05-25 2020-10-23 파이어킴 주식회사 Fire extinguish capsule that can detect the change of state of extinguishing material and fire extinguish devic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53Y1 (en) * 2003-09-08 2003-11-19 신한전기공업주식회사 oil gauge of transformer
KR101853631B1 (en) * 2017-06-30 2018-05-02 상원엔지니어링(주)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ple monitoring and selective fire extingui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089A (en)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EP2658616B1 (en) Fire safety control system
KR101853631B1 (e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multiple monitoring and selective fire extinguish
CN110689698A (en) Community fire early warning and escape system and prompting method thereof
KR102784620B1 (en) Text Messaging Fire Monitoring System
CN218793637U (en) Wireless fire alarm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distribution box
EP3821951A1 (en) Cartridge weight monitoring
KR20160010896A (en) Smart fire-f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cultural assets and method thereof
KR20220011197A (en) Alarm valve system which is combined with test piping and test valve
KR102617530B1 (en) Eire extinguishing devices capable of visual quality monitor
KR102042585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disaster prevention
US20040231862A1 (en) Corrosion monitoring station
KR102378243B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s with fire predicting function
KR20200001166A (en) Self-sustaining fire protection system
KR20160001170U (en) Actuating unit for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comprising pressure gauge with electric contact
KR102132288B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with iot function
JP2019062961A (en) Water flow detection device
US12121764B2 (en) Fire extinguishing devices with fire predicting function
EP2994203B1 (en) Corrosion monitoring in a fire sprinkler system
CN112090009A (en) sprinkler tube
PT2448639E (en) Support for fire extinguishers
PT2774656T (en) Control system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JP6548434B2 (en) Fire extinguisher
KR2010009048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at railway vehicle
CN212569970U (en) A explosion-proof processing system for ganbaosu product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