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6182B1 -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 Google Patents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6182B1 KR102616182B1 KR1020210135161A KR20210135161A KR102616182B1 KR 102616182 B1 KR102616182 B1 KR 102616182B1 KR 1020210135161 A KR1020210135161 A KR 1020210135161A KR 20210135161 A KR20210135161 A KR 20210135161A KR 102616182 B1 KR102616182 B1 KR 1026161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horizontal
- rotating arm
- bag
- horizontal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73—Flexible receptacles fixed on a frame or in an en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며 코스트가 저렴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물류시에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접거나 분리하여 콤팩트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은 새로운 구성의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2다리(100,110); 좌우 양단부가 상기 제1, 2다리(100,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걸기 위한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가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제1힌지공(202)이 형성된 수평바아(200); 및 상기 자루(2)를 걸기 위한 제3고리(320)가 선단부에 구비되며, 기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힌지공(3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힌지공(202,302)에 체결되는 힌지핀부재(6)에 의해 수평바아(200)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결합되는 수평회동암(30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회동암(300)를 펼쳐서 상기 수평회동암(300)에 구비된 제3고리(320)와 상기 수평바아(200)에 이웃되는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를 이용하여 상기 자루(2)의 입구가 삼각형태로 벌어지게 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recycling recycling bin that is simple in construction, low in cost, and has high space utilization as it can be compactly stored and transported by folding or separating so that it does not take up a lot of space when not in use or during logistics. First and second legs (100, 110)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Both left and right e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s 100 and 110, and a first ring 220 and a second ring 222 for hanging the recycling bag 2 are provided to be spaced left and right, A horizontal bar 200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ring 220 and having a first hinge hole 202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third ring 320 for hanging the bag 2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and a second hinge hole 302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202 and 302. It includes a horizontal rotating arm (300) coupled close to the first ring (220) so as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on the horizontal bar (200) by a hinge pin member (6), wherein the horizontal rotating arm (300) ) is unfolded and the bag (2) is made using the third ring (320) provided on the horizontal rotating arm (300) and the first ring (220) and second ring (222) adjacent to the horizontal bar (200). A recycling bin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is hung in a triangular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코스트가 저렴하며 사용도 편리하고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ycling waste separation stand, which has a new configuration that is simple in construction, low cost, convenient to use, and can be stored compactly.
통상적으로 재활용품 분리수거대는 분리수거용 자루를 걸 수 있도록 고리가 구비된 사각테두리형상의 거치프레임 하단에 다리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에 복수개의 자루를 걸고, 자루 별로 재활용 쓰레기를 분리하여 담는다.Typically, recycling bins are made up of legs provided at the bottom of a rectangular frame with hooks for hanging recycling bags. Then, a plurality of bags are hung on this recycling bin, and the recyclable waste is separated into each bag.
그런데 재활용품의 종류가 많기 때문에 재활용품의 종류 별로 복수개의 자루를 걸기 위해서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재활용품 분리수거대는 운반이 어렵고 보관시 비교적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However, because there are many types of recyclables, the size of the recycling bin must be large to accommodate multiple bags for each type of recyclables. Therefore, the conventional recycling bin has the problem of being difficult to transport and taking up a relatively large space when stored.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분리수거용 자루가 걸리는 거치프레임을 상하로 회동시켜서 접을 수 있도록 된 재활용품 분리수거대가 제안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접이식 분리수거대는 거치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수단들이 요구되는 등 구성이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Meanwhile, in response to this problem, a recycling bin has been proposed that can be folded by rotating the frame on which the recycling bag hangs up and down. However, such a foldable waste bin is configured to require separate fixing means to secure the frame. It has complex drawback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며 코스트가 저렴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나 물류시에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접거나 분리하여 콤팩트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은 새로운 구성의 재활용품 분리수거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simple configuration, low cost, and to store and transport compactly by folding or separating so as not to take up a lot of space when not in use or during logistics. The goal is to provide a new type of recycling bin that allows for high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해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2다리(100,110); 좌우 양단부가 상기 제1, 2다리(100,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자루(2)를 걸기 위한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가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제1힌지공(202)이 형성된 수평바아(200); 및 상기 자루(2)를 걸기 위한 제3고리(320)가 선단부에 구비되며, 기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힌지공(3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힌지공(202,302)에 체결되는 힌지핀부재(6)에 의해 수평바아(200)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결합되는 수평회동암(30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회동암(300)를 펼쳐서 상기 수평회동암(300)에 구비된 제3고리(320)와 상기 수평바아(200)에 이웃되는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를 이용하여 상기 자루(2)의 입구가 삼각형태로 벌어지게 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recyclables, a recycling bag (2) is used by hanging, and includes first and second legs (100, 110) arranged to be spaced left and right; Both left and right e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By unfolding the horizontal rotating
삭제delete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평회동암(300)을 펼쳐서 수평회동암(300)에 구비된 제3고리(320)와 수평바아(200)에 구비된 제1, 2고리(220, 222)들을 이용하여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걸어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제1, 2다리(100,110), 수평바아(200), 수평회동암(300)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코스트도 저렴하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above configuration, unfolds the horizontal rotating
특히, 본 발명은 수평회동암(300)이 수평바아(200)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바아(20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기 때문에, 수평회동암(300)과 수평바아(200)에 자루(2)를 건 상태에서 자루(2)의 입구가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는 정도로 벌어지도록 수평회동암(300)을 적절한 각도로 펼쳐지기만 하면 되므로 수평회동암(300)의 회동을 규제하는 별도의 규제수단이 필요없다는 점에서 종래의 접이식 분리수거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플한 구성을 가진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또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평회동암(300)을 접어 두거나 또는 제1, 2다리(100,110)와 수평회동암(300)을 분리하면 한층 더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다. 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horizontal rotat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수평회동암을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bove embodimen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above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rizontal rotating arm of the above embodiment in a folded stat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는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다리(100,110)와, 좌우 양단부가 상기 제1, 2다리(100,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아(200), 기단부가 상기 수평바아(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회동암(300)을 포함한다.1 to 4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legs (100, 110), a horizontal bar (200) whose left and right e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s (100, 110), and a proximal end of which is the horizontal bar (200). It includes a horizontal rotating
상기 제1, 2다리(100,110)는 바닥에 지지되는 수평부(102,112)와, 수평부(102,112)에서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04,114)로 이루어져서,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다리(100,110)의 수평부(102,112) 및 수직부(102,112)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104,114)의 상단부에는 제1, 2다리(100,110)를 수평바아(200)에 연결시키기 위한 제1체결공(105,115)이 수평으로 관통형성된다. The first and
상기 수평바아(20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바아로 이루어져서,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걸기 위한 제1, 2고리(220, 222)가 수평바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바아(2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수평회동암(300)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하로 관통된 제1힌지공(202)이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바아(200)의 좌우 양단부에는 제1, 2다리(100,110)의 수직부(102,1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10)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이 연결부(210)를 통해 제1, 2다리(100,1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조립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아(200) 역시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10)에는 제1, 2다리(100,110)의 수직부(102,112)에 형성된 제1체결공(105,115)에 정렬되는 제2체결공(212)이 형성되어, 제1, 2체결공(105,115,212)에 체결되는 체결나사(4)에 의해 수평바아(200)와 제1, 2다리(100,110)가 상호 조립연결된다. . 미 설명부호 230은 분리수거 품목이 표시된 표시판이다.The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삭제delet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210)가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져서 제1, 2다리(100,110)의 수직부(104,114)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수평바아(200)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부(102,112)의 상단부가 연결부(210) 내부로 삽입되어 수평바아(200)와 제1, 2다리(100,110)가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한편, 상기 수평회동암(300)은 선단부에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걸기 위한 제3고리(320)가 형성되고, 기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힌지공(30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회동암(300)은 상기 제2힌지공(302)이 수평바아(200)의 제1힌지공(202)에 정렬되어 제1, 2힌지공(202,302)에 삽입되는 힌지핀부재(6)에 의해 수평바아(200)에 전후로 수평회동되도록 결합된다. 제1힌지공(202)이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위치되므로 수평회동암(300)이 수평바아(200)에 결합되면 수평회동암(300)은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위치된다. Meanwhile, the horizontal rotat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동암(300)을 전방으로 펼쳐서 수평바아(200)에 구비된 제1, 2고리(220,222)와 수평회동암(300)에 구비된 제3고리(320)를 이용하여 분리수거용 자루(2)를 거는데, 분리수거용 자루(2)의 입구가 제1, 2고리(220,222) 및 제3고리(320)에 의해 3지점에서 지지되므로 자루(2)의 입구가 삼각형을 이루도록 벌어져서, 분리수거용 자루(2)에 분리수거품을 어려움없이 투입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 unfolds the horizontal rotating
한편, 본 발명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동암(300)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접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수평바아(200)와 제1, 2다리(100,110)도 분리하여 보관하면 본 발명을 한층 더 콤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as shown in FIG. 4, the horizontal rotating
특히, 본 발명은 수평회동암(300)이 수평바아(20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수평회동되므로, 수평회동암(300)과 수평바아(200)에 자루(2)를 건 상태에서 자루(2)의 입구가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는 정도로 벌어지도록 수평회동암(300)을 적절한 각도로 펼쳐지기만 하면 되므로 수평회동암(300)의 회동을 규제하는 별도의 규제수단이 필요없다는 점에서 종래의 접이식 분리수거대들에 비해 구성이 간단한 장점을 가진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본 실시예에서는 제2고리(222) 양측에 제1고리(200)가 구비되고, 수평회동암(300)이 제1고리(200)에 근접되게 2개 구비되어 양측 수평회동암(300)에 걸리는 자루(2)가 제2고리(222)를 공유하며, 수평회동암(300) 상호 내향되게 수평회동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수평회동암(300)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In this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동암(30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즉, 하나의 수평회동암(300)이 제1, 2고리(220,222)와 하나씩 짝을 이룬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the horizontal rotating
Claims (2)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2다리(100,110);
좌우 양단부가 상기 제1, 2다리(100,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자루(2)를 걸기 위한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가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제1힌지공(202)이 형성된 수평바아(200); 및
상기 자루(2)를 걸기 위한 제3고리(320)가 선단부에 구비되며, 기단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제2힌지공(30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2힌지공(202,302)에 체결되는 힌지핀부재(6)에 의해 수평바아(200)에 전후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1고리(220)에 근접되게 결합되는 수평회동암(30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회동암(300)를 펼쳐서 상기 수평회동암(300)에 구비된 제3고리(320)와 상기 수평바아(200)에 이웃되는 제1고리(220) 및 제2고리(222)를 이용하여 상기 자루(2)의 입구가 삼각형태로 벌어지게 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
In order to separate and collect recyclables, separate collection bags (2) are used to hang,
First and second legs 100 and 110 arranged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Both left and right e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egs 100 and 110, and a first ring 220 and a second ring 222 for hanging the bag 2 are provided to be spaced left and right. A horizontal bar (200) positioned close to the first ring (220) and having a first hinge hole (202)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third ring 320 for hanging the bag 2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and a second hinge hole 302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is formed at the proximal end,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holes 202 and 302. It includes a horizontal pivoting arm (300) coupled close to the first ring (220) by a hinge pin member (6)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on the horizontal bar (200),
By unfolding the horizontal rotating arm 300, the third ring 320 provided on the horizontal rotating arm 300 and the first ring 220 and second ring 222 adjacent to the horizontal bar 200 are used. A recycling bin for recyc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of the bag (2) is hung in a triangular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161A KR102616182B1 (en) | 2021-10-12 | 2021-10-12 |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161A KR102616182B1 (en) | 2021-10-12 | 2021-10-12 |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2052A KR20230052052A (en) | 2023-04-19 |
KR102616182B1 true KR102616182B1 (en) | 2023-12-19 |
Family
ID=8614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161A Active KR102616182B1 (en) | 2021-10-12 | 2021-10-12 |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61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9415B1 (en) * | 2024-03-20 | 2024-10-18 | 우양정공주식회사 | Separating System Of Warehous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2101A (en) * | 2001-05-10 | 2002-11-22 | Iryo Hojin Kubota Shika Iin | Opening support of waste collecting sack for home dental clinical use |
KR200449024Y1 (en) * | 2008-05-16 | 2010-06-09 | 하신영 | Foldable Garbage Collection Bi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78704A (en) | 2008-01-15 | 2009-07-20 | 양선아 | Recycle Bin |
KR20100008163U (en) | 2009-02-06 | 2010-08-16 | 황종부 | Hanger for separate collection |
-
2021
- 2021-10-12 KR KR1020210135161A patent/KR1026161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2101A (en) * | 2001-05-10 | 2002-11-22 | Iryo Hojin Kubota Shika Iin | Opening support of waste collecting sack for home dental clinical use |
KR200449024Y1 (en) * | 2008-05-16 | 2010-06-09 | 하신영 | Foldable Garbage Collection B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52052A (en) | 2023-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02119B2 (en) | Popup wardrobe | |
US2340540A (en) | Collapsible costumer | |
JPH0613121Y2 (en) | Bag hanging type waste container | |
ES2955553T3 (en) | Garbage Bag Dispenser for Garbage Receptacles | |
US7878345B2 (en) | Foldable frame | |
US6823883B1 (en) | Collapsible, self-supporting, portable sun-screen apparatus | |
US4595232A (en) | Portable chair that can be folded into a compact carrying unit | |
KR102616182B1 (en) | Separate collecting stand for recyclable waste | |
CN207075686U (en) | A kind of folding trunk | |
AU2004320723A1 (en) | Foldable and self-erecting display stand and easel | |
US5718490A (en) | Assembled clothes storage closet | |
US20110174812A1 (en) | Collapsible Garbage Container | |
KR102193978B1 (en) | An extensible collection box | |
US3352390A (en) | Attache case with suspension folder device | |
KR101747047B1 (en) | Type folding shelves | |
US10881177B2 (en) | Foldable bag | |
KR20180033918A (en) | Clothing hanger for camping | |
US3552529A (en) | Foldable garment container | |
CN206131600U (en) | A egg frame subassembly and refrigerator for refrigerator | |
US20210361064A1 (en) | Collapsible Closet Assembly | |
CZ211692A3 (en) | Receptacle for refuse, clothes and the like | |
US1095814A (en) | Umbrella-stand. | |
KR200424140Y1 (en) | Recycling Garbage Collection Bin | |
US10336358B2 (en) | Shopping cart bagging station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US401264A (en) | Clothes-d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