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5568B1 -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 Google Patents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568B1
KR102615568B1 KR1020217029045A KR20217029045A KR102615568B1 KR 102615568 B1 KR102615568 B1 KR 102615568B1 KR 1020217029045 A KR1020217029045 A KR 1020217029045A KR 20217029045 A KR20217029045 A KR 20217029045A KR 102615568 B1 KR102615568 B1 KR 102615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omizer
reservoir
susceptor
clause
aeros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547A (ko
Inventor
패트릭 몰로니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25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5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aerosolisable substrate material)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50)를 한정하는 저장조 하우징(42); 및 및 저장조로부터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가 기화를 위해 전달될 수 있는 세장형 아토마이저(70)를 포함하며, 아토마이저는, 다공성을 갖고,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아토마이저는, 아토마이저의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만이, 비지지 외팔보 부분(unsupported cantilever portion)을 갖는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cantilevered arrangement)로 장착 단부에서 지지되도록 장착되어, 서셉터가 저장조 하우징의 외부 경계에 대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본 개시내용은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atomiser), 및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토마이저(cartomiser), 및 그러한 아토마이저를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화된 액체들을 통해 니코틴을 전달하는 e-시가렛들 및 다른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과 같은 많은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들은, 2개의 주요 컴포넌트들 또는 섹션들, 즉, 카트리지 또는 카토마이저 섹션 및 제어 유닛(배터리 섹션)으로 형성된다. 카토마이저는 일반적으로 액체의 저장조(reservoir) 및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한 아토마이저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들은 집합적으로 에어로졸 소스로 지칭될 수 있다. 아토마이저는 일반적으로, 저장조로부터 액체가 가열되고 기화되는 위치로 액체를 전달하기 위해 다공성 또는 위킹(wicking) 및 가열의 기능들을 결합한다. 예컨대, 아토마이저는, 저항성(줄(Joule)) 가열을 위한 코일 또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저항성 와이어 또는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일 수 있는 전기 히터, 및 저장조로부터 액체를 흡수하고 이를 히터로 운반하는, 히터에 인접한 모세관 또는 위킹 성능을 갖는 다공성 엘리먼트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히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전기 전력이 전달되며, 히터는 저장조로부터 전달되는 소량의 액체를 기화시키기 위해 가열된다. 그런 다음, 기화된 액체는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카토마이저의 컴포넌트들은 단기간 사용만을 위해 의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카토마이저는 소모품으로 또한 지칭되는 시스템의 일회용 컴포넌트이다. 대조적으로, 제어 유닛은 통상적으로 일련의 카토마이저들에 대해 다수 회 사용을 위해 의도되며, 사용자는 카토마이저들 각각이 사용 만료될 때 카토마이저를 교체한다. 소모품 카토마이저들은, 저장조가 액체로 미리 채워진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며 저장조가 비었을 때 폐기되도록 의도된다. 액체는 다루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편의 및 안전을 위해, 저장조는 밀봉되고 쉽게 다시 채워지지 않도록 설계된다. 액체의 새로운 공급이 필요할 때, 사용자가 전체 카토마이저를 교체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카토마이저들은 제조하기에 간단하고 많지 않은 부품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토마이저들은 낭비를 최소화하고 저비용으로 대량으로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설계의 카토마이저들이 관심 대상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가 제공되며, 이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aerosolisable substrate material)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한정하는 저장조 하우징; 및 저장조로부터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가 기화를 위해 전달될 수 있는 세장형 아토마이저를 포함하며, 아토마이저는 다공성을 갖고,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아토마이저는 아토마이저의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만이, 비지지 외팔보 부분(unsupported cantilever portion)을 갖는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cantilevered arrangement)로 장착 단부에서 지지되도록 장착되어, 서셉터가 저장조 하우징의 외부 경계에 대해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제1 양상에 따른 에어로졸 소스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제1 양상에 따른 에어로졸 소스 또는 제2 양상에 따른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유도 가열에 의해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코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이러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들 및 종속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서로, 그리고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되는 접근법은, 이를테면 아래에 제시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에서 제시되는 특징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을 포함하고 고려한다. 예컨대, 아토마이저 또는 아토마이저를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은, 적절하게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특징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원에 설명된 접근법들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로서, 아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카토마이저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e-시가렛을 자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외부 사시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카토마이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조립된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로 도시한다;
도 4,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추가의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간략화된 개략적인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제1 예시적인 증기 제공 시스템의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이 구현될 수 있는, 유도 가열을 이용하는 제2 예시적인 증기 제공 시스템의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외팔보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대안적 예에 따른 외팔보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추가의 대안적 예에 따른 외팔보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다공성 세라믹 로드를 포함하는 세장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a-도 10c는 서셉터의 상이한 구성들에 따른, 도 10의 아토마이저의 횡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접힌 금속 서셉터(folded metal susceptor)를 포함하는 외팔보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예에 따른 다공성 금속 재료로 형성된 외팔보형 아토마이저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유도 가열 및 외팔보형 아토마이저를 갖는 예시적인 증기 제공 시스템들의 부품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들을 도시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상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은 간략화를 위해 상세히 논의/설명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상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종래 기법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은 전자 에어로졸 또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 이를테면, e-시가렛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설명 전반에 걸쳐, "e-시가렛(e-cigarette)" 및 "전자 시가렛(electronic cigarette)"이라는 용어들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용어들은 에어로졸(증기) 제공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시스템들은 니코틴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액체 또는 겔 형태의 기재의 기화에 의해 흡입가능한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들은 액체 또는 겔 기재에 더하여, 또한 가열되는 고체 기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기재는 예컨대 니코틴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 있는 담배 또는 다른 비-담배 제품들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라는 용어는, 열 또는 일부 다른 수단의 적용을 통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기재 재료들을 지칭하기 위해 의도된다. "에어로졸(aerosol)"이란 용어는 "증기(vapour)"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포넌트"라는 용어는, 가능하게는 외부 하우징 또는 벽 내에 몇몇 더 작은 부품들 또는 엘리먼트들을 통합하는 전자 시가렛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의 부품, 섹션, 유닛, 모듈, 어셈블리 또는 유사한 것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자 시가렛은 하나 이상의 그러한 컴포넌트들로 형성되거나 만들어질 수 있고, 컴포넌트들은 서로 제거 가능하게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전자 시가렛을 한정하기 위해 제조 동안 함께 영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가능하고, 예컨대, 액체 또는 다른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홀딩하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 운반 컴포넌트(카트리지, 카토마이저 또는 소모품), 및 기재 재료로부터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동작시키기 위해 전기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를 갖는 제어 유닛으로 구성되는 2개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시스템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에서, 카토마이저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 운반 부분 또는 컴포넌트의 예로서 설명되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 운반 부분 또는 컴포넌트의 임의의 구성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컴포넌트는 예들에 포함된 것들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히, 시스템에 포함된 저장조, 탱크, 컨테이너 또는 다른 리셉터클에 홀딩되는 액체 또는 겔 형태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활용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 및 이들의 컴포넌트들에 관한 것이다. 증기/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기재 재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저장조로부터 기재 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가 포함된다. 액체", "겔", "유체", "소스 액체", "소스 겔", "소스 유체" 등의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라 저장 및 전달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지칭하기 위해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 및 "기재 재료"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고 동작의 일반적인 원리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제시된 e-시가렛(10)과 같은 일반적인 예시적인 에어로졸/증기 제공 시스템의 매우 개략적인 도면이다(실척에 맞지는 않음). e-시가렛(10)은 이 예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을 갖고, 2개의 주요 컴포넌트들, 즉 제어 또는 전력 컴포넌트, 섹션 또는 유닛(20), 및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운반하고 증기-생성 컴포넌트로서 동작하는 카트리지 조립체 또는 섹션(30)(때때로, 카토마이저 또는 클리어로마이저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카토마이저(30)는, 예컨대 니코틴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이 생성될 액체 또는 겔과 같은 포뮬레이션(formulation)을 포함하는 소스 액체 또는 다른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함유하는 저장조(3)를 포함한다. 예로서, 소스 액체는 약 1 내지 3%의 니코틴 및 50%의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대략 동일한 측정치의 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포함하고, 가능하게는 또한, 향미제(flavouring)들과 같은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이를테면, 향미제를 전달하기 위해, 니코틴이 없는 소스 액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액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통과하는 담배의 부분 또는 다른 향미 엘리먼트와 같은 고체 기재(예시되지 않음)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저장조(3)는, 액체가 탱크의 경계들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고 유동하도록 소스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컨테이너 또는 리셉터클인 저장 탱크의 형태를 갖는다. 소모품 카토마이저의 경우, 저장조(3)는, 소스 액체가 소비된 후에는 폐기되도록, 제조 동안 채워진 후에 밀봉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저장조(3)는 유입 포트 또는 다른 개구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소스 액체가 사용자에 의해 추가될 수 있다. 카토마이저(30)는 또한, 가열에 의한 소스 액체의 기화에 의해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저장조 탱크(3)의 외부에 위치된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가열 엘리먼트 또는 히터(4)를 포함한다. 저장조(3)로부터 히터(4)로 소스 액체를 이송하기 위해, 심지(wick) 또는 다른 다공성 엘리먼트(6)와 같은 액체 이송 또는 전달 어레인지먼트(액체 운송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심지(6)는, 저장조(3) 내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저장조(3) 내의 액체와 유체 연통하여서, 소스 액체를 흡수하고 그리고 위킹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소스 액체를 히터(4)에 인접하거나 또는 이와 접촉하는, 심지(6)의 다른 부분들로 이송할 수 있다. 이로써, 이 액체는 가열되고 기화되며, 심지(6)에 의해 히터(4)로 이송될, 저장조로부터의 새로운 소스 액체로 대체된다. 심지는 저장조(3)와 히터(4) 사이의 브리지, 경로 또는 도관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이는 저장조로부터 히터로 액체를 이송하거나 또는 전달한다. 도관, 액체 도관, 액체 이송 경로, 액체 전달 경로, 액체 이송 메커니즘 또는 엘리먼트, 및 액체 전달 메커니즘 또는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모두 심지 또는 대응하는 컴포넌트 또는 구조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히터와 심지(또는 유사한 것) 조합은 때때로 아토마이저 또는 아토마이저 조립체로 지칭되며, 소스 액체를 갖는 저장조와 아토마이저를 더하여 총괄적으로 에어로졸 소스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용어는 액체 전달 조립체 또는 액체 이송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들 용어들은, 증기/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저장조로부터 획득된 액체를 증기 생성기로 전달 또는 이송하는 위킹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 또는 구조(액체 운송 엘리먼트)가 더해진 증기 생성 엘리먼트(증기 생성기)를 지칭하기 위해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설계들이 가능하며, 여기서 부품들은 도 1의 매우 개략적인 표현과 비교하여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심지(6)는 히터(4)와 완전히 별개인 엘리먼트일 수 있거나, 또는 히터(4)는 다공성이고 위킹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직접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컨대, 금속성 메시). 전기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증기 생성 엘리먼트는 옴/저항성(Joule) 가열에 의해 또는 유도성 가열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 가열 엘리먼트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토마이저는, 자신에게 전달되는 소스 액체로부터 증기를 생성할 수 있는 증기 생성 또는 기화 엘리먼트, 및 위킹 작용/모세관 힘에 의해 저장조 또는 유사한 액체 저장소로부터 증기 생성기로 액체를 전달 또는 이송할 수 있는 액체 운송 또는 전달 엘리먼트의 기능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로서 고려될 수 있다. 아토마이저는 통상적으로 증기 생성 시스템의 카토마이저 컴포넌트에 하우징된다. 일부 설계들에서, 액체는 별개의 위킹 또는 모세관 엘리먼트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장조로부터 증기 생성기 상으로 직접 분배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본원의 예들 및 설명과 일치하는 모든 그리고 임의의 그러한 구성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로 돌아가면, 카토마이저(30)는 또한, 사용자가 아토마이저(4)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게 하는 개구 또는 공기 배출구를 갖는 마우스피스 또는 마우스피스 부분(35)을 포함한다.
전력 컴포넌트 또는 제어 유닛(20)은, 특히 히터(4)를 동작시키기 위해, e-시가렛(10)의 전기 컴포넌트들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셀 또는 배터리(5)(본원에서 이후에 배터리로 지칭되고, 재충전 가능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e-시가렛을 일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인쇄 회로 보드 및/또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회로부와 같은 제어기(28)가 있다. 제어 전자 장치/회로부(28)는. 증기가 요구될 때, 예컨대 시스템(10)에 대한 흡입 ―흡입 동안 제어 유닛(20)의 벽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기 유입구들(26)을 통해 공기가 진입함― 을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 또는 공기 유동 센서(미도시)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배터리(5)로부터의 전력을 사용하여 히터(4)를 동작시킨다. 가열 엘리먼트(4)가 동작될 때, 가열 엘리먼트(4)는 액체 전달 엘리먼트(6)에 의해 저장조(3)로부터 전달된 소스 액체를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생성하고, 그런 다음,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35) 내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 사용자가 마우스피스(35)를 흡입할 때 공기 유입구(26)를 에어로졸 소스와 공기 배출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채널들(미도시)을 따라,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소스로부터 마우스피스(35)로 운반된다.
제어 유닛(전력 섹션)(20) 및 카토마이저(카트리지 조립체)(30)는 도 1에서 양방향 화살표들로 표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분리에 의해 서로 떨어질 수 있는 별개의 연결 가능 부품들이다. 컴포넌트들(20, 30)은, 전력 섹션(20)과 카트리지 조립체(30) 사이에서 기계적 연결 및 일부 경우들에서는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협동 맞물림 엘리먼트들(21, 31)(예컨대, 스크루 또는 바요넷 끼워맞춤)에 의해, 디바이스(10)가 사용 중일 때 함께 결합된다. 히터(4)가 옴 가열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전기 연결이 요구되어서, 히터(4)가 배터리(5)에 연결될 때 전류가 히터(4)를 통과할 수 있다. 유도 가열을 사용하는 시스템들에서, 전기 전력을 요구하는 부품들이 카토마이저(30)에 위치되지 않으면, 전기 연결이 생략될 수 있다. 유도 작업 코일이 전력 섹션(20)에 하우징되고 배터리(5)로부터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며, 카토마이저(30) 및 전력 섹션(20)이 연결될 때, 히터의 재료에 전류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속(flux)에 히터(4)가 적절히 노출되도록 카토마이저(30) 및 전력 섹션(20)이 형상화된다. 유도 가열 어레인지먼트들은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된다. 도 1의 설계는 단지 예시적인 어레인지먼트일 뿐이며, 다양한 부품들 및 피처(feature)들이 전력 섹션(20)과 카트리지 어셈블리 섹션(30) 사이에 상이하게 분포될 수 있고, 다른 컴포넌트들 및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수 있다. 2개의 섹션들은 도 1에서와 같은 길이 방향 구성으로 또는 평행하고, 나란한 어레인지먼트와 같은 상이한 구성으로 함께 단-대-단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섹션들 또는 컴포넌트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소진될 때(예컨대, 저장조가 비거나 배터리가 다 닳음) 폐기되고 교체되도록 의도될 수 있거나, 또는 저장조를 다시 채우고 배터리를 재충전하는 것과 같은 동작들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다수 회의 사용들을 위해 의도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시스템(10)은, 제어 유닛(20) 및 카토마이저(30)의 부품들이 단일 하우징에 포함되고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일체형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예들은 이들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들 및 당업자가 인식할 다른 구성들에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예에 따른, 카토마이저를 형성하도록 조립될 수 있는 부품들의 외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카토마이저(40)는 4개의 부품들만을 포함하며, 이는 적절하게 형상화되면 함께 푸시(push)되거나 가압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은 매우 단순하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품은,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이하, 간결함을 위해 기재 또는 액체로 지칭됨)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한정하는 하우징(42)이다. 하우징(42)은, 이 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갖는 일반적으로 튜브형 형상을 가지며, 저장조 및 다른 아이템들의 다양한 부품들을 한정하도록 형상화된 벽 또는 벽들을 포함한다. 원통형 외부 측벽(44)은 그 하부 단부에서 개구(46)로 개방되며, 개구(46)를 통해 저장조가 액체로 채워질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부품들이 개구(46)에 결합되어 저장조를 폐쇄/밀봉하고 또한 기화를 위한 액체의 외부로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저장조의 외부 또는 외측 볼륨 또는 치수들을 한정한다. 저장조의 외부에 위치되거나 놓인 엘리먼트들 또는 부품들에 대한 본원에서의 참조들은, 부품이 이 외부 벽(44) 및 그의 상부 및 하부 범위 및 에지들 또는 표면들에 의해 경계지어지거나 한정된 구역 외부에 있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외부에 있음을 표시하도록 의도된다.
원통형 내부 벽(48)은 외부 측벽(44) 내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는, 액체를 홀딩하기 위한 리셉터클, 캐비티, 보이드 또는 유사한 것, 즉, 저장조인, 외부 벽(44)과 내부 벽(48) 사이의 환형 볼륨(50)을 한정한다. 저장조 볼륨(50)의 상부 에지를 폐쇄하기 위해, 외부 벽(44)과 내부 벽(48)은 함께 (예컨대, 최상부 벽에 의해 또는 서로를 향해 테이퍼링되는 벽들에 의해) 연결된다. 내부 벽(48)은 그 하부 단부에서 개구(52)로 개방되고 그리고 또한 그 상부 단부에서 개방된다. 내부 벽에 의해 경계가 지어지는 튜브형 내측 공간은, 조립된 시스템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을 아토마이저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시스템의 마우스피스 배출구로 운반하는 공기 유동 통로 또는 채널(54)이다. 내부 벽(48)의 상부 단부의 개구(56)는 사용자의 입에 편안하게 수용되도록 구성된 마우스피스 배출구일 수 있거나, 또는 개구(56)를 마우스피스 배출구에 연결하기 위한 채널을 갖는 별개의 마우스피스 부품이 하우징(42) 상에 또는 그 주위에 커플링될 수 있다.
하우징(42)은,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하우징(42)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저장조(44) 내의 액체의 레벨 또는 양을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하우징은 불투명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레벨이 보여질 수 있는 투명한 윈도우를 갖는 불투명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플라스틱 재료는 강성일 수 있다.
카토마이저(40)의 제2 부품은, 이 예에서 또한 원형 단면을 갖는 유동 지향 부재(60)이며, 하우징(42)의 하부 단부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되고 구성된다. 유동 지향 부재(60)는 사실상 마개(bung)이고, 복수의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42)의 하부 단부에 삽입될 때, 유동 지향 부재(60)는 개구(46)와 커플링되어 저장조 볼륨(50)을 폐쇄 및 밀봉하고, 개구(52)와 커플링되어 저장조 볼륨(50)으로부터 공기 유동 통로(54)를 밀봉한다. 부가적으로, 유동 지향 부재(60)는 액체 유동을 위해 유동 지향 부재(60)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가지며, 이 채널은, 저장조 볼륨(50)으로부터 저장조 외부의 공간 ―이 공간은 액체를 가열함으로써 증기/에어로졸이 생성되는 에어로졸 챔버로서 작용함―으로 액체를 운반한다. 또한, 유동 지향 부재(60)는 에어로졸 유동을 위해 유동 지향 부재(60)를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채널을 가지며, 이 다른 채널은 생성된 에어로졸을 에어로졸 챔버 공간으로부터 하우징(42) 내의 공기 유동 통로(54)로 운반하여, 에어로졸이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유동 지향 부재(60)는, 마찰 끼워맞춤(friction fit)을 통해 하우징(46)과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실리콘과 같은 가요성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유동 지향 부재는, 하우징(42)과 맞물리는 상부 표면 또는 표면들(64)에 대향하는 그 하부 표면(62)에 소켓 또는 유사한-형상의 포메이션(formation)(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소켓은 카토마이저(40)의 제3 부품인 아토마이저(70)를 수용하고 지지한다.
아토마이저(70)는 제1 단부(72) 및 그 세장형 길이에 대해 대향하게 배치된 제2 단부(74)를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조립된 카토마이저에서, 아토마이저는 그 제1 단부(72)가 저장조 하우징(42)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 지향 부재(60)의 소켓 내로 푸시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단부(72)는 유동 지향 부재(60)에 의해 지지되고, 아토마이저(70)는 하우징(42)의 동심 형상 부품들에 의해 한정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실질적으로 저장조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아토마이저(70)의 제2 단부(74)는 장착되지 않으며, 자유롭게 남겨진다. 이에 따라서, 아토마이저(70)는 저장조의 외부 경계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방식으로 지지된다. 아토마이저(7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위킹 기능 및 가열 기능을 수행하며, 유도성 서셉터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저항성 히터 부분, 및 저장조로부터 히터의 부근으로 액체를 위킹하도록 구성된 다공성 부분의 몇몇 구성들 중 임의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카토마이저(40)의 제4 부품은 인클로저(enclosure) 또는 슈라우드(shroud)(80)이다. 또한, 이는 이 예에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이는 중앙 중공 공간 또는 보이드(82)를 한정하기 위해 선택적인 베이스 벽에 의해 폐쇄되는 원통형 측벽(81)을 포함한다. 일단 아토마이저(70)가 유동 지향 부재(60) 상의 소켓 내에 끼워맞춤되면, 인클로저(80)가 유동 지향 부재(60)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개구(86) 주위의, 측벽(81)의 상부 림(84)은 인클로저(80)가 유동 지향 부재(60) 상의 상호 형상화된 부품들과 맞물릴 수 있도록 형상화된다. 따라서, 유동 지향 부재(60)는 중앙 공간(82)을 폐쇄하기 위한 커버로서 작용하고, 이 공간(82)은 아토마이저(70)가 배치되는 에어로졸 챔버를 생성한다. 액체가 아토마이저에 전달될 수 있고 생성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챔버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개구(86)는 유동 지향 부재(60) 내의 액체 유동 채널 및 에어로졸 유동 채널과의 연통을 가능하게 한다. 에어로졸 챔버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아토마이저(70)를 지나 통과하고 증기를 수집하여 증기가 공기 유동에 비말 동반되어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인클로저(80)의 벽 또는 벽들(81)은, 사용자가 카토마이저의 마우스피스 개구를 통해 흡입할 때 에어로졸 챔버 내로 공기가 흡인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들 또는 천공들을 갖는다.
인클로저(80)는, 이를테면,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인클로저(80)는 강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 인클로저(80)와 유동 지향 부재를 함께 푸시하거나 가압함으로써 인클로저(80)는 유동 지향 부재와 용이하게 맞물릴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동 지향 부재는, 가요성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그 유동 지향 부재에 커플링된 부품들, 즉 하우징(42), 아토마이저(70) 및 인클로저(80)를 홀딩할 수 있다. 이들 부품들은 더 강성일 수 있기 때문에, 유동 지향 부재의 가요성―이는 이러한 다른 부품들에 대해 가압될 때 유동 지향 부재가 다소 변형될 수 있게 함―은, 부품들의 제조된 사이즈의 임의의 사소한 에러들을 수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동 지향 부품은 모든 부품들의 제조 공차들을 없앨(absorb) 수 있는 한편, 여전히 카토마이저(40)를 형성할 부품들 모두의 양질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하우징(42), 아토마이저(70) 및 인클로저(80)를 만들기 위한 제조 요건들이 다소 완화되어,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3은 조립된 구성으로 도 1의 카토마이저의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명확성을 위해, 유동 지향 부재(60)는 음영 처리된다. 저장조 공간(50)과 공기 유동 통로(54) 둘 모두를 밀봉하기 위해, 유동 지향 부재(60)가, 저장조 하우징(42)의 내부 벽(48)의 하부 에지에 의해 한정된 개구(52) 주위에 맞물리도록 그 상부 표면들 상에서, 그리고 하우징(42)의 외부 벽(44)의 하부 에지에 의해 한정된 개구(46)에 맞물리도록 동심으로 외측으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알 수 있다.
유동 지향 부재(60)는 저장조 볼륨(50)으로부터 유동 지향 부재(60)를 통해 유동 지향 부재(60) 아래의 공간 또는 볼륨(65) 내로의 액체 기재 재료(L)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액체 유동 채널(63)을 갖는다. 또한, 공간(65)으로부터 유동 지향 부재(60)를 통해 공기 유동 통로(54)로의 에어로졸 및 공기(A)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로졸 유동 채널(66)이 존재한다.
저장조 하우징(42)에 따라 실질적으로 저장조(50)의 볼륨의 외부 치수들 외부에 에어로졸 챔버(82)를 생성하기 위해, 인클로저(80)는 유동 지향 부재(60)의 하부 표면의 대응하는 형상화된 부품들과 맞물리도록 그 상부 림이 형상화된다. 이 예에서, 인클로저(80)는 유동 지향 부재(60)에 근접한 그 상부 단부에 애퍼처(87)를 갖는다. 이는, 액체 유동 채널(63) 및 에어로졸 유동 채널(66)이 연통하는 공간(65)과 일치하고, 따라서 액체가 에어로졸 챔버(82)에 진입하고 에어로졸이 유동 지향 부재(60) 내의 채널들을 통해 에어로졸 챔버(82)를 떠날 수 있게 한다.
이 예에서, 애퍼처(87)는 또한, 아토마이저(70)의 지지된 제1 단부(72)를 장착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작용한다(도 2의 설명에서, 아토마이저 소켓은 유동 지향 부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었다는 것을 상기해야 하며, 어느 옵션이든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유동 채널(63)을 통해 도달하는 액체는 흡수 및 위킹을 위해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에 직접 공급되고, 공기/에어로졸은 아토마이저를 통해 그리고 아토마이저를 지나서 흡인되어 에어로졸 유동 채널(66)에 진입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아토마이저(70)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평면형의 세장형 부분(71)을 포함하는데, 이는 그 중간 지점이 접히거나 만곡되어 금속 부분의 두 단부들이 아토마이저의 제1 단부(72)에서 서로 인접하게 된다. 이는 아토마이저(70)의 히터 컴포넌트로서 작용한다. 면(cotton) 또는 다른 다공성 재료(73)의 일부는 금속 부분의 2개의 접힌 측면들 사이에 샌드위칭된다. 이는 아토마이저(70)의 위킹 컴포넌트로서 작용한다. 공간(65)에 도달하는 액체는 다공성 심지 재료(73)의 흡수성에 의해 수집되어 하방으로 히터로 운반된다. 외팔보형 장착에 적합한 세장형 아토마이저의 많은 다른 어레인지먼트들이 또한 가능하며,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히터 컴포넌트는 유도를 통한 가열을 위해 의도되며, 이는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의 예는 조립된 카토마이저의 길이 방향 치수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원형 대칭을 갖는 부품들을 갖는다. 따라서, 부품들은 이들이 함께 결합되는 평면들에서 임의의 요구되는 배향이 없고, 이는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부품들은 길이 방향 치수의 축을 중심으로 임의의 배향으로 함께 조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조립 전에 부품들을 특정 배향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부품들은 대안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4는 이전과 같이, 저장조 하우징, 유동 지향 부재, 아토마이저 및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추가의 예시적인 조립된 카토마이저를 자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예에서, 카토마이저(40)의 길이 방향 축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부품들 중 적어도 일부는 원형 형상 대신에 타원형 형상을 가지며, 타원의 장축 및 단축을 따라 대칭이 되도록 배열된다. 피처들은 장축(major axis)의 양측 및 단축(minor axis)의 양측에 반영된다. 이는, 조립을 위해, 부품들이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180°만큼 서로 회전되는 2개의 배향들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칭성이 없는 부품들을 포함하는 시스템과 비교하여 조립이 단순화된다.
이 예에서, 인클로저(80)는 다시, 인클로저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상이한 지점들에서 가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측벽(81), 및 에어로졸 챔버(82)를 생성하는 공간을 경계짓는 베이스 벽(83)을 포함한다. 인클로저는 그 상단부를 향해서, 유동 지향 부재(60)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큰 단면으로 확장된다. 인클로저(80)의 큰 단면 부분은, 일반적으로 타원형 단면(도 4b 참조)을 갖는 반면, 인클로저의 더 좁은 단면 부분은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도 4c 참조). 최상부 개구(86) 주위의 인클로저의 상부 림(84)은 저장조 하우징(42) 상의 대응하는 형상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다. 이러한 형상화 및 맞물림은 도 4에서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된다; 실제로, 이는 상당한 공기 기밀(air-tight) 및 액체 기밀(liquid-tight)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더 복잡해질 가능성이 있다. 인클로저(80)는, 사용자 흡입 동안 공기가 에어로졸 챔버에 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이 경우에는 베이스 벽(83)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85)를 갖는다.
저장조 하우징(42)은 도 2 및 도 3의 예와 비교하여 상이하게 형상화된다. 외부 벽(44)은 2개의 내부 벽들(48)에 의해 3개의 구역들로 분할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한다. 구역들은 나란히 배열된다. 2개의 내부 벽들(48) 사이의 중앙 구역은 액체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 볼륨(50)이다. 이 구역은 하우징의 최상부 벽에 의해 최상부가 폐쇄된다. 저장조 볼륨의 베이스에 있는 개구(46)는, 액체가 저장조(50)로부터 에어로졸 챔버(82)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외부 벽(44)과 내부 벽들(48) 사이의 2개의 측면 구역들은 공기 유동 통로들(54)이다. 각각은, 그 하부 단부에 에어로졸이 진입할 개구(52) 그리고 그 상부 단부에 마우스피스 개구(56)를 갖는다(이전과 같이, 별개의 마우스피스 부분이 저장조 하우징(42) 외부에 추가될 수 있음).
유동 지향 부재(60)(명확성을 위해 음영 처리됨)가 하우징(42)의 개구들(46 및 52)과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부분들을 통해 하우징(42)의 하부 에지로 맞물려서 저장조 볼륨(50) 및 공기 유동 통로들(54)을 폐쇄/밀봉한다. 유동 지향 부재(60)는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 챔버(82)로 액체(L)를 운송하기 위해 저장조 볼륨 개구(46)와 정렬된, 중앙에 배치된 단일 액체 유동 채널(63)을 갖는다. 추가로, 2개의 에어로졸 유동 채널들(66)이 있으며, 각각은 에어로졸 챔버(82)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와 공기 유동 통로들(54)로 이어지며, 그에 의해, 홀(85)을 통해 에어로졸 챔버에 진입하고 에어로졸 챔버(82) 내의 증기를 수집하는 공기가 공기 유동 통로들(54)와 마우스피스 배출구들(56)로 유동한다.
아토마이저(70)는 유동 지향 컴포넌트(60)의 액체 유동 채널(63) 내로 그 제1 단부(72)를 삽입함으로써 장착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 액체 유동 채널(63)은 아토마이저(70)의 외팔보형 장착을 위한 소켓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에는, 저장조(50)로부터 액체 유동 채널(60)로 진입하는 액체가 직접 공급되고, 액체는 아토마이저(70)의 다공성 특성들을 통해 흡수되고 아토마이저 길이를 따라 이동되어(draw) 에어로졸 챔버(70)에 위치된 아토마이저(70)의 히터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열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카토마이저(40)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대응하는 포지션들에서 카토마이저(40)를 자른 단면들을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가열 양상이, 전류의 통과를 위해 가열 엘리먼트에 대한 전기적 연결들이 이루어질 것을 요구하는 저항성 가열을 통해 구현되는 아토마이저들에 관한 것이지만, 카토마이저의 설계는 유도 가열의 사용과 특히 관련이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 전기 전도성 아이템이, 열을 생성하는 아이템에서 흐르는 와전류들을 통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가열되는 프로세스이다. 유도 코일(작업 코일)은 발진기로부터의 고주파 교류가 유도 코일을 통과할 때 전자석으로서 동작하며; 이는 자기장을 생성한다. 전도성 아이템이 자기장의 자속 내에 배치될 때, 자기장은 아이템을 관통하고 전기 와전류들을 유도한다. 이들은 아이템에서 흐르고, 전류의 직접 공급에 의해 저항성 전기 가열 엘리먼트에서 열이 발생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아이템의 전기 저항에 대항하는 전류 흐름에 따라 줄 가열을 통해 열을 생성한다. 유도 가열의 매력적인 특징은, 전도성 아이템에 대한 전기 연결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대신에, 요건은 아이템이 차지하는 구역에서 충분한 자속 밀도가 생성되는 것이다. 액체 근처에서 열 발생이 요구되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의 맥락에서, 이는 액체와 전류의 더 효과적인 분리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다른 전기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아이템들이 카토마이저에 배치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카토마이저와 그 전력 섹션 사이에 어떠한 전기적 연결도 필요하지 않으며, 카토마이저 벽에 의해 더 효과적인 액체 장벽이 제공되어, 누설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유도 가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아이템의 직접 가열에 효과적이지만, 비-전도성 아이템들을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증기 제공 시스템에서, 기화를 야기하기 위해 아토마이저의 다공성 위킹 부분의 액체에 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유도를 통한 간접 가열을 위해, 전기 전도성 아이템은 가열이 요구되는 아이템에 인접하게 또는 그와 접촉하게 그리고 가열될 아이템과 작업 코일 사이에 배치된다. 작업 코일은 유도 가열에 의해 전도성 아이템을 직접 가열하고, 열은 열 방사 또는 열 전도에 의해 비-전도성 아이템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어레인지먼트에서, 전도성 아이템은 서셉터로 지칭된다. 따라서, 아토마이저에서, 가열 컴포넌트는, 아토마이저의 다공성 부품에 열 에너지를 이송하기 위한 유도성 서셉터로서 사용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통상적으로 금속)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예들에 따른 카토마이저(40) 및 유도 가열을 위해 구성된 전력 컴포넌트(20)를 포함하는 증기 제공 시스템의 매우 단순화된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카토마이저(40)는, (다른 어레인지먼트들이 배제되지는 않았지만) 도 2, 도 3 및 도 4의 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해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다. 카토마이저(40)는, 가열 기능이 서셉터(개별적으로 표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공되도록, 가열이 유도 가열에 의해 달성되는 아토마이저(70)를 포함한다. 아토마이저(70)는 인클로저(80)로 둘러싸인 채 카토마이저(4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며, 인클로저(80)는 에어로졸 챔버를 한정할 뿐만 아니라 외팔보형 장착으로 인해 손상에 비교적 취약할 수 있는 아토마이저(70)에 대해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토마이저(70)의 외팔보 장착은 효과적인 유도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아토마이저(70)가 코일(9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특히 저장조가 작업 코일(9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떨어져 포지셔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력 컴포넌트(20)는 리세스(22)를 포함하며, 카토마이저(40)가 사용을 위해 (예컨대, 마찰 끼워맞춤, 클립핑 동작, 스크루 나사산 또는 마그네틱 캐치(magnetic catch)를 통해) 전력 컴포넌트에 커플링될 때, 카토마이저(40)의 인클로저(80)가 리세스(22)에 수용된다. 유도 작업 코일(90)은 리세스(22)를 둘러싸도록 전력 컴포넌트(20)에 위치되며, 카토마이저(40)와 전력 컴포넌트(20)가 결합될 때 코일(90)과 서셉터가 중첩하도록, 코일(90)은 코일의 개별적인 턴(turn)들이 연장되는 길이 방향 축, 및 서셉터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길이를 갖는다. 다른 구현들에서, 코일의 길이는 서셉터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컨대, 서셉터의 길이는 코일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거나, 또는 서셉터의 길이는 코일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셉터는 코일(90)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 내에 위치된다. 주변 코일로부터의 서셉터의 분리가 최소화되도록 아이템들이 위치되면, 서셉터에 작용하는 자속이 더 높을 수 있고, 가열 효과가 더 효율적이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아토마이저를 통한 적절한 공기 유동을 가능하게 하고 액체 액적 포획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필요가 있는, 인클로저(80)에 의해 형성된 에어로졸 챔버의 폭에 의해 분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2개의 요건들은 다양한 아이템들의 사이징 및 포지셔닝을 결정할 때 서로에 대해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
전력 컴포넌트(20)는 적절한 AC 주파수로 코일(90)을 에너자이징하기 위한 전기 전력의 공급을 위한 배터리(5)를 포함한다. 또한, 증기 생성이 요구될 때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 가능하게는, 여기서 추가로 고려되지 않는 증기 제공 시스템에 대한 다른 제어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기(28)가 포함된다. 전력 컴포넌트는 또한, 도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논의와 관련이 없는 다른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예는 선형으로 배열된 시스템이며, 여기서, 전력 컴포넌트(20)와 카토마이저(40)는 펜형(pen-like) 형상을 이루기 위해 단-대-단 커플링된다.
도 6은 대안적인 설계의 간략화된 개략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카토마이저(40)는 더 박스형(box-like)인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며, 여기서 배터리(5)는 전력 컴포넌트(20)에서 카토마이저(40)의 한쪽에 배치된다. 다른 어레인지먼트들이 또한 가능하다.
아토마이저(70)는, 저장조로부터의 액체를 흡수하고 이를 서셉터로 운반하기 위한 다공성과, 서셉터가 액체를 기화시키는 히터로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 저항/전도율 둘 다를 아토마이저(70)에 제공하는 몇몇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토마이저는 다공성을 갖고 그리고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예들이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다공성 및 유도 가열 능력들의 구현에 관계없이, 아토마이저(70)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세장형(elongate)"이란, 아토마이저가,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의 그의 사이즈(길이)가, 길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그의 사이즈(폭)보다 더 크도록, 전형적으로는 상당히 더 크도록 치수가 정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길이는 폭의 적어도 2배, 또는 폭의 적어도 5배, 또는 폭의 적어도 10배일 수 있다. 이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다른 비율들이 배제되지 않는다.
더욱이, 세장형 아토마이저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로 장착된다.
도 7은 외팔보를 형성하도록 장착된 예시적인 아토마이저의 매우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아토마이저(70)는, 제1 단부(72)와 제2 단부(74) 사이에서 연장되는 더 큰 치수인 길이(l)를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아토마이저는 그의 길이(l)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폭(w)을 갖는다. 아토마이저(70)는, 다공성 부품, 부분 또는 엘리먼트(102)에 기인하는 다공성을 가지며 그리고 또한, 전기 전도성/저항성 재료, 예컨대 금속으로 만들어진,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100)를 포함한다. 도 7에서, 서셉터(100) 및 다공성 엘리먼트(102)는 인접한 컴포넌트들로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더 상세한 어레인지먼트들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서셉터(100)는 에어로졸 챔버(82)에 위치된 아토마이저(70)의 제2 단부(74)를 포함한다.
모두 위에서 설명된 것인, 저장조 하우징, 유동 지향 부재 또는 인클로저일 수 있는 컴포넌트(106), 또는 실제로 일부 다른 컴포넌트를 통하는 개구 또는 애퍼처인 소켓(104)은 외팔보형 구성에서 아토마이저(70)를 지지하기 위해 활용된다. 이는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를 소켓(104)에 삽입함으로써 달성된다. 소켓(104)은, 아토마이저(70)가 소켓(104) 내에 파지되도록, 아토마이저(70)의 폭(w)(또는 단면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폭(또는 단면적)을 갖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소켓(104)이 형성되는 컴포넌트(106)가 실리콘 또는 고무(천연 또는 합성)와 같은 가요성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아토마이저(70)는, 아마도 삽입된 아토마이저에 의한 소켓 재료의 일부 압축으로 인해, 소켓(104)에 의해 단단히 파지된 상태로 홀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소켓(104) 및 아토마이저 제1 단부(72)의 재료들이 적절한 표면 특성들을 갖는다면, 마찰 끼워 맞춤이 활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착제 또는 유사한 재료가 사용되어, 아토마이저(70)를 소켓(104) 내의 적소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소켓(104)에서 아토마이저(70)의 위치는, 에어로졸 챔버(82)를 향하는 소켓(104)의 면과 일렬로 있는 평면(108)에 의해 분할되는, 아토마이저(70)의 2개의 존(zone)들 또는 부분들을 구분한다. 소켓(104)에 삽입된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와 평면(108) 사이에 놓인 아토마이저(70)의 부분은, 그가 소켓(104)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지지 또는 장착 부분(110)이다. 이 예에서, 지지 부분은 소켓(10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거나 에워싸인다. 아토마이저(70)의 제2 단부(74)와 평면(108) 사이에 놓인 아토마이저(70)의 부분은, 저장조 볼륨(50)의 외부 치수들로부터 외측으로 그리고 에어로졸 챔버(82) 내에서 연장되는 비지지 부분(112)이다. 따라서, 제2 단부(74)는 다른 컴포넌트와의 임의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지지되지 않으며, 부분(112)은 아토마이저(70)의 외팔보 부분이다. 따라서, 아토마이저(70)는 지지된 제1 단부(72) 및 비지지된 제2 단부(74)를 갖는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 또는 구성으로 홀딩, 장착 또는 지지된다. 서셉터(1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이 예에서 전체적으로, 외팔보 부분(112) 내에 포함되고, 따라서 에어로졸 챔버(82) 내에 놓이고, 저장조(50)의 외부 경계들 또는 치수들 외부에 위치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아토마이저(70)는 길이(l)를 갖는다. 장착 부분(110)은 길이(l1)를 갖고, 외팔보 부분(112)은 길이(l2)를 가져, l1+ l2= l이다. 통상적으로, 외팔보 부분(112)은 장착 부분(110)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질 것이며, 이에 l2> l1이다. 따라서, 아토마이저(70)의 전체 길이와 관련하여, 장착 부분은 아토마이저의 50% 미만을 점유할 수 있으며, 이에 l1<l/2이다. 더 특정한 예들에서, l1은, 총 길이(l) 중, 실질적으로 15% 내지 40%, 또는 20% 내지 35%, 또는 23% 내지 27%, 또는 실질적으로 25%의 범위 내의 비율일 수 있다.
수치 값들의 관점에서, 장착 부분의 길이(l1)는 약 2 mm 내지 6 mm, 또는 약 3 mm 내지 5 mm, 예컨대 약 4 mm의 범위일 수 있다. 약 6mm 초과의 길이들은 전형적으로, 지지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재료를 낭비하고 비용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불필요하다. 약 2mm 미만의 길이들은 아토마이저 상에 바람직하지 못한 약한 홀딩과 불충분한 지지를 제공한다.
아토마이저(70)의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의 목적은, 유도 가열을 구동하는 작업 코일로부터의 자속의 효율적인 커플링을 위해 서셉터가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주어진 자속 밀도에 대해, 이러한 커플링은 서셉터와 코일 사이의 최소 분리, 및 서셉터와 그 코일 사이에 놓인 최소 구조적 피처들의 사용에 의해 가장 효과적이게 된다. 따라서, 증기 제공 시스템에서, 이를테면 저장조의 외부 벽에 의해 경계지어진 구역 내에서 전기 가열 엘리먼트의 보다 통상적인 위치들(환형 저장조의 내부 공간에서의 저항성 가열 엘리먼트에 대한 전형적 포지션)은 유도 가열에 적합하지 않으며, 이는 저장조의 존재는 코일과 서셉터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자기장을 차단하거나 자기장과 간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는 저장조 경계들 외부에서 서셉터를 취하고, 또한 서셉터/아토마이저의 단부를 다른 컴포넌트들에 대한 물리적 연결로부터 해방시켜서, 서셉터가 나선형 유도 작업 코일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 코일에 아주 근접해질 수 있고 이로써 자속의 효율적인 커플링이 가능해진다.
도 7 예에서,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는, 제1 단부(72)의 단부면(114)이 저장조 쪽을 향하는 소켓의 면과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소켓(104) 내로 삽입된다. 이 단부면(114)은, (예컨대, 유동 지향 부재 내의 액체 유동 채널을 통해) 저장조(50)로부터 전달된 액체(L)를 수용하고, 액체를 흡수하여 이를 아토마이저(70)의 제2 단부(74)를 향해 위킹함으로써 운반하여, 기화를 위한 서셉터 부분(112)의 가열 범위 내에 오게 한다.
도 8은 컴포넌트(106)의 소켓(104)에 홀딩된 외팔보형 아토마이저(70)의 대안적인 예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는 소켓(104) 내로 더 적은 거리로(less far) 삽입되어, 아토마이저(70)의 단부면(114)은 저장조(50) 쪽을 향하는 소켓(104)의 면과 에어로졸 챔버(82) 쪽을 향하는 소켓(104)의 면 사이의 중간 평면에 위치된다. 이전과 같이, 장착 또는 지지 부분(110)은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와 평면(108)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l1)를 갖지만, 이 경우에 길이(l1)는 소켓(104)의 깊이보다 더 짧다.
도 9는 컴포넌트(106)의 소켓(104)에 홀딩된 외팔보형 아토마이저(70)의 대안적인 예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는, 제1 단부(72)가 소켓(104)을 넘어 돌출되고 단부면(114)이 저장조 측에서 소켓(104) 외부에 위치되도록 소켓(104) 내로 더 삽입된다. 그러나, 이전과 같이, 장착 부분(110)의 일부가 소켓(104)의 외부(컴포넌트(106)의 재료에 의해 둘러싸여 있지 않음)에 있더라도, 길이(l1)의 장착 부분은 평면(108)과 제1 단부(72) 사이에 놓이는 아토마이저(70)의 부분으로 간주된다. 이 부분은 외팔보 부분의 길이(l2)와 비교하여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므로, 에어로졸 챔버 내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팔보형 아토마이저를 제공하는 것의 목적과 관련하여 장착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장착 부분(110)의 돌출 부분은 저장조(50)로부터 도달하는 액체(L)를 수용할 수 있는 아토마이저의 더 큰 표면적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셉터로의 액체 전달의 효율이 개선된다.
외팔보형 구성으로 아토마이저의 다양한 설계들이 활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다공성은 다공성 세라믹 컴포넌트 또는 엘리먼트의 사용에 의해 제공되며, 그 다공성 세라믹 컴포넌트 또는 엘리먼트는 저장조로부터 액체를 흡수하고 이를 위킹 또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서셉터 근처로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세장형 형상, 및 실질적으로 원형(이는 카토마이저의 조립 동안 특정 정렬에 대한 임의의 요건을 제거함), 또는 타원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갖는 다공성 세라믹 로드(rod)가 사용될 수 있다. 소켓은 대응하는 단면 사이즈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단지, 아토마이저가 필요에 따라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로드의 단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유사한 치수들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매칭되는 사이즈 및 형상은 저장조로부터 에어로졸 챔버 내로의 자유 액체(free liquid)의 누설을 제한하기 위한 더 양호한 밀봉을 제공할 것이다.
도 10은 다공성 세라믹 로드에 기반한 예시적인 아토마이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전과 같이, 세라믹 로드(116)는 아토마이저(70)의 전체 길이로 연장된다. 서셉터(100)는, 세라믹 로드(116)를 그의 외측 표면 주위로 감싸는 금속 층(122)으로서 구현된다. 금속 층(122)은, 예컨대 금속성 재료의 평면 시트로 형성된다. 시트는, 층이 세라믹 로드(116)의 외부 형상 및 표면을 따르게 하여, 로드(116)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밀착되게 하는 적합한 형상으로 롤링되거나, 접히거나, 또는 컬링(curl)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로드의 단부 표면(120)은 금속 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지만, 일부 예들에서는, 금속 층이 단부 표면(120)도 커버할 수 있다. 금속 층(122)이 세라믹 로드(116)의 제1 단부(72)를 커버하지 않아 커버되지 않은 부분이 남게 되고, 이 커버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아토마이저(70)는 지지 소켓에 열을 전달하지 않고 장착될 수 잇다. 금속 층(122)에는, 다공성 세라믹 로드(116) 내의 액체로부터 생성된 증기가 아토마이저(70)로부터 에어로졸 챔버(82) 내로 더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천공들 또는 다른 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도 10의 예시적인 아토마이저의 다양한 구성들의 횡단면도들을 도시한다. 각각은 이 횡단 평면에서 원형 형상을 갖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a는, 금속 층(122)이 (이를테면, 롤링된 금속 시트의 2개의 에지들을 시밍(seaming)함으로써) 그의 원주 주위에서 폐쇄되는 중공 튜브로서 구성되고, 이 중공 튜브 안으로 세라믹 로드(116)가 삽입될 수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b는, 금속 층(122)이 중공 튜브로서 다시 구성되지만, 금속 층(122)이 결합되지 않은 방식으로 중첩하고 그리고 튜브의 원주를 변경하기 위해 중첩 구역(124)에서 서로 자유롭게 슬라이딩하는 2개의 에지들을 포함하도록 시밍되지 않는 예를 도시한다. 이는 금속 시트를 튜브형 형상으로 롤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세라믹 로드(116)의 삽입의 용이함을 위해 튜브가 다소 확대되게 하며, 튜브는 튜브형 형상의 바이어싱 힘들 하에서 삽입 후 다시 수축되어, 로드에 대한 금속 층(122)의 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c는, 금속 튜브가 2개의 에지들을 갖는 유사한 예를 도시하며, 이 2개의 에지들은, 서로 결합되지는 않지만, 금속 튜브(122)가 로드(116)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도록 또한 중첩되지 않는다. 롤링된 금속 시트의 2개의 에지들 사이에 갭(126)이 존재한다. 또한, 갭은, 튜브가 아토마이저의 조립 동안 확대되게 하고 나중에 수축하여 로드(116)의 외부 표면과 접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갭은 증기의 빠져나감을 허용하여, 금속 시트의 천공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0a-도 10c의 예들은 대안적으로, 다공성 세라믹 로드 이외의 다공성 엘리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시트 층(122)의 중공의 튜브형 형상은, 기공들 또는 모세관 갭들을 갖는 흡수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묶인(bundled), 뭉쳐진(wadded), 직조된, 부직인 또는 섬유들(섬유질 재료)을 포함하는 재료와 같은 다공성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예컨대, 섬유질 재료는 오가닉 면(organic cotton)을 포함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0a-도 10c 예들 중 임의의 예에서, 서셉터(100)는 아토마이저의 지지 부분(110)과 외팔보 부분(112) 사이의 평면(108)까지 도달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소켓 재료로의 열 전달을 회피하기 위해 이 평면까지만 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소켓 재료가 서셉터(100)가 가열되는 온도들에서의 열 노출을 견딜 수 있다면, 서셉터는 이 평면(108)을 지나서, 가능하게는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액체의 유입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단부(72)에서의 세라믹 로드(116)의 단부 면(114)은 금속성 층에 의해 커버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어야 한다.
도 11은 도 3의 것과 유사한 아토마이저(70)의 추가적인 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아토마이저(70)는, 이전과 같이, 컴포넌트(106)의 소켓(104)에서 제1 단부(72)가 장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서셉터(100)는 원래 아토마이저(70)의 원하는 길이의 2배인 세장형의 평면형 금속 엘리먼트(128)를 포함하며, 그 세장형 평면 금속 엘리먼트(128)는 그의 2개의 짧은 단부들이 서로 인접해지게 하기 위해 그의 길이를 따라 대략 중간쯤에서 그의 폭이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접히거나 구부러진다. 이러한 인접한 짧은 단부들은 소켓(104) 내로 삽입되는 아토마이저(70)의 제1 단부(72)를 형성한다. 접힌 형상은 2개의 단부들에 외향 바이어스를 부여할 수 있고(이들은 평면형 엘리먼트의 펼쳐진(unfolded) 구성으로 바이어싱됨), 이로써 이들은 소켓(104)의 측면들에 대해 외측으로 눌려 아토마이저를 그의 장착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접힘부(fold)는 아토마이저(70)의 제2 단부(74)를 형성한다. 접힘부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된 2개의 절반부들은, 저장조로부터 서셉터(100)로의 액체(L)의 위킹을 위한 다공성 엘리먼트(130)를 홀딩하기 위한 볼륨, 공간 또는 개방 공동을 한정한다. 접힌 서셉터(100)의 2개의 절반부들 사이에 다공성 엘리먼트(130)가 효과적으로 샌드위칭된다. 공동의 개방 측들은 에어로졸 챔버(82) 내로의 증기의 빠져나감을 허용한다. 다공성 엘리먼트(130)는 도 10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섬유들 또는 섬유질 재료, 이를테면 면 또는 다공성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컴포넌트(106)의 소켓(104)에 제1 단부(72)가 다시 장착된 아토마이저(70)의 추가적인 예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아토마이저는 다공성 위킹 기능 및 서셉터 기능 둘 다를 제공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고, 세장형 모놀리식 엘리먼트로서 이러한 재료로 형성된다. 예컨대, 아토마이저는, 이를테면, 금속성 섬유들 또는 비드(bead)들을 함께 소결함으로써, 또는 메시 또는 그리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섬유들을 직조하거나(weaving) 또는 아니면 엔메싱(enmesh)함으로써, 다공성 구조에 형성되는 금속과 같은 전기 저항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 또는 그리드는 시트로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시트는 사이즈 및 형상대로 절단될 수 있고 그의 편평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접히거나, 롤링되거나, 또는 어떤 다른 형상으로 구부러 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는 에어로졸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외팔보형 아토마이저 주위에 배치된 인클로저를 포함하며, 인클로저는, 서셉터를 유도 작업 코일(90)의 작동 범위로 가져오기 위해 전력 컴포넌트(20)의 적절한 형상의 리세스 또는 공동(22)에 삽입된다. 인클로저 내부의 아토마이저는 나선형 코일 내부의 개방 공간에 삽입된다.
인클로저는 다수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인클로저는 아토마이저 주위의 에어로졸 챔버를 한정한다. 인클로저가 베이스에서 닫혀 있으면, 인클로저는, 기화되지 않았거나 또는 생성된 에어로졸로부터 응축된 임의의 자유 액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카토마이저로부터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인클로저는, 외팔보형 포지션에서, 저장조에 의해 점유된 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여, 카토마이저가 전력 컴포넌트로부터 분리될 때 잠재적으로 손상되기 쉬운 아토마이저를 보호한다. 그러나, 인클로저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외팔보형 아토마이저는 인클로저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3은, 외팔보형 아토마이저는 갖고 카토마이저 부분의 일부인 에어로졸 챔버 인클로저는 없는 증기 생성 시스템의 일부의 매우 단순화된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이전과 같이, 아토마이저(70)는 카토마이저(40)의 저장조(50)의 베이스에 있는 컴포넌트에 형성된 소켓(104)에 의해 외팔보형 방식으로 지지된다(대안적으로, 시스템은, 카토마이저 부분이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될 수 없는 에어로졸 생성 부분으로 구성되는 단일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컴포넌트(20)는 아토마이저(70)의 방향을 따라 그의 길이 방향 축으로 배열된 나선형 형상을 갖는 작업 코일(90)을 수용하는 리세스(80)를 갖는다. 서셉터(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아토마이저(70)의 외팔보형 부분은, 교류가 코일(90)을 통과할 때 유도 가열을 위한 작업 코일(90)의 나선 내부에 서셉터가 위치되도록 리세스(80)에 삽입된다. 리세스(80)와 코일(90)은 협력하여 아토마이저(70) 주위에 에어로졸 챔버를 형성한다. 코일(90)은 서셉터에 매우 근접할 수 있고, 코일과 서셉터 사이에 어떠한 개재 부품들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유도 가열의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예에 따른 증기 생성 시스템의 일부의 매우 단순화된 개략적인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에서와 같이, 카토마이저 부분(40)에 포함된 외팔보형 서셉터(70) 주위에는 인클로저가 없다. 이러한 설계는, 코일(90)이, 리세스 내부에 위치되기 보다는, 리세스(80)를 둘러싸도록 전력 컴포넌트(20)(카토마이저 컴포넌트의 부품들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음)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도 13의 배열과 상이하다. 따라서, 코일(90)과 서셉터는 하우징의 재료(두꺼울 필요는 없음)에 의해 분리되어 효율이 도 14의 예에 비해 다소 감소될 수 있지만, 코일은 임의의 액체 누출로부터 보호된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문제들을 처리하고 본 기술분야를 진보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의 방식으로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에 불과하고, 여기에만 국한되거나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고 이를 교시하기 위해서만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상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며,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적절하게,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장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3)

  1.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로서,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aerosolisable substrate material)를 홀딩하기 위한 저장조를 한정하는 저장조 하우징; 및
    상기 저장조로부터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가 기화를 위해 전달될 수 있는 세장형 아토마이저
    를 포함하며, 상기 아토마이저는 다공성을 갖고, 유도 가열을 위한 서셉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아토마이저는, 비지지 외팔보 부분(unsupported cantilever portion)을 갖는 외팔보형 어레인지먼트(cantilevered arrangement)로 장착 단부에서 지지되도록, 상기 아토마이저의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만 장착되어, 상기 서셉터가 저장조 하우징의 외부 경계에 대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마이저는,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길이가 l = l1 + l2이고, 길이(l1)를 갖는 장착 부분에 걸쳐서는 지지되고 길이(l2)를 갖는 외팔보형 부분에 걸쳐서는 지지되지 않도록 장착되며, 상기 l1은 상기 l의 실질적으로 15% 내지 40% 범위의 비율인,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1은 상기 l의 실질적으로 20% 내지 35% 범위의 비율인,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l1은 상기 l의 실질적으로 25%인,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마이저는 기화를 위해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서셉터로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서셉터에 인접한 다공성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엘리먼트는 세라믹 로드(ceramic rod)를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는 상기 외팔보 부분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이는 금속성 시트 층을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시트 층은 중공의 금속 튜브형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의 금속 튜브형 엘리먼트 내에 상기 세라믹 로드가 위치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엘리먼트는 섬유질 재료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셉터는 상기 섬유질 재료가 홀딩되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도록 형성화된 금속성 시트 재료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재료는 면(cotton) 또는 오가닉 면(organic cotton)을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토마이저는, 상기 다공성을 제공하는 것 및 상기 서셉터로서 동작하는 것 둘 다를 위해 구성된 다공성 전기 전도성 재료의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에어로졸 챔버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조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는 인클로저(enclosure)를 더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저장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저장조 하우징에 커플링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하우징에 또는 상기 저장조 하우징에 커플링된 컴포넌트에 형성된 소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토마이저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아토마이저의 장착 단부가 상기 소켓 내에 삽입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이 형성된 유동 지향 부재(flow directing memb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 지향 부재는, 상기 저장조 하우징에 커플링되어 상기 저장조를 밀봉하며, 그리고 상기 저장조로부터 상기 아토마이저로의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의 유동 및 공기 유동 통로로의 상기 아토마이저에 의해 형성된 에어로졸의 유동을 위한 채널을 갖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에어로졸화 가능한 기재 재료를 더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에어로졸 소스.
  1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소스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로졸 소스를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으로서,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코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아토마이저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외팔보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에어로졸 챔버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벽들 및/또는 상기 코일의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벽들에 의해 상기 아토마이저로부터 분리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기 위해, 전기 전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코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아토마이저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외팔보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에어로졸 챔버를 한정하는 하나 이상의 벽들 및/또는 상기 코일의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벽들에 의해 상기 아토마이저로부터 분리되는,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카트리지.
KR1020217029045A 2019-03-15 2020-03-11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Active KR102615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903539.3 2019-03-15
GBGB1903539.3A GB201903539D0 (en) 2019-03-15 2019-03-15 Atomiser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PCT/GB2020/050586 WO2020188244A1 (en) 2019-03-15 2020-03-11 Atomiser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547A KR20210125547A (ko) 2021-10-18
KR102615568B1 true KR102615568B1 (ko) 2023-12-19

Family

ID=66381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045A Active KR102615568B1 (ko) 2019-03-15 2020-03-11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2225940B2 (ko)
EP (1) EP3937691A1 (ko)
JP (1) JP7268824B2 (ko)
KR (1) KR102615568B1 (ko)
CN (1) CN113556951B (ko)
AU (1) AU2020243354B2 (ko)
BR (1) BR112021018366A2 (ko)
CA (1) CA3132096C (ko)
GB (1) GB201903539D0 (ko)
IL (1) IL285826B2 (ko)
MX (1) MX2021011225A (ko)
RU (1) RU2770767C1 (ko)
UA (1) UA129196C2 (ko)
WO (1) WO2020188244A1 (ko)
ZA (1) ZA2021062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0509D0 (en) * 2019-07-23 2019-09-04 Nicoventures Holdings Ltd Porpus element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US20240032597A1 (en) * 2020-12-03 2024-02-01 Philip Morris Products S.A. Cartridge of a stick-shaped aerosol-generating article for use with an inductively heating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3104661A1 (en) * 2021-12-06 2023-06-15 Jt International Sa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 susceptor and an annular airflow passage
JP7248156B1 (ja) 2022-01-24 2023-03-29 フジテック株式会社 待機型ブレーキを具えたエレベーター
US20250185709A1 (en) * 2022-03-14 2025-06-12 Jt International Sa A Cartridge for a Vapour Generating Device
CN116965590A (zh) * 2022-04-21 2023-10-3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溶胶生成装置
WO2023243880A1 (en) * 2022-06-17 2023-12-2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vaporiz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0116A1 (en) * 2014-05-12 2015-11-12 Loto Labs, Inc. Vaporizer device
US20170202266A1 (en) * 2016-01-20 2017-07-2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ontrol for an induction-based aerosol delivery device
JP2019010090A (ja) * 2017-06-30 2019-01-24 アベイル ベイパ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複合マイクロ気化器用ウ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5262A (en) 1991-03-11 1997-09-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Tubular heater for use in an electrical smoking article
CN201067079Y (zh)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US9854841B2 (en) * 2012-10-08 2018-01-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method
US8910640B2 (en) * 2013-01-30 2014-12-16 R.J. Reynolds Tobacco Company Wick suitable for use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UA117370C2 (uk) * 2013-07-03 2018-07-25 Філіп Морріс Продактс С.А. Система, що генерує аерозоль, багаторазового застосування
US10058129B2 (en) * 2013-12-23 2018-08-28 Juul Labs, Inc.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004263B2 (en) * 2014-03-07 2018-06-26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Electronic cigarette provided with accumulated E-liquid removal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TWI660685B (zh) * 2014-05-21 2019-06-01 瑞士商菲利浦莫里斯製品股份有限公司 電熱式氣溶膠產生系統及用於此系統中之匣筒
GB2529201A (en) * 2014-08-13 2016-02-17 Batmark Ltd Device and method
WO2016156213A1 (en) 2015-03-27 2016-10-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comprising a bimetallic strip
GB201511359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511349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GB201511361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511358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KR102596690B1 (ko) * 2015-10-22 2023-11-01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입자 및 이와 같은 입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형성 시스템
CN205197001U (zh) * 2015-11-25 2016-05-04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分体式雾化器、电子烟及便于更换的储液装置
US11717845B2 (en) 2016-03-30 2023-08-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Vaping device and method for aerosol-generation
RU2734382C1 (ru) * 2016-10-19 2020-10-15 Бритиш Америкэн Тобэкко (Инвестментс) Лимитед Индукцио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576424B2 (en) * 2017-04-05 2023-02-14 Altria Client Services Llc Susceptor for use with an inductively heated aerosol-generating device or system
GB201707805D0 (en) * 2017-05-16 2017-06-28 Nicoventures Holdings Ltd Atomiser for vapour provision device
KR102551450B1 (ko) * 2017-08-09 2023-07-06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서셉터 층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537701B1 (ko) * 2017-08-09 2023-05-30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원뿔형 유도 코일을 갖는 유도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CN108451045A (zh) * 2018-04-26 2018-08-28 株洲利德英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孔陶瓷电子烟加热器及其制备方法及电子烟
US20200128880A1 (en) * 2018-10-30 2020-04-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Smoking article cartridge
US11439189B2 (en) * 2020-04-28 2022-09-13 Rai Strategic Holdings, Inc. Mesh network charging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US20230056177A1 (en) * 2021-08-17 2023-02-23 Rai Strategic Holdings, Inc. Inductively heated aerosol delivery device consum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0116A1 (en) * 2014-05-12 2015-11-12 Loto Labs, Inc. Vaporizer device
US20170202266A1 (en) * 2016-01-20 2017-07-2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Control for an induction-based aerosol delivery device
JP2019010090A (ja) * 2017-06-30 2019-01-24 アベイル ベイパ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複合マイクロ気化器用ウ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2096A1 (en) 2020-09-24
RU2770767C1 (ru) 2022-04-21
EP3937691A1 (en) 2022-01-19
AU2020243354A1 (en) 2021-09-16
JP2022524317A (ja) 2022-05-02
MX2021011225A (es) 2021-10-22
JP7268824B2 (ja) 2023-05-08
AU2020243354B2 (en) 2022-09-29
US12225940B2 (en) 2025-02-18
UA129196C2 (uk) 2025-02-05
US20220202090A1 (en) 2022-06-30
KR20210125547A (ko) 2021-10-18
GB201903539D0 (en) 2019-05-01
CN113556951A (zh) 2021-10-26
ZA202106299B (en) 2025-01-29
IL285826A (en) 2021-10-31
WO2020188244A1 (en) 2020-09-24
NZ779367A (en) 2024-07-26
CA3132096C (en) 2023-10-31
IL285826B1 (en) 2024-10-01
IL285826B2 (en) 2025-02-01
CN113556951B (zh) 2024-11-15
BR112021018366A2 (pt)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5568B1 (ko)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아토마이저
KR102666948B1 (ko)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히터
KR102668780B1 (ko) 증기 제공 시스템을 위한 유동 지향 부재
AU2020242316B2 (en) Atomiser enclosure for a vapour provision system
RU2823148C2 (ru) Направля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потока для системы подачи пара, резервуар для удержания аэрозолируемого субстра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подачи пара, картридж для системы генерации пара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п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