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3039B1 -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039B1
KR102613039B1 KR1020190111023A KR20190111023A KR102613039B1 KR 102613039 B1 KR102613039 B1 KR 102613039B1 KR 1020190111023 A KR1020190111023 A KR 1020190111023A KR 20190111023 A KR20190111023 A KR 20190111023A KR 102613039 B1 KR102613039 B1 KR 10261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unit
pump
storage vessel
pressure
chamb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460A (ko
Inventor
빌헬름 호이브너
Original Assignee
에프티이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티이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프티이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03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B23/02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havin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04C15/0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10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2/00 - F04C14/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3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2/3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2/344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 F04C2/3446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more than one line or surface
    • F04C2/3447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4C2/02, F04C2/08, F04C2/22, F04C2/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s F04C2/08 or F04C2/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more than one line or surface the vanes having the form of rollers, slipp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0Fluid liquid, i.e. incompressible
    • F04C2210/206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10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9Lubricant s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이다.
펌프(2), 작동 유체용 저장 용기(6) 및 2개의 압력 출구(20)를 갖고,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 특히, 클러치 액츄에이터 또는 기어박스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으로서, 상기 작동 유체용 저장 용기(6)는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되고, 상기 펌프(2)의 제1 흡입 개구(44)는 하나의 챔버(40)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2)의 제2 흡입 개구(44)는 다른 하나의 챔버(42)에 배치되는, 펌프 유닛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PUMP UNIT FOR PROVIDING A HYDRAULIC PRESSURE FOR ACTUATING AN ACTUATOR IN THE DRIVE TRAIN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펌프, 작동 유체용 저장 용기 및 2개의 압력 출구를 갖고,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 특히, 클러치 액츄에이터 또는 기어박스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hydraulic pressure)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에 관한 것이다.
펌프 유닛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거나 조절되는 유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클러치를 전환하거나, 기어박스 액츄에이터의 경우, 특정 기어 단(certain gear stage)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개의 압력 출구 각각은 이중 클러치 기어박스(dual clutch gearbox)의 2개의 클러치 중 하나에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1 클러치는 1, 3, 5 및 7 기어 단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클러치는 2, 4, 6, 8 기어 단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 유닛의 동작 신뢰성(operational reliability)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펌프 유닛의 경우, 저장 용기가 2개의 챔버로 분할되고, 펌프의 제1 흡입 개구는 하나의 챔버에 배치되고, 펌프의 제2 흡입 개구는 다른 하나의 챔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회로에서 유압 누출이 발생한 경우, 이 회로만 건조됨으로써 동작 불능에 도달하고, 반면에 다른 하나의 회로는 이전과 같이 동작 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차량의 운전자가, 제한된 방식으로, 즉 짝수 또는 홀수 기어 단만으로, 차량을 계속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적어도, 차량을 번화가에서 주차 구역으로, 예를 들어, 포장 도로 또는 심지어 집 또는 차고지로 운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개구들이 대응하는 챔버의 베이스 부근에 배치된다. 이는 대응하는 챔버의 데드 볼륨을 줄이고, 이에 따라 작업 볼륨으로 사용 가능한 작동 유체의 볼륨을 증가시킨다.
저장 용기를 2개의 챔버로 분할하기 위해, 실질적인 수평 연장 격벽을 사용할 수 있고, 격벽은 수직 연장 단부 벽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저장 용기는 실질적인 수직 연장 격벽에 의해 2개의 챔버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격벽의 윤곽은 저장 용기의 외부 치수들이 대응하는 사양들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 용기의 정상 충전 레벨은 단부 벽 또는 격벽의 최상부 에지 위에 놓인다. 이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작동 유체들이 2개의 회로 사이에 교환되는 것이 보장된다. 누출량이 적은 경우, 초반에는 작동 유체를 유실한 회로가 단부 벽 또는 격벽의 최상부 에지 위의 공통 볼륨에서 작동 유체를 취할 수 있으므로, 동작 불능(failure)까지의 시간도 연장된다.
저장 용기가 콤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2개의 회로에 공통적이고 저장 용기에 포함되는 볼륨은, 단부 벽 또는 격벽의 최상부 에지와 정상 충전 레벨 사이에서, 단부 벽 또는 격벽의 최상부 에지까지 각각의 챔버 내에 각각 형성되는 별도의 볼륨들의 합보다 더 작다.
펌프의 짧은 흡입 경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저장 용기가 펌프 하우징에 직접 부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출구에서의 유압이 제어될 수 있는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제공되고, 솔레노이드 밸브들 중 하나는 저장 용기의 챔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는 다른 하나의 챔버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 유체에 의해 직접 냉각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나아가, 솔레노이드 밸브들은 환경적 요인(environmental influence)과 부식으로부터 보호된다. 작동 유체가 또한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기자를 둘러싸는 경우, 일정한 댐핑 동작(damping behaviour)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펌프 유닛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2는 도 1로부터의 펌프 유닛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3은 도 1로부터의 펌프 유닛을 측면도로 도시하고;
도 4는 도 3으로부터의 펌프 유닛을 제1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도 3으로부터의 펌프 유닛을 제2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6은 펌프 유닛의 유압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2개의 상이한 작동 상태에 대한 유압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 도 6으로부터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추가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도 6으로부터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9는 펌프 유닛에 사용된 필터들이 추가된 도 6으로부터의 회로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펌프 유닛에 사용되는 저장 용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저장 용기의 대안적인 구성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도 12는 저장 용기 내의 다양한 볼륨들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13은 펌프 유닛에 사용된 솔레노이드 밸브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4는, 작동 중 유체 흐름이 유입되는 도 13으로부터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하고;
도 15는, 압력 센서들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서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체 요소가 도시되어 있는 펌프 유닛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15으로부터의 도체 요소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도 17은 도 16으로부터의 도체 요소를 종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18은 도 16으로부터의 도체 요소를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19는 도체 요소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0은 압력 센서의 접촉 연결의 상세를 도시하고;
도 21은 펌프 유닛의 펌프를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 스트로크(actuating stroke)로 전환될 수 있는 유압(및 작동 유체 흐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펌프 유닛을 도시한다. 작동 스트로크는, 예를 들어, 클러치를 개방 또는 패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기어박스의 기어 단을 전환하거나 기어박스의 기어 단을 중립 위치로 가져 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필수 컴포넌트들(특히, 도 1 및 도 2 참조)로서, 펌프 유닛은 구동 모터(1); 펌프(2); 전자 제어 시스템(3);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4); 공통 하우징에 수용되는 2개의 압력 센서(5); 및 저장 용기(6)를 구비한다.
펌프 유닛의 중심 컴포넌트는 솔레노이드 밸브(4)들이 장착되고 저장 용기(6)도 장착되는 펌프 하우징(7)이다. 압력 센서(5)도 펌프 하우징(7)에 장착된다.
저장 용기(6)의 반대측의 면에, 전자 하우징(8)이 펌프 하우징(7)상에 장착되고, 상기 전자 하우징은 첫째로 전자 제어 시스템(3)을 수용하고, 둘째로 전기 모터(1)의 고정자를 포함한다. 전자 하우징(8)상에 커버(9)가 장착되고, 상기 커버는 전자 제어 시스템(3)을 폐쇄하고 전자 제어 시스템(3)으로부터 손실된 열을 환경으로 소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및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4)들은 저장 용기(6) 내에 배치된다.
전기 모터(1)는 펌프(2)가 구동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brushless electric motor)이다.
펌프(2)는 회전 베인(rotary vane) 요소(14)가 각각 배치된 복수의 챔버(12)를 갖는 회전자(10)를 구비한 회전 베인 펌프(도 21 참조)이다. 회전 베인 요소(14)들은 원통형 롤러이다. 따라서 펌프는 롤러 베인 펌프(roller vane pump)이다.
원통형 롤러는 원주 방향으로 가변적인 볼륨을 규정하는 고정자(16)의 내부 윤곽선 상에서 롤링된다. 따라서, 회전자(10)를 360 ° 만큼 회전시키는 동안, 각각의 회전 베인 요소는 일련의 흡입 영역(intake region) A 및 압력 영역(pressure region) D를 두 번 통과한다. 따라서, 펌프는 2개의 흡입 연결부 및 2개의 압력 출구를 구비한다.
펌프(2)의 2개의 독립적인 압력 출구 D로 인해, 펌프 유닛이 마찬가지로 서로 독립적인 2개의 압력 출구(20)를 구비한다.
펌프는 각각의 압력 출구에 대해 존재하는 것으로 후술될 모든 컴포넌트에 의해 대칭적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후술될 때, 이는 각각의 압력 출구에 대해 하나가 존재하기 때문에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적용된다.
이제 펌프 유닛의 기본 동작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펌프 유닛은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펌프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유압이 제공되는 2개의 압력 출구(20)를 구비한다.
역류 방지 밸브(22)는 펌프(2)의 각각의 압력 출구 D의 하류(downstream)에 배치된다. 역류 방지 밸브(22)는 고무로 만들어진 밸브 시트(valve seat)를 구비한다.
솔레노이드 밸브(4)의 입구(24)는 역류 방지 밸브(22)의 출구의 하류에 위치된다. 압력 센서(5)에서 측정된 실제 압력과 희망 압력(desired pressure)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4)들 각각은 희망하는 유압이 펌프 유닛의 압력 출구(20)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초과 작동 유체는 회수 라인(return line)(26)에 의해 저장 용기(6) 내로 직접 다시 안내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들은 비례 밸브로서 설계되고, 밸브 요소로서, 밸브 시트와 함께, 볼(ball)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 밸브(4)는 폐쇄 상태에서 누출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도 7의 우측은 우측 압력 출구(20)에 유압이 제공되지 않도록 의도된 상태에서의 유체 흐름을 도시한다.
모든 작동 유체는 펌프(2)의 압력 출구 D로부터 솔레노이드 밸브(4) 내로 가서 회수 라인(26)을 통해 저장 용기(6)로 다시 펌핑되고; 따라서 펌프는 순환하여 작동한다.
도 7의 좌측은 펌프 유닛의 압력 출구(20)에 조절 유압(regulated hydraulic pressure)이 제공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4)는, 실제 압력이 희망하는 압력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전자 제어 시스템(3)에 의해 작동된다.
도 8은 펌프(2)가 정지된 상태의 펌프 유닛을 도시한다. 우측의 솔레노이드 밸브(4)는 개방되어 있고, 그에 따라 우측 압력 출구(20)에는 압력이 없다.
대조적으로, 좌측 압력 출구(20)는, 솔레노이드 밸브(4)가 완전히 폐쇄되기 때문에, 차단된다. 그러므로, 압력 출구(20)의 하류에 형성된 유압은 펌프(2)가 더 작동되지 않더라도 유지될 것이다.
펌프 유닛 내에서 사용되는 필터들은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펌프 유닛으로부터 불순물들을 멀리 유지하는 개념의 본질적 특징은 어떤 흡입 측 필터(suction-side filter)도 사용되지 않고; 모든 필터는 압력 측에 배치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펌프는 저장 용기(6)로부터 직접 흡인한다.
제1 필터(30)는 펌프(2)의 대응하는 압력 출구(corresponding pressure outlet)의 하류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는, 불순물들이 솔레노이드 밸브(4)로 전달되기 전에, 상기 불순물들을 작동 유체로부터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 유체의 상당 부분이 펌프(2)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로 안내되고 거기로부터 회수 라인(26)을 통해 저장 용기(6)로 안내되기 때문에, 2개의 필터(30)를 통해, 작동 유체의 내부 순환으로 인해, 불순물들이 작동 유체로부터 연속적으로 필터링되는 것이 보장된다.
제2 필터(32)는 솔레노이드 밸브(4)의 하류이지만 여전히 압력 출구(20)의 상류에 제공된다. 상기 필터는 불순물들이 펌프 유닛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불순물들은, 특히, 라인들과 액츄에이터의 원래의 오염(soiling)들과 펌프 유닛에 의해 작동 유체가 제공되는 액츄에이터로부터의 마모(abrasion)다.
필터들(30, 32)은, 세정 또는 교체할 필요 없이, 펌프 유닛의 전체 서비스 수명에 걸쳐 유효하도록 구성된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필터들은 65mm2의 크기 정도의 단면을 갖는다. 필터들의 메쉬 폭(mesh width)은 0.1mm의 크기 정도이다.
저장 용기(6)에는, 충전 개구(filling opening)(33)를 통해 저장 용기(6) 내로 채워지는 임의의 작동 유체가 충전 필터(34)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충전 필터(34)가 제공된다.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필터(34)는 0.3mm의 크기 정도의 메쉬 폭을 갖고, 상기 충전 필터를 구성하는 재료는 0.2mm의 크기 정도의 직경을 갖는다. 충전 필터(34)를 통해, 외부로부터 저장 용기(6) 내로 어떤 불순물도 유입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저장 용기(6)는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되고, 각각의 챔버(40, 42)에는 펌프(2)의 흡입 연결부 A로 이어지는 흡입 개구(44)가 배치된다. 저장 용기(6)의 내부 볼륨을 2개의 별도의 챔버(40, 42)로 분할하는 것에 의해, 유압 회로들 중 하나에서 누출이 있을 때마다, 다른 하나의 유압 회로에서 특정 잔류 볼륨(certain residual volume)이 여전히 이용 가능하고, 이로 인해 비결함 유압 회로(nondefective hydraulic circuit)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전자는, 제1 유압 회로의 고장(failure)에 대한 경고를 수신한 후에도, 예를 들어, 듀얼 클러치 기어박스(dual clutch gearbox)의 경우에, 클러치 및 이와 관련된 기어박스 전환 단이 여전히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을 주차 구역(parking bay) 또는 주차 공간으로 여전히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저장 용기(6)를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하기 위해, 수직 연장 단부 벽(48)(도 10 참조)을 갖는 실질적인 수평 연장 격벽(46), 또는 실질적인 수직 연장 격벽(50)(도 11 참조)을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챔버(40, 42)는, 대응하는 흡입 개구(44) 아래의 볼륨에 대응하는 데드 볼륨(dead volume) T를 갖는다. 작업 볼륨(working volume) W는 데드 볼륨 위에 위치된다. 상기 작업 볼륨 W은 단부 벽(48) 또는 격벽(50)의 최상부 에지(uppermost edge)에 의해 결정된다. 공통 작업 볼륨(common working volume) GW는 작업 볼륨 W 위에 위치된다.
공통 작업 볼륨 GW가 0으로 떨어질 때마다 유압 회로들이 서로 분리되고, 각각의 유압 회로만 여전히 자체 작업 볼륨 W으로부터 흡인을 행한다.
도 2, 도 4 및 도 5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4)들은 저장 용기(6) 내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챔버(40, 42)에 배치된다.
솔레노이드 밸브(4)들 각각은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4)의 컴포넌트들을 둘러싸는 하우징(60)(도 13 참조)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 밸브(4)는 역류 방지 밸브(62), 밸브 시트(64), 밸브 요소(66), 전기자(68) 및 코일(70)을 구비한다. 작동 유체는 흡입부(72)(도 14 참조)를 통해 펌프 유닛의 압력 출구(20)로 흐르거나, 밸브 시트(64)와 밸브 요소(66) 사이의 개구 단면(opening cross section)을 통해 회수 라인(26)으로 흐른다.
구체적인 특징은 회수 라인(26)으로의 경로가 하우징(60)의 내부를 통해 이어진다는 점에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대응하는 복귀 출력(corresponding return output)(67)은 도 14에서 수직 하향 지시 화살표로 표시되고, 복귀 출력은 밸브 시트 뒤에서 시작하여 하우징(60) 내의 공간으로 이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4)의 복귀 출력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 하우징(60)과 코일(70) 사이에 존재하는, 포위(encircling), 특히, 환형 자유 공간(74)이 작동 유체로 완전히 플러싱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밸브(4)에 통합된 역류 방지 밸브(62)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역류 방지 밸브(22)에 대응한다.
더 구체적인 특징은, 전기자(68)와 코일(70)에 삽입된 베어링(76)과 솔레노이드 밸브 하우징 사이에 존재하는 베어링 갭이 마찬가지로 작동 유체로 완전히 플러싱된다는 점에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4)의 더 구체적인 특징은, 회수 라인(26)으로의 경로가 개방 밸브 시트 및 밸브 요소로부터 임의의 입자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자기 세정(self-cleaning)된다는 점에 있다.
압력 센서(5)들이 전자 제어 시스템(3)에 연결되는 방법에 대해 이제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여전히 이런 목적을 위해 사용되지만, 도 15 내지 도 20에 따른 구성의 경우, 본질적으로 안정한 2개의 도체 요소(80)가 사용된다. 각각의 도체 요소(80)는, 예를 들어, 스프링 브론즈로 구성되는 3개의 전기 도체를 포함한다. 도체(82)들은, 플라스틱으로, 특히, 인서트 몰딩되어(insert moulded) 둘러싸여, 도체 요소(80)가 형성된다.
도체(82)들은, 압력 센서(5)를 향한 측면에서 거의 180 °만큼 구부러져서, 스프링 접촉부(86)들이 형성된다. 스프링 접촉부는 압력 센서와의 대응하는 연결 접촉부에 대해 스프링 탄성 방식으로(in a spring-elastic manner) 놓여 전기 접촉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도 20 참조).
압력 센서(5)는 다양한 시일(114)들에 의해 도체 요소(80)와 면하지 않는 측에서 밀봉된다.
반대쪽 종단에서, 전기 도체(82)들은 전자 제어 시스템(3)이 구성되는 인쇄 회로 기판(90)의 플러그에 삽입될 수 있는 접촉 핀(88)들로서 설계된다.
도체 요소(80)는, 전자 하우징(8)의 리드 스루(92)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90)으로부터 펌프 하우징(7)의 리셉터클(receptacle)(94) 내로 연장된다. 도체 요소(80)는 리드 스루(92)와 리셉터클(94) 양쪽에 대해 밀봉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리드 스루(leadthrough)(92) 내를 밀봉하는 2개의 시일(96, 98)이 제공되고, 리셉터클(94)에 대해 밀봉하는 시일(100)이 제공된다.
시일(96, 98, 100)들은 도체 요소(80)상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수용 그루브들(102, 104, 106)에 수용되는 O 링들이다.
도 19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서, 시일들을 위해 총 4개의 리셉터클이 사용된다.
도체 요소(80)에는, 해당 도체 요소(8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110)이 제공되고, 상기 채널은, 특히, 리셉터클(94)에 배치된 측면, 즉 압력 센서(5)에 할당된 측면으로부터, 시일(96, 98)들 사이의 리세스(112) 내로, 즉 리드 스루(92) 내로 이어진다.
채널(110)은, 2개의 도체 요소(80)가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 특히, 시일(96, 98, 100)들이 희망하는 방식으로 밀봉하는지를 적은 비용으로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
시험은 압력 센서들의 영역에 부압이 가해 지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짧은 정착 시간 후, 적용된 부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또는 압력이 상승하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이는 모든 시일이 희망하는 방식으로 밀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압이 낮아지면, 이는 시일들 중 적어도 하나가 올바르게 밀봉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올바르게 밀봉하고 있지 않는 것이 시일(96)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가 인쇄 회로 기판(90)의 영역으로부터 리드 스루(92) 내로 흡입되어 리세스(112)를 통해 채널(110) 내로 흡입된다. 또한, 그것은 시일(98)이 밀봉하고 있지 않고, 그에 ‹x라 주변 공기(ambient air)가 리드 스루(92)와 리셉터클(94)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리세스(112)를 향해 흡입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결국, 그것은 시일(100)이 밀봉을 제공하지 않고, 그에 따라 주변 공기가 리셉터클(94)을 통해 압력 센서(5)의 영역을 향해 흡입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Claims (10)

  1. 펌프(2), 작동 유체용 저장 용기(6) 및 2개의 압력 출구(20)를 갖고,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으로서, 상기 저장 용기(6)는 펌프 하우징(7)에 직접 부착되고, 상기 저장 용기(6)는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되고, 상기 펌프(2)의 제1 흡입 개구(44)는 하나의 챔버(40)에 배치되고, 상기 펌프(2)의 제2 흡입 개구(44)는 다른 하나의 챔버(42)에 배치되는, 펌프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개구(44)들은 대응하는 챔버(40, 42)의 베이스 부근에 배치되는, 펌프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6)는 실질적인 수평 연장 격벽(46)에 의해 상기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되고, 상기 격벽(46)은 수직 연장 단부 벽(48)을 갖는, 펌프 유닛.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6)는 실질적인 수직 연장 격벽(50)에 의해 상기 2개의 챔버(40, 42)로 분할되는, 펌프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6)의 정상 충전 레벨(normal filling level)은 상기 단부 벽(48)의 최상부 에지 위에 놓이는, 펌프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2개의 회로에 공통적이고 상기 저장 용기(6)에 포함된 볼륨(GW)은, 상기 단부 벽(48)의 최상부 에지와 상기 정상 충전 레벨 사이에서, 상기 단부 벽(48)의 최상부 에지까지 각각의 챔버(40, 42) 내에 각각 형성된 별도의 볼륨(W, T)의 합보다 더 작은, 펌프 유닛.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출구(20)에서의 유압이 제어될 수 있는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4)가 제공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들 중 하나는 상기 저장 용기(6)의 챔버(40)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 밸브(4)는 다른 하나의 챔버(42)에 배치되는, 펌프 유닛.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6)의 정상 충전 레벨은 상기 격벽(50)의 최상부 에지 위에 놓이는, 펌프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2개의 회로에 공통적이고 상기 저장 용기(6)에 포함된 볼륨(GW)은, 상기 격벽(50)의 최상부 에지와 상기 정상 충전 레벨 사이에서, 상기 격벽(50)의 최상부 에지까지 각각의 챔버(40, 42) 내에 각각 형성된 별도의 볼륨(W, T)의 합보다 더 작은, 펌프 유닛.
  10. 삭제
KR1020190111023A 2018-09-12 2019-09-06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Active KR102613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2306.4A DE102018122306A1 (de) 2018-09-12 2018-09-12 Pumpenaggregat zur Bereitstellung eines Hydraulikdrucks zur Betätigung eines Aktors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122306.4 201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460A KR20200030460A (ko) 2020-03-20
KR102613039B1 true KR102613039B1 (ko) 2023-12-15

Family

ID=6785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023A Active KR102613039B1 (ko) 2018-09-12 2019-09-06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23621B1 (ko)
KR (1) KR102613039B1 (ko)
CN (1) CN110894832B (ko)
DE (1) DE102018122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2260A1 (de) 2020-08-26 2022-03-03 Fte Automotive Gmbh Pumpenaggregat, insbesondere für ein Getriebe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5388A (en) * 1972-10-25 1976-08-11 Thomas K H Plunger or piston pump having plungers or pistons which are opposed-acting sampling arrang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27354D0 (en) * 1984-10-30 1984-12-05 Hobourn Eaton Ltd Rotary pumps
IT1187903B (it) * 1986-02-11 1987-12-23 Weber Spa Valvola a comando elettromagnetico a tre vie per un circuito idraulico
JP2531471Y2 (ja) * 1990-06-14 1997-04-02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ポンプ装置
US6098403A (en) * 1999-03-17 2000-08-08 Husco International, Inc. Hydraulic control valve system with pressure compensator
DE102011105648A1 (de) * 2011-06-07 2012-12-13 Fte Automotive Gmbh Hydraul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ie Betätigung von Kupplungen in insbesondere einem Mehrkupplungsgetriebe für Kraftfahrzeuge
CN103649534B (zh) * 2011-07-06 2016-07-06 森西勒Pat股份公司 液体分配系统
JP5755113B2 (ja) * 2011-11-25 2015-07-2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ポンプ装置
DE102012010172A1 (de) * 2012-05-15 2013-11-21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Aktuator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Antriebsstrang
US9500206B2 (en) * 2013-11-18 2016-11-22 Warner Electric Technology Llc Fluid pump for a linear actuator
KR101610197B1 (ko) * 2014-11-18 2016-04-08 주식회사 프로텍 압전 공압 밸브 구동형 디스펜싱 펌프 및 이를 이용한 용액 디스펜싱 방법
JP6532104B2 (ja) * 2015-09-30 2019-06-1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圧制御装置およびブレーキシステム
JP6761776B2 (ja) * 2017-04-25 2020-09-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WO2020178473A1 (en) * 2019-03-06 2020-09-10 Wärtsilä Finland Oy Pump module and piston eng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5388A (en) * 1972-10-25 1976-08-11 Thomas K H Plunger or piston pump having plungers or pistons which are opposed-acting sampling arrang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3621B1 (en) 2023-08-23
KR20200030460A (ko) 2020-03-20
DE102018122306A1 (de) 2020-03-12
CN110894832B (zh) 2023-06-16
CN110894832A (zh) 2020-03-20
EP3623621A1 (en)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0021B1 (ko)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KR102367751B1 (ko) 액추에이터
KR102198076B1 (ko) 클러치의 작동을 위한 유압 장치
US8882480B2 (en) Oil pump with air vent structure
KR100694353B1 (ko) 차량, 바람직하게는 모터 차량의 기어 박스용 전자-유압제어장치
JP2011058499A (ja) モータ−ポンプユニット
CN108431412B (zh) 液压装置
KR102613039B1 (ko)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KR102611431B1 (ko) 자동차의 구동 트레인에서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펌프 유닛
CN107178603A (zh) 变速器的排气结构
CN111120240A (zh) 一种潜水泵
JP4341348B2 (ja) ブレーキ用液圧制御装置
KR102460492B1 (ko) 오버플로를 갖는 정유압 클러치 액추에이터
KR101671157B1 (ko) 차량용 워터 밸브
CN209813700U (zh) 电动汽车、一体化动力总成及其外壳
CN106687691A (zh) 液压泵单元和组装液压泵单元的方法
CN203477402U (zh) 挡板阀
CN111485389B (zh) 用于洗衣机的排水阀组件和洗衣机
KR100988699B1 (ko) 모듈화된 직동력 고응답 유압 엑츄에이터 시스템
JP6459549B2 (ja) 車両用制動装置
KR20230133137A (ko) 유압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JP2016023634A (ja) オイルポンプおよび車両用油圧回路
KR200409463Y1 (ko) 양방향 모터펌프
CN106884907A (zh) 用于双离合变速器的液压系统的阀组
JP2010236515A (ja) 負圧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