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2434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434B1
KR102612434B1 KR1020220172612A KR20220172612A KR102612434B1 KR 102612434 B1 KR102612434 B1 KR 102612434B1 KR 1020220172612 A KR1020220172612 A KR 1020220172612A KR 20220172612 A KR20220172612 A KR 20220172612A KR 102612434 B1 KR102612434 B1 KR 102612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gas
shock
modular
impact energy
under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규
신현섭
문재흠
김성욱
강재윤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7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4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8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transmission of vibrations or movements in the foundation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지하의 저장구조물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폭발압력)로 인해 외부 벽체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는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하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및 가스시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벽체;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
상기 외부 벽체와 희생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포스트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module type damping device for shock absorbing of concrete structure}
본 명세서는 모듈형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하의 저장구조물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폭발압력)로 인해 외부 벽체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방벽은 금속 재질로 제공된 내측 방벽, 외측 방벽 및 내측 방벽과 외측 방벽 사이에 제공되고 단열 성질을 가지는 스페이서(spacer)가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외측 방벽이 시공되고 외측 방벽의 상면에 스페이서가 결합되고, 이후 스페이서의 상부에 내측 방벽이 결합되는 순서로 시공된다.
한편, 기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보강은 지진이 비교적 많이 발생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철골 프레임과 층간변위 증폭토글이 포함된 유압댐퍼를 이용한 제진보강공법, 철골 프레임에 K브레이스가 설치된 제진보강공법등 시스템화된 다양한 제진 보강공법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도 철골 프레임 및 층간변위증폭 토글이 포함된 강재댐퍼를 이용한 제진보강 시스템들이 국내 환경에 맞도록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제진 시스템화된 내진보강공법들은 지금까지의 재래식 내진보강공법(각종 섬유시트를 보강공법, 강판보 강공법, 내력벽 증설보강공법 등)에 비교하여 지진 발생 시 제진 성능이 우수하여 지진 발생 시 대상 건물의 변형을 최대한 제어함으로써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성, 경제성 및 외관적 디자인 또한 우수하여 지진으로 인한 국가 재난 방재에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내부에서 폭파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조물 또는 지진에 따른 충격이나 소음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편,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댐퍼 구조로서 기계식 댐퍼와 구조적 댐퍼로 구분된다.
기계식 댐퍼(일 예로서, 탄성스프링 또는 유체 저항을 이용한 충격완화장치임)는 댐퍼의 축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대해서만 유효한 성능을 보이고, 댐퍼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적 기구가 필요하게 되며, 댐핑성능 유지를 위해 정기적인 사후유지관리가 요구되는 단점을 갖는다.
구조적 댐퍼는 허니컴 구조로 대표되는 격자형 구조의 파괴 또는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메카니즘으로, 박판의 판재를 격자 형태로 가공하기가 어렵고, 급격한 충격량이 좁은 면적에 작용할 경우에는 충격 에너지 흡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10-1792700호(2017.11.3)에 방벽 시공 방법이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에 대한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가 댐퍼(damper)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분산 또는 흡수되어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댐핑장치를 설치후 성능 유지를 위해 사후유지관리가 불필요하게 되고, 댐핑장치를 크기와 성능별로 규격화 및 모듈화시켜 내충격 제품으로 제조하며, 광범위한 면적에 걸쳐 충격 흡수 능력이 요구되는 시설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하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및 가스시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벽체;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
상기 외부 벽체와 희생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포스트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적용되고,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소정위치에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처리하여 외부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벽체에 볼트의 일단을 매립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의 네모서리에 포스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모듈형 댐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듈형 댐퍼의 포스트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모듈형 댐퍼를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단계;
상기 모듈형 댐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희생부재에 상기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덮개 강판에 안착되어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맞대어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1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맞대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탄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2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충격흡수용 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폼 블록 또는 탄성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는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장공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희생부재 및 모듈형 댐퍼는 상기 외부 벽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모듈형 댐퍼 및 희생부재를 관통하는 쓰레드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에 대한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가 댐퍼의 완충작용으로 인해 분산 및 흡수되어 외부 벽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댐핑장치를 설치후 성능 유지를 위해 사후유지관리가 불필요하여 이에따른 인건비용을 줄일 수 있고, 댐핑장치를 크기와 성능별로 규격화 및 모듈화시켜 내충격 제품으로 제조하며, 광범위한 면적에 걸쳐 충격 흡수 능력이 요구되는 시설물(방폭 구조물 등)에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의 방호구조물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호구조물에 시설물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댐핑장치에서, 수용공간 내부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폭발에너지 유동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b)는 도 1에 도시된 댐핑장치의 도면,
도 5(a,b)는 도 4(a,b)에 도시된 댐핑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댐핑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댐핑장치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댐핑장치의 설치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a,b)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방호구조물을 실험 및 구조 해석한 것으로,
a는 콘크리트패널의 소성파괴를 고려할 수 있는 damage plasticity model을 적용시킨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
b는 덮개강판은 탄소성 모델을 적용시킨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a,b)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방호구조물을 실험 및 구조 해석한 것으로,
a는 충격흡수용 강판의 소성변형 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
b는 콘크리트패널의 소성변형 에너지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a,b,c)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방호구조물의 댐핑 성능을 평가한 것으로,
a는 방호구조물에 8 MPa 충격에너지가 발생시 콘크리트패널의 파괴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픽 도면,
b는 방호구조물에 4 MPa 충격에너지가 발생시 콘크리트패널의 파괴양상을 나타내는 그래픽 도면,
c는 방호구조물에 4 MPa 충격에너지가 발생시 충격흡수용 강판의 응력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픽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2(a,b,c)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는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에 대한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표면(GL)으로부터 지하 수m에 형성되고, 압축가스 또는 액화수소 상태의 수소 저장용 설비 및 수소 튜브 트레일러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10)을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11), 천장(slab)(12) 및 측벽(13)(side wall)을 포함하며, 통상의 콘크리트처리되는 외부 벽체(14);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15)(일 예로서, 통상의 발포 콘크리트처리되는 콘크리트패널을 말하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외부 벽체(14)와 희생부재(15)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가스시설물(일 예로서, 압축가스 또는 액화수소 상태의 수소 저장용 설비 및 수소 튜브 트레일러를 말함)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금속재의 복수개의 충격분산형 포스트(16)(일 예로서, 하나의 모듈에 4개가 사용됨)에 의해 지지하고, 수용공간(10)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외부 벽체(1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18)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에 대한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적용되고,
지표면(GL)으로부터 지하 수m 소정위치에 바닥부(11), 천장(12) 및 측벽(13)을 포함하는 수용공간(10)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처리하여 외부 벽체(14)를 형성하는 단계(S10);
외부 벽체(14)에 볼트(일 예로서, 쓰레드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26)의 일단을 매립시켜 고정하는 단계(S20);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8)의 네모서리에 포스트(16)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모듈형 댐퍼를 형성하는 단계(S30);
모듈형 댐퍼의 포스트(16) 내부를 관통하는 볼트(26)에 의해 모듈형 댐퍼를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단계(S40);
모듈형 댐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희생부재(15)(콘크리트패널)에 볼트(26)를 관통시켜 너트(27)로 체결하는 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충격흡수부재(18)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19,20)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post)(일 예로서, 압축가스 또는 액화수소 상태의 수소 저장용 설비 및 수소 튜브 트레일러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강관이 사용될 수 있고, 이들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16);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는 덮개 강판(21;21a,21b);
덮개 강판(21)에 안착되고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pocket)(일 예로서, 원통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22)이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충격흡수부재(18)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19,20)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16);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21;21a,21b);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22)이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충격흡수부재(18)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19,20)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16);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21;21a,21b);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탄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1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22)이 맞대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23);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2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충격흡수용 강판(23)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통상의 폼(foam) 블록 또는 탄성블록(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4b,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포스트(16)는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장공(25)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희생부재(15) 및 모듈형 댐퍼는 외부 벽체(14)에 일단이 매립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모듈형 댐퍼 및 희생부재(15)를 관통하는 통상의 쓰레드볼트(threaded bolt)(2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a,b,c)에서와 같이, 지표면(GL)으로부터 지하 수m에 형성되고, 압축가스 또는 액화수소 상태의 수소 저장용 설비 및 수소 튜브 트레일러 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될 경우, 바닥부(11), 천장(12) 및 측벽(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형성된 희생부재(콘크리트패널)(15)와, 외부 벽체(14)와 희생부재(15)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모듈형 댐퍼의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외부 벽체(1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술한 수용공간(10)에 수용되는 수소가스 저장용 고정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운영 및 관리되고 있는 평상시에는 희생부재(15)를 통해 전달되는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모듈형 댐퍼를 이루는 충격흡수부재(18)의 강성을 갖는 복수의 포스트(16)에 의해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지하 폐쇄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이 발생될 경우에 폭발 압력(즉 폭풍 압력을 말함)이 사각형태의 수용공간(10)의 내부 모서리에 집중하기 때문에 수용공간(10) 내부의 각 코너부에 별도로 완충메카니즘을 부가할 수 있다.
전술한 수용공간(10) 내부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될 경우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폭발압력을 말함)로 인해 희생부재(15)가 크랙 발생으로 인해 1차적으로 파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지하 구조물 내에서 누출된 수소가스가 밀폐된 수용공간(10) 내부에서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희생부재(15)와 외부 벽체(14)사이에 형성된 모듈형 댐퍼를 이루는 충격흡수부재(18)의 충격분산형 포스트(16)가 파손될 수 있다. 이때 포스트(16)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25)에 의해 포스트(16) 파손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 내부에서 수소가스가 폭발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로 인해 충격분산형 포스트(16)가 파손됨에 따라 모듈형 댐퍼를 이루는 충격흡수부재(18)가 소성변형됨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소가스 폭발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가 외부 벽체(14)에 전달되어 파괴시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도 4b,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희생부재(15)와 외부벽체(14)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부재(18)를 이루는 축격흡수용 강판(23)에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된 충격흡수형 포켓(22)의 구조적 변형(소성변형됨을 말함)됨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시킴에 따라 외부 벽체(1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희생부재(15)와 외부벽체(14) 사이에 형성된 충격흡수부재(18)를 이루는 축격흡수용 강판(23)에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된 충격흡수형 포켓(22)의 구조적 변형(소성변형)됨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포스트(16)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탄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2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충격흡수용 강판(23)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통상의 폼(foam) 블록 또는 탄성블록(24)의 탄성변형됨에 의해 충격 에너지를 2차적으로 흡수, 분산시켜 외부 벽체(1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에 대한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적용되고,
S10에서와 같이, 지표면(GL)으로부터 지하 수m 소정위치에 바닥부(11), 천장(12) 및 측벽(13)을 포함하는 수용공간(10)을 형성하도록 통상의 콘크리트시공에 의해 외부 벽체(14)를 형성한다.
S20에서와 같이, 전술한 외부 벽체(14)에 통상의 볼트(일 예로서, 쓰레드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26)의 일단을 매립시켜 고정한다.
S30에서와 같이, 전술한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누출된 수소가스가 수용공간(10) 내에서 폭발시 발생되는 폭발압력에 의해 소성변형됨에 따라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18)의 네모서리에 내부가 비어 있는 포스트(16)(일 예로서,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폭발압력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모듈형 댐퍼를 형성한다.
S40에서와 같이, 전술한 모듈형 댐퍼의 내부가 비어 있는 포스트(16)를 관통하는 볼트(26)에 의해 모듈형 댐퍼를 외부 벽체(14)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배치한다.
S50에서와 같이, 전술한 모듈형 댐퍼의 외측면에 희생부재(15)(일 예로서, 발포콘크리트재로 형성됨)를 밀착시키되, 볼트(26) 간격으로 미리 관통형성된 희생부재(15)의 결합공(도면부호 미 표기)에 볼트(26)를 관통시키고, 결합공 개구부에 고정판(28)을 안착시켜 너트(27)로써 체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벽체(14)에 일단이 매립되어 외팔보 형태로 고정된 볼트(26)에 모듈형 댐퍼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포스트(16)의 관통공을 결합시킨 후, 모듈형 댐퍼 외측면에 희생부재(15)를 밀착시키되, 희생부재(15)에 볼트(26)에 대응되게 형성된 결합공에 볼트(26)를 관통시켜 너트(27)를 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벽체(14)에 희생부재(15)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기둥 또는 지지구조물이 필요하지않게 된다.
도 10a, 도 10b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방호구조물인 희생부재(15)(콘크리트패널을 말함)(일 예로서, 두께가 150mm로 형성), 충격흡수용 강판(23)(일 예로서, 두께 100mm, 강판 두께가 2mm로 형성), 덮개강판(21;21a,21b)(일 예로서, 두께가 2mm로 형성), 외부 벽체(14)로 구성됨을 고려하여 폭압 수준에 대한 댐핑부재의 거동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즉, 해석 대상은 충격파관 실험에 적용한 댐퍼 패널 부재로 하였고, 전면 강판(21a)(덮개강판)에 작용하는 폭압을 8 MPa, 4 MPa, 1 MPa로 구분하였고,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의 격자 크기가 100mm 및 50mm인 경우로 구분하여 파괴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때, 도 10a는 콘크리트패널(희생부재(15))의 소성파괴를 고려할 수 있는 Damage Plasticity Model을 적용시킨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b는 덮개강판(21;21a,21b)은 탄소성 모델을 적용시킨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는 빠른 속도로 큰 변형률을 일으키는 충격하중 효과를 고려하기 위하여 John-Ccook모델을 적용하였다.
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도 12c에서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구조물에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되어 1 MPa 충격에너지(폭발압력)가 작용할 경우, 격자구조의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과 콘크리트패널(희생부재;15)의 소성 변형 또는 파괴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반면에,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되어 보호구조물에 4 MPa 충격에너지(폭발압력)가 작용할 경우, 콘크리트패널(희생부재;15)의 펀칭 파괴가 발생하였으며,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의 격자 간격이 작을수록 상대적으로 파괴 규모가 약화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되어 보호구조물에 8 MPa 충격에너지(폭발압력)가 작용할 경우,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의 격자 간격과 무관하게 콘크리트패널(희생부재;15)에 유사한 규모의 펀칭 파괴가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10) 내에서 수소가스가 폭발되어 격자구조의 댐퍼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 및 콘크리트 패널(희생부재;15)에 대해서 소성변형으로 흡수된 에너지량을 비교하면, 폭발압력 8 MPa에 대해서 격자 간격이 작을 경우 댐패 패널(충격흡수용 강판;23)이 더 큰 에너지를 흡수하게 됨에 따라, 콘크리트 패널(희생부재;15)에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량을 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수용공간
11; 바닥부
12; 천장(slab)
13; 측벽
14; 외부 벽체
15; 희생부재
16; 포스트(post)
18; 충격흡수부재
19,20; 마감캡
21; 덮개 강판
22; 포켓(pockat)
23; 충격흡수용 강판
24; 탄성블록
25; 장공
26; 쓰레드볼트(threaded bolt)
27; 너트
28; 고정판

Claims (7)

  1. 삭제
  2.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하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및 가스시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벽체;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
    상기 외부 벽체와 희생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포스트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덮개 강판에 안착되어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동일방향으로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3.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하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및 가스시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벽체;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
    상기 외부 벽체와 희생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포스트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맞대어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4.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에 적용되고,
    지하에 저장되는 수소가스 및 가스시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외부 벽체;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벽체를 이루는 희생부재;
    상기 외부 벽체와 희생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평상시 상기 가스시설물의 하중을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포스트에 의해 지지하고,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으로 인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기 외부 벽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네모서리에 위치하고, 상단 및 하단에 마감캡이 고정되며,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스틸재의 충격분산형 포스트;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덮개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적층형태로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1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격자구조로 돌출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포켓이 맞대어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충격흡수용 강판;
    상기 포스트에 네모서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수소가스 폭발시 탄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2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및 하부 충격흡수용 강판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흡수형 폼 블록 또는 탄성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수소가스 폭발시 충격 에너지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장공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6. 삭제
  7. 지하의 수소저장 및 수소 충전 설비의 안전을 위해 지하에 건설된 구조물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에너지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적용되고,
    지표면으로부터 지하 소정위치에 바닥부, 천장 및 측벽을 포함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콘크리트처리하여 외부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외부 벽체에 볼트의 일단을 매립시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소가스 폭발시 소성변형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의 네모서리에 포스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모듈형 댐퍼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모듈형 댐퍼의 포스트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모듈형 댐퍼를 상기 외부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단계;
    상기 모듈형 댐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희생부재에 상기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220172612A 2022-12-12 2022-12-12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ctive KR102612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12A KR102612434B1 (ko) 2022-12-12 2022-12-12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612A KR102612434B1 (ko) 2022-12-12 2022-12-12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2434B1 true KR102612434B1 (ko) 2023-12-12

Family

ID=8915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612A Active KR102612434B1 (ko) 2022-12-12 2022-12-12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4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29B1 (ko) * 1970-09-09 1979-02-21
JP2760741B2 (ja) * 1993-12-13 1998-06-04 日立造船株式会社 衝撃吸収材
KR20120013226A (ko) *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탱크
JP5403329B2 (ja) * 2008-07-29 2014-01-29 清水建設株式会社 水素関連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329B1 (ko) * 1970-09-09 1979-02-21
JP2760741B2 (ja) * 1993-12-13 1998-06-04 日立造船株式会社 衝撃吸収材
JP5403329B2 (ja) * 2008-07-29 2014-01-29 清水建設株式会社 水素関連施設
KR20120013226A (ko) * 2011-12-16 2012-0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 천연가스 저장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go et al. Blast loading and blast effects on structures–an overview
US7578103B2 (en) Structural system with high absorption capacity to impactive and impulsive loads
EP3604714B1 (en) Anti-explosion protection
KR20200101635A (ko) 인방형 면진 및 제진 기능을 갖는 댐퍼
KR1026124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충격 흡수를 위한 모듈형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03125B1 (ko)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JP2020506312A (ja) 航空機墜落から建物を保護する保護システム
KR102092413B1 (ko)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중간 댐퍼를 이용한 내진 보강용 제진 장치
CN112031193A (zh) 一种拼接式建筑的抗震结构
JP2011038294A (ja) 付加質量制震建物
US8381463B2 (en) Energy absorbing system for safeguarding structures from disruptive forces
JP2007138678A (ja) 減震装置
WO2023234894A1 (en) Curvilinear flow-plate metallic damper
JP2008121399A (ja) 基礎減震装置
CN211286107U (zh) 一种具有抗震减震机构的房屋建筑
JP6692665B2 (ja) 衝撃低減装置及び発電プラント
RU2031456C1 (ru) Реакторное отделение аэс
Samrutwar et al. A review on response of seismic loading on regular high-rise building with and without damper using etabs
JP6862523B2 (ja) 衝撃低減構造及び発電プラント
CN118960484B (zh) 用于深海岛礁掩蔽部的抗爆补充结构、掩蔽部抗爆结构及抗爆掩蔽部
Ozaki et al. Innovative damage control systems using replaceable energy dissipating steel fuses for cold-formed steel structures
KR102092412B1 (ko) 이중 강판으로 구성된 제진 장치를 이용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공법
JP3891991B2 (ja) 構造物の耐震・防振方法および耐震・防振構造
Reddy et al. Analysis of irregular high raised RCC buildings by using tuned mass damping system
JP7413153B2 (ja) 原子炉建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