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2218B1 -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 Google Patents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218B1
KR102612218B1 KR1020160088324A KR20160088324A KR102612218B1 KR 102612218 B1 KR102612218 B1 KR 102612218B1 KR 1020160088324 A KR1020160088324 A KR 1020160088324A KR 20160088324 A KR20160088324 A KR 20160088324A KR 102612218 B1 KR102612218 B1 KR 10261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vehicle
steering column
adjust bolt
sh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7704A (en
Inventor
홍성종
허종욱
허성국
김진우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218B1/en
Publication of KR2018000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7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1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감싸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대응하는 외측 튜브에는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omprising: a steering shaft,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a distance bracket mounted on the outer tube, a plate bracke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distance bracket, and the distance bracket and plate. In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cluding an adjust bolt that penetrates the brack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djustment lever mounted on one end of the adjust bolt, member mounting grooves are provided at intervals on the outer tube corresponding to the adjust bolt. A shock absorbing member is formed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so that during a vehicle collis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absorb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shock absorbing member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f the outer tube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not only absorb the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during a vehicle collision, but als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driver.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적절히 흡수하여 충돌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that appropriately absorbs the shock load applied to the driver during a vehicle collision to increase stabilit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티어링 장치가 마련된다. Generally, a steer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driver's seat of a car to allow the driver to arbitrarily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는 통상적으로 조향장치와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기구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조향장치는 운전자로부터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스티어링 휠과, 상기 스티어링 휠과 연결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가 내설되며 조향장치를 자체에 고정하는 스티어링 컬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되, 이 스티어링 컬럼은 한 쌍의 어퍼·로워 마운팅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Such a steering device typically consists of a steering device, a steering gear, and a link mechanism. In particular, the steering device includes a steering wheel that receives rotational torque from the driver, a shaft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and this shaft is installed internally, and the steering device It includes a steering column that is fixed to itself, and this steering column is fixed to the car body by a pair of upper and lower mounting brackets.

한편, 이와 같은 스티어링 장치에는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충돌 관성으로 인해 운전자가 조향장치에 부딪쳤을때 그 충격력을 흡수, 완화하여 운전자의 상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충격에너지 흡수구조가 다양하게 마련된다. Meanwhile, such steering devices are equipped with various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s to absorb and relieve the impact force when a driver hits the steering device due to collision inertia during a vehicle collision or collision, thereby minimizing driver injuries.

이러한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로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컬럼의 변형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와, 이 스티어링 컬럼 내에 설치되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 변형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와, 스티어링 컬럼을 차체에 지지 고정하는 마운팅 브라켓의 차체로부터의 이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가 동시에 적용되어, 차량 사고시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상해를 최소화 하도록 하고 있다.These impact energy absorbing structures generally include a structure that absorbs shock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steering column, a structure that absorbs shock caused by deformation of the steering shaft installed within the steering column, and a mounting that supports and secures the steering column to the vehicle body. A shock absorption structure caused by the bracket's separation from the car body is applied simultaneously to minimize injuries to the driver in the event of a vehicle accident.

도시된 도 1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갖는 조향장치로서, 스티어링 컬럼(1)은 중공관 형상의 두 개의 튜브(1a)(1b)가 축방향으로 수축(Collapsing)가 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티어링 컬럼(1)내부에는 그 일단에 조향핸들이 연결되는 스티어링 샤프트(2)가 내설되는데 이 역시 스티어링 컬럼(1)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축이 축방향으로 수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Figure 1 is a steering device with a conventional shock absorption structure, in which the steering column (1) consists of two hollow tube-shaped tubes (1a) and (1b) connected in an axial direction capable of collapsing. Inside the steering column (1), a steering shaft (2) is installed at one end of which the steering handle is connected. Like the steering column (1), the two axes are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contracted in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스티어링 컬럼(1)의 외측에는 이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마운팅 브라켓(4)이 설치된다. 특히, 이와 같은 마운팅 브라켓(4) 역시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를 구비하고 있다.Additionally, a mounting bracket 4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teering column 1 to secure the steering column 1 to the vehicle body. In particular, this mounting bracket 4 also has an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 to absorb impact energy generated during a vehicle collision or collision.

여기서 마운팅 브라켓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는, 마운팅 브라켓(4)의 양측에 이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캡슐(5)이 이 마운팅 브라켓(4)로 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 캡슐(5)의 하부 일측에는 차량 충돌시 캡슐 이탈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파단부(6a)가 형성된 커링 플레이트(Curling plate;6)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커링 플레이트(6)의 일측은 마운팅 브라켓(4)의 저면상에 리벳(7)으로서 고정되어 있다.Here, the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 of the mounting bracket is such that capsules (5) for fixing it to the vehicle body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mounting bracket (4) in a detachable manner from the mounting bracket (4), and the capsule (5) A curling plate (6) with a fracture portion (6a) is connected to one lower side to absorb additional impact energy in conjunction with capsule separation during a vehicle collision.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curling plate (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bracket (4) as a rivet (7).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조향장치의 충격 흡수구조는, 차량 충돌 또는 추돌시 그 충돌관성에 의해 운전자가 조향핸들 측에 부딪쳤을 때 스티어링 컬럼(1) 및 그 내측의 스티어링 샤프트(2)가 컬랩싱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동시에 스티어링 컬럼(1)을 차체에 지지고정하고 있는 마운팅 브라켓(4)이 차체에 볼팅 고정되어 있는 캡슐(5)로 부터 이탈되면서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 후, 계속되는 충격관성에 의해 마운팅 브라켓(4)에 리벳으로서 고정된 커링 플레이트(6)의 파단부(6a)가 리벳팅점을 기준으로 찢겨짐과 동시에 밴딩되어 2차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Therefore,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eering device composed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uses the steering column 1 and the steering shaft 2 inside it to curl when the driver hits the steering wheel side due to the collision inertia during a vehicle collision or collision. Shock is absorbed as it wraps, and at the same time, primary shock absorption occurs as the mounting bracket (4) that supports and secures the steering column (1) to the vehicle body detaches from the capsule (5) that is bolted to the vehicle body. Thereafter, due to the continued impact inertia, the fractured portion 6a of the currying plate 6, which is fixed as a rivet to the mounting bracket 4, is torn and bent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iveting point to absorb the secondary shock.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마운팅 브라켓 이탈시 커링 플레이트의 단순 절개에 의한 찢겨지는 힘을 이용하기 때문에, 충돌시 급작스런 충격하중에 대항하는 저항하중이 약해 충돌 흡수성능이 떨어지며, 리벳을 기준으로 커링 플레이트가 밴딩과 동시에 찢겨질 때 이 커링 플레이트가 뒤틀리거나 충돌관성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밴딩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because the tearing force caused by a simple cut of the currying plate is used when the mounting bracket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load against the sudden impact load during a collision is weak, resulting in poor collision absorption performance, and the curing plate is based on the rivet. When torn at the same time as bending, the currying plate may be distorted or bent in a direc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mpact inertia, causing a problem in which effective shock absorption is not achiev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6946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56946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4272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6-00427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f the outer tube perpendicular to the adjust bolt, so tha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contacts the adjust bolt and absorbs the shoc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hock-absorbing structure for steering columns for vehicl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는 조향축, 상기 조향축의 감싸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대응하는 외측 튜브에는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shaft,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a distance bracket mounted on the outer tube, and a plate fixedly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distance bracket. In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cluding a bracket, an adjust bolt passing through the distance bracket and the plate bracket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adjustment lever mounted on one end of the adjust bolt, the outer tube corresponding to the adjust bolt includes Member mounting grooves are formed at intervals,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so tha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absorb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이때,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distance guide portion with a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front of the distance bracket to support and guide the shock absorbing member.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have side parts symmetrically protruding on both sides based on the curved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또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측면부와 밀림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may have side portions and anti-slip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with a gap at the front and rear based on the curv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이때, 상기 측면부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는 곡면부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side portion may decrease as it moves from the front to the back, and the side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curved portion and a support surface formed in a curved or inclined manner at the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외측 튜브의 부재 장착홈에 충격 흡수 부재를 장착하여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a shock absorbing member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f the outer tube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the shock absorbing member can not only absorb the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during a vehicle collision, but also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driver.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또한, 어드저스트볼트와 충격 흡수 부재를 통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다른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adjust bolt and shock absorbing member can absorb shock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which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other parts.

도 1은 종래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를 가지는 조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5의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ering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shock absorbing member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to 5(c) are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hock absorbing member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imilar par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구성하는 충격 흡수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와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5의 충격 흡수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a vehicle steering colum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a) to 3(c) are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p view,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5(a) to 5(c) are plan views, front views, and side views showing other examples of shock absorbing members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in Figure 5.

먼저, 본원 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조향축(20)이 수용되는 내측 튜브(22)가 인입되는 외측 튜브(24), 상기 외측 튜브(24)의 상측에 설치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30), 상기 외측 튜브(24)에 결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40),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과 일체로 형성되며 틸트 장공(5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브라켓(50),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5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틸트 고정기어(60), 상기 틸트 고정기어(60)와 치합 또는 분리되는 틸트 가동기어(72)가 구비되는 이동기어블록(70),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텔레스 장공(42)과 틸트 장공(52) 및 이동기어블록(70)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 상기 이동기어블록(70)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결합되는 조절레버(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rst, briefly describing the vehicle steering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steering column has an outer tube 24 into which the inner tube 22, which accommodates the steering shaft 20, is inserted,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ube 24. an upper mounting bracket 30 fixed to the vehicle body, a distance bracket 40 coupled to the outer tube 24, and a plate bracket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mounting bracket 30 and having a tilt hole 52 ( 50), a tilt fixed gear 6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bracket 50, a moving gear block 70 provided with a tilt movable gear 72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tilt fixed gear 60, An adjust bolt 80 penetrating the teles long hole 42 and the tilt long hole 52 of the distance bracket 40 and the mobile gear block 70, and an adjus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bile gear block 70. It includes an adjustment lever (90) coupled with a bolt (80).

여기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공지된 구성을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is revealed that the steering column for the vehicle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may be configured by selecting a known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nd purpose.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은 충격 흡수 구조와 관련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teering column for the vehicle will focus o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즉, 본원발명의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1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대응하는 내측 튜브(22)에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을 형성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22a)에 충격 흡수 부재(100)를 장착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100)가 어드저스트볼트(80)로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10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ember mounting groove 22a at intervals on the inner tube 22 corresponding to the adjust bolt 80, and the adjust bolt 80 )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is mounted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22a orthogonal to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so that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absorbs the shock while moving to the adjust bolt 80 when a vehicle collides.

이를 위해, 상기 조향축(20)을 감싸는 내측 튜브(22)에는 부재 장착홈(22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For this purpose, member mounting grooves 22a are formed at intervals in the inner tube 22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20.

즉, 상기 내측 튜브(22)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대응하는 부분에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을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부재 장착홈(22a)의 크기는 장착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한 것이다. That is, the inner tube 22 has member mounting grooves 22a formed at intervals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djust bolt 80.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size of the member mounting groove 22a varies depending 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to be mounted.

더불어,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100)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가 돌출형성된다. In addition, a distance guide portion 42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44 is formed to protrude in front of the distance bracket 40 to support and guide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즉,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은 내측 튜브(22)의 부재 장착홈(22a)의 전방에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를 돌출형성하여, 충격 흡수 부재(100)를 지지하면서도 차량 충돌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가 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distance bracket 40 protrudes a distance guide portion 42 with a cutout 44 in front of the member mounting groove 22a of the inner tube 22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member 100. While suppor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can only move rearward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상기 내측 튜브(22)의 부재 장착홈(22a)에 장착되고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 부재(100)는 도시된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which is mounted on the member mounting groove 22a of the inner tube 22 and absorbs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80 during a vehicle collis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t is as follows.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1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된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has side portions 120 symmetrically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curved portion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이때,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측면부(12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ide portion 120 is formed to decrease in height from the front to the rear so that the side portion 120 can move smoothly when in contact with the adjust bolt 80.

즉,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하는 부분을 낮게 형성하여 차량의 충돌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가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side portion 120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adjust bolt 80 is low so that when a vehicle collides,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oves along the lower part of the adjust bolt 80 to absorb the shock. It was done.

그리고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부(110)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122)과 상기 수직면(122)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124)으로 이루어진다. And the side part 120 has a vertical surface 122 formed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curved part 110 to absorb shock when contacting the adjust bolt 80, and a curved or curved surface at the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122. It consists of a support surface 124 that is inclined.

즉, 상기 측면부(120)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지지면(124)이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ide portion 120 absorbs shock while being bent inwar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support surface 124 when it contacts the adjust bolt 80.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의 작동상태를 도시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와 어드저스트볼트(80)는 평상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Next,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and the adjust bolt 80 are normally arranged at intervals.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의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측면부(120)가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djust bolt 80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then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adjust bolt 80, and the side portion 120 bends inward to absorb the shock. It will be done.

즉,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측면부(120)를 이용하여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uses the inclined side portion 120 to gradually increase the amount of absorption of impact energy generated upon contact with the adjust bolt 80.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도시된 도 5 및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 and 6.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a)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측면부(120a)와 밀림방지부(130a)가 각각 형성된다.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has side portions 120a and anti-slip portions 130a formed at intervals in the front and rear, respectively, based on a curved portion 110a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즉,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어드저스볼트(80)가 배치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전방에 측면부(120a)를 후방에 밀림방지부(130a)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has a side portion 120a at the front and an anti-slip portion 130a at the rear based on the portion where the adjust bolt 80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밀림방지부(130a)는 내측 튜브(22)의 텔레스코픽 작동 시 텔레-아웃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120a)는 텔레-인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Here, the anti-slip portion 130a can act as a stopper to adjust the telescopic length when the inner tube 22 is telescopically operated, and the side portion 120a can adjust the telescopic length. It can act as a stopper.

그리고 상기 측면부(120a)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부(110a)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122a)과 상기 수직면(122a)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124a)으로 이루어진다. And the side part 120a has a vertical surface 122a formed perpendicularly at both ends of the curved part 110a to absorb shock when contacting the adjust bolt 80, and a curved or curved end at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122a. It consists of a support surface 124a that is inclined.

즉, 상기 측면부(120a)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접촉시 지지면(124a)이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면 또는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side portion 120a is formed to be curved or inclined so that the support surface 124a bends inward when contacting the adjust bolt 80 and absorbs shock.

다음으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의 작동상태를 도시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평상시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는 측면부(120a)와 밀림방지부(130a)의 사이에 위치한 곡면부(110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Next,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with reference to FIG. 6, the adjust bolt 80 normally has a curved portion located between the side portion 120a and the anti-slip portion 130a. It is located at the top of 110a).

그리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는 차량의 충돌시 어드저스트볼트(80)의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어드저스트볼트(8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측면부(120a)가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djust bolt 80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then moves to the lower part of the adjust bolt 80, and the side portion 120a is bent inward to absorb the shock. It will be don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as follows.

먼저, 간격을 두고 부재 장착홈(22a)이 형성되는 내측 튜브(22)에 조향축(20)이 수용되도록 한 후 상기 내측 튜브(22)를 외측 튜브(24)에 인입한다. First, the steering shaft 2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tube 22 where member mounting grooves 22a are formed at intervals, and then the inner tube 22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24.

이때, 상기 어저스트볼트(80)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22a)에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120)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를 장착한다. At this time,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22a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80, a shock absorbing member ( 100)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외측 튜브(22)의 상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을 설치한 후,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이 설치되는 내측 튜브(22)의 부분으로 전방에 충격 흡수 부재(100)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44)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42)가 돌출형성되는 디스턴스 브라켓(40)을 결합한 다음, 상기 상부 마운팅 브라켓(30)에 틸트 장공(5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브라켓(50)을 고정한다. And after installing the upper mounting bracket 30 fixed to the vehicle body on the upper side of the outer tube 22, a shock absorbing member 100 is placed on the front as a part of the inner tube 22 where the upper mounting bracket 30 is installed. ), a distance guide part 42 with a cutout 44 is coupled to the distance bracket 40, which protrudes, and then a tilt hole 52 is formed in the upper mounting bracket 30 for support and guidance. Fix the plate bracket (50).

다음으로, 상기 플레이트 브라켓(50)의 외측면에 틸트 고정기어(60)를 장착한 후, 상기 틸트 고정기어(60)에 틸트 가동기어(72)가 구비되는 이동기어블록(70)을 치합한 다음,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40)의 텔레스 장공(42)과 틸트 장공(52) 및 이동기어블록(70)을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를 장착한 후 상기 이동기어블록(70)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어드저스트볼트(80)와 결합되는 조절 레버(90)를 장착하면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Next, the tilt fixed gear 60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bracket 50, and then the mobile gear block 70 provided with the tilt movable gear 72 is meshed with the tilt fixed gear 60. Next, after installing the adjust bolt 80 penetrating the teles long hole 42 and tilt long hole 52 of the distance bracket 40 and the mobile gear block 70, it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obile gear block 70. The assembly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10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s completed when the adjustment lever 90 coupled with the adjust bolt 80 located at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is revealed that the assembly sequence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the vehicl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의 기본작동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충격 흡수 부재에 따른 작동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The usage status of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teering column configured as above is as follows. Here, we will omit the basic opera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look at the operating status according to the shock absorbing member.

평상시, 상기 내측 튜브(22)에 장착되는 충격 흡수 부재(100)는 어드저스볼트(80)와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Normal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ounted on the inner tube 22 is positioned at a distance from the adjusting bolt 80.

다음으로 차량의 충돌하면, 상기 조향축(20)과 내측 튜브(22) 및 충격 흡수 부재(100)는 충격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Next,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steering shaft 20, the inner tube 22,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move rearward due to the impact.

다음으로, 상기 어드저스볼트(80)에 충격 흡수 부재(100)가 접촉하면, 상기 충격 흡수 부재(100)를 구성하는 측면부(120)는 어드저스볼트(80)에 의하여 내측을 향해 절곡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전해지는 충격 하중을 적절히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Next, when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contacts the adjust bolt 80, the side portion 120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ing member 100 is bent inward by the adjust bolt 80 to absorb the shock. By absorbing energy, the impact load transmitted to the driver is appropriately absorb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describing the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bove, the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have been mainly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s rights.

10 :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20 : 조향축, 22 : 외측 튜브,
24 : 내측 튜브, 30 : 상부 마운팅 브라켓,
40 : 디스턴스 브라켓, 50 : 플레이트 브라켓,
60 : 틸트 고정기어, 70 : 이동기어블록,
80 : 어드저스트볼트, 90 : 조절 레버,
100 : 충격 흡수 부재, 110 : 곡면부,
120 : 측면부, 130 : 밀림방지부.
10: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steering column,
20: steering shaft, 22: outer tube,
24: inner tube, 30: upper mounting bracket,
40: Distance bracket, 50: Plate bracket,
60: tilt fixed gear, 70: moving gear block,
80: Adjust bolt, 90: Control lever,
100: shock absorbing member, 110: curved portion,
120: side part, 130: anti-slip part.

Claims (6)

조향축, 상기 조향축을 감싸는 내측 튜브, 외측 튜브에 장착되는 디스턴스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장착되는 플레이트 브라켓,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과 플레이트 브라켓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어드저스트볼트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의 일 측 끝단에 장착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에 있어서,
상기 내측 튜브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부재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직교하는 부재 장착홈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어드저스트볼트로 이동 및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 steering shaft, an inner tube surrounding the steering shaft, a distance bracket mounted on the outer tube, a plate bracke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distance bracket, an adjust bolt penetrating the distance bracket and the plate brack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djust bolt. In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including an adjustment lever mounted on one end of the,
A member mount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inner tube,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is mounted in the member mounting groove orthogonal to the adjust bolt. When a vehicle crashes, the shock absorbing member moves to the adjust bolt and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vehicle steering column that absorbs shock while contacting the adjust bol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턴스 브라켓의 전방에는 충격 흡수 부재의 지지 및 안내를 위하여 절개부가 구비된 디스턴스 가이드 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ccording to clause 1,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distance guide portion having a cutout portion is formed protruding in front of the distance bracket to support and guide the shock absorbing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측면부가 대칭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ccording to clause 1,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ember has side portions symmetrically protruding on both sides based on a curv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곡면부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측면부와 밀림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ccording to clause 1,
The shock absorbing member i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of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rtions and anti-slip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at intervals at the front and rear based on the curved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ccording to clause 3,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wherein the side portion becomes lower in height as it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곡면부의 양측 끝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끝단에 곡선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According to clause 3 or 4,
The side portion is a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portion is composed of a vertical surface formed perpendicularly at both ends of the curved portion and a support surface formed in a curved or inclined manner at the ends of the vertical surface.
KR1020160088324A 2016-07-13 2016-07-13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ctive KR1026122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24A KR102612218B1 (en) 2016-07-13 2016-07-13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324A KR102612218B1 (en) 2016-07-13 2016-07-13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04A KR20180007704A (en) 2018-01-24
KR102612218B1 true KR102612218B1 (en) 2023-12-13

Family

ID=6102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324A Active KR102612218B1 (en) 2016-07-13 2016-07-13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22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786B1 (en) * 2019-12-18 2021-06-08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Shock absorber type steering column apparatus for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002A (en) * 2011-11-08 2013-05-23 Fuji Kiko Co Ltd Steering colum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685B1 (en) * 2002-03-25 2007-08-06 주식회사 만도 Shock Absorber of Vehicle Steering Column
KR100569462B1 (en) 2003-11-28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ock Absorber of Vehicle Steering Column
KR20060004272A (en) 2004-07-09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hock Absorber of Vehicle Steering Column
KR20060034798A (en) * 2004-10-19 2006-04-26 주식회사 만도 Collision energy absorber in car steering column
KR101307648B1 (en) * 2009-11-30 2013-09-12 주식회사 만도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602862B1 (en) * 2013-05-08 2016-03-15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Steering column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002A (en) * 2011-11-08 2013-05-23 Fuji Kiko Co Ltd Steering colum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704A (en) 201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799B2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20170137338A (en) Collapsibl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15084B1 (en) The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7648168B2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of vehicle equipped with wire block assembly
KR101795442B1 (en) Steering column assembly for a car
KR101138160B1 (en) Impact Asorption Steering Apparatus
US9682720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102612218B1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KR100997095B1 (en) Impact energy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device
KR101992714B1 (en) Steering column apparatus of vehicle
KR101845996B1 (en) Collapse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20160063472A (en) Impact-absorb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046186B1 (en) Mounting Bracket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100559904B1 (en) Steering shaft buffer structure
KR100804182B1 (en) Shock-absorbing steering column in a car
KR101065946B1 (en) Shock absorption steering column of automobile
KR100985501B1 (en) Mounting Bracket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20100031043A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steering column
KR100738408B1 (en) Steering device with shock energy absorber
KR101002671B1 (en) Tilt spring of steering system with shock absorbing function
KR102321908B1 (en) Steering Wheel Apparatus for damping collision type of Vehicles
KR100646423B1 (en) Shock energy variable absorption structure steering device using fin and wire
KR100934871B1 (en) Shock-absorbing steering column in a car
KR101033157B1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KR101136264B1 (en) Collision Energy Absorbabl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quipped with Wir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