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11552B1 -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552B1
KR102611552B1 KR1020230102044A KR20230102044A KR102611552B1 KR 102611552 B1 KR102611552 B1 KR 102611552B1 KR 1020230102044 A KR1020230102044 A KR 1020230102044A KR 20230102044 A KR20230102044 A KR 20230102044A KR 102611552 B1 KR102611552 B1 KR 10261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heat exchanger
ect
guid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섭
구본창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5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06Details, e.g. in the structure or functioning of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G01N27/902Arrangements for scanning by moving the sen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며, 벽체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체, 상기 인입 및 인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착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부착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바닥고정체에 설치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 튜브 내부로 건전성 평가를 위한 ECT(Eddy Current Test) 검사용 프로브 및 케이블 인입/인출장치를 비파괴검사대상인 튜브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가이드하고, 누락되는 튜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주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Guide device for ECT inspection of heat exchanger tubes}
본 발명은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관수 및 이물질이 제거된 열교환기 튜브로 건전성 평가를 위한 ECT(Eddy Current Test) 검사용 프로브 및 케이블 인입 및 인출장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송시켜 누락되는 튜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석유화학 플랜트와 원자력발전소 또는 화력발전소에 설치된 열교환기는 많은 튜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튜브들은 가동시 문제점 발생을 방지하도록 정기적으로 ECT 등의 비파괴검사법에 의한 안전성 평가가 진행된다.
종래에는 ECT 등의 비파괴검사는 ECT 등의 프로브를 케이블에 장착하여 검사대상인 튜브에 인입하되 통상적으로 에어건을 이용하여 반대편까지 이송시킨 후, 인출하는 과정으로 수행되어진다. 또한 모터가 장착된 송급장치를 이용하는 송급건이 기존에 출시된 것이 있으나 송급건은 5kg 이상으로 무겁고 프로브의 인출시에 모터의 한계값으로 인출(검사)속도가 느린 점 등 여러 불편사항이 있어왔다.
그리고 최소 2098~2400개의 배열된 튜브를 수동검사로 수행하기에 검사누락튜브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누락이 발생되면 해당 열의 튜브들을 재검사해야 하여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튜브길이는 원전의 경우 대략 18m, 화력의 경우 대략 8~12m이고, 튜브 내에서 프로브를 인출시킬 때의 속도규정은 원전의 경우 2m/s, 화력의 경우 4~5m/s 로서, 일정한 속도로 인출되는 것이 원칙이나 프로브를 수동으로 인출하므로 속도가 불규칙하여 검사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몸통직경은 φ1650 이상이고, 튜브 직경은 φ16.55, φ19 등 다양하며, 긴 케이블의 수동 인출시 케이블의 엉킴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검사지연 및 케이블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에 있어서도 좁은 장소에서 에어건 및 호스를 취급하여야 함에 따른 자세불량으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상승하고, 튜브 1개당 검사시 기본 소요시간이 3~5초로 검사진행이 원활할 때를 가정하더라도 열교환기 1기당 약 3일 정도 소요되어 작업자의 피로도는 매우 높아진다.
이에 따라, 튜브 내부에 프로브를 용이하면서도 안전하게 인입 및 인출시키되, 검사가 누락되는 튜브가 발생하지 않고 일정한 검사순서로 검사가 진행됨으로서 검사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파괴검사를 위한 프로브 및 케이블 인입 및 인출장치 및 이를 튜브로 용이하게 가이드하여 세관수 분출에 의한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자의 위생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튜브들에 대한 검사누락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6983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열교환기 튜브로 건전성 평가를 위한 ECT(Eddy Current Test) 검사용 프로브 및 케이블 인입 및 인출장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송시켜 누락되는 튜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열교환기 튜브내 ECT검사를 위한 프로브 및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장치를 각 튜브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며, 벽체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체;
상기 인입 및 인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착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부착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바닥고정체에 설치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각 단부의 길이가 확장 가능하도록 지지대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확장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출입공; 및
상기 지지대출입공에 입출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확장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 링크형 리프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5)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6) 상기 (5)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마그네틱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7) 상기 (1)에 있어서,
검사대상인 튜브를 감지하도록 상기 부착대에 장착되는 튜브센싱부; 및
상기 튜브센싱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 및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8) 상기 (7)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검사를 하고자 하는 튜브의 수평방향 열 중 가장 좌측에 위치된 튜브에서 우측으로 배치된 각 튜브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9) 상기 (8)에 있어서, 상기 튜브센싱부는
부착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튜브센서(871); 및
부착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제2튜브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 튜브로 건전성 평가를 위한 ECT(Eddy Current Test) 검사용 프로브 및 케이블 인입 및 인출장치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가이드하여 누락되는 튜브의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켜주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지지대확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장치에 장착되는 인입 및 인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입 및 인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장치의 지지대확장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장치에 장착되는 인입 및 인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입 및 인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가이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800)(이하, "가이드장치"라 약칭함)는 열교환기 튜브내 ECT검사를 위한 프로브 및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장치(700)(이하, "인입/인출장치"라 약칭함)를 각 튜브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인입 및 인출장치(700)를 튜브로 정확하게 이송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장치(800)는 지지대(810), 바닥고정체(820), 부착대(830), 이송부(840) 및 승강부(8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대(810)는 일정 길이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튜브(20)열의 전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고정체(820)는 상기 지지대(810)의 하측을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는 벽체 바닥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대(830)는 상기 인입/인출장치(700)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810)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840)는 상기 지지대(810)를 따라 상기 부착대(830)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부착대(830)가 이송되어짐에 따라, 상기 인입/인출장치(700)가 함께 이송되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강부(850)는 상기 지지대(810)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바닥고정체(820)에 장착되어 상기 부착대(830)가 장착된 상기 지지대(810)를 승강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8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부의 길이가 확장 가능하도록 지지대확장부(811)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확장부(811)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지대출입공(8111) 및 확장지지대(81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대출입공(8111)은 상기 지지대(810)의 단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확장지지대(8112)는 상기 지지대출입공(8111)에 입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확장지지대(8112)의 인출길이는 튜브(20)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며, 상기 지지대출입공(81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확장지지대(8112)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며, 예로 두 개의 확장지지대(8112, 8122)가 포함될 경우, 바람직하게는 1단위치의 확장지지대(8112) 내부에 지지대출입공(8121)이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로 상기 이송부(840)는 이송레일(841), 이송블럭(842) 및 이송구동부(84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레일(841)은 상기 지지대(810)에 설치되고, 이송블럭은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부착대(83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확장지지대(8112,8122) 상에 장착되는 이송레일(841)(혹은 확장이송레일)은 하부에 구비된 탄성부재에 의해 확장지지대 상에서 상기 지지대출입공을 나오는 과정에서 단차만큼 돌출되고, 들어가는 과정에서 하강하여 수납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지지대와 확장지지대 사이의 단차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서 이러한 단차를 보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이 채택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실시예는 이해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이송구동부(843)는 상기 이송블럭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대(810)를 따라 상기 부착대(830)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부(850)는 다양한 기구가 채택되어질 수 있으며, 예로 실린더, 링크형 리프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850)는 바닥고정체(820)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대(810)는 승강부(85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장치(800)는 상기 부착대(8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부(86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부(860)는 상기 부착대(83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인 한, 특별한 기구일 것을 요하지 않으며 예로 마그네틱척과 같은 수단이 채택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부착대(830)는 특별한 위치에 고정될 것을 요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튜브(20)가 설치된 고정판(22), 지지대(810), 또는 지지대확장부(811) 등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장치(800)는 튜브센싱부(870) 및 이송제어부(8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센싱부(870)는 검사대상인 튜브를 감지하도록 상기 부착대(830)에 장착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제어부(880)는 상기 튜브센싱부(8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840) 및 승강부(850)를 제어한다.
본 발명 실시예로서 상기 부착대(830)는 상기 이송부(840)에 의해 지지대(810)를 따라 이송되면서 검사대상인 튜브의 수평방향 열 중 가장 좌측에 위치된 튜브에서 우측으로 배치된 각 튜브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부착대(830)의 이송 순서는 반대로 진행되거나 중앙부에서 각 측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튜브센싱부(870)는 바람직하게는 제1튜브센서(871) 및 제2튜브센서(87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튜브센서(871)는 부착대(830)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튜브센서(872)는 부착대(830)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1튜브센서(871)는 상기 인입/인출장치(700)에 의한 비파괴검사대상인 해당 튜브행에 존재하는 모든 튜브를 감지하고, 상기 제2튜브센서(872)는 상기 인입/인출장치(700)에 의한 비파괴검사대상인 해당 튜브열에 존재하는 모든 튜브를 감지하며, 이를 위해 상기 각 튜브센서는 엔코더 또는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제어부(880)는 후술되는 인입/인출장치(700)의 센싱부(750)의 신호를 수신하여 검사가 진행된 튜브를 확인하여 누락된 튜브가 없도록 순차적으로 가이드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입/인출장치(700)는 ECT 프로브를 사용하는 비파괴검사를 위해 프로브와 케이블을 열교환기의 튜브 내로 인입/인출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 가이드 장치(800)에 장착가능한 기구로서 프로브의 인출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검사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인 한 특별한 한정은 없다.
본 발명 실시예로서, 상기 인입/인출장치(7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몸체하우징(710), 케이블송출부(720), 케이블회수부(730) 및 케이블가이드(740)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하우징(710)은 상기 케이블송출부(720), 케이블회수부(730) 및 케이블가이드(740)를 내부에 수납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송출부(720)는 상기 몸체하우징(710)에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수납된 상기 케이블(30)을 풀어 상기 프로브(40)를 상기 튜브(20) 내로 인입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회수부(730)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송출부(720)에 의해 상기 튜브(20) 내로 인입된 케이블(30)을 바람직하게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인출시켜 상기 몸체하우징(710) 내로 권취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740)는 상기 케이블송출부(720)에 의해 송출되는 케이블(30)을 가이드하고, 상기 케이블회수부(730)에 의해 인출되는 케이블(30)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켜 상기 프로브(40)의 이송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하우징(7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취공간부(711), 인입/인출부(712), 지지축(713) 및 릴(714)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권취공간부(711)는 몸체하우징(7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케이블(30)이 권취되어 수납되고, 인입/인출부(712)는 상기 케이블(30)이 몸체하우징(710) 외부/내부로 인입/인출되는 부위로 몸체하우징(710)의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713)은 상기 권취공간부(71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몸체하우징(710) 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릴(714)은 상기 지지축(7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블(30)이 권취된다.
이때, 본 발명 실시예로, 탄성부재의 일단은 릴(714)에 고정되고, 타단은 지지축(713)에 고정되어, 릴(714)이 지지축(713)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탄성부재가 인장 또는 압축되어진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송출부(720)는 상기 릴(714)을 회전시키는 송출모터(722)를 포함한다.
상기 송출모터(722)는 바람직하게는 공압모터일 수 있으며, 상기 송출모터(722)에 의해 탄성부재의 감김상태를 해제하면서 릴(714)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권취된 케이블(30)이 풀리면서 프로브(40)를 상기 튜브(20) 내로 인입시킨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회수부(730)는 상기 송출모터(722)의 상기 릴(714)에 대한 구속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튜브(20) 내에 인입된 케이블(30)을 인출하고, 인출된 케이블(30)을 릴(714)에 권취시켜 회수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74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몸체(741), 가이드롤러(742) 및 가이드롤러구동부(74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몸체(741)는 내부에 상기 케이블(30)이 통과되기 위한 가이드공(741a)을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710)에 설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롤러(742)는 상기 가이드공(741a)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3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몸체(741)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롤러구동부(743)는 상기 가이드롤러(74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정역 회전시키며, 예로,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스핀들, 공압모터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가이드(740)는 케이블송출부(720) 및 케이블회수부(730)와 연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송출부(720)에 의해 케이블(30)이 송출될 경우, 상기 케이블가이드(740)는 상기 케이블(30)이 검사하고자 하는 해당 튜브(20) 내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게 이를 가이드한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회수부(730)에 의해 케이블(30)이 검사대상인 해당 튜브(20)로부터 인출될 경우, 상기 케이블가이드(740)는 상기 케이블(30)의 인출속도를 기설정된 인출속도 규정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시켜 검사속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송출부(720) 및 케이블회수부(730)를 조작할 수 있는 인입스위치 및 인출스위치를 소정의 컨트롤러(미도시)에 형성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손쉽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현함이 바람직하며,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롤러(742)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 예로 3롤 이상 설치되며, 가이드몸체(741)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각 가이드롤러(742)는 상기 케이블(30)의 직경에 정합하도록 가이드홈(742a)이 형성되고, 가이드롤러구동부(743)에 의해 케이블(30)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이송시켜 인입/인출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입/인출장치(700)는 센싱부(750) 및 제어부(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60)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이송제어부(880)와 분리된 것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이해의 편의상 개념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이 둘을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부(750)는 상기 튜브(20)의 일단부를 통해 인입되는 해당 프로브(40)의 위치를 감지하며, 엔코더 또는 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60)는 상기 센싱부(7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브(40)가 상기 튜브(20)의 타단 끝단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송출모터(722) 및 가이드롤러구동부(743)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760)는 상기 케이블회수부(730)의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블(30)이 회수될 때, 상기 가이드롤러구동부(743)를 제어하여 상기 가이드롤러(742)를 일정 속도로 회전시켜, 튜브를 검사하는 프로브(40)의 인출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롤러(742)는 바람직하게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74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송출모터(722)에 의해 튜브(20) 내부로 인입된 프로브(40)가 만일에 존재할 수 있는 미제거 이물질에 의해 간섭 혹은 저항이 발생될 경우, 상기 압력센서(744)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760)가 수신하여 상기 송출모터(722) 및 가이드롤러구동부(743)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프로브(40)의 인입과정에서 소정의 간섭 또는 저항을 받으면 상기 제어부(760)에 의해 송출모터(722) 및 가이드모터(743)는 무부하상태가 됨에 따라 해당 프로브 및 케이블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760)에서 압력센서(744)의 변화가 감지되거나 혹은 송출모터(722) 및 가이드모터(743)가 무부하상태로 될 경우, 소정의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7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알람부(745)의 신호음에 의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이에 따른 후속 대응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20 : 튜브 800 : 가이드장치
810 : 지지대 811 : 지지대확장부
820 : 바닥고정체 830 : 부착대
840 : 이송부 850 : 승강부
860 : 클램핑부 870 : 튜브센싱부
880 : 이송제어부
700 : 인입/인출장치
710 : 몸체하우징 711 : 권취공간부
712 : 인입/인출부 713 : 지지축
714 : 릴 720 : 케이블송출부
730 : 케이블회수부 740 : 케이블가이드
750 : 센싱부 760 : 제어부

Claims (9)

  1. 열교환기 튜브내 ECT검사를 위한 프로브 및 케이블의 인입 및 인출장치를 각 튜브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측을 지지하며, 벽체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고정체;
    상기 인입 및 인출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착대;
    상기 지지대를 따라 상기 부착대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 및
    상기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바닥고정체에 설치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각 단부의 길이가 확장 가능하도록 지지대확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확장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대출입공 및 상기 지지대출입공에 입출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확장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지지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되어 상기 지지대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실린더, 링크형 리프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를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는
    마그네틱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검사대상인 튜브를 감지하도록 상기 부착대에 장착되는 튜브센싱부; 및
    상기 튜브센싱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이송부 및 승강부를 제어하는 이송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대는
    검사를 하고자 하는 튜브의 수평방향 열 중 가장 좌측에 위치된 튜브에서 우측으로 배치된 각 튜브로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센싱부는
    부착대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제1튜브센서(871); 및
    부착대의 좌측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제2튜브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KR1020230102044A 2023-08-04 2023-08-04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Active KR10261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44A KR102611552B1 (ko) 2023-08-04 2023-08-04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2044A KR102611552B1 (ko) 2023-08-04 2023-08-04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552B1 true KR102611552B1 (ko) 2023-12-08

Family

ID=8916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44A Active KR102611552B1 (ko) 2023-08-04 2023-08-04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5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957A (ja) * 1989-05-02 1990-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交換器の検査装置
JPH05264509A (ja) * 1992-03-17 1993-10-12 Osaka Gas Co Ltd 多管式熱交換器の作業用位置決め方法および作業装置、ならびに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7229695A (ja) * 1994-02-18 1995-08-29 Hitachi Ltd 熱交換器作業用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00180093A (ja) * 1998-12-15 2000-06-30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熱交換器の管内清掃・探傷検査装置、及び管内清掃・探傷検査方法
US20180281030A1 (en) * 2015-09-21 2018-10-04 Lobbe Industrieservice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ube bundles
KR102269838B1 (ko) 2019-09-20 2021-06-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91957A (ja) * 1989-05-02 1990-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熱交換器の検査装置
JPH05264509A (ja) * 1992-03-17 1993-10-12 Osaka Gas Co Ltd 多管式熱交換器の作業用位置決め方法および作業装置、ならびに位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7229695A (ja) * 1994-02-18 1995-08-29 Hitachi Ltd 熱交換器作業用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00180093A (ja) * 1998-12-15 2000-06-30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熱交換器の管内清掃・探傷検査装置、及び管内清掃・探傷検査方法
US20180281030A1 (en) * 2015-09-21 2018-10-04 Lobbe Industrieservice Gmbh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ube bundles
KR102269838B1 (ko) 2019-09-20 2021-06-2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관 청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731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a pressurized-water reactor's steam generator heat exchanger tubes
KR200467681Y1 (ko) 내시경 방식의 부단수 상수도관 누수탐사 및 내부 검사장치
SE1050003A1 (sv) Provtryckningsanordning för slang
JPS6148041B2 (ko)
JPS6130161B2 (ko)
EP0297541B1 (en) Automatic tube circumference scanning apparatus
EP1008412A1 (en) Working robot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CA11626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inspection
US4872347A (en) Automated ultrasonic examination system for heat transfer tubes in a boiler
KR102611552B1 (ko) 열교환기 튜브의 ect검사용 가이드장치
KR102611551B1 (ko) 열교환기 튜브내 ect검사를 위한 프로브 및 케이블인입 및 인출장치
US20210262337A1 (en) Track synchronization moving apparatus of wellbore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606920B2 (en) Tube non-destructive testing probe drive elevator and contamination containment system
KR940007203B1 (ko) 가압수형 원자로 증기 발생기 튜브 삽입기 등의 자동기계에 원통형 부재를 원격 이송하는 장치
CN214747834U (zh) 一种检测管道变形率的检测装置
JPS6237170Y2 (ko)
KR20150008313A (ko) 지중 관로 도통시험 방법
JP3288924B2 (ja) 原子炉の炉内検査装置
CN2485654Y (zh) 全自动涡流探伤机
JPH0522868B2 (ko)
JPH0742091Y2 (ja) 長尺管検査装置
CN213515381U (zh) 一种测量锅炉膜式壁管外壁减薄量的装置
JPH08201013A (ja) 管の外径・肉厚測定装置
CN218543608U (zh) 一种管道焊缝检测装置
JP6045212B2 (ja) 遠隔点検装置および遠隔点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