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길이, 면적, 부피, 시간(기간), 농도, 함량, 온도 등을 표현하는데 사용된 용어 "약"은 해당 수치 또는 수치 범위에서 최대 10%의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절화의 수명 연장용 조성물 및 절화의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은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중량 기준으로 0.1~5 : 0.01~0.9 : 1~9로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 0.05~0.8 : 5~9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혼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3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1~2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2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이다. 상기 혼합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 및 수분 손실 억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절화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고, 절화의 갈변화 정도를 감소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액상, 고상, 특히 분말 혹은 비드 형태의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화는 꽃의 관상을 위하여 재배되어 절단된 상태로 유통되는 모든 화훼식물을 의미하고, 더 구체적으로 화훼식물의 절단된 줄기에 달려 있는 꽃을 의미하고, 일 예로 장미, 백합, 국화, 안개꽃, 목화, 수국, 튤립, 해바라기, 카네이션 및 후리지아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장미일 수 있다. 상기 장미는 일 예로 데니스(Denis), 뉴맨(New Man), 핑크홀릭(Pink Holic), 매직 스칼렛(Magic Scalet), 마루샤(Maroussia), 레드선샤인(Red Sunshine) 또는 옐로우킹(Yellow King) 등 일 수 있다.
상기 절화의 수명은 절단된 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고, 상기 절화의 수명 연장용 조성물은 절화의 유통 기간과 관상 기간을 길게 하기 위해 식물체, 특히 꽃에 전처리(pretreatment)하는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화의 수명 연장용 조성물로 절화를 처리하는 과정은 절화를 상기 조성물에 담그거나, 꽂아 놓거나 또는 상기 조성물을 절화에 뿌리는 등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조성물에 절화를 담그는 침지 처리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침지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72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48시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24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2시간 내지 1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지 처리는 30℃ 이하에서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2℃ 내지 28℃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침지 처리를 저온에서 수행하더라도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저온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므로 2℃ 이상에서 실시하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고, 상기 절화를 30℃ 이상의 고온에서 침지 처리하는 경우 꽃잎의 증산량이 수분 흡수량보다 많아지므로 꽃잎의 위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30℃ 이하에서 수행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로즈힙 열매 추출물 제조 시 이용하는 추출용매는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물로서는, 이온 교환수, 증류수 등의 정제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즈힙 열매 추출물 제조 시 사용되는 추출온도는 50~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80~90℃이다. 상기 추출온도가 50℃ 미만일 경우 추출 수득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고, 100℃를 초과할 경우 상승온도에 비해 수득한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절화 수명 연장 효과 및 절화 수분 손실 억제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수크로스
,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 제조 >
원료 : 수크로스 및 인돌-3-아세트산은 시그마사(Sigma Aldrich 社)로부터 구입하였고, 로즈힙 열매(Rose-Hip, Rosa Canina fruit)는 소매상에서 입수하였다.
[
참고예
1]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제조
로즈힙 열매 추출물은 로즈힙 열매를 약 85℃의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여 수득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추출물은 로즈힙 열매 및 정제수를 중량 기준으로 약 1 : 1로 혼합한 후 약 85℃의 온도에서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후 수득한 것이다.
상기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참고예 1을 사용하여 아래 표 1~3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단위: 중량%).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수크로스 |
1.00 |
1.00 |
1.00 |
5.00 |
5.00 |
5.00 |
5.00 |
5.00 |
5.00 |
인돌-3-아세트산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1.00 |
1.00 |
1.00 |
로즈힙 열매 열수 추출물 |
5.00 |
7.50 |
9.00 |
5.00 |
7.50 |
9.00 |
5.00 |
7.50 |
9.00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총 중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비교예 10 |
비교예 11 |
비교예 12 |
비교예 13 |
수크로스 |
1.00 |
5.00 |
10.00 |
- |
- |
- |
- |
- |
- |
- |
인돌-3-아세트산 |
- |
- |
- |
0.05 |
1.00 |
10.00 |
|
|
- |
- |
로즈힙 열매 열수 추출물 |
- |
- |
- |
- |
- |
- |
5.00 |
7.50 |
10.00 |
-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총 중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비교예 14 |
비교예 15 |
비교예 16 |
비교예 17 |
비교예 18 |
비교예 19 |
비교예 20 |
비교예 21 |
비교예 22 |
비교예 23 |
수크로스 |
1.00 |
1.00 |
5.00 |
5.00 |
1.00 |
1.00 |
1.00 |
5.00 |
5.00 |
5.00 |
인돌-3-아세트산 |
0.05 |
1.00 |
0.05 |
1.00 |
- |
- |
- |
- |
- |
- |
로즈힙 열매 열수 추출물 |
- |
- |
- |
- |
5.00 |
7.50 |
9.00 |
5.00 |
7.50 |
9.00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총 중량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시험예
1]
수크로스
,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에 의한
절화의
갈변화
억제 효능으로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 확인
식물에 필요한 물질(예컨대, 영양분)의 분석은 통상적으로 식물의 생리적 현상, 예를 들면, 발아, 발근 등의 상태(성공률, 시기, 성장 크기 등)를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시험에서는 꽃의 수명을 연장(개화 상태 유지)시킬 수 있는 후보 물질의 분석을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화훼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장미장미(Rosa damascena) 절화를 사용하였다. 상기 절화에 후보 물질인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또는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구성성분으로 하는 표 1~3의 조성물을 처리한 후 절화의 갈변화 여부로 해당 후보 물질에 의한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방법 :
(1) 꽃잎의 갈변화 정도(갈변화율)는 꽃잎의 면적(크기), 개수, 상태(예컨대, 신선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균일할 면적(크기),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신선도의 꽃잎을 갖는 꽃송이 3개씩을 한 군으로 29개의 군을 준비하였다.
(2) 각 군의 꽃송이들을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3의 조성물이 약 1L씩 담긴 용기(예컨대, 비커) 각각에 넣어 약 2시간 동안 침지 처리한 후, 용기로부터 끄집어낸 다음, 상온에서 약 9일까지 방치하여 각 꽃송이의 꽃잎 갈변화의 정도, 즉 갈변화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갈변화율은 꽃송이의 꽃잎 전체의 면적 중 갈색으로 변한 부위의 면적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꽃송이의 꽃잎 전체의 면적 중 갈색 부위가 약 20%를 차지하는 경우 갈변화율이 뚜렷하게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평가 과정을 각 군의 꽃송이 3개씩에 대해 실시하여 꽃송이 3개에 대한 갈변화 일수, 즉 갈변화율 20%에 도달하는 일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 표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1~5 : 0.05 : 5~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실시예 1~6의 조성물을 처리한 꽃송이의 꽃잎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갈변화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3 및 4는 갈변화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오랫동안 꽃잎의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중량기준으로 1~5 : 0.05 : 5~9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12 및 비교예 14~23의 조성물과, 비교예 13의 정제수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처리한 꽃송이 꽃잎은 시간 경과에 따른 갈변화율이 높아지거나, 조성물 자체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부패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여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장미꽃잎 갈변화율 20% 도달 일수 |
6 |
6 |
8 |
9 |
6 |
6 |
5 |
5 |
5 |
갈변화 저감 효과 |
보통 |
보통 |
우수 |
우수 |
보통 |
보통 |
낮음 |
낮음 |
낮음 |
비고 |
- |
- |
- |
- |
- |
- |
줄기연화 |
줄기연화 |
줄기연화 |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비교예 7 |
비교예 8 |
비교예 9 |
비교예 10 |
비교예 11 |
비교예 12 |
비교예 13 |
장미꽃잎 갈변화율 20% 도달 일수 |
5 |
5 |
5 |
5 |
5 |
5 |
4 |
4 |
4 |
6 |
갈변화 저감 효과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비고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줄기연화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
비교예 14 |
비교예 15 |
비교예 16 |
비교예 17 |
비교예 18 |
비교예 19 |
비교예 20 |
비교예 21 |
비교예 22 |
비교예 23 |
장미꽃잎 갈변화율 20% 도달 일수 |
4 |
4 |
4 |
4 |
4 |
4 |
4 |
4 |
4 |
4 |
갈변화 저감 효과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비고 |
- |
줄기연화 |
- |
줄기연화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부패 |
[
시험예
2]
수크로스
,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로 구성된 혼합물에 의한
절화의
수분 손실 억제 효능으로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 확인
오산 식물원의 식물 연구용 온실에서 시험을 수행하되, 장미(Rosa damascena) 절화를 시험대상으로 하였고, 일 예로서 상기 시험예 1에서 꽃잎의 갈변화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된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실시예 4)을 꽃잎에 처리한 다음, 시간 경과에 따른 꽃잎의 수분 손실도(water deficit, 수분 결핍율)을 측정하여 상기 혼합물에 의한 절화의 수분 보유력 향상 효과 여부로 상기 혼합물에 의한 절화의 수명 연장 효과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실시예 4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비교예 13을 사용하였다.
꽃잎의 수분 손실도의 확인은 Amihud Borohov et al., Plant Physiol ., 1976, 58:175-178에 개시된 수학식(하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다만, 꽃잎의 건조법은 상기 문헌에 개시된 가열법(시험대상을 약 80℃의 온도에서 약 48시간 동안 건조) 대신 원적외선 처리법(약 100℃에서 약 2시간 동안 처리)을 이용하였다.
[수학식 1]
수분 손실도(%) = [(FTW-FW)/(FTW-DW)] * 100
FW: 꽃잎 그대로의 무게
FTW: 물에 2시간 동안 적신 꽃잎의 무게(물로 포화된 상태의 꽃잎)
DW: 적신 꽃잎의 건조 후 무게(완전 건조된 상태의 꽃잎)
실험 방법
:
(1) 꽃잎의 수분 함유량은 꽃잎의 면적(크기), 개수와 상태(예컨대, 신선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균일할 면적(크기), 동일한 개수 및 동일한 신선도의 꽃잎을 갖는 꽃송이 15개씩을 한 군으로 2개의 군을 준비하였다.
(2) 상기 2개의 군 중 하나를 실시예 4의 조성물이 1L 담긴 용기(예컨대, 비커)에 약 2시간 동안 침지 처리한 후, 용기로부터 끄집어내어 온실에서 약 6일까지 방치하면서, 0, 1, 2, 3 및 6일차에 꽃송이를 3개씩 샘플링하였다(실험군).
(3) 상기 2개의 군 중 나머지 하나를 비교예 13의 조성물이 1L 담긴 용기(예컨대, 비커)에 약 2시간 동안 침지 처리한 후, 용기로부터 끄집어내어 온실에서 약 6일까지 방치하면서, 0, 1, 2, 3 및 6일차에 꽃송이를 3개씩 샘플링하였다(대조군).
(4) 상기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수분 손실도를 구하기 위해, 상기 (2) 및 (3)에서 샘플링된 각 군의 꽃송이 하나 당 최외각 꽃잎 4장의 무게를 측정한 후(수학식 1의 FW 값), 상기 꽃잎 4장을 2시간 동안 정제수에 충분히 담궈 적신 꽃잎의 무게를 측정한 다음(수학식 1의 FTW 값), 적신 꽃잎 4장을 원적외선 수분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1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무게를 다시 측정하였다(수학식 1의 DW 값). 이와 같은 측정 과정을 각 군의 꽃송이 3개씩에 대해 실시하여 꽃송이 3개에 대한 FW 값, FTW 값 및 DW 값 각각의 평균을 구한 다음, 각 군의 꽃송이들의 수분 손실도(%)를 산출하였다.
그다음, 하기 수학식 2로 실험군 및 대조군 간의 수분 손실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수학식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값(%) = [(대조군의 수분 손실도 - 실험군의 수분 손실도)/(대조군의 수분 손실도)]*100
일수 |
0일 |
1일 |
2일 |
3일 |
6일 |
대조군의 수분 손실도(A) |
22.36 |
23.34 |
22.6 |
19.62 |
16.44 |
실험군의 수분 손실도(B) |
22.82 |
22.67 |
20.49 |
16.04 |
12.98 |
A-B |
-0.46 |
0.67 |
2.11 |
3.58 |
3.46 |
[(A-B)/A]*100 |
-2.06 |
2.87 |
9.34 |
18.25 |
21.05 |
그 결과, 표 7,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3의 조성물을 처리한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4의 조성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꽃잎은 수분 손실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실시예 4의 조성물에서 꽃잎을 보관/저장할 경우 수분 손실량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꽃잎의 본래 모습을 장기간 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및 2의 시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을 특정 혼합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절화의 수분 손실 저감 및 갈변화 정도의 감소로 절화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