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9026B1 - 회전형 칫솔 - Google Patents

회전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026B1
KR102609026B1 KR1020220123909A KR20220123909A KR102609026B1 KR 102609026 B1 KR102609026 B1 KR 102609026B1 KR 1020220123909 A KR1020220123909 A KR 1020220123909A KR 20220123909 A KR20220123909 A KR 20220123909A KR 102609026 B1 KR102609026 B1 KR 102609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fixed
head
teeth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1020220123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02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46B5/007Inse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 e.g. springs,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로 이용되는 칫솔대를 중심으로 칫솔모가 있는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어 칫솔의 사용 시 치아의 위와 아래로 유도되도록 한 회전형 칫솔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칫솔모가 삽입 고정 되어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후측으로 위치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우에서 원위치로 회전 유도되도록 연결 고정되는 회전 유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칫솔{Spinning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로 이용되는 칫솔대를 중심으로 칫솔모가 있는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어 칫솔의 사용 시 치아의 위와 아래로 유도되도록 한 회전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칫솔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칫솔(1)은 칫솔모가 삽입 고정 되어있는 헤드부와, 칫솔모가 있는 반대 방향으로 손잡이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칫솔(1)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칫솔모의 일정량인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치아와 칫솔모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에 적정한 힘을 가해 칫솔모를 치아와 잇몸의 형태에 따라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안에서 밖으로, 밖에서 안으로 움직여가며 치아의 표면과 틈새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닦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칫솔모를 이용하면서 윗니의 앞면을 위에서 아래로 닦지 않고 아래에서 위로 닦거나, 아랫니의 앞면을 아래에서 위로 닦지 않고 위에서 아래로 닦으면 잇몸을 파손케 하거나 통증을 유발할 염려가 있다. 특히,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동 칫솔의 경우, 치아 및 잇몸의 형태와 상관없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칫솔모가 자동 회전되도록 하고 있어, 잇몸과 치아손상을 더욱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치약에 마모제가 있으므로, 칫솔모를 치아 옆으로 움직여 닦으면 치아와 잇몸사이의 경계부위 치아면이 닳아서 패이는 치경부 마모증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치아와 잇몸의 형태에 따라서 칫솔모를 움직이지 않게 되면, 치아 사이에 남아 있는 찌꺼기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으므로 프라그가 석회화되어 치석이 생기거나, 이로 인해 치은염, 치주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고 있는 칫솔(1)을 이용하여 치아를 닦기 위해서는 칫솔모를 약 45도 이상 기울인 상태로 잇몸에 밀착시킨 후 손목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 위에서 아래로 돌려가며 닦아야 하며, 한 부위당 5~7회 해야 함으로 손목을 계솔 돌려야하는 불편함이 발생되고, 이 불편함으로 인해 제대로 된 칫솔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칫솔을 이용하는 방법은 잇몸과 치아손상을 작게 하면서 최대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칫솔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6-0001201호(공개일자 1986.02.26.)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264호(등록일자 2005.02.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손잡이로 이용되는 칫솔대를 중심으로 칫솔모가 있는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어 칫솔의 사용 시 치아의 위와 아래로 유도되도록 한 회전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잇몸과 치아손상을 작게 하면서 최대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치아를 닦기 위한 손목의 돌림 없이도 칫솔모를 약 40~50도로 손쉽게 기울여 질 수 있도록 하여 칫솔모가 잇몸에 밀착되어 치아가 닦일 수 있도록 한 회전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특징은 칫솔모가 삽입 고정 되어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후측으로 위치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우에서 원위치로 회전 유도되도록 연결 고정되는 회전 유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10)는 칫솔모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11)와, 상기 헤드(11)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어 치아를 닦기 위한 칫솔모(12)와, 상기 헤드(11)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여 회전 유도부(20)가 삽입 고정되는 회전몸체(1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13)는 하단부터 상단 방향으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14)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측면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안착홈(15)과, 상기 회전몸체(13)의 내측 상부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안착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유도부(20)는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의 위치를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손잡이부(30)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의 상단 끝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회전몸체(13)에 삽입 고정되는 제1 탄성봉(23)과, 상기 지지봉(21)의 양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회전몸체(13)의 제1 안착홈(15)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탄성봉(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칫솔질을 위해 파지되는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부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3 안착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탄성봉(23) 및 상기 제2 탄성봉(22)은 실리콘, 고무, 금속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부(10)의 좌우 회전각도는 약 40도~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칫솔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손잡이로 이용되는 칫솔대를 중심으로 칫솔모가 있는 헤드부가 좌우로 회전되어 회전법으로 닦을 때 칫솔의 좌우회전을 원활하게 해주어 손목을 조금만 돌려도 치아를 위에서 아래로 닦거나 아래에서 위로 닦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잇몸과 치아손상을 작게 하면서 최대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제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구강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치아를 닦기 위한 손목의 돌림 없이도 칫솔모를 약 40~50도로 손쉽게 기울여 질 수 있도록 하여 칫솔모가 잇몸에 밀착되어 치아가 닦일 수 있도록 하여 칫솔질에서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칫솔모의 좌우회전 시에 탄성력을 통해 헤드부가 원위치로 돌아오는 성질을 이용하여 칫솔모의 좌우회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칫솔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구성을 결합하여 나타낸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에서 헤드부의 좌우 회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구성을 결합하여 나타낸 결합도이다. 다만, 도시된 회전형 칫솔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칫솔은 칫솔모가 삽입 고정 되어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후측으로 위치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우에서 원위치로 회전 유도되도록 연결 고정되는 회전 유도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0)는 칫솔모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11)와, 헤드(11)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어 치아를 닦기 위한 칫솔모(12)와, 상기 헤드(11)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여 회전 유도부(20)가 삽입 고정되는 회전몸체(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몸체(13)는 하단부터 상단 방향으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14)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측면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안착홈(15)과, 상기 회전몸체(13)의 내측 상부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안착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칫솔질을 위해 파지되는 고정몸체(31)와, 상기 고정몸체(31)의 상부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3 안착홈(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유도부(20)는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의 위치를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손잡이부(30)의 제3 안착홈(32)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의 상단 끝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회전몸체(13)의 제2 안착홈(16)에 삽입 고정되는 제1 탄성봉(23)과, 상기 지지봉(21)의 양측면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회전몸체(13)의 제1 안착홈(15)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탄성봉(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21)은 금속, 플라스틱, 나무 등과 같이 하드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탄성봉(23) 및 상기 제2 탄성봉(22)은 실리콘, 고무, 금속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 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칫솔에서 헤드부의 좌우 회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칫솔은 회전법으로 칫솔질을 통해 치아를 닦을 때, 헤드부(1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약 40도~50도의 회전만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좌우 회전 각도를 약 40도~50도로 제한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제1 탄성봉(23) 및 상기 제2 탄성봉(22)의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회전 탄성력을 제한함으로써, 헤드부(1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약 40도~50도로 제한하거나, 또는 상기 헤드부(10), 회전 유도부(20) 및 손잡이부(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걸림턱 돌기 및 홈을 구성하여, 헤드부(10)의 좌우 회전 시 약 40도~50도 이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헤드부(10)의 좌우 회전 각도를 약 40도~50도의 회전으로 제한하기 위한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을 것으로, 하나의 구성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칫솔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먼저,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칫솔모(12)에 일정량의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치아와 칫솔모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30)에 적정한 힘을 가해 칫솔을 치아와 잇몸의 형태에 따라서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안에서 밖으로, 박에서 안으로 움직여가며 치아의 표면과 틈새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프라그를 닦아 낸다.
이때, 헤드부(10)는 치아와 칫솔모의 접촉된 상태에서 위, 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제1 탄성봉(23) 및 제2 탄성봉(22)에 의해 칫솔모의 움직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헤드부(10)는 좌우 회전각도로 최대 약 40도~50도의 각도까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칫솔모가 치아를 거쳐 잇몸에 이르러, 손잡이(30)에 가하는 누르는 힘의 강도가 낮아지면, 제1 탄성봉(23) 및 제2 탄성봉(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약 40도~50도의 각도까지 회전된 헤드부(10)가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손잡이(30)로 이용되는 고정몸체(31)를 중심으로 칫솔모(12)가 있는 헤드부(10)가 좌우로 회전되는 회전법으로 닦을 때 칫솔의 좌우회전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어, 손목을 조금만 돌려도 치아를 위에서 아래로 닦거나 아래에서 위로 닦을 때, 칫솔모(12)의 좌우회전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헤드부 11: 헤드
12: 칫솔모 13: 회전몸체
14: 관통홀 15: 제1 안착홈
16: 제2 안착홈 20: 회전 유도부
22: 제2 탄성봉 23: 제1 탄성봉
30: 손잡이부 31: 고정몸체
32: 제3 안착홈

Claims (3)

  1. 칫솔모가 삽입 고정 되어있는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의 후측으로 위치되게 구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좌우에서 원위치로 회전 유도되도록 연결 고정되는 회전 유도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도부(20)는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부(10) 및 상기 손잡이부(30)의 위치를 지지하고, 하단이 상기 손잡이부(30)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봉(21)과,
    상기 지지봉(21)의 상단 끝에 결합 고정되어, 회전몸체(13)에 삽입 고정되는 제1 탄성봉(23)과,
    일측이 상기 지지봉(21)의 양측면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몸체(13)의 제1 안착홈(15)에 삽입 고정되어, 양끝단이 상기 지지봉(21) 및 상기 회전몸체(13)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탄성봉(2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탄성봉(23) 및 상기 제2 탄성봉(22)은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칫솔모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11)와,
    상기 헤드(11)의 일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삽입 고정되어 치아를 닦기 위한 칫솔모(12)와,
    상기 헤드(11)의 후측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여 회전 유도부(20)가 삽입 고정되는 회전몸체(1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13)는
    하단부터 상단 방향으로 중심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수납공간(14)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14)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측면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안착홈(15)과,
    상기 회전몸체(13)의 내측 상부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유도부(20)의 상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제2 안착홈(16)을 포함하는 회전형 칫솔.
  3. 삭제
KR1020220123909A 2022-09-29 2022-09-29 회전형 칫솔 Active KR102609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09A KR102609026B1 (ko) 2022-09-29 2022-09-29 회전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909A KR102609026B1 (ko) 2022-09-29 2022-09-29 회전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026B1 true KR102609026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909A Active KR102609026B1 (ko) 2022-09-29 2022-09-29 회전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0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201Y1 (ko) 1984-02-20 1986-06-17 정기복 수동분무기의 플런저 수직 구동장치
KR200258312Y1 (ko) * 2001-09-12 2001-12-28 우인택 회전 칫솔
KR200377264Y1 (ko) 2004-12-01 2005-03-11 김재옥 회전장치의 치솔
KR20050026742A (ko) * 2003-09-06 2005-03-16 김한석 수동식 회전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1201Y1 (ko) 1984-02-20 1986-06-17 정기복 수동분무기의 플런저 수직 구동장치
KR200258312Y1 (ko) * 2001-09-12 2001-12-28 우인택 회전 칫솔
KR20050026742A (ko) * 2003-09-06 2005-03-16 김한석 수동식 회전 칫솔
KR200377264Y1 (ko) 2004-12-01 2005-03-11 김재옥 회전장치의 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4004Y2 (ko)
CN1142737C (zh) 电动牙刷
EP0098275A1 (fr) Brosse a dents.
CA2041216A1 (en) Adjustable curvature toothbrush
JP3206056U (ja) L字型歯ブラシ
KR102609026B1 (ko) 회전형 칫솔
US20050160542A1 (en) Electromotion toothbrush rotatable in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KR102678212B1 (ko) 회전형 칫솔
KR200484576Y1 (ko) 칫솔
KR200426835Y1 (ko) 머리부가 회전되는 칫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KR100922289B1 (ko) 기능성 칫솔
US3631562A (en) Cleaning brush
JP3039512U (ja) 歯ブラシの伸縮可能な回転毛を有するヘッド構造
KR102793468B1 (ko) 치아 광택 및 치태 제거의 부가 기능 부분을 가진 칫솔 혹은 치간칫솔
US1661200A (en) Toilet article
JP3240379U (ja) 歯の裏磨き歯ブラシ
CN217185178U (zh) 一种带牙签功能的软胶齿间刷
KR101318343B1 (ko) 머리부의 상하 회전이 가능한 칫솔
FI107369B (fi) Taitettava monitoimihammasharja
KR20240111618A (ko) 분리형 비스포크 칫솔
KR200321486Y1 (ko) 칫솔
KR101861186B1 (ko) 치간칫솔
KR200349257Y1 (ko) 치 솔
CN102551319A (zh) 一种具有金属制牙刷柄的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