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598B1 -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 Google Patents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8598B1 KR102608598B1 KR1020200161855A KR20200161855A KR102608598B1 KR 102608598 B1 KR102608598 B1 KR 102608598B1 KR 1020200161855 A KR1020200161855 A KR 1020200161855A KR 20200161855 A KR20200161855 A KR 20200161855A KR 102608598 B1 KR102608598 B1 KR 102608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late
- corrugated steel
- reinforcing
- bolt
- width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파형 강판의 상부에 철근 보강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철근 보강부의 상부로 보강 거푸집이 덮혀져 파형 강판에 볼팅으로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 경화되어지게 구비된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판은 폭방향으로 산부와 골부가 구비되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파형 강판에 구비된 골부에 직접 제4볼트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갖는 제1볼트 관통홀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마주보게 구비된 일,타측 웹부재의 하부에 제2볼트 관통홀을 갖는 일,타측 웹부재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일,타측 웹부재와 거푸패널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곡률을 갖도록 구비되어 아치형 파형강판 구조물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equipped with reinforcing formwork.
For this purpose, in this invention, a reinforcing ba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a corrugated steel plate, a reinforcing form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and is connected to the corrugated steel plate by bolting, and concrete is poured into the inside of the reinforcing form. In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form provided to be hardened, the corrugated steel plate is provided with peaks and valley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bent to have a curv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rrugated steel plate is provided with A fourth bolt through hole is formed directly in the valley, and first bolt through holes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forms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e web member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second bolt through hole in the lower part of the other web member, and the web member on the other side is provided to be bent outward, and the web member on the other side and the form panel are provided to have a curvature cur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orm an arch-shaped corrugated steel shee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in the structure.
Description
이 건 발명은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아치형태를 갖는 파형 강판의 구조물 표면에 일정 간격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가 타설되게 구비되도록 하여 강판 구조물의 강성을 높여 안전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equipped with a reinforcing form. In particular, safety can be maintained 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steel plate structure by pouring reinforced concret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having an arch shape. It was made to be so.
일반적으로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절곡된 파형강판을 축방향으로 결합시켜 얻어진 구조물은 지하통로, 용수로, 배수로, 호안용 셀, 배수로, 지붕 및 창고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structures obtained by axially combining corrugated steel plates bent in the form of repeating peaks and valley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underground passages, irrigation canals, drains, revetment cells, drains, roofs, and warehouses.
파형강판 구조물은 크기가 작을 경우, 벤딩된 하나의 강판이 이용되어지고, 크기가 클 경우, 벤딩 공정에서 벤딩율을 크게하여 제조된 것을 겹쳐 볼팅 조립공정으로 설치되고 있다.When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is small, a single bent steel plate is used, and when the size is large, the structures manufactured by increasing the bending rate in the bending process are overlapped and installed through a bolting assembly process.
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의 시공은 기초지반에 시공된 채널에 볼팅으로 파형강판의 하부가 직각 되도록 설치된 후 설치된 파형강판의 가장자리에 다른 파형강판의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게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팅작업을 반복하여 파형강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얻을수 있게 된다.Construction of a structure using corrugated steel plates involves installing the lower par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at a right angle by bolting in a channel constructed on the foundation ground, then repeating the bolting operation with the edge of the installed corrugated steel plate overlapping with the edge of another corrugated steel plat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ructure made of corrugated steel plates.
파형강판 구조물은 얇은 파형강판에 주름이 연속되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경간의 길이가 짧은 곳에는 사용하기 충분하나 경간의 길이가 긴 경우, 종단면적이 작아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이 줄어들어 부분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원인이 있었다.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is formed with continuous wrinkles on a thin corrugated steel plate, so it is sufficient for use in places where the span is short, but when the span is long, the longitudinal area is small and the resistance to compressive force is reduced, resulting in partial damage. There was a cause for the deformation.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10-0698028(2007.0 3.15)호의 파형강판 구조물의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보강구조는 파형강판의 앵커볼트 삽입홈에 앵커볼트가 결합되어지고, 앵커볼트가 철근과 와이어로 결속되어진 상태에서 파형강판의 둘레를 따라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보강되도록 하였으나, 천공된 앵커볼트에 의한 단면이 감소됨에 따라 국부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될 경우,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way to solve this cause, the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i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698028 (2007.003.15) were proposed, and the proposed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sts of anchor bolts connected to the anchor bolt insertion groove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The concrete was hardened and reinforc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with the anchor bolts bound with rebar and wire, but when a local load was applied as the cross-section due to the perforated anchor bolts was reduced, deformation occurred. There was a problem.
이 건 발명은 파형 강판 구조물의 단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고, 파형 강판 구조물의 내면이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하여 보강 거푸집에 배부름 변형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가운데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is invention prevent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from being reduced, prevents deformation, extends the lifespan, and makes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beautiful, and also prevents deformation by preven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from being reduced.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full deformation in the reinforced formwork and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used.
이 건 발명은 도 3, 4, 8 및 9에서와 같이 파형 강판(10)의 상부에 철근 보강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철근 보강부(20)의 상부로 보강 거푸집(30)이 덮혀져 상기 파형 강판(10)의 폭방향 단부와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폭방향 단부가 볼팅(40)으로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내부에 콘크리트(50)가 타설, 경화되어지게 구비된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파형 강판(10)은 폭방향으로 산부(110)와 골부(120)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며, 상기 파형 강판(10)의 폭방향 양측 단부의 산부(110)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제1볼트 관통홀(130)이 각각 구비되어지고, 상기 파형강판(10)의 골부(120)에는 일정간격으로 제4볼트 관통홀(121)이 구비되며,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형 앵커볼트(220), 너트(230), 주철근(240), 배력근(250) 및 보강철근(26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철근 보강부(20)의 ""형 앵커볼트(220) 하부가 상기 파형강판(10)의 골부(120)에 구비된 제4볼트 관통홀(121)에 관통되게 끼워져 상,하부 너트(230)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파형강판(10)에 고정된 앵커볼트(220)에 다수개의 주철근(240)과 다수개의 배력근(25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주철근(240)은 길이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력근(250)은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20), 주철근(240) 및 배력근(250)에는 ""형태의 보강철근(260)이 폭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보강 거푸집(30)은 상기 파형 강판(10)과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만곡 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 양측 단부가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일,타측 웹부재(310)(310')가 구비되고, 상기 일,타측 웹부재(310)(310')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재(311)(311')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재(311)(311')에는 일정간격으로 제2볼트 관통홀(311-1)(311'-1)이 구비되어, 상기 파형 강판(10)의 양측 단부의 산부(110)에 구비된 제1볼트 관통홀(130)에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양측 플랜지부재(311)(311')에 구비된 제2볼트관통홀(311-1)(311-1')이 맞대어져 볼팅(40)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은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4, 8, and 9, a reinforcing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 2, 5, 6 및 7과 같이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파형강판(10)의 골부(120) 하부에 제3볼트 관통홀(211)을 갖는 ""형 브라켓(210)이 용접 이음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3관통홀(211)에 ""형 앵커볼트(220)의 하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상,하부 너트(230)로 고정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앵커볼트(220)에 주철근(240)과 배력근(250)이 배근되어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주철근(240)과 앵커볼트(200)에 보강철근(260)이 배근되어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2, 5, 6, and 7, the
또한, 상기 주철근(240)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벤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reinforcing
또한, 상기 파형 강판(10)은 중앙의 산부(110) 양측에 골부(120)가 각각 구비되고, 폭방향 양측 단부의 높이는 상기 산부(110)의 높이로 구비되며, 상기 파형 강판(10) 상부에는 5개의 주철근(24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배력근(240)은 폭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보강 거푸집(30)은 다른 실시예인 도 1 및 도2와 같이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이 평탄부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인 도 5, 6 및 7과 같이 요부(321)와 철부(321')가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삭제delete
이 건 발명은 파형 강판 구조물의 종단면적을 늘여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This invention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to increase resistance to compressive force, thereby preventing local deformation and increasing stability.
또한, 이를 통해 파형 강판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킨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is can further achieve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span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한편, 이 건 발명은 파형 강판 구조물의 표면으로 구비되는 보강 거푸집에 주름형 파형구조가 구비되도록 할 경우, 충분한 지지력 내지는 보강력이 확보되어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is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at when the reinforcing form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corrugated corrugated structure, sufficient supporting or reinforcing force is secured to sufficiently resist the pressure of the concrete being placed. can be obtained.
그리고 이를 통해 보강 거푸집에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of fullness occurring in the reinforcing formwork.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종단면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을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보강 거푸집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9는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ement 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s follows.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의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건 발명에 따른 파형 강판 구조물은 단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종단면적을 늘여 압축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국부적인 변형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강판(10), 철근 보강부(20), 보강 거푸집(30), 볼팅(40) 및 콘크리트(50)로 구비되어 있다.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invention is designed to prevent cross-sectional loss, increase resistance to compressive force by increasing the longitudinal area, prevent local deformation, increase stability, and extend lif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it is provided with a
이러한 파형 강판 구조물은 상기 파형 강판(10)의 상부에 철근 보강부(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철근 보강부(20)의 상부로 보강 거푸집(30)이 덮혀져 파형 강판(10)에 볼팅(40)으로 결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이 내부에 콘크리트(50)가 타설, 경화되게 구비되어 있다.This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reinforcing
여기에서, 상기 파형 강판(10)은 폭방향으로 산부(110)와 골부(120)가 구비되는 가운데 길이 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일정 간격을 갖는 제1볼트 관통홀(130)이 구비되어 있다.Here, the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파형강판(10)의 골부(120) 하부에 제3볼트 관통홀(211)을 갖는 ""형 브라켓(210)의 양측 하부가 걸쳐지게 얹혀진 상태에서 걸쳐진 부분이 용접 이음으로 결합되어지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3관통홀(211)에 ""형 앵커볼트(220)의 하부가 관통되게 끼워져 상,하부 너트(230)로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너트(230)는 앵커볼트(220)의 하부에 미리 끼워져 소정 길이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노출된 부분이 제3관통홀(211)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되게 끼워지도록 하고, 브라켓(210)의 하부로 노출된 앵커볼트(220)에 다시 하부 너트(230)가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앵커볼트(220)에는 벤딩된 파형 강판(1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주철근(240)이 배근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주철근(240)의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을 갖는 배력근(250)이 배근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주철근(240)과 앵커볼트(200)에 각각 보강철근(260)이 배근되어지도록 하여 충분한 보강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이러한 상기 주철근(240)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근되는 과정에서 파형 강판(10)의 외측 표면과 보강 거푸집(30)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main reinforcing
상기 배력근(250)은 이웃하는 다른 주철근(240)과 다른 주철근(240)이 배근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형태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보강철근(260)은 주철근(240)과 앵커볼트(220) 및 다른 주철근(24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충분한 보강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일측의 앵커볼트(220)와 타측의 앵커볼트(220)의 내,외측으로 구비된 주철근(240)에 미도시한 철선에 의하여 배근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상기 보강 거푸집(30)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마주보게 구비된 일,타측 웹부재(310)(310')의 하부에 제2볼트 관통홀(311-1)(311'-1)을 갖는 일,타측 웹부재(310)(310')가 외측으로 절곡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파형 강판(10)의 상부로 구비된 철근 보강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reinforcing
상기 일,타측 웹부재(310)(310')와 거푸패널(320)은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곡률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반복되게 결합 또는 구비되도록 할 경우, 파형 강판 구조물의 표면에서 일정 간격을 가지며 연속되는 아치형 띠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one and the
이와 같은 파형 강판 구조물은 먼저, 산부(110)와 골부(120)를 가지며, 만곡형태로 벤딩된 파형 강판(1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하는 가운데 폭방향으로 반복되도록 가장자리가 서로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볼팅을 이용하여 아치형태를 갖도록 한다.This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first has
다음, 아치형태를 갖는 각각의 파형 강판(10)의 골부(120)에 브라켓(210)의 하부가 맞대어지도록 한 후 맞대어진 부분을 용접하여 고정되도록 하고, 이어 브라켓(210)에 구비된 제3볼트 관통홀(211)에 앵커볼트(220)의 하단이 끼워져 상하 너트(230)로 고정되도록 한다.Next, the lower part of the
다음,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형 앵커볼트(220), 너트(230), 주철근(240), 배력근(250) 및 보강철근(26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 보강부(20)가 상기 파형강판(10)의 상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철근 보강부(20)의 상부로 상기 보강 거푸집(30)이 덮혀지도록 하며, 이어 상기 파형 강판(10)의 양측 단부 산부(110)에 에 구비된 제1볼트 관통홀(130)에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양측 플랜지부재(311)(311')에 구비된 제2볼트관통홀(311-1)(311-1')이 맞대어져 볼팅(40)으로 결합되도록 한다.Next, the
이후 보강 거푸집(30)의 내부 공간으로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보강 거푸집(30)의 내부로 구비된 철근 보강부(20)가 매립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그 만큼의 높은 강도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concrete 50 is pour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reinforcing
도1은 이 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길이방향 종단면도이며, 도3은 이 건 발명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이 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보강 거푸집을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길이방향 종단면도이고, 도7은 이 건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폭방향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8은 이 건 발명을 도시한 길이방향 종단면도이고, 도9는 이 건 발명을 도시한 폭방향 종단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is gun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is gun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is gun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is gun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vention in isola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inforcing for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rom the bottom, Figure 6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longitudin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이 건 발명에서 상기 파형 강판(10)의 상부에 맞대어져 볼팅(40)으로 결합되어지는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은 도 3, 4 및 8과 같이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1 및 도2와 같이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이 평탄부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인 도 5, 6 및 7과 같이 요부(321)와 철부(321')가 동일한 간격으로 반복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invention, the
이는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이 도 1 및 도 2와 같이 단순하게 평평한 형태일 경우,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하여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나,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이 도 3, 4 및 8과 같이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됨에 따라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This means that when the
삭제delete
이 건 발명에서 보강 거푸집(30)은 일,타측 웹부재(310)(310')와 거푸패널(320)이 길이 방향으로 만곡된 곡률을 갖는 단순한 형태를 갖도록 한다. 다만,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은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평평한 형태일 경우,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하여 중앙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나,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이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됨에 따라 배부름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의 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this invention, the reinforcing
In the case of a flat shape, a swelling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central part is deformed convexly outward due to the pressure of the poured concrete, but the
삭제delete
이 건 발명에서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형 강판(10)의 골부(120)에 일정간격으로 제4볼트 관통홀(121)이 구비되어지고, 도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볼트 관통홀(121)에 상기 ""형 앵커볼트(220)의 하부가 끼워져 상,하부 너트(230)로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경우, 도 1, 7에서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210)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시공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is invention, the
10:파형 강판 20:철근 보강부
30:보강 거푸집 40:볼팅
50:콘크리트 110:산부
120:골부 130:제2볼트 관통홀
210:브라켓 211:제3볼트 관통홀
220:앵커볼트 230:상,하부 너트
240:주철근 250:배력근
260:보강철근 310,310':일,타측 웹부재
311-1,311'-1:제1볼트 관통홀10: Corrugated steel plate 20: Reinforcement bar
30: Reinforcement form 40: Bolting
50: Concrete 110: Mountain
120: Valley 130: Second bolt through hole
210: Bracket 211: Third bolt through hole
220: Anchor bolt 230: Upper and lower nuts
240: Main rebar 250: Double strength bar
260: Reinforcing bar 310,310': One side, other web member
311-1,311'-1: 1st bolt through hole
Claims (5)
상기 파형 강판(10)은 폭방향으로 산부(110)와 골부(120)가 구비되고 길이 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며, 상기 파형 강판(10)의 폭방향 양측 단부의 산부(110)에는 일정 간격을 갖는 제1볼트 관통홀(130)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파형강판(10)의 골부(120)에는 일정간격으로 제4볼트 관통홀(121)이 구비되며, 상기 철근 보강부(20)는 ""형 앵커볼트(220), 너트(230), 주철근(240), 배력근(250) 및 보강철근(26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지되, 상기 철근 보강부(20)의 ""형 앵커볼트(220) 하부가 상기 파형강판(10)의 골부(120)에 구비된 제4볼트 관통홀(121)에 관통되게 끼워져 상,하부 너트(230)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상기 파형강판(10)에 고정된 앵커볼트(220)에 다수개의 주철근(240)과 다수개의 배력근(25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주철근(240)은 길이방향으로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력근(250)은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지며, 상기 앵커볼트(220), 주철근(240) 및 배력근(250)에는 ""형태의 보강철근(260)이 폭방향으로 구비되어지며, 상기 보강 거푸집(30)은 상기 파형 강판(10)과 동일하게 길이 방향으로 만곡형태를 갖도록 벤딩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 양측 단부가 수직 하부로 절곡되어 일,타측 웹부재(310)(310')가 구비되고, 상기 일,타측 웹부재(310)(310')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재(311)(311')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랜지부재(311)(311')에는 일정간격으로 제2볼트 관통홀(311-1)(311'-1)이 구비되어, 상기 파형 강판(10)의 양측 단부 산부(110)에 구비된 제1볼트 관통홀(130)에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양측 플랜지부재(311)(311')에 구비된 제2볼트관통홀(311-1)(311-1')이 맞대어져 볼팅(40)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보강 거푸집(30)의 상부면인 거푸패널(320)은 평판 형태의 평탄부(321)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평탄부(321)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로 돌출된 철부(321')가 반복되게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
A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part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and a reinforcing formwork 30 is covered with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part 20, so that the width direction end of the corrugated steel sheet 10 and the reinforcing formwork are formed. In the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form, the width direction end of (30) is coupled with bolting (40), and concrete (50) is provided to be poured and hardened inside the reinforcing form (30). ,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is provided with peaks 110 and valleys 120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bent to have a curv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eaks 110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are each provided with first bolt through holes 130 at regular intervals, and fourth bolt through holes 121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alley portion 120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and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portion ( 20) is " "A type anchor bolt (220), a nut (230), a main reinforcing bar (240), a reinforcing bar (250), and a reinforcing bar (260) are organically combined and provided, and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part (20) is provided in an organic manner. The lower part of the "shaped anchor bolt 220 is inserted through the fourth bolt through hole 121 provided in the valley 120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and is fixed with upper and lower nuts 230, and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is provided with a lower part. The anchor bolt 220 fixed to the steel plat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in reinforcing bars 240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bars 250, and the main reinforcing bars 240 are provided to have a shape cur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bdominal strength muscle 250 is " "It is provided to have a shape, and the anchor bolt (220), the main reinforcing bar (240) and the reinforcement bar (250) include " Reinforcing bars 260 in the shape of "ar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reinforcing form 30 is provided to be bent to have a curved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way as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and the reinforcing form 30 ), both ends of the form panel 320, which is the upper surface, are bent vertically downward to provide one and the other web members 310 and 310', and the first and other web members 310 and 310' are bent to the outside. The flange members 311 and 311' are bent and provided as one piece, and the flange members 311 and 311' are provided with second bolt through holes 311-1 and 311'-1 at regular intervals. , second bolts provided in the flange members 311 and 311' on both sides of the reinforcing formwork 30 penetrate the first bolt penetration holes 130 provided in the mountain portions 110 at both ends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The holes 311-1 and 311-1' are joined by bolting 40, and the form panel 320,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form 30, is formed as a flat portion 321 in the form of a plate.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portion 321 is repeatedly provided with iron portions 321' protruding upwar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파형 강판(10)은 중앙의 산부(110) 양측에 골부(120)가 각각 구비되고, 폭방향 양측 단부의 높이는 상기 산부(110)의 높이로 구비되며, 상기 파형 강판(10) 상부에는 5개의 주철근(240)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배력근(250)은 폭방향으로 2개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 거푸집을 구비한 파형 강판 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is provided with valleys 120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eak 110, and the height of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peak 110, and the upper part of the corrugated steel plate 10 has 5 A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 with a reinforcing form, characterized in that two main reinforcing bars (24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reinforcement bars (250) are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855A KR102608598B1 (en) | 2020-11-27 | 2020-11-27 |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1855A KR102608598B1 (en) | 2020-11-27 | 2020-11-27 |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923A KR20220073923A (en) | 2022-06-03 |
KR102608598B1 true KR102608598B1 (en) | 2023-12-04 |
Family
ID=8198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1855A Active KR102608598B1 (en) | 2020-11-27 | 2020-11-27 |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859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34261A (en) * | 2022-06-30 | 2022-10-25 |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 Device for regional connection of duplex corrugated stainless steel track bed for the reinforcement of operating tunnel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9620B1 (en) * | 2011-12-05 | 2012-10-10 |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 Corrugated steelplate structure of steel concrete steel composition |
KR101816767B1 (en) * | 2017-05-31 | 2018-01-10 | 주식회사 픽슨 |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KR101969127B1 (en) * | 2011-08-12 | 2019-04-16 | 아틀란틱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Corrugated metal plate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8028B1 (en) | 2000-07-04 | 2007-03-23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LCD Display |
KR20070092799A (en) * | 2006-03-09 | 2007-09-14 | 조남준 | Precast arch panel using corrugated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150029917A (en) * | 2013-09-11 | 2015-03-19 | 주식회사 픽슨 | Corrug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1855A patent/KR1026085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9127B1 (en) * | 2011-08-12 | 2019-04-16 | 아틀란틱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 Corrugated metal plate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same |
KR101189620B1 (en) * | 2011-12-05 | 2012-10-10 | 주식회사 픽슨이앤씨 | Corrugated steelplate structure of steel concrete steel composition |
KR101816767B1 (en) * | 2017-05-31 | 2018-01-10 | 주식회사 픽슨 |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923A (en) | 2022-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60969B2 (en) | Temporary retaining device | |
KR101189620B1 (en) | Corrugated steelplate structure of steel concrete steel composition | |
KR101654931B1 (en) | Reinforcement rib and overhead structure incorporating the same | |
JP4094043B2 (en) | Prestressed temporary structure | |
KR20150029917A (en) | Corrugated steel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 |
KR101272116B1 (en) | Connec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girder having corrugated steel plate web | |
KR101816767B1 (en) | Reinforced concret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 |
JP6812819B2 (en) |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reinforcement foundation structure and foundation reinforcement method | |
KR101262889B1 (en) | Temporary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double wale with tendon | |
KR100768031B1 (en) | Composite piles in which steel piles are connected to concrete composite piles with prestress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 |
KR101167183B1 (en) | Corrugated steel plate structures | |
KR102608598B1 (en) | Waveform steel sheet structure equipped with the reinforcing mold | |
KR100728743B1 (en) | Corrugated Steel Concrete Bridge | |
JP2009154400A (en) | Synthetic segment | |
US7217064B1 (en) | Reinforcement of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 |
KR101832291B1 (en) |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rrugated Steel Shear Reinforced Structures Combined with Fastening Members for Stiffness Improvement | |
WO1993020290A1 (en) | Foundation arrangement | |
KR10199882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 |
KR20120021977A (en) | Wave type steel plate tunnel | |
KR101707942B1 (en) |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0875250B1 (en) | End reinforcement of corrugated steel underground structures and e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415325Y1 (en) | Corrugated Steel Concrete Bridge | |
CN110056204B (en) | External unbonded prestress underpinning node | |
KR20060110973A (en) | Corrugated steel sheet and its coupling structure | |
KR102765255B1 (en) | Reinforced concrete corrugated steel plate for increased rigid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