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009B1 -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6009B1 KR102606009B1 KR1020180095753A KR20180095753A KR102606009B1 KR 102606009 B1 KR102606009 B1 KR 102606009B1 KR 1020180095753 A KR1020180095753 A KR 1020180095753A KR 20180095753 A KR20180095753 A KR 20180095753A KR 102606009 B1 KR102606009 B1 KR 102606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pair
- cache
- main
- line
- cache grou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68—Data transfer between cache memory and other subsystems, e.g. storage devices or host sys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47—Migration mechanism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44—Indication or identification of errors, e.g. for repai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4—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 G06F3/0619—Improving the reliability of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data integrity, e.g. data losses, bit err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26—Sensing or reading circuits; Data output circui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7/00—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 G11C17/08—Read-only memories programmable only once; Semi-permanent stores, e.g. manually-replaceable information card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e.g. bipolar element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57—Data out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4—Data input buffers, e.g. comprising level conversion circuits, circuits for adapting loa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88—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using selective caching, e.g. bypa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32—Reliability improvement, data loss prevention, degraded operation et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8—Using a specific disk cache architecture
- G06F2212/283—Plural cache memor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31—Providing disk cache in a specific location of a storage system
- G06F2212/313—In storage devi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3—Temporary buffering, e.g. using volatile buffer or dedicated buffer block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5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1/56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1/564—Miscellaneous aspects
- G11C2211/5642—Multilevel memory with buffers, latches, registers at input or output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1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gital store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2211/5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11C11/56 and sub-groups for features not covered by these groups
- G11C2211/564—Miscellaneous aspects
- G11C2211/5643—Multilevel memory comprising cache stora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선행기술문헌정보
선행기술 1: 등록특허공보 10-0856122호 (2008. 09. 03.)
선행기술 2: 특허공개공보 10-2011-0120480호 (2011. 11. 0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캐시 버퍼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연결된다. 상기 캐시 버퍼는 메인 캐시부, 제1 리페어 캐시부, 제2 리페어 캐시부 및 입출력 제어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캐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메인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한다. 상기 제1 리페어 캐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제1 리페어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한다. 상기 제2 리페어 캐시부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제2 리페어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한다. 상기 입출력 제어 구성 요소는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이 사용 가능한 경우, 외부 엔티티와 상기 메인 캐시 사이의 제1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리페어 메모리 영역으로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을 리페어하는 노말 리페어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외부 엔티티와 상기 제1 리페어 캐시부 사이의 제2 경로로 변경하며, 상기 제2 리페어 메모리 영역으로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을 리페어하는 크로스 리페어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외부 엔티티와 상기 제2 리페어 캐시부 사이의 제3 경로로 변경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모리 셀 어레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BLKa)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BLKb)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메모리 셀 어레이(110)에 포함된 복수의 메모리 블록들(BLK1~BLKz) 중 어느 하나의 메모리 블록(BLKc)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캐시 버퍼(160)의 일 예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메인 MUX(45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제1 및 제2 선택부를 보다 간략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제1 메인 캐시 그룹(410)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7의 리페어 MUX(5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리페어 MUX(5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은 리페어가 수행되지 않는 경우 도 7의 캐시 버퍼의 데이터 출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제1 메인 캐시 그룹(410)에 메모리 블록에 대한 통상적인 리페어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5는 크로스 리페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6은 크로스 리페어 동작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7은 도 2의 캐시 버퍼(160)의 다른 예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리페어 MUX(6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1 및 제2 노멀 리페어 MUX 회로(610, 62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9c 및 도 19d는 제1 및 제2 교차 리페어 MUX 회로(640, 650)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8에 도시된 리페어 MUX(60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캐시 버퍼의 크로스 리페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22는 도 2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메모리 시스템의 응용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된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10: 메모리 셀 어레이
120: 어드레스 디코더
130: 페이지 버퍼
140: 제어 로직
150: 전압 생성부
160: 캐시 버퍼
170: 입출력 인터페이스
Claims (23)
- 페이지 버퍼와 연결되는 캐시 버퍼로서: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캐시 그룹;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캐시 그룹;
상기 제1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캐시 그룹과 연결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해 상기 제1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캐시 버퍼로서,
상기 선택부는,
노말 리페어 시, 제1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고 제2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여 리페어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크로스 리페어 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여 리페어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메인 영역 및 제1 리페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메인 영역 및 제2 리페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캐시 그룹은 상기 제1 메인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메인 캐시 그룹 및 상기 제1 리페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리페어 캐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캐시 그룹은 상기 제2 메인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메인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리페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리페어 캐시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메인 선택부;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메인 선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리페어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리페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은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은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제1 메인 선택부는 제1 로컬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선택부와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제2 로컬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메인 선택부와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페어 캐시 그룹과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제1 리페어 라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리페어 캐시 그룹과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제2 리페어 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리페어 선택부와 상기 입출력 제어부는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 및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노말 동작 시에,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1 메인 선택부 및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활성화되며,
상기 제1 로컬 입출력 라인은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로컬 입출력 라인은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노말 리페어 시에,
상기 제1 메인 선택부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활성화되며,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노말 리페어 동작 시에,
상기 제1 메인 선택부는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크로스 리페어 시에,
상기 제1 메인 선택부는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크로스 리페어 동작 시에,
상기 제1 메인 선택부는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메인 선택부는 활성화되며,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선택 회로;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선택 회로; 및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리페어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교차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노말 리페어 시에, 상기 제1 선택 회로는 제1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고,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노말 리페어 시에, 상기 제2 선택 회로는 제2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크로스 리페어 시에, 상기 제1 선택 회로 및 상기 교차 선택 회로는 제1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 및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기초하여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에 대한 크로스 리페어 시에, 상기 제2 선택 회로 및 상기 교차 선택 회로는 제2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 및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각각 기초하여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페어 선택부는:
제1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제1 노멀 리페어 선택 회로;
제2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제2 노멀 리페어 선택 회로;
제1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제1 교차 리페어 선택 회로; 및
제2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을 연결하는 제2 교차 리페어 선택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멀 리페어 선택 회로는: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턴 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멀 리페어 선택 회로는: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턴 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 리페어 선택 회로는:
상기 제1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2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턴 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교차 리페어 선택 회로는:
상기 제2 리페어 라인과 상기 제1 비트 입출력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크로스 리페어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턴 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 복수의 메모리 셀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 어레이;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에 대한 프로그램 동작 또는 리드 동작을 수행하는 페이지 버퍼; 및
상기 페이지 버퍼와 연결되는 캐시 버퍼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캐시 버퍼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캐시 그룹;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캐시 그룹;
상기 제1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캐시 그룹과 연결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를 통해 상기 제1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출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노말 리페어 시, 제1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고 제2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여 리페어 선택 동작을 수행하고,
크로스 리페어 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2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데이터 라인으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1 캐시 그룹으로 전달하여 리페어 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제1 메인 영역 및 제1 리페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제2 메인 영역 및 제2 리페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캐시 그룹은 상기 제1 메인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메인 캐시 그룹 및 상기 제1 리페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리페어 캐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캐시 그룹은 상기 제2 메인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메인 캐시 그룹 및 상기 제2 리페어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리페어 캐시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1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1 메인 선택부;
상기 제2 메인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제2 메인 선택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리페어 캐시 그룹과 상기 입출력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는 리페어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메모리 셀 어레이와 연결된 캐시 버퍼로서, 상기 캐시 버퍼는: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메인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메인 캐시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제1 리페어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제1 리페어 캐시부;
상기 메모리 셀 어레이 내 제2 리페어 영역의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제2 리페어 캐시부; 및
입출력 제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 제어 구성 요소는: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이 사용 가능한 경우, 외부 엔티티와 상기 메인 캐시 사이의 제1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제1 리페어 메모리 영역으로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을 리페어하는 노말 리페어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외부 엔티티와 상기 제1 리페어 캐시부 사이의 제2 경로로 변경하고,
상기 제2 리페어 메모리 영역으로 상기 메인 메모리 영역을 리페어하는 크로스 리페어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제1 경로를 상기 외부 엔티티와 상기 제2 리페어 캐시부 사이의 제3 경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시 버퍼.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5753A KR102606009B1 (ko) | 2018-08-16 | 2018-08-16 |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US16/380,361 US10761763B2 (en) | 2018-08-16 | 2019-04-10 | Cache buffer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same |
CN201910484861.4A CN110838334B (zh) | 2018-08-16 | 2019-06-05 | 高速缓存缓冲器以及具有其的半导体存储器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5753A KR102606009B1 (ko) | 2018-08-16 | 2018-08-16 |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0270A KR20200020270A (ko) | 2020-02-26 |
KR102606009B1 true KR102606009B1 (ko) | 2023-11-27 |
Family
ID=6952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5753A Active KR102606009B1 (ko) | 2018-08-16 | 2018-08-16 |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761763B2 (ko) |
KR (1) | KR102606009B1 (ko) |
CN (1) | CN11083833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872678B1 (en) | 2019-06-19 | 2020-12-22 | Micron Technology, Inc. | Speculative section selection within a memory device |
KR20220009792A (ko) * | 2020-07-16 | 2022-01-2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2178B1 (ko) | 2003-05-28 | 2005-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한 열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US20080316844A1 (en) | 2007-06-22 | 2008-12-25 | Elit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Inc. | Selection method of bit line redundancy repai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US20170337130A1 (en) | 2016-05-20 | 2017-11-23 | SK Hynix Inc. | Memory device including page buffer and method of arranging page buffer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03C (zh) * | 1989-05-17 | 1998-11-18 | 国际商业机器公司 | 在数据处理系统提供附加系统特性的方法和装置 |
JP4818812B2 (ja) * | 2006-05-31 | 2011-11-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フラッシュメモリストレージシステム |
US7490197B2 (en) * | 2004-10-21 | 2009-02-10 | Microsoft Corporation | Using external memory devices to improve system performance |
US20070186050A1 (en) * | 2006-02-03 | 2007-08-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lf prefetching L2 cache mechanism for data lines |
KR100856122B1 (ko) | 2006-11-15 | 2008-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소스 드라이버 및 소스 드라이버의 구동 방법 |
KR101201838B1 (ko) * | 2009-12-24 | 2012-11-15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프로그램 시간을 감소시킨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
US8640005B2 (en) * | 2010-05-21 | 2014-01-28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ache memory in a system that supports a low power state |
KR20120005906A (ko) * | 2010-07-09 | 2012-01-17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JP2012195031A (ja) * | 2011-03-16 | 2012-10-11 | Toshiba Corp | 半導体記憶装置 |
US8867286B2 (en) * | 2011-12-20 | 2014-10-21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Repairable multi-layer memory chip stack and method thereof |
JP5657079B1 (ja) * | 2013-10-24 | 2015-01-21 | ウィンボンド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 半導体記憶装置 |
KR102129968B1 (ko) * | 2013-11-29 | 2020-07-03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를 위한 입출력 제어 회로 |
US9767863B2 (en) * | 2015-09-11 | 2017-09-19 | Toshiba Memory Corporation | Redundancy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lecting circuits |
KR20180053063A (ko) * | 2016-11-11 | 2018-05-21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2018
- 2018-08-16 KR KR1020180095753A patent/KR102606009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4-10 US US16/380,361 patent/US10761763B2/en active Active
- 2019-06-05 CN CN201910484861.4A patent/CN110838334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12178B1 (ko) | 2003-05-28 | 2005-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한 열 리던던시 스킴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US20080316844A1 (en) | 2007-06-22 | 2008-12-25 | Elite Semiconductor Memory Technology Inc. | Selection method of bit line redundancy repair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US20170337130A1 (en) | 2016-05-20 | 2017-11-23 | SK Hynix Inc. | Memory device including page buffer and method of arranging page buff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61763B2 (en) | 2020-09-01 |
CN110838334B (zh) | 2023-03-21 |
KR20200020270A (ko) | 2020-02-26 |
CN110838334A (zh) | 2020-02-25 |
US20200057574A1 (en) | 2020-0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323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43492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685732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 |
US10559363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related to operating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2736219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11048584B2 (en) |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9979513B (zh) | 半导体存储器装置及其操作方法 | |
KR20210121650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컨트롤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 |
US20190096485A1 (en) | Controll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having the same | |
US20190332323A1 (en) | Memory controller,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375751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0622045B2 (en) |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362858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20180129559A1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ntroller, and operating methods thereof | |
US10468091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2606009B1 (ko) | 캐시 버퍼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 |
US11693595B2 (en) | Method of operating host and memory system connected thereto | |
US11699487B2 (en) |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erforming read operation, and method for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KR10276393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 |
KR20220094706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220036603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컨트롤러 및 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 |
KR10271539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US11514988B2 (en) |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under sudden power interruption | |
KR102831453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30134893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선택 트랜지스터 프로그램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3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2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1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8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4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