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5227B1 - 태양광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광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227B1
KR102605227B1 KR1020230054696A KR20230054696A KR102605227B1 KR 102605227 B1 KR102605227 B1 KR 102605227B1 KR 1020230054696 A KR1020230054696 A KR 1020230054696A KR 20230054696 A KR20230054696 A KR 20230054696A KR 102605227 B1 KR102605227 B1 KR 10260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lar cell
light guide
sunligh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청
Original Assignee
하재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청 filed Critical 하재청
Priority to KR1020230054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01L31/0488
    • H01L31/02167
    • H01L31/0232
    • H01L31/04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1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이격되고,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2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제2 유리 층 사이에 위치되고,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셀층; 및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솔라 셀층을 투과한 태양광의 일부를 상기 솔라 셀층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전지 모듈{A photovoltaic module}
본 발명은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킨 태양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석탄, 석유 등과 같은 기존의 화석연료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 이외에 태양광, 바이오, 풍력, 지열, 해양, 폐기물 에너지와 같은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기 생산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기계적, 화학적 작용이 없으므로 시스템의 구조가 단순하여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치 않다. 또한, 태양광 시스템을 한번 설치하게 되면 그 수명이 길고 안전하며, 나아가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광소자를 구비하고, 태양광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광소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기를 생산하는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실용신안공보 제20-0489603호(2019.07.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1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이격되고,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2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제2 유리 층 사이에 위치되고,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셀층; 및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솔라 셀층을 투과한 태양광의 일부를 상기 솔라 셀층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셀층을 투과한 태양광의 일부를 다시 솔라 셀층으로 전달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태양광 패널을 고정시키는 프레임부를 통해 반사되는 태양광의 일부를 솔라 셀층으로 전달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태양광이 가장 먼저 입사되는 제1 유리 층에 나노 크기의 요철 돌기들을 형성하여 제1 유리 층에 의해 반사되는 태양광의 반사율을 저감시켜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이 설치된 건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2의 광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b은 도 1의 태양 전지 모듈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가 솔라 셀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프레임부를 향해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가 솔라 셀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이 설치된 건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태양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C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a는 도 2의 광 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b은 도 1의 태양 전지 모듈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에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BIPV)을 구축할 수 있다. 태양 전지 모듈(1)은 프레임부(20), 패널부(10), 배터리부(30), 제어부(40) 및 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패널부(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패널부(10)의 경계를 둘러 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부(10)는 프레임부(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된 결합 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25)에는 패널부(10)의 경계가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프레임부(20)는 금속 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패널부(10)는 프레임부(2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패널부(10)는 태양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패널부(10)는 투과되는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패널부(10)는 제1 유리 층(100), 제2 유리 층(200), 솔라 셀층(300), 가변 필름 층(500), 및 광 전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은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유리 층(1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은 컬러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제1 면(101)과 태양광이 출사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01)과 제2 면(미부호)은 서로 대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면은 솔라 셀층(300)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의 제1 면(101)에 복수의 요철 돌기들(150)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 돌기들(150) 각각은 나노 단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리 층(100)의 제1 면(101) 상에 입사되는 태양광의 반사도가 감소될 수 있다.
제2 유리 층(200)은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유리 층(20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리 층(200)은 제1 유리 층(10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리 층(100)과 제2 유리 층(20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리 층(200)은 제1 유리 층(100)보다 건물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과 제2 유리 층(200) 사이에는 솔라 셀층(300)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리 층(100)과 제2 유리 층(200)은 솔라 셀층(30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은 제1 유리 층(100)과 제2 유리 층(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은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솔라 셀들(350)을 포함할 수 있다. 솔라 셀들(3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은 배터리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라 셀층(300)은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부(30)에 저장할 수 있다.
광 전달부(400)는 제1 유리 층(100)과 솔라 셀층(300)을 투과한 태양광의 일부를 솔라 셀층(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라 셀층(300)은 솔라 셀층(300)을 투과한 일부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양 전지 모듈(1)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 전달부(400)는 솔라 셀층(30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403)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전달부(400)는 일측에 수용 공간(403)과 연결된 삽입구(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라 셀층(300)은 삽입구(401)를 통해 수용 공간(40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솔라 셀층(300)의 경계는 삽입구(401) 측을 제외하고는 후술할 연결 가이드부(43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광 전달부(400)는 제1 광 가이드 층(410), 제2 광 가이드 층(420) 및 연결 광 가이드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 층(410)은 제2 유리 층(200)과 솔라 셀층(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 층(410)은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를 프레임부(20)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 가이드 층(410)의 경계 부분이 입사된 태양광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광 가이드 층(410)은 도광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광 가이드 층(420)은 제1 유리 층(100)과 솔라 셀층(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광 가이드 층(420)은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다. 제2 광 가이드 층(420)은 제1 광 가이드 층(410)과 이격될 수 있다.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제1 광 가이드 층(410)과 제2 광 가이드 층(420)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제1 광 가이드 층(410)의 경계와 제2 광 가이드 층(420)의 경계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솔라 셀층(30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프레임부(20)와 솔라 셀층(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솔라 셀층(300)의 경계를 둘러쌀 수 있다.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제1 미러부(431)와 제2 미러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미러부(431)는 제1 광 가이드 층(41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미러부(431)는 제1 광 가이드 층(410)으로부터 입사된 태양광을 제2 미러부(432)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미러부(432)는 제1 미러부(43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미러부(432)는 제2 광 가이드 층(420)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미러부(432)는 제1 미러부(431)에서 반사된 태양광을 제2 광 가이드 층(42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가변 필름 층(500)은 광 전달부(400)와 제2 유리 층(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변 필름 층(500)은 제1 광 가이드 층(410)과 제2 유리 층(2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변 필름 층(500)은 배터리부(30) 및/또는 솔라 셀층(3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변 필름 층(500)에는 배터리부(30) 및/또는 솔라 셀층(300)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가변 필름 층(500)은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투명도가 가변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가변 필름 층(500)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불투명해지는 리버스 폴리머 분산 액정(PDLC) 필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변 필름 층(500)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로 유지하고,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불투명해질 수 있다.
가변 필름 층(500)은 건물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경우, 전압을 인가하여 불투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가변 필름 층(500)이 광 전달부(400)와 제2 유리 층(200) 사이에 위치됨에 따라, 가변 필름 층(500)이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솔라 셀층(300)이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부(30)는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부(30)는 솔라 셀층(300) 및 가변 필름 층(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부(30)는 솔라 셀층(300)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배터리부(30)는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가변 필름 층(500)에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터리부(30)는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입력부(50)는 제어부(40)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부(50)는 온/오프되는 스위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는 입력부(50)에서 입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배터리부(3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전압)를 가변 필름 층(500)으로 인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 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동일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은 프레임부(20), 패널부(10), 배터리부(30), 제어부(40) 및 입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패널부(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패널부(10)의 경계가 삽입되는 결합 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결합 홈(25)은 평면적 관점에서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그를 관통하는 설치 홀들(23)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홀들(23)은 프레임부(2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설치 홀들(23)은 프레임부(20) 또는 패널부(1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설치 홀들(23)은 결합 홈(25)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홈(25)에 삽입된 패널부(10)의 경계 일부가 설치 홀들(2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설치 홀들(23) 각각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면은 제2 내측면보다 내측에 위치된 면일 수 있다.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각각은 내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일 수 있다.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각각에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설치 홀들(23) 내로 입사된 태양광이 솔라 셀층(300)이 위치된 내측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프레임부(20)는 설치 홀들(23) 각각에 설치되는 삽입 광 가이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광 가이드부(27)는 설치 홀들(23)을 향해 입사된 태양광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삽입 광 가이드부(27)는 설치 홀들(23)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결합 홈(25)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에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가 솔라 셀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태양광(L)은 태양 전지 모듈(1)로 입사될 수 있다. 태양광의 일부는 프레임부(20)에서 반사될 수 있다. 태양광(L)의 일부는 제1 유리 층(100)을 투과할 수 있다. 제1 유리 층(100)을 투과한 태양광(L) 일부는 솔라 셀층(300)의 솔라 셀들(350)로 입사될 수 있으며, 태양광(L) 나머지는 솔라 셀층(300)을 투과할 수 있다. 솔라 셀들(350)은 입사된 태양광(L)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을 투과한 태양광(L)은 광 전달부(400)의 제1 광 가이드 층(410)으로 입사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 층(410)은 입사된 태양광(L)의 일부를 연결 광 가이드부(43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광 가이드 층(410)으로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L)는 제1 광 가이드 층(410)의 경계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 층(410)의 경계로부터 출사되는 태양광(RL)은 연결 광 가이드부(430)로 입사될 수 있다. 연결 광 가이드부(430)는 제1 광 가이드 층(410)으로부터 입사된 태양광(RL)을 제1 광 가이드부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연결 광 가이드부(430)로 입사된 태양광(RL)은 제1 미러부(431)에 의해 제2 미러부(432)로 반사될 수 있다. 제2 미러부(432)는 제1 미러부(431)에서 반사된 태양광(RL)의 일부를 제2 광 가이드 층(420)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제2 미러부(432)에서 반사된 태양광(RL)은 제2 광 가이드 층(420)의 경계로 입사될 수 있다.
제2 광 가이드 층(420)의 경계로 입사된 태양광(RL)은 제2 광 가이드 층(420)을 발광시킬 수 있고, 제2 광 가이드 층(420)에서 발광된 광은 솔라 셀들(350)로 재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솔라 셀층(300)은 솔라 셀층(300)을 투과한 태양광(RL)의 일부에 대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솔라 셀층(300)이 솔라 셀층(300)을 투과한 태양광 일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변환함에 따라, 태양 전지 모듈(1)의 태양광 발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의 프레임부를 향해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가 솔라 셀층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레임부(20)로 입사된 태양광(L) 일부는 설치 홀들(23) 내에 설치된 삽입 광 가이드부(27)로 입사될 수 있다. 삽입 광 가이드부(27)로 입사된 태양광(L)은 삽입 광 가이드부(2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삽입 광 가이드부(27) 내에서 이동하는 태양광(L)은 설치 홀들(23)의 제2 내측면에 입사될 수 있다. 내측으로 경사진 제2 내측면 상에 입사된 태양광(L)은 내측으로 반사되어 제2 광 가이드 층(420) 또는 솔라 셀(350)로 입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부(20)로 입사되어 반사되는 태양광 일부를 솔라 셀층(300)으로 이동시켜 태양 전지 모듈(1)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태양 전지 모듈 10: 패널부
20: 프레임부 30: 배터리부
40: 제어부 50: 입력부
100: 제1 유리 층 200: 제2 유리 층
300: 솔라 셀층 400: 광 전달부
410: 제1 광 가이드 층 420: 제2 광 가이드 층
430: 연결 광 가이드부 500: 가변 필름 층

Claims (6)

  1.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1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이격되고, 태양광을 투과하는 제2 유리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제2 유리 층 사이에 위치되고, 태양광의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솔라 셀층; 및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솔라 셀층을 투과한 태양광의 일부를 상기 솔라 셀층으로 전달하는 광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제2 유리 층과 상기 솔라 셀층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광 가이드 층;
    상기 제1 유리 층과 상기 솔라 셀층 사이에 위치되는 제2 광 가이드 층;
    상기 제1 광 가이드 층과 상기 제2 광 가이드 층을 연결하는 연결 광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광 가이드 층과 상기 제2 유리 층 사이에 위치되고,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투명도가 가변되는 가변 필름 층을 포함하는 태양 전지 모듈.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가이드 층은, 입사된 태양광의 일부를 상기 연결 광 가이드부로 전달하고,
    상기 연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광 가이드 층으로부터 입사된 태양광을 상기 제2 광 가이드 층으로 전달하는 태양 전지 모듈.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광 가이드부는 상기 솔라 셀층의 외측에 위치되는 태양 전지 모듈.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필름 층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불투명해지는 리버스 폴리머 분산 액정(PDLC) 필름인 태양 전지 모듈.
KR1020230054696A 2023-04-26 2023-04-26 태양광 전지 모듈 Active KR10260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96A KR102605227B1 (ko) 2023-04-26 2023-04-26 태양광 전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4696A KR102605227B1 (ko) 2023-04-26 2023-04-26 태양광 전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227B1 true KR102605227B1 (ko) 2023-11-23

Family

ID=88974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4696A Active KR102605227B1 (ko) 2023-04-26 2023-04-26 태양광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2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409A (ko) * 2011-04-15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창문 통합형 태양 전지 모듈
KR20130109489A (ko) * 2012-03-27 2013-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138923A (ko) * 2014-05-30 2015-12-11 주성엔지니어링(주) 태양광 발전 장치
KR200489603Y1 (ko) 2017-09-05 2019-07-09 김경주 태양전지모듈
KR20200064842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링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
KR20210028871A (ko) * 2019-09-05 202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7409A (ko) * 2011-04-15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창문 통합형 태양 전지 모듈
KR20130109489A (ko) * 2012-03-27 2013-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138923A (ko) * 2014-05-30 2015-12-11 주성엔지니어링(주) 태양광 발전 장치
KR200489603Y1 (ko) 2017-09-05 2019-07-09 김경주 태양전지모듈
KR20200064842A (ko) * 2018-11-29 2020-06-08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링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
KR20210028871A (ko) * 2019-09-05 202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 전지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6303B (zh) 照明装置
CN201285767Y (zh) 一种光电模块
US20130240037A1 (en) Solar cell module and solar generator
CN102800732B (zh) 舱式光伏发电装置
US20140283905A1 (en) Solar Power Brick
CN201589185U (zh) 一种聚光型可见光和太阳能电池发电混合照明系统
CN101393941A (zh) 荧光平面光波导太阳能电池光伏发电系统
US8884156B2 (en) Solar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stimuli-responsive material
KR102605227B1 (ko) 태양광 전지 모듈
CN107346955A (zh) 一种光伏组件单元及水上光伏发电系统
KR101025929B1 (ko) 광도파로를 구비하는 태양전지 모듈
CN201773845U (zh) 层叠式太阳能电池模组
AU652291B2 (en) Improved optical design for photo-cell
CN102194906A (zh) 一种太阳能电池板的集成结构
CN108301732A (zh) 一种全息内反射太阳能玻璃窗
CN210040222U (zh) 太阳能电池组件
KR20180025589A (ko) 태양전지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창호
CN217009207U (zh) 一种太阳能电池板、电源组件以及照明灯具
KR20220166520A (ko) 태양광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046180A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CN205754187U (zh) 一种车用天窗太阳能发电装置
KR102660795B1 (ko) 태양광 모듈
JP7312882B2 (ja) 情報表示装置
KR101723148B1 (ko) 태양광 발전용 태양전지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2653798B1 (ko) 다중패널형 태양전지 함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전기 축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