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191B1 -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5191B1 KR102605191B1 KR1020230123787A KR20230123787A KR102605191B1 KR 102605191 B1 KR102605191 B1 KR 102605191B1 KR 1020230123787 A KR1020230123787 A KR 1020230123787A KR 20230123787 A KR20230123787 A KR 20230123787A KR 102605191 B1 KR102605191 B1 KR 102605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expansion
- hollow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확장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확장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확장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확장블록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체블록 또는 상부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체블록의 상부에 확장블록이 적층되는 실시예이다.
도 9는 옹벽의 상부에 지하매설물이 설치된 경우의 옹벽 단면도이다.
도 10은 옹벽의 상부에 배수용 측구가 설치된 경우의 옹벽 단면도이다.
도 11은 옹벽의 상부에 가드레일이 설치된 경우의 옹벽 단면도이다.
11. 전면부 12. 후면부
13. 연결부
14. 제1중공부 15. 제2중공부
16. 제1돌기 17. 제2돌기
20. 확장블록
21. 전면부 22. 확장부
23. 연결부
24. 제1중공부 25. 제2중공부
26. 제1돌기 27. 제2돌기
28. 배수공
f. 전면부의 폭
b. 확장부의 폭
30. 상부블록
31. 전면부 32. 후면부
33. 연결부
34. 제1중공부 35. 제2중공부
36. 제1돌기 37. 제2돌기
100. 블록부
101. 기초콘크리트 102. 마감블록
103. 채움콘크리트
200. 뒤채움부 201. 보강재
300. 배수부
401. 지하매설물
402. 배수용 측구
403. 가드레일
Claims (10)
- 블록을 적층하여 시공하는 옹벽 구조에 있어서,
블록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블록부(100);
블록부(100)의 배면에 구비되는 뒤채움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100)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본체블록(10);
상기 본체블록(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확장블록(20);
상기 확장블록(20)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층으로 적층되는 상부블록(30)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블록(20)은 전면부(21), 확장부(22), 연결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21), 확장부(22) 및 연결부(23)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22)는 본체블록(10) 및 상부블록(30)보다 옹벽 배면 쪽으로 더 돌출되고,
확장부(22)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공(28)이 복수 개 구비되고,
적층된 본체블록(10)의 배면과 뒤채움부(200) 사이에는 배수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블록(20)의 확장부(22)는 상기 배수부(300)의 상부와 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본체블록(10)은 전면부(11), 후면부(12), 연결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11), 후면부(12) 및 연결부(13)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부블록(30)은 전면부(31), 후면부(32), 연결부(3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31), 후면부(32) 및 연결부(33)는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22)는 후면부(12) 및 후면부(32)보다 옹벽 배면 쪽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 제4항에 있어서,
확장블록(20)의 전면부(21)에는 제1중공부(24)가, 연결부(23)에는 제2중공부(25)가 각각 구비되고,
상부블록(30)의 전면부(31)에는 제1중공부(34)가, 연결부(33)에는 제2중공부(35)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1중공부(24)의 일부와 제1중공부(34)의 일부 및 제2중공부(25)의 일부와 제2중공부(35)의 일부가 각각 서로 연통되며,
서로 연통되는 제1중공부(24) 및 제1중공부(34), 제2중공부(25) 및 제2중공부(35)에는 각각 채움콘크리트(103)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확장부(22)의 상부에는 구조물이 위치하고, 확장부(22)는 확장부(22)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보다 옹벽 배면 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비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블록(10)의 전면부(11), 확장블록(20)의 전면부(21) 및 상부블록(30)의 전면부(31)는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옹벽 구조를 가지는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에 있어서,
a) 옹벽 시공장소를 터파기하고, 지반을 고르는 단계;
b)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
c)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본체블록(10)을 적층하는 단계;
d) 본체블록(10)의 적층이 완료되면 본체블록(10)의 상부에 확장블록(20)을 적층하는 단계;
e) 상기 확장블록(20)의 상부에 상부블록(30)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e) 단계 이후,
f) 서로 연통되는 제1중공부(24) 및 제1중공부(34), 제2중공부(25) 및 제2중공부(35)에 각각 채움콘크리트(103)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d) 단계 이후 또는 e) 단계 이후 또는 f) 단계 이후,
확장부(22)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조물이 확장부(22)보다 옹벽 배면 쪽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확장부(22)의 상부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부보강형 옹벽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3787A KR102605191B1 (ko) | 2023-09-18 | 2023-09-18 |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23787A KR102605191B1 (ko) | 2023-09-18 | 2023-09-18 |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5191B1 true KR102605191B1 (ko) | 2023-11-23 |
Family
ID=8897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23787A Active KR102605191B1 (ko) | 2023-09-18 | 2023-09-18 |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519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0781A (ko) * | 2001-05-29 | 2002-12-05 | (주)대성 월-스톤 |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KR200299545Y1 (ko) * | 2002-09-25 | 2002-12-31 |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
KR100697637B1 (ko) * | 2006-08-07 | 2007-03-20 |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
KR100750703B1 (ko) * | 2006-05-30 | 2007-08-22 | 중앙콘크리트(주) |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
KR20080014176A (ko) * | 2006-08-10 | 2008-02-14 | 김주현 |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
KR20100001736U (ko) * | 2008-08-08 | 2010-02-18 | (주)지성이씨에스 |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
KR20160043305A (ko) * | 2014-10-13 | 2016-04-21 | 박공영 | 토목용 블록 |
KR102093234B1 (ko) | 2019-07-31 | 2020-03-25 | 김정주 |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
-
2023
- 2023-09-18 KR KR1020230123787A patent/KR10260519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90781A (ko) * | 2001-05-29 | 2002-12-05 | (주)대성 월-스톤 |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KR200299545Y1 (ko) * | 2002-09-25 | 2002-12-31 |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
KR100750703B1 (ko) * | 2006-05-30 | 2007-08-22 | 중앙콘크리트(주) |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
KR100697637B1 (ko) * | 2006-08-07 | 2007-03-20 | (주) 에이엔에스건축사사무소 | 건축단지용 친환경적인 옹벽 |
KR20080014176A (ko) * | 2006-08-10 | 2008-02-14 | 김주현 |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
KR20100001736U (ko) * | 2008-08-08 | 2010-02-18 | (주)지성이씨에스 |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
KR20160043305A (ko) * | 2014-10-13 | 2016-04-21 | 박공영 | 토목용 블록 |
KR102093234B1 (ko) | 2019-07-31 | 2020-03-25 | 김정주 | 장착바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042716B (zh) | 泡沫轻质土高填方路基拓宽施工方法 | |
KR100886445B1 (ko) | 소일 탱크 형태의 흙막이 | |
CN212866028U (zh) | 河道边污水管网结合桩板式挡墙布置结构 | |
CN109750571A (zh) | 一种道路塌方应急与永久支挡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 |
CN211200426U (zh) | 一种微型钢管桩挡墙抗滑支挡结构 | |
JP6240625B2 (ja) |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 |
KR102605191B1 (ko) |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 |
KR100447331B1 (ko) | 발파석을 이용한 절개지의 조경시설물 시공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경 시설물 | |
KR20090073330A (ko) | 조경 옹벽구조물 | |
KR101235826B1 (ko) |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 |
KR102522826B1 (ko) | 그리드와 강봉이 사용되며 다양한 설치가 가능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 |
KR100665338B1 (ko) | 소일네일링(앵커)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 |
CN214061687U (zh) |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 | |
KR200413303Y1 (ko) |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 |
JP3234820B2 (ja) | 宅地等造成のための擁壁工事工法及び擁壁構造 | |
CN114059583A (zh) | 预应力锚索-加筋土挡墙组合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 |
CN112609731A (zh) | 一种柔性透水路堑挡墙及施工方法 | |
KR101074267B1 (ko) | 마대를 이용한 가변 일체형 옹벽 | |
KR20090084571A (ko) | 토목 벽제 건설용 블록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2249603B1 (ko) | 옹벽 시공방법 | |
KR100346947B1 (ko) |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 |
KR200424468Y1 (ko) | 소일네일링에 의하여 고정되는 격자형 조립식 옹벽 | |
KR102558157B1 (ko) |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 |
KR100383124B1 (ko) | 호안스톤옹벽의 축조방법 | |
KR101058628B1 (ko) | 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시공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9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