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5166B1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166B1
KR102605166B1 KR1020180143382A KR20180143382A KR102605166B1 KR 102605166 B1 KR102605166 B1 KR 102605166B1 KR 1020180143382 A KR1020180143382 A KR 1020180143382A KR 20180143382 A KR20180143382 A KR 20180143382A KR 102605166 B1 KR102605166 B1 KR 10260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ushion
control unit
airbag
part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8810A (ko
Inventor
고석훈
정가람
박해권
김도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166B1/ko
Priority to DE202019105311.9U priority patent/DE202019105311U1/de
Priority to US16/585,997 priority patent/US11066040B2/en
Priority to CN201921873893.5U priority patent/CN210822146U/zh
Publication of KR2020005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1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60R2021/23384Internal tether means having ends which are movable or detachable during deploy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에어백 장치는: 작동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쿠션부와, 에어백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어백쿠션부를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와 제1챔버와 이웃하는 제2챔버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구획부를 관통하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연결하고 제2챔버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전개시 탑승자의 머리와 목의 상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탑승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차량의 전방에는 전방 에어백이 설치된다.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전방 에어백에 가스가 주입된다. 전방 에어백은 가스의 공급에 의해 팽창되며 탑승자를 향하여 전개됨에 따라 탑승자가 차체에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긴급 제동 시, 탑승자는 감속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전개되는 에어백과의 거리가 가깝게 되므로 에어백 전개력에 의한 탑승자 상해가 발생한다. 즉 차량의 긴급 제동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에어백에 접촉된 후 에어백의 전개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나 목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전개시 탑승자의 머리와 목의 상해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작동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쿠션부와, 에어백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어백쿠션부를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와 제1챔버와 이웃하는 제2챔버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구획부를 관통하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연결하고 제2챔버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백쿠션부는, 구획부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쿠션사이드 및 쿠션사이드를 연결하며 전개조절부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획부는, 전개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챔버와 제2챔버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는 제1구획부재 및 전개조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챔버와 제2챔버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는 제2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구획부재는 쿠션몸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쿠션사이드에 양측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구획부재는, 일단은 제1구획부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타단은 쿠션몸체와 이격되고, 양측은 쿠션사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개조절부는, 제1챔버와 마주하는 쿠션몸체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2챔버와 마주하는 쿠션몸체에 타측이 연결되는 제1조절부 및 굽혀 있는 제1조절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제1챔버를 팽창시키는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조절부는 끈이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조절부는, 제1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몸체와, 제1조절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몸체 및 제1몸체와 제2몸체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를 포함하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사이에 있는 제1조절부는 굽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단부는,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구획부의 설치에 의해 제2챔버가 먼저 팽창된 후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가 팽창되므로, 차량의 긴급 제동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에어백에 접촉되거나 가깝게 있어도 탑승자의 목과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조절부가 파단되기 전까지 제2챔버가 먼저 팽창된 후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가 팽창되므로, 탑승자의 목과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가 파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가 파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 제1조절부와 제2조절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작동가스(10)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쿠션부(30)와, 에어백쿠션부(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어백쿠션부(30)를 탑승자(20)의 머리(25)와 마주하는 제1챔버(32)와, 제1챔버(32)와 이웃하는 제2챔버(34)로 구획하는 구획부(40) 및 구획부(40)를 관통하며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연결하고 제2챔버(34)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조절부(50,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동승석 에어백이며, 에어백쿠션부(30)를 분할하는 격막인 구획부(40)재가 에어백쿠션부(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백쿠션부(30) 전개 중 승객의 머리(25) 부분과 간섭이 발생하는 부분인 제1챔버(32)에는 내압이 늦게 차도록 조절된다. 또한 에어백쿠션부(30)의 인플레이터 방향과 제1챔버(32)를 연결하며, 설정된 외력에서 끊어지는 테더인 제2조절부(64)를 설치하므로, 제1챔버(32)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상으로 도달하기 전까지는 에어백쿠션부(30)가 탑승자(20)의 머리(25)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부(30)는, 탑승자(20)와 마주하는 챔버인 제1챔버(32)와, 인플레이터를 향한 제2챔버(34)로 분할된다. 연결통로부(70)를 통해 에어백쿠션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작동가스(10)는 탑승자(20)의 머리(25)가 닿지 않는 제2챔버(34)를 먼저 채우고, 탑승자(20)의 머리(25)가 닿는 제1챔버(32)를 늦게 채운다.
작동가스(10)는 챔버간 격막 구조 사이에 있는 빈 공간을 통해서 제2챔버(34)에서 제1챔버(32)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제2챔버(34)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터 장착측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1챔버(32)의 내측에 타측이 연결되는 전개조절부(50,60)가 설치된다.
전개조절부(60)에 구비된 제2조절부(64)는 일정한 하중이 가해지면 끊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제2조절부(64)가 끊어지기 전과 끊어진 후의 2가지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제1챔버(32)에 압력이 차기 전까지는 전개조절부(60)에 의해 제1챔버(32)의 돌출이 제한되며, 제1챔버(32)에 압력이 차는 힘에 의해 제2조절부(64)가 절단되면서 제1챔버(32)의 돌출량이 증가한다. 제1챔버(32)의 돌출량은 전개조절부(60)의 제1조절부(62)와 제2조절부(64)에 의해 제한된다.
에어백쿠션부(30)는 작동가스(10)의 유입으로 팽창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쿠션부(30)는 쿠션사이드(36)와 쿠션몸체(38)를 포함하며, 구획부(40)에 의해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로 나누어진다.
한 쌍의 쿠션사이드(36)는 구획부(40)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사이드(36)는 구획부(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 형상이다.
쿠션몸체(38)는 쿠션사이드(36)를 연결하며 전개조절부(50,60)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쿠션몸체(38)는 한 쌍의 쿠션사이드(36)의 사이에 위치하며 쿠션사이드(36)를 연결하는 막 형상이다.
구획부(40)는 에어백쿠션부(30)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어백쿠션부(30)를 탑승자(20)의 머리(25)와 마주하는 제1챔버(32)와, 제1챔버(32)와 이웃하는 제2챔버(34)로 구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획부(40)는, 전개조절부(50,6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챔버(32)와 제2챔버(34)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는 제1구획부재(42) 및 전개조절부(50,6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챔버(32)와 제2챔버(34)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는 제2구획부재(4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구획부재(42)는 쿠션몸체(38)에 일단(도 1기준 상측)이 고정되며, 쿠션사이드(36)에 양측이 고정된다. 제1구획부재(42)는 막 형상이며, 전개조절부(50,60)의 상측에서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구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구획부재(44)의 일단(도 1기준 상측)은 제1구획부재(42)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타단(도 1기준 하측)은 쿠션몸체(38)와 이격된다. 그리고 제2구획부재(44)의 양측은 쿠션사이드(36)에 고정된다. 제2구획부재(44)는 막 형상이며, 전개조절부(50,60)의 하측에서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구획한다.
에어백쿠션부(30)는 격막 형상인 구획부(40)를 기준으로 2개의 챔버로 나뉘어진다. 이때 인플레이터가 설치된 방향에 위치한 챔버를 제2챔버(34)라 하며, 탑승자(20)를 향한 방향에 위치한 챔버를 제1챔버(32)라 한다.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분할하는 격막은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로 구성되며, 서로 마주하는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의 사이에는 공간이 있어서 제2챔버(34)에 있는 작동가스(10)가 제1챔버(32)로 이동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1구획부재(42)의 상부는 쿠션몸체(38)와 이격되거나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2구획부재(44)의 하부도 쿠션몸체(38)와 이격되거나 접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전개조절부(50,60)는 구획부(40)를 관통하며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연결하고, 제2챔버(34)의 전개를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에어백쿠션부(30)에서 제1챔버(32)의 돌출량을 제어하는 테더인 전개조절부(50,60)는, 상단 격막인 제1구획부재(42)와 하단 격막인 제2구획부재(44)의 사이에 형성된 가스 유동 공간을 통하여 전방에 위치한 쿠션몸체(38)와 연결된다. 구획부(40)의 설치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작동가스(10)는 제2챔버(34)를 우선 채우고, 제1챔버(32)를 뒤늦게 채우게 된다.
이러한 에어백쿠션부(30)의 전개에 의해 제2챔버(34)와 탑승자(20) 머리(25)와의 간섭을 지연시키고, 제1챔버(32)의 내압을 감소시키므로 에어백쿠션부(30) 전개 중에 탑승자(20)의 머리(25)가 펼쳐지는 에어백쿠션부(30)에 의해 상해를 입지 않게 한다.
전개조절부(50)는 단일의 띠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길이가 다른 두개의 띠 부재가 연결되어 제1챔버(32)의 전개속도를 조절는 전개조절부(60)로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조절부(60)는, 제1챔버(32)와 마주하는 쿠션몸체(38)에 일측이 연결되며 제2챔버(34)와 마주하는 쿠션몸체(38)에 타측이 연결되는 제1조절부(62) 및 굽혀 있는 제1조절부(62)의 양측에 연결되며 제1챔버(32)를 팽창시키는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제2조절부(64)를 포함한다.
제1조절부(62)는 끈이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조절부(64)가 연결된 구간에는 제1조절부(62)가 굽혀진 굽힘부(63)가 위치한다.
또한 제2조절부(64)는, 제1조절부(6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몸체(65)와, 제1조절부(62)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몸체(66) 및 제1몸체(65)와 제2몸체(66)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67)를 포함한다. 제1몸체(65)와 제2몸체(66)의 사이에 있는 제1조절부(62)는 굽혀진 상태로 설치되므로, 파단부(67)가 절단된 상태에서 굽힘부(63)가 펼쳐지며 제1조절부(62)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또한 파단부(67)는, 제1몸체(65)와 제2몸체(66)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므로 설정된 힘이 전달될 때 파단부(67)가 끊어진다. 즉 파단부(67)의 폭방향(W) 길이는 제1몸체(65)와 제2몸체(66)의 폭방향(W) 길이보다 짧으므로 외력이 전달될 때 파단부(67)가 파단된다.
전개조절부(60)가 2가지 길이를 갖는 제1조절부(62)와 제2조절부(64)로 이루어진 경우, 제1조절부(62)는 제1챔버(32)와 제2챔버(34)를 연결한다.
제1조절부(62)는 에어백쿠션부(30)의 머리(25) 방향 돌출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1챔버(32)의 탑승자(20) 간섭효과를 보다 줄이기 위해 제1조절부(62)의 초기 길이는 짧은 길이로 구성되고, 제1챔버(32)의 내압이 상승하면 그 힘에 의해 제2조절부(64)가 끊어지며 제1조절부(62)의 전체 길이는 처음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전개조절부(60)는 두개의 길이가 다른 테더인 제1조절부(62)와 제2조절부(64)가 겹쳐져 있는 형태이다. 길이가 짧은 테더인 제2조절부(64)에는 파단부(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조절부(64)의 양단에 큰 힘이 작용하면 파단될 수 있도록 파단부(67)의 폭방향(W) 길이가 좁게 형성된다.
길이가 긴 테더인 제1조절부(62)는 평상시 굽힘부(63) 부분이 접혀있고, 길이가 짧은 테더인 제2조절부(64)가 끊어지는 경우에 제1조절부(62)가 펼쳐지며 제1챔버(32)의 팽창을 제한하는 길이 제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 사이에 형성된 가스홀과 파단부(67)의 폭을 조절하여 제1챔버(32)가 추가로 돌출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 조건에 따라 제1챔버(32)가 돌출되는 시점이 달라져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챔버(32)로 유입되는 작동가스(10)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작동가스(10)의 유입양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2조절부(64)의 파단부(67)의 폭을 조절하므로 제1챔버(32)가 추가로 돌출되는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한 구조는, 에어백쿠션부(30) 전개 중 제1챔버(32)의 돌출을 제한하지만, 에어백쿠션부(30)가 만개된 이후에는 돌출 제한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으므로 기존 에어백과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로부(70)를 통해 에어백쿠션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작동가스(10)는 제2챔버(34)의 내측을 채우며 제2챔버(34)를 팽창시킨다. 또한 일부의 가스는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1챔버(32)로 이동되어 제1챔버(32)를 팽창시킨다.
제2챔버(34)를 팽창시키는 작동가스(10)의 일부는 제2구획부재(44)의 하측으로 이동되어 제2구획부재(44)와 쿠션몸체(38)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제1챔버(32)를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전개조절부(50)는 단일의 띠 형상이므로 전개조절부(50)는 제1챔버(32)의 팽창을 추가로 제어하지는 않는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통로부(70)를 통해 에어백쿠션부(30)의 내측으로 유입된 작동가스(10)는 제2챔버(34)의 내측을 채우며 제2챔버(34)를 팽창시킨다. 그리고 일부의 가스는 제1구획부재(42)와 제2구획부재(44)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1챔버(32)로 이동되어 제1챔버(32)를 팽창시킨다.
따라서 제2챔버(34) 보다 제1챔버(32)의 팽창이 뒤늦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챔버(32)를 팽창시키는 작동가스(10)에 의해 파단부(67)가 절단되므로 굽힘부(63)가 펼쳐지며 제1조절부(62)의 길이가 증가한다.
따라서 제1챔버(32)의 팽창이 추가로 이루어지므로, 탑승자(20)의 머리(25)가 제1챔버(32)에 미리 접하므로 발생되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획부(40)의 설치에 의해 제2챔버(34)가 먼저 팽창된 후 탑승자(20)의 머리(25)와 마주하는 제1챔버(32)가 팽창되므로, 차량의 긴급 제동에 의해 탑승자(20)의 머리(2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에어백에 접촉되거나 가깝게 있어도 탑승자(20)의 목과 머리(25)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조절부(64)가 파단되기 전까지 제2챔버(34)가 먼저 팽창된 후 탑승자(20)의 머리(25)와 마주하는 제1챔버(32)가 팽창되므로, 탑승자(20)의 목과 머리(25)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에어백 장치 10: 작동가스
20: 탑승자 25: 머리
30: 에어백쿠션부 32: 제1챔버
34: 제2챔버 36: 쿠션사이드
38: 쿠션몸체 40: 구획부
42: 제1구획부재 44: 제2구획부재
50,60: 전개조절부 62: 제1조절부
63: 굽힘부 64: 제2조절부
65: 제1몸체 66: 제2몸체
67: 파단부 70: 연결통로부
W: 폭방향

Claims (9)

  1. 작동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쿠션부;
    상기 에어백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쿠션부를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이웃하는 제2챔버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고, 상기 제2챔버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부는,
    상기 구획부와 연결되며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쿠션사이드; 및
    상기 쿠션사이드를 연결하며 상기 전개조절부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개조절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몸체에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쿠션사이드에 양측이 고정되는 제1구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전개조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의 사이에 막을 형성하는 제2구획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획부재는,
    일단은 상기 제1구획부재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쿠션몸체와 이격되고, 양측은 상기 쿠션사이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작동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쿠션부;
    상기 에어백쿠션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쿠션부를 탑승자의 머리와 마주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와 이웃하는 제2챔버로 구획하는 구획부; 및
    상기 구획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고, 상기 제2챔버의 전개를 안내하는 전개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부는, 상기 전개조절부에 연결되는 쿠션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개조절부는,
    상기 제1챔버와 마주하는 상기 쿠션몸체에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2챔버와 마주하는 상기 쿠션몸체에 타측이 연결되는 제1조절부; 및
    굽혀 있는 상기 제1조절부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챔버를 팽창시키는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절부는,
    끈이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절부는,
    상기 제1조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몸체;
    상기 제1조절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를 연결하며, 외력에 의해 절단되는 파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사이에 있는 상기 제1조절부는 굽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단부는,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80143382A 2018-11-20 2018-11-20 에어백 장치 Active KR10260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382A KR102605166B1 (ko) 2018-11-20 2018-11-20 에어백 장치
DE202019105311.9U DE202019105311U1 (de) 2018-11-20 2019-09-25 Airbag-Vorrichtung
US16/585,997 US11066040B2 (en) 2018-11-20 2019-09-27 Airbag device
CN201921873893.5U CN210822146U (zh) 2018-11-20 2019-10-31 安全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382A KR102605166B1 (ko) 2018-11-20 2018-11-20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810A KR20200058810A (ko) 2020-05-28
KR102605166B1 true KR102605166B1 (ko) 2023-11-23

Family

ID=6833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382A Active KR102605166B1 (ko) 2018-11-20 2018-11-20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66040B2 (ko)
KR (1) KR102605166B1 (ko)
CN (1) CN210822146U (ko)
DE (1) DE202019105311U1 (k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591B2 (ja) * 1991-03-12 2001-05-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853191A (en) * 1997-02-06 1998-12-29 Alliedsignal Inc. Vehicle restraint system with inflation control
KR100323846B1 (ko) * 2000-02-01 2002-02-07 이승복 에어백 쿠션용 테더
US7819425B2 (en) * 2002-02-20 2010-10-26 Autoliv Development A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US7195281B2 (en) * 2003-12-11 2007-03-27 Autoliv Asp, Inc. Expansion-controlled joints in airbags for out-of-position occupants and cushion positioning
KR20070042262A (ko) * 2005-10-18 2007-04-23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쿠션 구조
US8262130B2 (en) * 2007-07-30 2012-09-1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with improved tear stitch
KR20130079929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
JP5962563B2 (ja) * 2013-01-25 2016-08-03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US8851511B1 (en) * 2013-06-03 2014-10-07 Key Safety Systems, Inc. Shaped airbag
CN105452067B (zh) * 2013-08-06 2017-09-08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用侧气囊装置
JP6222008B2 (ja) * 2013-12-26 2017-11-0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02102A (ko) * 2014-06-30 2016-0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JP6052266B2 (ja) * 2014-10-27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6584068B2 (ja) * 2014-12-12 2019-10-0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447392B2 (ja) * 2015-07-06 2019-01-09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9963754B (zh) * 2016-12-26 2021-09-24 奥托立夫开发公司 侧气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105311U1 (de) 2019-10-04
CN210822146U (zh) 2020-06-23
US20200156587A1 (en) 2020-05-21
US11066040B2 (en) 2021-07-20
KR20200058810A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8179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에어백
KR100980931B1 (ko)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US10099645B2 (en) Center airba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14124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쿠션 구조
KR102596090B1 (ko) 루프 에어백 장치
JP3956863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
EP1997695A1 (en) Airbag device
KR101664017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20190132497A (ko) 에어백 장치
KR20220068733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CN111071197A (zh) 用于车辆的帘式气囊装置
KR102685329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JP5478219B2 (ja) エアバッグ
KR102605166B1 (ko) 에어백 장치
KR20140136747A (ko) 사이드 에어백
KR20220098974A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KR102468605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101867061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1360343B1 (ko) 차량용 에어백
KR102656681B1 (ko) 차량용 트림에어백
KR20090030614A (ko) 에어백 쿠션용 테더
KR102708567B1 (ko) 에어백 장치
KR20090082648A (ko)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구조
KR20100064837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710109B1 (ko) 커튼 에어백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