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4551B1 -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51B1
KR102604551B1 KR1020210188186A KR20210188186A KR102604551B1 KR 102604551 B1 KR102604551 B1 KR 102604551B1 KR 1020210188186 A KR1020210188186 A KR 1020210188186A KR 20210188186 A KR20210188186 A KR 20210188186A KR 102604551 B1 KR102604551 B1 KR 10260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astic member
slider
fluid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9096A (ko
Inventor
김일부
김태식
Original Assignee
김일부
김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부, 김태식 filed Critical 김일부
Priority to KR102021018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5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9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5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며, 하우징(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에서 밸브의 개폐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20)를 밀폐부재(50)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 배치하여 유체에 의헤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Device to prevent corrosion of elastic member in check valve}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서 밸브의 개폐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밀폐된 공간에 배치하여 유체에 의헤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크밸브는 배관에 설치되어 외부의 동력이 없이 유체가 오직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로, 펌프, 컨트롤 밸브 등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워터해머와 같은 갑작스러운 압력상승과 유체의 역류 및 소음을 방지하고, 펌프, 컨트롤 밸브, 유량계 등의 장치를 보호하거나, 범람을 방지하며 하류의 저장탱크가 고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크밸브는 작동방식에 따라 웨이퍼식(Wafer type), 분할식(Split type), 스윙식(Swing type), 리프트식(Lift type), 머쉬룸식(Mushroom type), 디스크식(Disc check valve)으로 분류된다.
웨이퍼식(Wafer type)은 플랜지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플랜지 삽입형으로 내부에 디스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가 가능하고, 경량이며 설치공간이 작고 방향에 관계없이 설치가 간편한 것이다.
분할식(Split type)은 플랜지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웨이퍼 타입의 일종으로 두개의 격판이 힌지와 멈춤핀에 의해 작동되며 스프링 및 리테이너가 없는 구조로 되는 것이다.
스윙식(Swing type)은 한 개의 격판이 힌지에 연결되어 개방되고 폐쇄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격판의 자중에 의해 닫히기 때문에 항상 수평배관 및 상향 수직 배관에 설치되는데, 와류가 심한 배관에서 압력에 의한 파손,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고, 수직설치 시 심각한 워터해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리프트식(Lift type)은 한 개의 디스크가 자중에 의해 밸브시트에 얹혀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수평배관에만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머쉬룸식(Mushroom type)은 버섯모양의 밸브가 시트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다.
디스크식(Disc check valve)은 몸체, 디스크, 스프링, 스프링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스윙식 체크밸브는 체크밸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로 디스크가 몸통 시트에 평면으로 접촉되며 암(Arm)과 로드핀(Rod Pin)에 의해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제작이 비교적 쉬워 저압과 고압, 소형에서 대형까지 제작이 가능하며, 압력손실이 적지만, 심한 와류가 발생하는 배관에서는 디스크가 한계각도 이상으로 회ㄹ``전하여 로드핀(Rod Pin)이 파손되거나 디스크의 너트 연결부가 파손될 수 있고, 디스크가 몸통시트에 평면으로 접촉되므로 밸브가 닫힐 때 높은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직배관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리프트식 체크밸브의 일종으로 스윙식 체크밸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해머리스 체크밸브는 스윙 체크밸브가 와류가 심한 배관에서 압력에 의한 파손, 소음 등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고, 수직설치 시 심각한 워터해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디스크 상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밸브가 차단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유체가 공급되는 동안 유체의 압력으로 디스크가 들리면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밸브를 개방하지만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는 즉시 스프링이 팽창하면서 디스크를 원래의 위치로 돌려 유체를 차단하여 워터해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웨이퍼식, 리프트식, 디스크식 체크밸브 들은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유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가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시트를 가압하며 유로를 차단시키고, 유체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어 탄성부재의 탄성계수를 극복할 때 탄성부재와 함께 개폐부재를 밀어내며 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의 구조는 통상 하우징 내에서 탄성부재가 유체에 접촉 가능하게 노출되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탄성부재가 점차 부식되어 발생하는 스케일에 의해 유체가 오염되고, 장치 내에 스케일이 부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부식 방지를 위해 내식성 재료의 탄성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밸브 제조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KR 10-2137562 B1 (2020. 07. 27.) KR 10-2009-0010273 A (2009.01.30)
본 발명은 종래 체크밸브의 구조에서 탄성부재가 유체에 접촉하여 발생되는 부식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웨이퍼식, 리프트식, 디스크식 체크밸브에 적용 가능한 구조로서 탄성부재가 유체로부터 차단되는 밀폐공간에 설치되게 하며, 이로 인하여 유체 유로의 단면적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이송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탄성부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체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체크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며, 하우징 내에 흐르는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면서 밸브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유체의 이동 통로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은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에어 벤트 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경에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의 유로가 일직선 방향으로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은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과의 감소 비율이 0.1~3%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면서 밸브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유체의 이동 통로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슬라이더가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밀폐부재 외주면의 양쪽 단부는 하우징의 내주면과 슬라이더의 내주면에 접촉되고, 하우징의 내주면과 슬라이더의 내주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밀폐부재의 한쪽 단부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고정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는 슬라이더의 내주면에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은 유체 유로의 단면적과 탄성부재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과의 감소 비율이 0.1~3%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의 내주면 영역에 제1 패킹과 제2 패킹이 형성되어 하우징과 슬라이더 사이의 밀폐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밀폐부재가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주면 영역에 제3 패킹이 형성되어 하우징과 밀폐부재 사이에 밀폐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밀폐부재에 의해 유체와 접촉이 차단되어 부식이 방지되며, 유체 유로 단면적 감소를 최소화시키면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에어 벤트 홀에 의해 탄성부재의 압축 팽창시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작동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고품질의 밸브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밀폐부재에 의해 유체와 접촉이 차단되어 부식이 방지되며, 유체 유로 단면적 감소를 최소화시키면서 하우징에 형성되는 에어 벤트 홀에 의해 탄성부재의 압축 팽창시 이동하는 슬라이더의 작동이 원활하게 됨으로써 고품질의 밸브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분해한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일부를 절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로서 밸브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도로서 밸브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A부 확대도
도 7은 도 4의 B부 확대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순서,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순서와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예와 청구범위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의 실시예로부터 보다 쉽고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낸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분해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절개한 입체도를 나타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크밸브는 하우징(10), 탄성부재(20), 슬라이더(30), 개폐부재(40), 밀폐부재(50) 및 커버(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한쪽 방향으로 관통되어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밸브의 개폐 작동시 원활한 밸브 작동을 위해 에어벤트 홀(100)이 형성된다.
탄성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탄력 설치되면서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는 밀폐부재(50)가 형성하는 밀폐 공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더(30)는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탄성부재(20)의 일측 단부에 접촉지지되며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슬라이더(30)는 밀폐부재(50)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부재(4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4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개폐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어 하우징(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통로를 개폐한다.
슬라이더(30)와 개폐부재(40)는 연결부재(70)로 연결고정되어 개폐부재(40)가 이동할 때 연결부재(70)와 함게 슬라이더(30)가 이동한다.
밀폐부재(50)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면서 밸브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유체의 이동 통로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슬라이더(30)가 기밀을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된다.
밀폐부재(50) 양쪽 단부의 외주면(d0)은 하우징(10)의 내주면(d3)과 슬라이더(30)의 내주면(d2)에 접촉되는데, 하우징(10)의 내주면(d3)과 슬라이더(30)의 내주면은(d2)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밀폐부재(50)의 한쪽 단부는 하우징(10)의 내주면(d3)에 고정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는 슬라이더(30)의 내주면(d2)에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밀폐부재(50)는 외주면(d0)의 한쪽 단부가 하우징(10)의 내주면(d3)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슬라이더(30)의 내주면(d2)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외에 다른 부분들과 나사결합과 같은 물리적 결합이 없게 된다. 따라서 수압 이외에 다른 외력에 의한 응력 발생이 없게 되므로 외주면과 내주면의 두께(t)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1)은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과의 감소 비율이 0.1~3%로 형성된다.
즉, 밀폐부재(50)의 내주면(d1) 공간은 슬라이더(30)의 내주면(d2) 공간과 하우징(10) 내주면(d3) 공간과의 공간 감소 비율이 0.1~3%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1)은, 유체 유로의 단면적(D1)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과의 감소 비율이 0.1~3%로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이 100mm일 때,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 또한 100mm가 되고, 이때, 원통형 밀폐부재(80)의 양쪽 단면적 두께의 합은 0.5~3mm로 형성되어,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1)이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과의 유체 유로 단면적 감소 비율이 0.1~3%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커버(60)는 하우징(10)의 유체 입구측에 다수개의 나사(600)로 고정되면서 안쪽면이 밸브시트가 되어 개폐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도 6은 도 4의 A부 확대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3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내주면(d1) 영역에는 제1 패킹(81)과 제2 패킹(82)이 형성되어 하우징(10)과 슬라이더(30) 사이의 밀폐력을 형성한다.
도 7은 도 4의 B부 확대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밀폐부재(50)가 고정되는 하우징(10)의 내주면(d1) 영역에는 제3 패킹(83)이 형성되어 하우징(10)과 밀폐부재(50) 사이의 밀폐력을 형성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명세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것이고,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 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 하우징 20: 탄성부재
30: 슬라이더 40: 개폐부재
50: 밀폐부재 60: 개페부재
70 연결부재 81: 제1 패킹
82: 제2 패킹 83: 제3 패킹
100: 에어 벤트 홀 D1, D2, D3: 단면적
d0: 외주면 d1, d2, d3: 내주면
t: 두께

Claims (9)

  1. 체크밸브에 있어서,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와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탄력설치되는 탄성부재(20)와;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30)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게 배치되고, 하우징(10) 내에 흐르는 유체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면서 밸브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유체의 이동 통로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슬라이더(30)가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는 밀폐부재(50)를 포함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탄성부재(20)가 배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에어 벤트 홀(100)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20)는 외주면이 하우징(10)의 내경(d1)에 접촉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설치되어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어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가 일직선 방향으로 흐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되면서 밸브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탄성부재(20)가 설치되는 공간을 유체의 이동 통로로부터 밀폐시키고, 상기 슬라이더(30)가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되,

    하우징(10)의 내주면(d3)과 슬라이더(50)의 내주면(d2)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50)의 외주면 한쪽 단부는 하우징(10)의 내주면(d3)에 고정되면서, 다른 한쪽의 단부는 슬라이더(30)의 내주면(d2)에 기밀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1)은: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과의 감소 비율이 0.1~3%이며,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전을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2)과 탄성부재(20)가 설치된 영역 후를 통과하는 유체 유로의 단면적(D3)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슬라이더(30)가 설치되는 하우징(10)의 내주면(d3) 영역에 제1 패킹(81)과 제2 패킹(82)이 형성되어 하우징(10)과 슬라이더(30) 사이에 밀폐력을 형성하게 되면서, 밀폐부재(50)가 고정되는 하우징(10)의 내주면(d3) 영역에 제3 패킹(83)이 형성되어 하우징(10)과 밀폐부재(50) 사이에 밀폐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을 포함하는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188186A 2021-12-27 2021-12-27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Active KR10260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86A KR102604551B1 (ko) 2021-12-27 2021-12-27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186A KR102604551B1 (ko) 2021-12-27 2021-12-27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96A KR20230099096A (ko) 2023-07-04
KR102604551B1 true KR102604551B1 (ko) 2023-11-20

Family

ID=8715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186A Active KR102604551B1 (ko) 2021-12-27 2021-12-27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833A (ja) 2003-02-03 2004-08-19 Hakko Kinzoku Kogyo Kk 逆止弁
US20070277885A1 (en) * 2006-06-01 2007-12-06 R.W. Lyall Company, Inc. Excess flow control valve
CN207921425U (zh) * 2017-11-30 2018-09-28 徐州青枣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减压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625B1 (ko) * 2002-10-31 2005-06-03 손열삼 체크 밸브
KR20090010273A (ko) 2007-07-23 2009-01-30 손형모 일체형 지지부를 갖는 체크밸브
EP2817119B1 (en) 2012-02-20 2016-06-01 Anca Pty Ltd Collet adaptor
KR20170092219A (ko) * 2016-02-03 2017-08-11 염정향 릴리프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2833A (ja) 2003-02-03 2004-08-19 Hakko Kinzoku Kogyo Kk 逆止弁
US20070277885A1 (en) * 2006-06-01 2007-12-06 R.W. Lyall Company, Inc. Excess flow control valve
CN207921425U (zh) * 2017-11-30 2018-09-28 徐州青枣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减压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096A (ko) 202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51236B (zh) 止回阀设备及方法
US5392810A (en) Plates for wafer check valves
US3540472A (en) Check valve
CN103097785A (zh) 用于流体阀的阀座装置
US10753480B2 (en) Valves including multiple seat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20050166976A1 (en) Anti-cavitation valve assembly
JP2003161375A (ja) バルブ
US20240052937A1 (en) Check valve for cryogenic fluid
US20200182361A1 (en) Non-pressure relieving ball valve
CN110878857A (zh) 轴流式缓闭逆止阀
US8714190B2 (en) Metal plate for dual plate check valve
KR102604551B1 (ko) 체크밸브의 탄성부재 부식 방지 장치
US11905944B2 (en) Flap valve for diaphragm pump
KR20090010273A (ko) 일체형 지지부를 갖는 체크밸브
KR20190133550A (ko) 노즐 체크밸브용 디스크의 최적 운동속도 가변 조절장치
CN218152499U (zh) 一种具有v型回位自适应密封结构的单向阀
KR102524216B1 (ko) 체크밸브의 밸브몸체 지지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11976736B2 (en) Eccentric backflow preventer
KR200416476Y1 (ko) 체크 밸브
KR20200028682A (ko) 유동 유체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
KR20200095098A (ko) 멀티 체크 밸브
CN216200885U (zh) 一种带溢流功能的直角单向阀
KR100729798B1 (ko) 고압유체 차단 게이트밸브
KR101042315B1 (ko) 충격 방지용 밸브 디스크 구조
JPH10220604A (ja) デュアルプレート逆止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