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4191B1 -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191B1
KR102604191B1 KR1020210000177A KR20210000177A KR102604191B1 KR 102604191 B1 KR102604191 B1 KR 102604191B1 KR 1020210000177 A KR1020210000177 A KR 1020210000177A KR 20210000177 A KR20210000177 A KR 20210000177A KR 102604191 B1 KR102604191 B1 KR 102604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bracket
modular unit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8446A (en
Inventor
이승창
박철수
서승기
류영수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0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191B1/en
Publication of KR20220098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4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19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10) 및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20)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에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기둥(10B)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브라켓(100); 및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브라켓(100B)을 결합시키는 이음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는, 상기 브라켓(10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0); 및 상기 브라켓(100B)과 결합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이음 플레이트(200B)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건축 구조물을 모듈러 방식으로 시공함에 있어 개별 모듈러 유닛 간의 체결의 일체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upling structure for combining a modular unit (A)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10 and a crossbeam 20 connecting the pillars 10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 A bracket 100 protruding from the pillar 10 toward the pillar 1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And a joint plate 200 that couples the bracket 100 with the bracket 1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wherein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1 coupling portion 2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oupled to the joint plate 2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oupled to the bracket 10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large building structure using a modular method, the integrity of fastening between individual modular units is ensured, which ensures structural safety of the structure and facilitates fastening.

Description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건축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모듈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모듈러 구조물의 수평 방향으로의 개별 모듈의 기둥 간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columns of individual modul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a modular structure formed by combining large modules.

모듈러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모듈러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방법으로 개별 유닛 부품에 들어가는 전기,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화장실이나 부엌의 기기설치 등 주거공간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is a method of transporting modular units manufactured in a factory to the site and assembling them. It is a method of transporting modular units manufactured in a factory to the site and assembling them. It covers more than 90% of the residential space, including electrical and mechanical equipment for individual unit parts,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including windows, flooring, ceiling materials, and equipment installation in the bathroom and kitchen. It is completed in this factory.

이에 따라 일정 수준의 품질을 확보하고 현장 시공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모듈러 방식의 건축시공 방법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많은 고객에게 빠르게 공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된 공장제작 및 현장시공방법이 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현장에서는 최소한의 시공 내용과 공정으로 오차를 최소화하여 조립 연결해 나가는 기술들이 요구된다. This has the advantage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by securing a certain level of quality and minimizing on-site construc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modular construction method, a systemized factory manufacturing and on-site construction method must be established to enable rapid supply to many customers. To this end, technologies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while minimizing errors with minimal construction details and processes are required at the site. It is required.

대부분의 모듈러 유닛 구조체는 현장 시공의 용이성 및 재사용율 향상을 위하여 모듈러 유닛을 형성하는 수직부재들 수평부재들의 접합부 및 모듈러 유닛 간의 접합부를 볼트 체결로 설정하는데, 이로 인해 보-기둥 접합부의 회전강성이 일반 건축물보다 저하되는 단점을 갖는다.In most modular unit structures, in order to facilitate on-site construction and improve reusability, the joint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forming the modular unit and the joints between the modular units are fastened with bolts. This reduces the rotational stiffness of the beam-column joint.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inferior to ordinary buildings.

특히 대규모의 건축 구조물을 모듈러 방식으로 시공하기 위해서는 개별 모듈러 유닛을 연결할 때 일체화된 모듈이 될 수 있는 수준의 구조적 안전성 및 현장 시공 과정에서의 체결의 용이성이 필요하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construct large-scale architectural structures in a modular manner, structural safety at a level that can be integrated into an integrated module when connecting individual modular units and ease of fastening during the field construction process are required.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78762- 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06-007876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7641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676411

본 발명은 상술된 대규모 모듈러 건축물의 현장 조립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건축 구조물을 모듈러 방식으로 시공함에 있어 개별 모듈러 유닛 간의 체결의 일체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체결이 용이한 체결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현장 시공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improve the on-site assembly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large-scale modular build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structure by ensuring the integrity of fastening between individual modular units when constructing large-scale building structures in a modular manner. The aim is to provide a combina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s forming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on-site construction by proposing a fasten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faste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 개별 모듈러 유닛을 연결함에 있어 현장 시공에 따라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넓은 범주에서 극복할 수 있도록 한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bination structure of modular units that form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overcome construction errors that occur during on-site construction in a wide range when connecting two individual modular unit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It's in what it provid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개별 모듈의 연결부에 위치되는 연결 기둥을 주 기둥의 분할 방식을 채용하여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최소화하고, 모듈러 유닛의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거더 처짐의 수정 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후속 현장 시공을 생략할 수 있는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cement by adopting a split method of the main column for the connecting column located at the connection of individual modules, and to eliminate the need for correction of girder deflection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modular unit. The aim is to provide a combined structure of modular units that form a modular structure that can omit subsequent on-site construction such as concrete pouring,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10) 및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20)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에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기둥(10B)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브라켓(100); 및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브라켓(100B)을 결합시키는 이음 플레이트(200);을 포함하되,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는, 상기 브라켓(10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0); 및 상기 브라켓(100B)과 결합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이음 플레이트(200B)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structure for combining a modular unit (A)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10 and a crossbeam 20 connecting the pillars 10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 A bracket 100 protruding from the pillar 10 toward the pillar 1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And a joint plate 200 that couples the bracket 100 to the bracket 1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wherein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1 coupling portion 2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oupled to the joint plate 2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oupled to the bracket 100B.

이 경우 상기 브라켓(100)은 I형 거더로서,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bracket 100 is an I-type girder, and includes an upper flange 110; lower flange (120); and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또한,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211); 상기 하부 플랜지(120)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12); 및 상기 복부(130)와 결합되는 복부 결합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includes an upper coupling portion 211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0; A lower coupling portion 212 coupled to the lower flange 120; and an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coupled to the abdomen 130.

또한, 상기 브라켓(100)에는 상기 제1 결합부(21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1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20)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상기 관통공(320)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3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공(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cket 100 is formed with a long through-hole 320 through which a bolt 310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10 passes,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10 is formed in the bracket 100. The coupl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214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320 through which the bolt 310 passes.

또한, 상기 관통공(320)은 상기 브라켓(100)의 길이 방향(b)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320 may b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of the bracket 100.

또한, 상기 상부 결합부(211)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1 may be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formed by bending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in the outward direction (a)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0. .

또한, 상기 하부 결합부(212)는 상기 하부 플랜지(120)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2 may be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formed by bending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in the outward direction (a)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20. .

또한, 상기 제2 결합부(220)는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is formed by b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 from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so as to contac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It may be a bonding structure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2 결합부(220)에는 상기 제2 결합부(210B)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3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may hav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long through-hole 340 is formed through which a bolt 330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210B passes.

또한, 상기 관통공(340)은 상기 제2 결합부(220)의 길이방향(c)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ough hole 340 may b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또한,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는, 상기 브라켓(100)의 일면과 결합되는 제1 이음 플레이트(200a); 및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과 결합되는 제2 이음 플레이트(2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joint plate 200 includes a first joint plate 200a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joint plate 200b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racket 100.

또한, 상기 제1 이음 플레이트(200a)의 상기 제2 결합부(220a)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40a)의 최대 직경(341a)의 형성방향과, 상기 제2 이음 플레이트(200b)의 상기 제2 결합부(220b)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40b)의 최대 직경(341b)의 형성방향이 서로 직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maximum diameter 341a of the through hole 340a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a of the first coupling plate 20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a of the second coupling plate 200b. It may be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the formation directions of the maximum diameters 341b of the through holes 340b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220b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제2 결합부(220)를 지지하는 보강리브(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400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결합구조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A)과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근접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제2 단계(S200) 이후에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를 상기 브라켓(10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structure using a coupling structure, a first step (S100) of bringing the modular unit (A)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into proximity; A second step (S200)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joint plate 200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fter the second step (S200),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third step (S300) of combining 220B).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건축 구조물을 모듈러 방식으로 시공함에 있어 개별 모듈러 유닛 간의 체결의 일체성을 확보하여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structing a large building structure using a modular method, the integrity of fastening between individual modular units is ensured, which ensures structural safety of the structure and facilitates fastening.

본 발명에 따르면 양 개별 모듈러 유닛을 연결함에 있어 현장 시공에 따라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넓은 범주에서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overcoming construction errors occurring during on-site construction in a wide range when connecting two individual modular units.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모듈의 연결부에 위치되는 연결 기둥을 주 기둥의 분할 방식을 채용하여 수평 및 수직 변위를 최소화하고, 모듈러 유닛의 운송 중 발생될 수 있는 거더 처짐의 수정 작업이 필요하지 아니하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후속 현장 시공을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cements are minimized by dividing the main columns into connection columns located at the connections of individual modules, and correction work for girder deflection that may occur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modular unit is not required, and concret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mit subsequent on-site construction such as po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 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 전의 브라켓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이 이음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이 이음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에 장착된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이 이음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이 이음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4)에 따른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이 이음 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상세도.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ate of a modular unit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efore combin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bracket before coupling the modular unit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modular unit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coupled by a joi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dular unit and a neighboring modular unit are coupled by a joi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a bracket using a joi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0 are views showing a joi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bracket mounted on a neighboring modula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etailed view of a modula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eighboring modular unit coupled by a joint plate.
Figure 13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dular unit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a joint plate.
Figure 14 is a detailed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dular unit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Example 4)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by a joint plate.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모듈러 유닛의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Embodiment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modular units forming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drawing numbers and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below are merely identifiers to distinguish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coupling does not mean only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each component in the contact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but also means that another component is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in that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s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even the cases where each is in contact.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는 모듈러 구조물을 형성하는, 복수의 기둥(10) 및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20)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도 1, 도 2).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 modular unit (A)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10 and a crossbeam 20 connecting the pillars 10, forming a modular structure. This is for (Figure 1, Figure 2).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며, 결합구조의 상세 설명을 위해 구분하여 명명한다. The modular unit (A)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include the same configuration and are named separately fo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bined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는 양 모듈러 유닛이 마주하는 인접 기둥(11)에서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인접 기둥(11B)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브라켓(100) 및 브라켓(100)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브라켓(100B)을 결합시키는 이음 플레이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100 and a bracket 100 protruding from the adjacent pillar 11 where both modular units face each other toward the adjacent pillar 11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It may include a joint plate 200 that couples the bracket 1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복수의 기둥(10) 중 모듈러 유닛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이 서로 결합되는 기둥을 인접 기둥(11)으로 명명한다. Among the plurality of pillars 10, a pillar where a modular unit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called an adjacent pillar 11.

인접 기둥(11)은 모듈러 유닛의 일반적인 기둥(10)에 비하여 그 폭이 좁을 수 있다. 두 개의 인접 기둥(11)과 인접 기둥(11, 11B) 사이의 연결공간(12)이 하나의 일반 기둥(10)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djacent pillar 11 may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general pillar 10 of the modular unit. The connection space 12 between two adjacent pillars 11 and the adjacent pillars 11 and 11B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one general pillar 10.

이음 플레이트(200)는 브라켓(10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0) 및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브라켓(100B)과 결합된 이음 플레이트(200B)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The joint plate 200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oupled to the joint plate 200B coupled to the bracket 1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 may include (Figure 5).

이 경우 브라켓(100)은 I형 거더로서,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부 플랜지(110) 및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도 5). In this case, the bracket 100 is an I-type girder and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flange 110, a lower flange 120, and a belly 130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 Figure 5).

제1 결합부(210)는 브라켓(100)과 결합되는 구성이므로, 브라켓(100)의 구성에 대응되는 구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10)는, 상부 플랜지(110)와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211), 하부 플랜지(120)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12) 및 복부(130)와 결합되는 복부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it include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100. Specifical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includes an upper coupling portion 211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0, a lower coupling portion 212 coupled to the lower flange 120, and an abdominal coupling coupled to the abdomen 130. It may include part 213.

브라켓(100)에는 제1 결합부(21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1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결합부(210)에는 관통공(320)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볼트(3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The bracket 100 may be formed with an elongated through hole 320 through which the bolt 310 for coupl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passes. Correspondingly, a first through hole 214 through which the bolt 310 passes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320.

관통공(320)은 브라켓(100)의 길이 방향(b) 및 상하 방향(c)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관통공(214) 역시 제1 결합부(210)의 길이방향 및 상하방향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and the vertical direction (c) of the bracket 100. Correspondingly,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4 may also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브라켓(100)의 연결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시공오차를 극복할 수 있다. Based on this structure, construction errors that may occur when connecting the bracket 100 can be overcome.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 결합부(220)에도 복수의 관통공(340)이 형성되므로, x, y, z(3차원) 방향으로 발생되는 모든 시공오차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0 ar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all construction errors occurring in the x, y, and z (3-dimensional) directions.

또한 제1 결합부(210)가 I형 거더의 형상을 갖는 브라켓(100)에 대응된 형상을 갖고 있어 시공오차에 따른 변형 시공이 이루어지더라도 구조적 일체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에 무리가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racket 100 having the shape of an I-girder, there is no difficulty in securing structural integrity and safety even if construction is deformed due to construction error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x축 방향으로 형성된 시공오차에도 불구하고 이음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정하여 양 브라켓(100, 100B)을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it can be seen that despite the construction error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both brackets 100 and 100B can be combin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joint plate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 플레이트(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joint plat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이음 플레이트(200)의 제1 결합부(210)를 구성하는 상부 결합부(211)는 상부 플랜지(11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하부 결합부(212)는 하부 플랜지(120)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1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joint plate 200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a) from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0. is formed. In addition,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by bending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in the outward direction (a)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20.

이에 따라 복부 합부(213)를 복부(130)에 밀착시키면, 상부 결합부(211)는 상부 플랜지(110)의 하면과 밀착되고, 하부 결합부(212)는 하부 플랜지(120)의 상면과 밀착된다. Accordingly, when the abdominal joint 21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abdomen 130, the upper engaging portion 2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engaging portion 2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20. do.

이음 플레이트(200)의 제2 결합부(220)는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과 맞닿을 수 있도록,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결합부(220)에는 제2 결합부(210B)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3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40)이 형성되며, 관통공(340)은 상기 제2 결합부(220)의 길이방향(d) 및 상항방향(e)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of the joint plate 200 is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a) from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so as to contac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is formed A long through-hole 340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through which a bolt 330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10B passes, and the through hole 340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220) and is form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 and the upward direction (e).

이에 따라 제2 결합부(220)의 위치를 조절하여 현장시공에 있어, y 축 및 z축을 따라 발생되는 시공오차를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onstruction errors occurring along the y-axis and z-axis can be resolved during field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 플레이트(200)는, 브라켓(100)의 일면과 결합되는 제1 이음 플레이트(200a) 및 브라켓(100)의 타면과 결합되는 제2 이음 플레이트(20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joint plat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joint plate 200a coupl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joint plate 200b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100. can do.

즉, 이음 플레이트(200)는 브라켓(100)의 좌우 양 측에 결합되어 이웃하는 브라켓(100B)의 좌우 양측에 결합된 이음 플레이트(200B)와 결합된다. That is,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100 and is coupled to the joint plate 200B coupled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ighboring bracket 100B.

이 경우 y 축 및 z축을 따라 발생되는 미세 시공오차를 해결하기 위해, 제1 이음 플레이트(200a)의 제2 결합부(220a)에 형성된 관통공(340a)의 최대 직경(341a)의 형성방향과, 제2 이음 플레이트(200b)의 제2 결합부(220b)에 형성된 관통공(340b)의 최대 직경(341b)의 형성방향이 서로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In this case, in order to resolve micro construction errors occurring along the y-axis and z-axis,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maximum diameter 341a of the through hole 340a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a of the first joint plate 200a and ,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ation directions of the maximum diameters 341b of the through holes 340b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second joint plate 200b are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FIG.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는 제2 결합부(220)를 지지하는 보강리브(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9). The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400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FIG. 9).

보강리브(400)는 제1 결합부(210)와 제2 결합부(220)를 연결하여 제2 결합부(220)의 강성 및 지지력을 높인다. The reinforcing rib 400 connect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support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브라켓(100)은 인접 기둥(11) 내부에 형성된 주근과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도 4). 인접 기둥(11)이 콘크리트 충전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주근이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영구 거푸집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주근을 연결하는 내부 가로보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bracket 100 may be coupled at one end to a main bar formed inside the adjacent pillar 11 (FIG. 4). When the adjacent pillar 11 is formed as a concrete filled pillar, it may include a permanent formwork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where the main pillar is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include an internal crossbeam connecting a plurality of main bar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영구 거푸집의 내부공간 상에 형성되는 주근은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영구 거푸집의 구성 역시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한다(도 12 내지 도 14). The main bars form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ermanent form can be formed in various embodiments,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form also includes various embodiments (FIGS. 12 to 14).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using a combin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근접시키는 제1 단계(S100), 제2 결합부(220)와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가 맞닿을 수 있도록 이음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단계(S200) 및 제2 단계(S200) 이후에 이음 플레이트(200)를 브라켓(10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bringing the modular unit (A)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loser togeth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2 After the second step (S200) and the second step (S200)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joint plate 200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220B) comes into contact,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third step (S300) of coupling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is only a description of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underlying it will be sai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기둥
11 : 인접 기둥
20 : 가로보
100 : 브라켓
200 : 이음 플레이트
300 : 연결 구성
310 : 볼트
320 : 관통공
10: pillar
11: Adjacent pillar
20: Crossbeam
100: bracket
200: joint plate
300: Connection configuration
310: bolt
320: Through hole

Claims (14)

복수의 기둥(10) 및 상기 기둥(10)을 연결하는 가로보(20)를 포함하는 모듈러 유닛(A)과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둥(10)에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기둥(10B)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브라켓(100); 및
상기 브라켓(100)과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브라켓(100B)을 결합시키는 이음 플레이트(200);를 포함하되,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는,
상기 브라켓(100)과 결합되는 제1 결합부(210); 및
상기 브라켓(100B)과 결합된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이음 플레이트(200B)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100)에는 상기 제1 결합부(210)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1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20)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상기 관통공(320)의 형성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310)가 통과되는 제1 관통공(214);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관통공(320)은 상기 브라켓(100)의 길이 방향(b)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00)은 I형 거더로서,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0) 및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복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210)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211);
상기 하부 플랜지(120)와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12); 및
상기 복부(130)와 결합되는 복부 결합부(213);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결합부(211)는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부(212)는 상기 하부 플랜지(120)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220)는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과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복부 결합부(213)에서 외부방향(a)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는,
상기 브라켓(100)의 일면과 결합되는 제1 이음 플레이트(200a); 및
상기 브라켓(100)의 타면과 결합되는 제2 이음 플레이트(2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In the coupling structure for combining a modular unit (A)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10 and a crossbeam 20 connecting the pillars 10 and an adjacent modular unit (B),
a bracket 100 protruding from the pillar 10 toward the pillar 1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and
A joint plate 200 that couples the bracket 100 and the bracket 1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The joint plate 200 is,
A first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the bracket 100; and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220 coupled to the joint plate 20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oupled to the bracket 100B,
The bracket 100 is formed with a long through-hole 320 through which a bolt 310 for coupl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pass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is,
It further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214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320 through which the bolt 310 passes,
The through holes 320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b) of the bracket 100,
The bracket 100 is an I-type girder,
upper flange 110;
lower flange (120); and
It includes an abdomen 130 connecting the upper flange 110 and the lower flange 12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is
An upper coupling portion 211 coupled to the upper flange 110;
A lower coupling portion 212 coupled to the lower flange 120; and
Including an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coupled to the abdomen 130,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1 is formed by bending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in the outward direction (a) so as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lange 110,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2 is formed by bending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in the outward direction (a)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120,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is formed by bending in the outward direction (a) from the abdominal coupling portion 213 so as to contac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The joint plate 200 is,
A first joint plate (200a)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bracket (100); and
a second joint plate (200b)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100);
A bonding structur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220)에는 상기 제2 결합부(220B)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330)가 통과되는 장공형의 관통공(3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up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is formed with a long through-hole 340 through which a bolt 330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220B pas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40)은 상기 제2 결합부(220)의 길이방향(c)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2,
A coupling structure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4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c)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음 플레이트(200a)의 상기 제2 결합부(22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40)의 최대 직경의 형성방향과,
상기 제2 이음 플레이트(200b)의 상기 제2 결합부(22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340)의 최대 직경의 형성방향이 서로 직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340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of the first joint plate 200a,
A coupl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mation directions of the maximum diameters of the through holes 340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of the second joint plate 200b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220)를 지지하는 보강리브(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
According to paragraph 4,
Reinforcement rib 400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 bonding structur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제5항의 결합구조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유닛(A)과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을 근접시키는 제1 단계(S100);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제2 단계(S200) 이후에 상기 이음 플레이트(200)를 상기 브라켓(100)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결합부(220)와 상기 이웃하는 모듈러 유닛(B)의 제2 결합부(220B)를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구조물의 시공방법.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modular structure using the combination structure of paragraph 5,
A first step (S100) of bringing the modular unit (A) and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loser together;
A second step (S200)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joint plate 200 so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fter the second step (S200), the joint plate 200 is coupled to the bracket 1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neighboring modular unit (B) are coupled to the bracket 100. ) the third step (S300) of combin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modular structure compri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0177A 2021-01-04 2021-01-04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Active KR1026041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77A KR102604191B1 (en) 2021-01-04 2021-01-04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77A KR102604191B1 (en) 2021-01-04 2021-01-04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46A KR20220098446A (en) 2022-07-12
KR102604191B1 true KR102604191B1 (en) 2023-11-17

Family

ID=8241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177A Active KR102604191B1 (en) 2021-01-04 2021-01-04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1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184A (en) * 2001-12-21 2003-07-03 Komatsu House Ltd Building unit connecting structure and building unit connecting method
KR100986810B1 (en) * 2008-08-13 2010-10-08 황현만 Prefabricated beam connector and prefabricated brace
KR101658020B1 (en) * 2014-02-07 2016-09-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Structure of Pile-to-Pile cap Connection for Concret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589B1 (en) 2004-12-31 2006-09-25 제일모직주식회사 CPM slurry composition with low defect occurrence ra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90062804A (en) * 2007-12-13 2009-06-17 유각열 H beam connection
KR101676411B1 (en) 2015-06-19 2016-11-15 현대건설 주식회사 Junction structure of pillars and beams for the modular unit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184A (en) * 2001-12-21 2003-07-03 Komatsu House Ltd Building unit connecting structure and building unit connecting method
KR100986810B1 (en) * 2008-08-13 2010-10-08 황현만 Prefabricated beam connector and prefabricated brace
KR101658020B1 (en) * 2014-02-07 2016-09-3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Joint Structure of Pile-to-Pile cap Connection for Concre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46A (en)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3790B2 (en) Column unit and method of building building using column unit
KR101766806B1 (en) th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precast concrete column and precast concrete beam using the temporary bracket installing precast concrete column, the modular system using the same
US12049753B2 (en) Modular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KR100972197B1 (en) Building modular units
JP6763653B2 (en) Unit building
KR102604191B1 (en) Combined structure of individual modules forming modular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modular structure using the same
EP2729637B1 (en)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KR100963580B1 (en) End Connection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dular Unit
JP5400283B2 (en) Building unit connection structure and unit building
JP2017172139A (en) Antiseismic structure and antiseismic reinforcement method
KR100963586B1 (en) End Connection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dular Unit
KR100963587B1 (en) End Connection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dular Unit
KR100963583B1 (en) End Connection of Unit Modular System, Modul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dular Unit
JP7032051B2 (en) Floo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tructure reuse method
JP2524409B2 (en) House of frame, panel construction method
KR102553582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and column
JP7358142B2 (en) unit building
JP7380042B2 (en) Building column and beam connection method
KR102206845B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ting two unit module of modular building
KR20240145174A (en) Precast Concrete Method of House For Connecting RC wall and PC Beam Using Fixing Unit
JP2023168863A (en) Building floor structure and building
JP6875120B2 (en) Floor panels, floor structures, floor construction methods and building skeleton reuse methods
JP2022137887A (en) Horizontal load-bearing panel and building
KR20250014220A (en)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 building
KR20250089908A (en) beam conn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306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62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