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021B1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Google Patents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4021B1 KR102604021B1 KR1020230019115A KR20230019115A KR102604021B1 KR 102604021 B1 KR102604021 B1 KR 102604021B1 KR 1020230019115 A KR1020230019115 A KR 1020230019115A KR 20230019115 A KR20230019115 A KR 20230019115A KR 102604021 B1 KR102604021 B1 KR 1026040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
- roller
- drum
- organizer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6—Hauling devices for the head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물 정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수작업으로 그물을 펼치는 것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뭉쳐진 상태의 그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그물 정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 organiz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net organizer that can increase work efficiency by shortening the work time compared to manually spreading the net, and allows the net to be easily and effectively spread in a bundled state. will be.
일반적으로 그물은 직조된 망의 상부 로프에 일정간격 유지되는 상태로 부구를 고정하고, 하부에는 바닥에 하단이 끌릴 수 있도록 주연에 일정간격 유지되는 상태로 납추를 고정하여 구성되었다.In general, nets are constructed by fixing floats at regular intervals to the upper rope of the woven net, and lead weights are fixed to the lower part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periphery so that the lower end can be dragged on the floor.
그물은 그 길이가 길게 짜여 구성되는데, 어선에서 사용 후 인양한 그물은 인양되는 길이 순으로 겹쳐 쌓아져 그물 더미를 이룬다. 이렇게 더미를 지상에 내놓은 후 수선과 어선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미를 풀어 정리하여야 한다.Nets are constructed by woven long lengths, and nets salvaged from fishing boats are stacked in the order of the lengths they were salvaged to form a pile of nets. After placing the pile on the ground, it must be unpacked and organized in order to be used for repairs and fishing boats.
이를 위하여 통상 여러 사람이 그물의 양단부를 잡아당기면서 순차적으로 그물더미를 풀어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그물 더미의 경우 순차적으로 당겨 푸는 과정이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며 더불어 그물을 당기기 위한 힘도 상당하여 그물을 정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For this purpose, it was common for several people to sequentially unwind and organize the pile of nets by pulling both ends of the net. However, in the case of a pile of nets, the process of sequentially pulling and unwinding the nets is a task that requir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the force to pull the nets is also considerable, so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organizing the nets is very difficult.
공지의 예로서, 도 1은 종래의 사용자의 수작업으로 지면에 안치되어 있는 그물을 정리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As a known example,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use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a net placed on the ground is organized manually by a user.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은 어류가 포획되는 네트부와, 네트부의 양단부를 지지하여 그물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고, 인양 및 정리할 때 그물에 형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로프로 구성된다.As shown, the net consists of a net part in which fish are caught, a rope to support both ends of the net part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net, and to provide shape support to the net when lifting and arranging.
이와 같은 그물은 어선에 사용되어 바닷물에 침수시켜 일정시간 경과 후 다시 인양하여, 네트부에 걸려져 포획된 어류를 어선의 작업자가 떼어내어 수집하고, 이후 어선이 항구로 돌아와 사용한 그물을 지면에 내놓고 바닷물을 말리고 손상된 부분을 수선하는 등의 작업이 이루어진다.This type of net is used on a fishing boat, submerged in seawater, and lifted agai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fish caught in the net part are removed and collected by the operator of the fishing boat. Afterwards, the fishing boat returns to the port and places the used net on the ground. Work such as drying sea water and repairing damaged parts is carried out.
그물은 그 길이가 길게 짜여 구성되는데, 어선에서 사용 후 인양한 그물(10)은 인양되는 길이 순으로 겹쳐 쌓아져 그물 더미(11)를 이룬다. 이렇게 더미(11)를 지상에 내놓은 후 수선과 어선에 사용하기 위하여는 더미를 풀어 정리하여야 한다.The net is composed of a long woven net, and the nets (10) salvaged after use from a fishing boat are stacked in the order of the salvaged length to form a net pile (11). After placing the dummy 11 on the ground, it must be unpacked and organized in order to be used in watercraft and fishing boats.
이를 위하여 통상 여러 사람이 그물(10)의 양단부 즉, 양단의 로프를 잡아당기면서 순차적으로 더미(11)를 풀어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만, 그물 더미(11)의 경우 순차적으로 당기 푸는 과정이 상당한 시간을 요하는 작업이며 더불어 그물(10)을 당기기 위한 힘도 상당하여 그물을 정리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왔다.For this purpose, it is common for several people to sequentially unwind and organize the pile 11 by pulling both ends of the net 10, that is, the ropes at both ends. However, in the case of the net pile 11, the process of sequentially pulling and unwinding is considerable. It is a time-consuming task, and the force required to pull the net 10 is also considerable, making organizing the net very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수작업으로 그물을 펼치는 것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뭉쳐진 상태의 그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그물 정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Compared to manually spreading the net, the work time can be shortened to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a new form that allows the net to be easily and effectively spread in a bundled state is provided. The problem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net organiz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드럼(300)과; 상기 드럼(300)의 일측에 위치되고, 그물(20)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400)와; 상기 드럼(30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30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밀착롤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밀착롤러(500)를 상기 드럼(300)의 표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당김부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ull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당김부재(600)는 상기 밀착롤러(500)의 회전축(510)에 연결되는 축연결구(610)와; 일측이 상기 구동부(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축연결구(610)에 결합되는 연결링크(620)와; 일측이 상기 축연결구(6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그물(20)이 이동시 상기 밀착롤러(500)가 진동에 의해 이격시 상기 드럼(300)과 밀착되도록 당기기 위한 당김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당김구(630)는 일측이 상기 축연결구(610)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31)과;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63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631)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6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드럼(300)은 원통형상의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밀착롤러(500)와 밀착되는 복수개의 블럭체(320)와; 상기 바디(310)의 양측에 상기 바디(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측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럭체(320)는 상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인접되는 블럭체(320)는 서로 이격홈(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블럭체(320)와 블럭체(3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홈(340)은 상부폭(W₁)이 하부폭(W₂)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밀착롤러(500)의 폭은 상기 블럭체(320)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블럭체(320)와 밀착롤러(500)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상기 밀착롤러(500)와 상기 드럼(300)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측판(330)의 외주면 끝단과 상기 블럭체(320)의 외주면 끝단 사이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 의하면, 수작업으로 그물을 펼치는 것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뭉쳐진 상태의 그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hortening the work time compared to manually spreading the net, and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net in a bundled state to be spread easily and effectively.
그리고, 당김부재를 구성하여 밀착롤러가 드럼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롤러부에 의해 안내되는 그물은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pulling member so that the contact roller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rum, the net guided by the roller unit can be moved effectively.
특히, 당김부재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하여 밀착롤러를 당김도록 함으로써 당김부재는 그물이 이동시에 받는 진동으로 일정 범위 회전하여도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그물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by constructing the pulling member as an elastic spring to pull the adhesion roller, the net will be able to move stably because the pulling member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spring even if the net rotates within a certain range due to the vibrations the net receives during movement.
그리고, 드럼의 블럭체와 밀착롤러를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서 블럭체와 밀착롤러는 회전시 헛돌지 않고, 맞닿아 회전되므로 그물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block body and the contact roller of the drum made of rubber material, the block body and the contact roller do not spin during rotation but ro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e net can be moved stably.
또한, 블럭체의 이격홈의 상부폭이 하부폭에 비해 넓게 형성함으로써 그물이 블럭체와 밀착롤러 사이에서 이동시 그물이 이격홈에 걸리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그물이 이격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width of the spacing groove of the block body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lower width, so that when the net moves between the block body and the adhesive roller, the net can effectively move by being caught in the spacing groove, and also prevents the net from getting caught in the spacing groove. It can be prevented.
그리고, 밀착롤러의 폭을 블럭체의 폭이 비해 좁게 형성하고, 밀착롤러와 블럭체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판의 외주면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밀착롤러는 그물이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이격시 그물이 측판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width of the adhesion roller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block body and form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hesion roller and the block body to be smaller tha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plate, the adhesion roller prevents the net from breaking when sepa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net moves.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move stably without being separated between the side plates.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구동부, 밀착롤러, 당김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서 드럼의 블록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of a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a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riving part, the contact roller, and the pulling member in the net organiz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the block body of the drum in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are mere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ith knowledg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elem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a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FIGS. 2A to 8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eanwhile, in the illustra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l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hown. explained.
도 2a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100)는 구동부(200), 드럼(300), 롤러부(400), 밀착롤러(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A to 8, the
구동부(2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모터(210)와 감속기(220)를 포함한다.The driving
여기서, 감속기(220)에 롤러부(400)와 당김부재(600)가 결합되도록 결합프레임(230)이 형성된다.Here, a
결합프레임(230)은 롤러부(400)가 결합되는 제1결합부(240)와, 당김부재(600)가 결합되는 제2결합부(250)로 이루어진다.The
제1결합부(240)는 감속기(220)의 일측 하부에서 절곡되어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수평부(241)를 갖고, 하부수평부(241)에서 상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부(242)를 가지며, 수직부(242)의 끝단에서 감속기(2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수평부(243)를 갖는다.The
한편, 수직부(242)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부수평부(241)와 상부수평부(243)로부터 절곡되어 하부수평부(241)와 상부수평부(243) 사이에 형성된다.Meanwhile, the
그리고, 제1결합부(240)의 수직부(242)의 상부측에는 롤러부(400)의 전측롤러(410)가 고정 결합되도록 결합판(244)이 형성되고, 상부수평부(243) 상에는 롤러부(400)의 후측롤러(420)가 고정 결합되도록 결합봉(245)이 형성되어 진다.In addition, a
결합판(244)과 결합봉(245)에 결합되는 롤러부(400)의 전측롤러(410)와 후측롤러(420)는 고정핀(246)이 전측롤러(410), 후측롤러(420)를 관통하여 고정 결합되어 진다.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롤러부(400)를 제1결합부(240)에 고정시 결합판(244)과 결합봉(245)으로 결합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fixing the
상술한 제1결합부(240)의 하부수평부(241)는 드럼(300)의 외주면이 지면에 닿을시 하부수평부(241)도 지면과 맞닿아 그물 정리기(10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안치되도록 한다.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제2결합부(250)는 감속기(220)의 타측 하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당김부재(600)의 연결링크(620)와 결합되는 링크결합구(251)를 갖고, 감속기(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당김구(630)의 조절구(632)가 관통하도록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관통구(253)를 갖는다.The
링크결합구(251)는 감속기(2220)의 타측 하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장봉(254)을 갖고, 연장봉(254)의 끝단에 당김부재(600)의 연결링크(62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ㄷ'자 형상의 결합구(255)를 갖는다.The
이때, 결합구(255)는 볼트(1)와 너트(2)에 의해 연결링크(620)가 고정 체결되도록 체결홀(256)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당김부재(600)의 연결링크(620)는 결합구(255)에 삽입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The connecting
여기서, 체결부재는 볼트(1)와 너트(2)인 것이다.Here, the fastening members are bolts (1) and nuts (2).
드럼(300)은 구동부(200)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바디(310), 블럭체(320), 측판(330)을 포함한다.The
바디(3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바디(310)의 양측에 판형상의 측판(330)이 결합된다.The
한편, 바디(310)는 외주면 상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체결홀(311)이 형성된다.Meanwhile, the
체결홀(311)은 블럭체(302)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인 볼트(1)가 나사 체결되는 것이다.The
이때, 체결홀(311)의 설정된 간격 즉, 체결홀(311)의 갯수는 블럭체(320)의 갯수와 대응된다.At this time, the set spacing of the fastening holes 311, that is, the number of
한편, 측판(330)의 외경은 바디(310)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바디(310)의 양측에 결합된다.Meanwhile, the outer diameter of the
그리고, 측판(330) 중 하나는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구동부(200)의 동작으로 회전하도록 한다.And, one of the
블럭체(320)는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고, 밀착롤러(500)와 밀착된다.The
그리고, 블럭체(320)의 폭은 바디(310)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진다.And, the width of the
한편, 블럭체(320)는 바디(310)의 외주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인접되는 블럭체(320)는 서로 이격홈(340)을 형성한다.Meanwhile, the
이때, 블럭체(320)와 블럭체(3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홈(34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폭(W₁)이 하부폭(W₂)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진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블럭체(320)의 이격홈(340)의 상부폭(W₁)이 하부폭(W₂)에 비해 넓게 형성함으로써 그물(20)이 블럭체(320)와 밀착롤러(500) 사이에서 이동시 그물(20)이 이격홈(340)에 걸리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그물(20)이 이격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width (W₁) of the
즉, 상부폭(W₁)이 하부폭(W₂)에 비해 좁게 형성될 경우 그물(20)이 이격홈(340)에 끼일 경우 이탈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드럼(310)의 회전이 멈춰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That is, if the upper width (W₁) is narrower than the lower width (W₂), it becomes difficult to separate when the net 20 gets caught in the
블럭체(320)는 외주면이 내주면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바디(310)의 외주면 상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결합된다.The
한편, 블럭체(320)는 바디(310)에 결합시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체결부재가 위치되는 체결홀(321)이 형성되어 진다.Meanwhile, when the
체결홀(321)은 외주면 상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1체결홀(322)을 갖고, 제1체결홀(322)로부터 내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체결홀(323)을 갖는다.The
즉, 체결부재가 볼트(1)인 경우, 제1체결홀(322)은 볼트(1)의 헤드부가 안착되는 부분이고, 제2체결홀(323)은 볼트(1)의 몸통부가 관통하는 부분이다.That is, when the fastening member is a bolt (1), the
이와 같이 블럭체(320)의 체결홀(321)의 제1체결홀(322)에 볼트(1)의 헤드부가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볼트(1)가 블럭체(3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블럭체(320)와 밀착되는 밀착롤러(500)와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블럭체(320)가 회전시 그물(20)을 효과적으로 당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head of the bolt (1) is seated in the first fastening hole (322) of the fastening hole (321) of the block body (320), so that the bolt (1)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ock body (320). It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ulling the net 20 when the
롤러부(400)는 드럼(300)의 일측에 위치되고, 그물(20)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전측롤러(410)와 후측롤러(420)로 이루어진다.The
전측롤러(410)와 후측롤러(420)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핀(246)에 의해 결합판(244)과 결합봉(245)에 각각 결합되어 진다.The
밀착롤러(500)는 드럼(300)의 블럭체(320)의 표면에 밀착되고, 드럼(300)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하여 그물(20)을 이동시키도록 한다.The
이때, 밀착롤러(500)의 회전방향은 드럼(30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한편, 밀착롤러(500)와 블럭체(32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이는 블럭체(302)와 밀착롤러(500)는 회전시 헛돌지 않고, 맞닿아 회전되므로 그물(20)을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net 20 to be moved stably because the block body 302 and the
그리고, 밀착롤러(500)의 폭은 블럭체(320)의 폭에 비해 좁도록 형성되어 진다.And, the width of the
이는 블럭체(320)가 드럼(300)의 바디(310)와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만약, 밀착롤러(500)가 블럭체(320)에 비해 큰 폭은 가지면 측판(330) 사이에 삽입되지 않아 블럭체(320)의 표면과 밀착되지 않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한편, 밀착롤러(500)는 중심측에 회전축(510)을 갖고, 회전축(510)은 당김부재(600)의 축연결구(610)에 결합되어 진다.Meanwhile, the
이때, 회전축(510)은 끝단에 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적으로 나사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for th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밀착롤러(500)는 외주면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하였지만, 다양한 패턴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는 블럭체(320)와 밀착되어 회전시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그물(20)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This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한편, 드럼(300)의 회전으로 함께 회전하는 밀착롤러(500)는 그물(20)이 이동시 진동에 의해 드럼(300)의 블럭체(3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그물(20)을 이동시킨다.Meanwhile, the
이때, 밀착롤러(500)가 블럭체(3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드럼(300)의 블럭체(320)의 외주면과 측판(330)의 외주면 사이에서 밀착롤러(500)는 이격된다.At this time, the distance that the
이는 밀착롤러가(500) 드럼(300)의 측판(330) 외주면 보다 외측으로 이격되면 그물(20)의 로프(11)가 이탈하여 그물(20)의 이동이 멈추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이와 같이 밀착롤러(500)의 폭을 블럭체(320)의 폭이 비해 좁게 형성하고, 밀착롤러(500)와 블럭체(32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측판(330)의 외주면에 비해 작게 형성함으로써 밀착롤러(500)는 그물(20)이 이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이격시 그물(20)이 측판(33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width of the
당김부재(600)는 밀착롤러(500)를 당겨 드럼(300)의 표면에 밀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축연결구(610), 연결링크(620), 당김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ulling
축연결구(61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밀착롤러(500)의 회전축(51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612)을 갖는 몸체(611)와, 몸체(611)로부터 구동부(200)의 결합프레임(230) 즉, 제2결합부(250)의 관통구(253)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구(613)를 포함한다.The
이때, 돌출구(613)는 당김구(630)의 탄성스프링(631)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고정홀(614)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연결링크(62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축연결구(610)의 몸체(611)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구동부(200)의 결합프레임(230) 즉, 제2결합부(250)의 결합구(255)에 삽입되어 볼트(1)와 너트(2)에 의해 체결된다.The
이때, 연결링크(620)는 축연결구(610)의 몸체(6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결합홀(621)이 형성되어 결합구(255)에 볼트(1)와 너트(2)에 의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당김구(630)는 일측이 축연결구(610)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부(200)에 결합되어 그물(20)이 이동시 밀착롤러(500)가 진동에 의해 이격시 드럼(300)의 블럭체(320)와 밀착되도록 당기기 위한 것으로, 탄성스프링(631)과, 조절구(632)를 포함한다.One side of the pulling
탄성스프링(631)은 일측이 축연결구(610)의 몸체(611)에 형성되는 돌출구(613)에 결합되고, 타측은 조절구(632)에 결합되어 진다.One side of the
한편, 탄성스프링(631)은 일측과 타측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몸체(611)의 돌출구(613)와 조절구(632)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조절구(632)는 제2결합부(250)의 관통구(253)에 형성되는 관통홀(252)에 삽입되어 탄성스프링(63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면 상에 나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나비너트(633)가 나사 체결된다.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물 정리기에 의하면, 수작업으로 그물을 펼치는 것에 비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뭉쳐진 상태의 그물을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shortening the work time compared to manually spreading the net, and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net in a bundled state to be spread easily and effectively.
그리고, 당김부재를 구성하여 밀착롤러가 드럼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롤러부에 의해 안내되는 그물은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pulling member so that the contact roller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rum, the net guided by the roller unit can be moved effectively.
특히, 당김부재를 탄성스프링으로 구성하여 밀착롤러를 당김도록 함으로써 당김부재는 그물이 이동시에 받는 진동으로 일정 범위 회전하여도 탄성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므로 그물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particular, by constructing the pulling member as an elastic spring to pull the adhesion roller, the net will be able to move stably because the pulling member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spring even if the net rotates within a certain range due to the vibrations the net receives during movement.
그리고, 드럼의 블럭체와 밀착롤러를 고무재질로 구성함으로서 블럭체와 밀착롤러는 회전시 헛돌지 않고, 맞닿아 회전되므로 그물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by making the block body and the contact roller of the drum made of rubber material, the block body and the contact roller do not spin during rotation but ro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e net can be moved stably.
또한, 블럭체의 이격홈의 상부폭이 하부폭에 비해 넓게 형성함으로써 그물이 블럭체와 밀착롤러 사이에서 이동시 그물이 이격홈에 걸리어 효과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그물이 이격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width of the spacing groove of the block body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lower width, so that when the net moves between the block body and the adhesive roller, the net can effectively move by being caught in the spacing groove, and also prevents the net from getting caught in the spacing groove. It can be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물 정리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net organiz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뭉쳐진 상태의 그물(20)의 로프(21, 22)를 롤러부(400)에 걸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이때, 그물(20)의 양측 로프(21, 22)는 전측롤러(410)의 상부측을 통해 진입하고, 후측롤러(420)의 하부측을 거쳐 드럼(300)의 상부측으로 위치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그물(20)의 일측 로프(21)는 드럼(300)의 블럭체(320)와 밀착롤러 (500)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물(20)의 타측 로프(22)는 드럼(300)의 측판(330)을 덮어 외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Here, one
이후, 구동부(200)를 동작시키면 드럼(300)은 회전하게 되고, 이때, 밀착롤러(500)도 드럼(300)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물(20)의 로프(21, 22)는 이동한다.Afterwards, when the driving
이때, 그물(20)의 타측 로프(22)는 작업자가 잡은 상태에서 로프(21, 22)는 이동하면서 그물(20)은 펼쳐지게 된다.At this time, whil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atent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illustrating the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실용신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claims.
100 : 그물 정리기
200 : 구동부
300 : 드럼 310 : 바디
320 : 블럭체 330 : 측판
400 : 롤러부
500 : 밀착롤러 510 : 회전축
600 : 당김부재 610 : 축연결구
620 : 연결링크 630 : 당김구
631 :탄성스프링 632 : 조절구100: Net organizer
200: driving unit
300: drum 310: body
320: block font 330: side plate
400: roller part
500: Adhesion roller 510: Rotating axis
600: pulling member 610: shaft connector
620: Connecting link 630: Pulling port
631: Elastic spring 632: Adjuster
Claims (10)
상기 구동부(200)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드럼(300)과;
상기 드럼(3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전측롤러(410)와 후측롤러(420)로 이루어져 그물(20)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부(400)와;
상기 드럼(300)의 타측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30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밀착롤러(500)와;
상기 밀착롤러(500)를 상기 드럼(300)의 표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당김부재(6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200)는 유압모터(210), 감속기(220)를 갖고,
상기 감속기(220)의 일측 하부에서 절곡되어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하부수평부(241)를 갖고, 상기 하부수평부(241)에서 상측으로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부(242)를 가지며, 상기 수직부(242)의 끝단에서 상기 감속기(22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수평부(243)를 갖는 제1결합부(240)와, 상기 감속기(220)의 타측 하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당김부재(600)와 결합되는 링크결합구(251)를 갖고, 상기 감속기(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관통홀(252)이 형성되는 관통구(253)를 갖는 제2결합부(250)로 이루어지는 결합프레임(230)을 포함하고,
상기 당김부재(600)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밀착롤러(500)의 회전축(51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홀(612)을 갖는 몸체(611)와, 상기 몸체(611)로부터 상기 구동부(200) 방향으로 형성되는 돌출구(613)를 갖는 축연결구(610)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이 상기 축연결구(610)의 몸체(611)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구동부(200)의 결합프레임(230)의 제2결합부(2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크(620)와;
일측이 상기 축연결구(610)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631)을 갖고, 일측이 상기 탄성스프링(631)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부(200)의 결합프레임(230)의 제2결합부(250)의 관통구(253)에 형성되는 관통홀(252)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스프링(63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탄성스프링(631)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632)를 갖는 당김구(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 driving unit 200;
a drum 300 that rotat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200;
A roller unit 4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drum 300 and consisting of a front roller 410 and a rear roller 420 to guide the net 20;
a contact roller 500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rum 300 and rotat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rum 300;
It includes a pulling member 600 for bringing the contact roller 500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rum 300;
The driving unit 200 has a hydraulic motor 210 and a reducer 220,
It has a lower horizontal portion 241 that is bent at a lower part of one side of the reducer 220 and is form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has a vertical portion 242 that is formed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horizontal portion 241, and the vertical portion 242 A first coupling portion 240 having an upper horizontal portion 243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reducer 220 at the end of the portion 242, and a downwardly inclined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educer 220 are formed to pull the reducer 220. It has a link coupler 251 coupled to the member 600, and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ducer 220 and consists of a second coupler 250 having a through hole 253 in which a through hole 252 is formed. Includes a coupling frame 230,
The pulling member 6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body 611 having an insertion hole 612 into which the rotation axis 510 of the contact roller 500 is inserted and fixed, and the driving unit 200 from the body 611. a shaft connector 610 having a protrusion 613 formed in a direction;
It is made in a rod shape, so that one sid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611 of the shaft connector 610,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e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50 of the coupling frame 230 of the driving unit 200. A connecting link 620 that is coupled;
One side has an elastic spring 631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or 610,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spring 631, and the other side is a second coupling of the coupling frame 230 of the driving unit 200. An adjuster 63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52 formed in the through hole 253 of the unit 250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spring 631 to adju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pring 631. A net organizer comprising a pulling tool (630) having a.
상기 드럼(300)은 원통형상의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밀착롤러(500)와 밀착되는 복수개의 블럭체(320)와;
상기 바디(310)의 양측에 상기 바디(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측판(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rum 30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310;
A plurality of block bodies 320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310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tact roller 500;
A net organizer comprising side plates 3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310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310.
상기 복수개의 블럭체(320)는 상기 바디(3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되어 인접되는 블럭체(320)는 서로 이격홈(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ccording to claim 5,
The plurality of blocks 320 are arranged at set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310, and the adjacent blocks 320 are formed with spaced grooves 340 from each other.
상기 블럭체(320)와 블럭체(3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홈(340)은 상부폭(W₁)이 하부폭(W₂)에 비해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ccording to claim 6,
A net orga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width (W₁) of the separation groove (340) formed between the block body (320) and the block body (320) is wider than the lower width (W₂).
상기 밀착롤러(500)의 폭은 상기 블럭체(320)의 폭에 비해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ccording to claim 5,
A net orga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adhesion roller (50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lock body (320).
상기 블럭체(320)와 밀착롤러(500)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
According to claim 5,
A net orga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ck body (320) and the contact roller (500) ar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 밀착롤러(500)와 상기 드럼(300)과의 이격 거리는 상기 측판(330)의 외주면 끝단과 상기 블럭체(320)의 외주면 끝단 사이에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물 정리기.According to claim 5,
A net organiz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hesion roller 500 and the drum 300 is between th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plate 330 and th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lock body 3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9115A KR102604021B1 (en) | 2023-02-14 | 2023-02-14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19115A KR102604021B1 (en) | 2023-02-14 | 2023-02-14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4021B1 true KR102604021B1 (en) | 2023-11-17 |
Family
ID=8896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9115A Active KR102604021B1 (en) | 2023-02-14 | 2023-02-14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4021B1 (en)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052B1 (en) * | 2006-07-06 | 2007-02-27 | 박창섭 | Automatic long drive system equipped with a hanger roller for long fishing net |
KR200445135Y1 (en) | 2009-02-05 | 2009-07-01 | 전재은 | Net organizer |
KR20120103279A (en) * | 2011-03-10 | 2012-09-19 |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 Fishing net pulling up apparatus of rubber pad for protector |
KR101629752B1 (en) * | 2014-04-22 | 2016-06-13 | 김이수 | Remover of seeweed farming bed |
KR101658293B1 (en) * | 2014-12-24 | 2016-09-20 | 주성구 | Lifting apparatus for shrimp beam trawl |
KR20170010740A (en) * | 2016-12-22 | 2017-02-01 | 조영안 | Machine for arranging rope |
KR20180075865A (en) * | 2016-12-27 | 2018-07-05 | 주성구 | Longline apparatus |
KR20220012713A (en) * | 2020-07-23 | 2022-02-04 | 김태형 |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ing net |
-
2023
- 2023-02-14 KR KR1020230019115A patent/KR1026040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052B1 (en) * | 2006-07-06 | 2007-02-27 | 박창섭 | Automatic long drive system equipped with a hanger roller for long fishing net |
KR200445135Y1 (en) | 2009-02-05 | 2009-07-01 | 전재은 | Net organizer |
KR20120103279A (en) * | 2011-03-10 | 2012-09-19 |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 Fishing net pulling up apparatus of rubber pad for protector |
KR101629752B1 (en) * | 2014-04-22 | 2016-06-13 | 김이수 | Remover of seeweed farming bed |
KR101658293B1 (en) * | 2014-12-24 | 2016-09-20 | 주성구 | Lifting apparatus for shrimp beam trawl |
KR20170010740A (en) * | 2016-12-22 | 2017-02-01 | 조영안 | Machine for arranging rope |
KR20180075865A (en) * | 2016-12-27 | 2018-07-05 | 주성구 | Longline apparatus |
KR20220012713A (en) * | 2020-07-23 | 2022-02-04 | 김태형 | Apparatus for separating fishing n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691B1 (en)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
CN1179099C (en) | Pile driving | |
DE3882377T2 (en) | CLAMPING DEVICE. | |
KR102578107B1 (en) | Automatic towing device | |
KR102604021B1 (en)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
DE2747063C3 (en) |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 pipeline laid on the seabed | |
KR20200009851A (en) | Net organizer | |
KR200429193Y1 (en) | Fishing Rope Traction System | |
KR100752320B1 (en) | Fishing Rope Traction System | |
KR102202307B1 (en) | Net automatic cleanup device | |
KR20140053072A (en) | A hydraulic laver bed hoisting system | |
KR102743426B1 (en) | Automatic system for separating fish in offshore fishery | |
KR102527863B1 (en) | Line Hauler for Fishing Operation Using Encoder, and Method Thereof | |
US721946A (en) | Wire-stretcher. | |
CN211393679U (en) | Heavy deep sea shrimp and crab cage lifting machine | |
KR20230029568A (en) | Fishing net floats input apparatus | |
DE1812107B2 (en) | STABILIZING DEVICE FOR ELEVATOR BAR OF AN ELEVATOR ATTACHED TO A DRILLING HOOK | |
DE69315942T2 (en) | Excavator for digging deep trenches with milling drums | |
KR101658293B1 (en) | Lifting apparatus for shrimp beam trawl | |
DE21614C (en) | Electric powered prime mover | |
KR102346797B1 (en) | Abalone farming system | |
KR100579712B1 (en) | Fishing Net Lifting Device | |
JP4476571B2 (en) | Braided sinker line with varying settling force, braided float line with varied buoyancy, and fishing net using these | |
KR100318220B1 (en) | assembling machine of fishing net | |
KR102836175B1 (en) | separating device for farmed produ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