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1166B1 - 조인트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인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166B1
KR102601166B1 KR1020160158204A KR20160158204A KR102601166B1 KR 102601166 B1 KR102601166 B1 KR 102601166B1 KR 1020160158204 A KR1020160158204 A KR 1020160158204A KR 20160158204 A KR20160158204 A KR 20160158204A KR 102601166 B1 KR102601166 B1 KR 10260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older
coupled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9062A (ko
Inventor
이철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1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9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1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 단자; 상기 와이어 단자가 나란히 복수개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단자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되도록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저면에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단자에 대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인트 커넥터{Joint Connector}
본 발명은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암커넥터와 수커넥터를 결합하여 전원을 연결하거나 접지시키는 조인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부분에는 안전운전을 위한 여러 가지 전장품이 설치되어 있고, 각 전장품으로 전원의 공급이나 제어를 위한 회로가 구성되며, 이를 각 전장품들이 동일 전원이나 접지를 사용하기 위해 조인트 커넥터가 연결된다.
이러한 조인트 커넥터는 수커넥터(Male Connector)와 암커넥터(Female Connector)가 서로 결합되며,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버스바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조인트 커넥터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 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그리고, 암커넥터의 터미널에 각각 단자를 갖는 다수의 와이어를 삽입하고 후단에 결합되는 홀더의 체결을 통해 와이어를 암커넥터에 고정하고, 버스바가 있는 수커넥터에 삽입하여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조인트 커넥터는 수커넥터와 암커넥터의 연결을 위해서 많은 조립공정이 필요한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자동차에 적용 되는 조인트 커넥터는 커넥터 내부에 각각의 터미널에 연결되는 버스바가 구성되어 있어 한 회로에서 다수의 회로로의 전류를 분기 또는 다수의 회로에서 한 회로로 전류를 통합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전체 와이어 하니스에서 회로의 분기 또는 통합을 하기 위해서는 조인트 커넥터를 적용해야만 하고, 이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 부품 수의 증가로 인하여 조립 공정 수 증가 및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각각의 터미널과 부스바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차량 진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접촉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되는 와이어 단자의 연결을 위하여 설정된 패턴으로 선택적 도금한 연결단자를 구비함으로써, 홀더가 결합되면서 와이어 단자의 연결회로를 구성할 수 있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 단자; 상기 와이어 단자가 나란히 복수개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단자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되도록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저면에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단자에 대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돌출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단자와 간섭되도록 저면으로 돌출된 제1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 측면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 시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되는 제2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와이어 단자 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접점이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일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각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각 관통공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접촉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가 마주하는 적어도 네 측면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면서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간섭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제3간섭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단자는 상기 몸체와 접촉 시 상기 결합홀 내측의 적어도 일 측면이 탄력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정된 패턴을 따라서 각각 선택적으로 도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는,
첫째, 홀더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통하여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고,
둘째, 연결단자가 조인트 버스바의 기능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셋째,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가 접촉하는 접점 수가 증대되고, 탄력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인트 커넥터에서 수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에 나타낸 수커넥터의 홀더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홀더의 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연결단자가 와이어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연결단자가 와이어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과정을 도시하는 참고도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인트 커넥터에서 수커넥터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 에 나타낸 수커넥터의 홀더를 하측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0)는 와이어(111)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 단자(110)와, 와이어 단자(110)가 복수개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120)과, 커넥터 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와이어 단자(110)를 고정시키는 홀더(130) 및 홀더(130) 상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와이어 단자(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단자(1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120)은 수커넥터 또는 암커넥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수커넥터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120) 일 측에는 복수개의 와이어(111)가 결합된다. 와이어(111)는 단부에 와이어 단자(110)가 결합된 상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커넥터 하우징(120) 내부에 와이어 단자(110)가 삽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30)가 체결되면서 커넥터 하우징(120)과 와이어 단자(11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130)는 커넥터 하우징(120)에 결합되면서 와이어 단자(110)가 커넥터 하우징(12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와이어 단자(110)들을 설정 패턴으로 연결하여 기존에 조인트 버스바의 기능을 수반하게 된다.
상기 홀더(130)는 커넥터 하우징(120)에 결합된 각각의 와이어 단자(110)와 간섭되도록 저면으로 돌출된 제1간섭부재(131)가 마련된다.
상기 제1간섭부재(131)는 와이어(111)와 와이어 단자(110) 사이에 위치하여 와이어 단자(110)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이 발생하고, 또한 홀더(130)를 탈거하면 간섭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130)의 양 측면에는 커넥터 하우징(120)과 결합되면서, 홀더(130)와 커넥터 하우징(120) 사이에서 서로 간섭되는 제2간섭부재(132)가 구비된다.
상기 제2간섭부재(132)는 홀더(130)가 커넥터 하우징(12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홀더(130)와 커넥터 하우징(120) 중 어느 하나에 돌기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에 홈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홀더의 양 측면에 각각 제2간섭부재(132)가 돌출되는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홀더의 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연결단자가 와이어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단자(140)는 홀더(130)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와이어 단자(110) 상에 형성된 결합홀(112)에 삽입되는 몸체(141)와, 몸체(141)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결합홀(11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접점이 되는 접촉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41)는 일 실시예에서는 일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결합홀(112) 역시 와이어 단자(110) 상에서 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몸체(141)의 각 측면에는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각 관통공(142)에는 상기 접촉부재(145)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단자(140)가 결합홀(112)에 삽입되면, 접촉부재(145)와 와이어 단자(11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전기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합홀(112)은 와이어 단자(110)의 상면 또는 측면을 일부 절곡하여 형성되고, 여기서 절곡된 상면 또는 측면이 결합홀(112) 내부에서 접촉부재(145)와 접촉하면서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수반할 수 있다.
또한 결합홀(112)의 내측면에서 각각 접촉부재(145)의 네 측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커넥터 하우징(120)에 어떠한 방향에서 강한 진동과 같은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순간적으로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결합홀(112) 내주면에서 접촉부재(145)의 각 측면이 모두 접촉(다접점)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의 충격에 대응하여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접촉부재(145)는 접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단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접점이 유지되던 것에 비하여 접촉불량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연결단자(140)는 홀더(130) 내부에서 설정된 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연결단자(140)들은 선택적으로 도금되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하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의 연결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나타낸 연결단자가 와이어 단자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결합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나타낸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단자(250)의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먼저, 연결단자(250)는 홀더(13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몸체(251)와, 몸체(251) 상에서 탄력적으로 배치되는 탄성부재(255)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51)는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탄성부재(255)는 몸체(251) 상에서 가압되는 경우 내측으로 휘거나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8에서와 같이, 연결단자(250)가 와이어 단자(110)와 결합되면, 도 9에서와 같이 몸체(251)와 와이어 단자(110)의 결합홀(112) 사이에서 접촉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접촉에 따른 소정의 가압력으로 인하여 탄성부재(255)는 몸체(251) 상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여기서 변형은 탄성부재(255)가 가지는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외형 변형이 될 수 있고, 또는 몸체(251) 상에서 별도의 탄성부(미도시)를 통하여 탄성부재(255)가 몸체(251)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변형이 될 수도 있다.
그리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55)는 결합홀(112)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13)에 간섭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제3간섭부재(256)를 포함한다.
제3간섭부재(256)는 연결단자(250)와 와이어 단자(110) 사이에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진동과 같은 외력에 의해서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커넥터(100)에 의하면, 홀더에 구비된 연결단자를 통하여 와이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고, 연결단자가 조인트 버스바의 기능을 수반할 수 있기 때문에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며, 연결단자와 와이어 단자가 접촉하는 접점 수가 증대되고, 탄력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조인트 커넥터
110 : 와이어 단자
120 : 커넥터 하우징
130 : 홀더
140, 250 : 연결단자

Claims (11)

  1. 와이어 단부에 결합된 와이어 단자;
    상기 와이어 단자가 나란히 복수개 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 단자가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되도록 결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저면에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단자에 대응하도록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단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와이어 단자 상에 형성된 결합홀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접점이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연결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일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과 마주하는 각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각 관통공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접촉부재가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가 마주하는 적어도 네 측면이 접촉하는,
    조인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된 각각의 상기 와이어 단자와 간섭되도록 저면으로 돌출된 제1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적어도 일 측면 상에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결합 시 탈거되는 방향으로 간섭되는 제2간섭부재를 포함하는,
    조인트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정된 패턴을 따라서 각각 선택적으로 도금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인트 커넥터.
KR1020160158204A 2016-11-25 2016-11-25 조인트 커넥터 Active KR102601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04A KR102601166B1 (ko) 2016-11-25 2016-11-25 조인트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204A KR102601166B1 (ko) 2016-11-25 2016-11-25 조인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62A KR20180059062A (ko) 2018-06-04
KR102601166B1 true KR102601166B1 (ko) 2023-11-10

Family

ID=62628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204A Active KR102601166B1 (ko) 2016-11-25 2016-11-25 조인트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1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835A (ja) * 1999-11-11 2001-05-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5129274A (ja) 2003-10-21 2005-05-19 Fujitsu Ten Ltd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接続構造
JP2016100320A (ja) * 2014-11-26 2016-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878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조인트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60066182A (ko) * 2014-12-02 2016-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KR101734656B1 (ko) * 2015-06-26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3835A (ja) * 1999-11-11 2001-05-25 Ryosei Electro-Circuit Systems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5129274A (ja) 2003-10-21 2005-05-19 Fujitsu Ten Ltd プレスフィット端子および接続構造
JP2016100320A (ja) * 2014-11-26 2016-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62A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US9287643B2 (en) Electric connector
US9502795B1 (en) Clamping wire structure of terminal block
US11404828B2 (en) Connector assembly
US7641507B2 (en) Cable connector
US9843117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10700457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KR101566687B1 (ko) 전기 커넥터
JP6027928B2 (ja) 電気コネクタ
CN108155503A (zh) 具备防脱结构的连接器装置
KR20160066182A (ko) 조인트 커넥터
US9711877B2 (en) Plug and connector module
TWI580127B (zh) 電連接器組合
US10535960B2 (en) Plug connector module having spring links
KR102601166B1 (ko) 조인트 커넥터
KR102088888B1 (ko) 조인트 커넥터
KR20190052235A (ko) 커넥터
US9431736B2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KR102768644B1 (ko) 커넥터
KR101967506B1 (ko) 암형 전기 단자
US10516242B2 (en) Multistage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CN110088989B (zh) 具有无焊接触件的连接器
JP6117042B2 (ja) 給電用コネクタ
KR20200043229A (ko) 커넥터
KR101316111B1 (ko) 컨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