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0811B1 -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0811B1 KR102600811B1 KR1020230093487A KR20230093487A KR102600811B1 KR 102600811 B1 KR102600811 B1 KR 102600811B1 KR 1020230093487 A KR1020230093487 A KR 1020230093487A KR 20230093487 A KR20230093487 A KR 20230093487A KR 102600811 B1 KR102600811 B1 KR 1026008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mond
- inverted triangle
- shaped
- retaining wall
- artificial sto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969 artificial sto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QNRATNLHPGXHMA-XZHTYLCXSA-N (r)-(6-ethoxyquinolin-4-yl)-[(2s,4s,5r)-5-ethyl-1-azabicyclo[2.2.2]octan-2-yl]methanol;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H]([C@H](C1)CC)C2)CN1[C@@H]2[C@H](O)C1=CC=NC2=CC=C(OCC)C=C21 QNRATNLHPGXHMA-XZHTYLCX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땅 속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철근(29)과;
상기 수직철근(29)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가 되도록 하는 베이스콘크리트부(31)와;
상기 베이스콘크리트부(31)의 상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경사지게 형성되되, 내부 일측에 마름모꼴 수용홈(1)을 구비하여 뒷 채움되는 보강토의 토압을 이겨내는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과;
상기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저면 일측 또는 상면 일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경사지게 형성되되, 내부 일측에 역삼각형 수용홈(5)을 구비하여 뒷 채움되는 보강토의 토압을 이겨내는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은,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1경사부(13)와;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 타측에 설치되되, 제1경사부(13)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에 마름모꼴 수용홈(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경사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부(15)의 일측에 제1걸림고리(17)가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고리(1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름모꼴 전면부(11)의 일측에 제2걸림고리(19)가 설치되고,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에 구비된 관통공(9)은,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마름모꼴 수용홈(1)과 연통되며,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3) 및 제2경사부(15)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은,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3경사부(21)와;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 타측에 설치되되, 제3경사부(2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에 역삼각형 수용홈(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4경사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역삼각형 후방 일측에 제3걸림고리(25)가 설치되며, 상기 제3걸림고리(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역삼각형 전면부(20)의 일측에 제4걸림고리(27)가 설치되고,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3경사부(21) 및 제4경사부(23)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수직철근(29)을 땅 속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땅 속에 설치된 수직철근(29)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기초가 되는 베이스콘크리트(31)를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와 역삼각형 수용홈(5)을 포함한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뒤집은 후, 양생된 콘크리트부(31)의 상면에 뒤집어진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1옹벽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와 마름모꼴 수용홈(1)을 포함한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제1옹벽을 형성시킨 뒤집어진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2옹벽을 형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와 마름모꼴 수용홈(1)을 포함한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제2옹벽을 형성시킨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3옹벽을 형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와 역삼각형 수용홈(5)을 포함한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제3옹벽을 형성시킨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4옹벽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보강토 옹벽용 조립체를 이용하여 옹벽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a는 도 3의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b는 도 3의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의 정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도 3의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의 측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3의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3의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의 평면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 시공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도 3의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에 걸림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3의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에 걸림고리 및 전산볼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의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에 걸림고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땅 속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철근(29)과;
상기 수직철근(29)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가 되도록 하는 베이스콘크리트부(31)와;
여기서, 상시 수직철근(29)은 땅 속에 위치된 암반에 설치할 수 도 있고 설치를 하지 않을 수 도 있다.
3 :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
5 : 역삼각형 수용홈
7 :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
9 : 관통공
11 : 마름모꼴 전면부
13 : 제1경사부
15 : 제2경사부
17 : 제1걸림고리
19 : 제2걸림고리
20 : 역삼각형 전면부
21 : 제3경사부
23 : 제4경사부
25 : 제3걸림고리
27 : 제4걸림고리
29 : 수직철근
31 : 베이스콘크리트
50 : 날개핀
52 : 전산볼트
Claims (4)
- 땅 속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철근(29)과;
상기 수직철근(29)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가 되도록 하는 베이스콘크리트부(31)와;
상기 베이스콘크리트부(31)의 상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경사지게 형성되되, 내부 일측에 마름모꼴 수용홈(1)을 구비하여 뒷 채움되는 보강토의 토압을 이겨내는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과;
상기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저면 일측 또는 상면 일측에 위치됨과 아울러 경사지게 형성되되, 내부 일측에 역삼각형 수용홈(5)을 구비하여 뒷 채움되는 보강토의 토압을 이겨내는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포함하되,
상기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은,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1경사부(13)와;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 타측에 설치되되, 제1경사부(13)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에 마름모꼴 수용홈(1)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2경사부(15)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사부(15)의 일측에 제1걸림고리(17)가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고리(17)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름모꼴 전면부(11)의 일측에 제2걸림고리(19)가 설치되고,
상기 마름모꼴 전면부(11)에 구비된 관통공(9)은, 마름모꼴 전면부(11)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마름모꼴 수용홈(1)과 연통되며,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13) 및 제2경사부(15)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기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은,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 일측에 설치되는 제3경사부(21)와;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 타측에 설치되되, 제3경사부(21)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역삼각형 전면부(20) 후방에 역삼각형 수용홈(5)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4경사부(23)를 포함하고,
상기 역삼각형 후방 일측에 제3걸림고리(25)가 설치되며, 상기 제3걸림고리(25)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역삼각형 전면부(20)의 일측에 제4걸림고리(27)가 설치되고,
상기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3경사부(21) 및 제4경사부(23)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 수직철근(29)을 땅 속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 후, 땅 속에 설치된 수직철근(29)의 상단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기초가 되는 베이스콘크리트(31)를 만드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와 역삼각형 수용홈(5)을 포함한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뒤집은 후, 양생된 콘크리트부(31)의 상면에 뒤집어진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1옹벽을 형성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후,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와 마름모꼴 수용홈(1)을 포함한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제1옹벽을 형성시킨 뒤집어진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2옹벽을 형성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 후, 관통공(9)을 구비하는 마름모꼴 전면부(11)와 제1경사부(13)와 제2경사부(15)와 마름모꼴 수용홈(1)을 포함한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을 제2옹벽을 형성시킨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3옹벽을 형성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 후, 역삼각형 전면부(20)와 제3경사부(21)와 제4경사부(23)와 역삼각형 수용홈(5)을 포함한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복수개 위치시키고, 경사진 역삼각 형상의 인조석(7)을 제3옹벽을 형성시킨 경사진 마름모꼴 형상의 인조석(3)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위치시켜 제4옹벽을 형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3487A KR102600811B1 (ko) | 2023-07-19 | 2023-07-19 |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3487A KR102600811B1 (ko) | 2023-07-19 | 2023-07-19 |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0811B1 true KR102600811B1 (ko) | 2023-11-09 |
Family
ID=8874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3487A Active KR102600811B1 (ko) | 2023-07-19 | 2023-07-19 |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0811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56U (ja) * | 1991-06-27 | 1993-01-19 |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 緑化用ブロツク |
JPH0794729B2 (ja) * | 1990-04-26 | 1995-10-11 | 正憲 平田 | 間知ブロックを使用して行う擁壁構築方法 |
JP2000129703A (ja) * | 1998-10-29 | 2000-05-09 | Hisaya Nakagawa | 植栽用護岸ブロック装置 |
KR200227270Y1 (ko) * | 2001-01-04 | 2001-06-15 | 주식회사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 옹벽조립체 |
JP2004324373A (ja) * | 2003-04-28 | 2004-11-18 | Takuo Yukimoto |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
JP2006283309A (ja) * | 2005-03-31 | 2006-10-19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石積壁の耐震補強方法 |
KR20090055354A (ko) * | 2007-11-28 | 2009-06-02 | 장성욱 | 서랍식 식생 축대벽블록 |
JP2017227097A (ja) * | 2016-06-24 | 2017-12-28 | 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擁壁用大型積みブロック |
-
2023
- 2023-07-19 KR KR1020230093487A patent/KR10260081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4729B2 (ja) * | 1990-04-26 | 1995-10-11 | 正憲 平田 | 間知ブロックを使用して行う擁壁構築方法 |
JPH053356U (ja) * | 1991-06-27 | 1993-01-19 |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 緑化用ブロツク |
JP2000129703A (ja) * | 1998-10-29 | 2000-05-09 | Hisaya Nakagawa | 植栽用護岸ブロック装置 |
KR200227270Y1 (ko) * | 2001-01-04 | 2001-06-15 | 주식회사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 | 옹벽조립체 |
JP2004324373A (ja) * | 2003-04-28 | 2004-11-18 | Takuo Yukimoto | 生物生息空間を有する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用いたブロック壁構造 |
JP2006283309A (ja) * | 2005-03-31 | 2006-10-19 | Railway Technical Res Inst | 石積壁の耐震補強方法 |
KR20090055354A (ko) * | 2007-11-28 | 2009-06-02 | 장성욱 | 서랍식 식생 축대벽블록 |
JP2017227097A (ja) * | 2016-06-24 | 2017-12-28 | 共和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擁壁用大型積みブロッ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80121B1 (en) | Reinforced retaining wall | |
US6416260B1 (en) |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 |
JP3817676B2 (ja) | モジュールブロック擁壁構造及び構成要素 | |
US6050749A (en) |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 |
US20110217127A1 (en) | Retaining wall block system | |
US8684633B2 (en) | Modular block connecting techniques | |
KR101077949B1 (ko) |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077348B1 (ko) | 옹벽과 그 시공방법 | |
US7390146B2 (en) | Modular block structures | |
CN112281868A (zh) | 临时基坑支护和永久边坡支护相结合的支护系统、方法 | |
KR102263958B1 (ko) | 옹벽용 조립식 블록 시공방법 | |
KR102600811B1 (ko) | 옹벽용 인조석 쌓기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쌓기 시공방법 | |
KR102178399B1 (ko) | 내진성능이 우수한 보강지지구조를 구비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
KR102116085B1 (ko) |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 |
KR100346947B1 (ko) | 석축 보강 및 옹벽 공사방법 | |
CA2630073A1 (en) | Modular block structures | |
CN218952237U (zh) | 一种具有生态孔的挡土墙 | |
KR102285192B1 (ko) |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 |
CN218233494U (zh) | 杂填土地层人字个字形钢管桩支护型式 | |
KR102249603B1 (ko) | 옹벽 시공방법 | |
KR20100134374A (ko) | 자연석을 이용한 법면 보호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CN211498943U (zh) | 用于链锁式生态挡墙的砌块 | |
KR101190280B1 (ko) | 조경석이 고정된 옹벽 구조체 | |
KR102316153B1 (ko) | 옹벽용 인조석 쌓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조석 쌓기 방법 | |
KR200167837Y1 (ko) | 석축 보강 구조 및 신설 옹벽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07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