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0723B1 -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723B1
KR102600723B1 KR1020200154174A KR20200154174A KR102600723B1 KR 102600723 B1 KR102600723 B1 KR 102600723B1 KR 1020200154174 A KR1020200154174 A KR 1020200154174A KR 20200154174 A KR20200154174 A KR 20200154174A KR 102600723 B1 KR102600723 B1 KR 102600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user
mask
fire
breathing ma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681A (ko
Inventor
정수현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to KR1020200154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7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7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정화통을 밀폐하고 있는 마개를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당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밀폐하며, 배기구와 흡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호흡 마스크;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에 결착되며, 사용자가 내쉬는 숨은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방지하는 배기유닛; 전단에는 흡입구가, 후단에는 돌출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 배출구가 상기 호흡 마스크의 흡기구에 결착되는 정화통; 및 사용자가 일단을 당겨서 상기 호흡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일단에는 상기 정화통의 흡입구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가 구비되어 있는 조임 스트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Gas Mask For Opening Easily Closure Cap Of Canister}
본 발명은 화재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용 마스크에 장착된 정화통을 밀폐하고 있는 마개를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당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 각종 시설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염에 의한 직접적인 인명 피해보다 유독 가스나 연기 등에 의한 질식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유독 가스나 연기 등에 의한 질식을 예방하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물 등의 시설물에 화재용 마스크를 비치하여 두도록 하였다.
화재용 마스크는 화염 등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는 후드와, 보통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밀폐하는 호흡 마스크와, 호흡 마스크에 장착되는 정화통으로 구성된다. 화재용 마스크는 평상 시에는 밀봉 상태로 건물 등에 비치하여 두고 화재 발생 시에 꺼내어 사용하게 되는데, 호흡 시 유독 가스나 연기 등을 제거하는 정화통은 공기 중에 노출되는 순간부터 내부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게 된다. 따라서, 화재용 마스크 보관 시 정화통의 내부 필터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정화통 흡입구와 배출구를 마개로 밀폐하여 두며, 화재용 마스크 자체를 봉투 등에 밀봉하여 평상 시에는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재 발생 시 사용자는 밀봉된 봉투 등에서 화재용 마스크를 꺼내어 착용하게 되는데, 화재용 마스크의 착용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은 사용자는 정화통의 흡입구와 배출구가 마개로 밀폐되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설령 화재용 마스크의 착용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용자라도 화재 등 실제 비상 상황에서는 정화통 마개의 존재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정화통의 흡입구와 배출구를 밀폐하고 있는 마개를 제거하지 않고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전혀 숨을 들이켤 수가 없게 되며,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아 마개의 존재를 알 수 없는 사용자는 당황하여 화재용 마스크를 다시 벗어 버리게 되고 결국 유독 가스나 연기에 노출되어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교육이나 훈련을 받은 경험으로 마개의 존재가 다시 떠오른 사용자의 경우에도, 후드 외부에 위치한 정화통 흡입구의 마개는 화재용 마스크 착용 상태에서도 제거할 수 있지만, 후드 내부에 위치한 정화통 배출구의 마개는 결국에는 화재용 마스크를 다시 벗어서 제거할 수밖에 없으므로 촌각을 다투는 화재 사고에서 유독 가스나 연기에 노출되고 대피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재 발생 시 정화통이 제대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정화통의 마개가 실제 화재 발생 시 오히려 사용자의 안전 확보에 방해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재용 마스크에 장착된 정화통의 수명을 위하여 내부의 필터가 공기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화통의 흡입구와 배출구를 각각 밀폐하고 있는 마개를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개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 긴급 상황에서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화재용 마스크를 신속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밀폐하며, 배기구와 흡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호흡 마스크;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에 결착되며, 사용자가 내쉬는 숨은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방지하는 배기유닛; 전단에는 흡입구가, 후단에는 돌출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 배출구가 상기 호흡 마스크의 흡기구에 결착되는 정화통; 및 사용자가 일단을 당겨서 상기 호흡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일단에는 상기 정화통의 흡입구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가 구비되어 있는 조임 스트랩;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는, 사용자의 입의 위치에 대응하여 호흡 마스크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호흡 마스크의 흡기구는, 상기 배기구의 좌우 양 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화통은. 상기 호흡 마스크에 형성된 2개의 상기 흡기구에 각각 결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임 스트랩은, 일단에는 상기 배기구 좌측에 위치하는 정화통의 흡입구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가, 타단에는 상기 배기구 우측에 위치하는 정화통의 흡입구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를 둘러 감싸는 당김 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가 관통되는 고정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당김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통과하는 길이조절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당김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에는, 단부에는 전후면을 관통하는 당김 고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당김 고리와 당김 스트랩 사이에 흡입 마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당김부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를 완전히 감싸는 후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호흡 마스크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서 상기 투시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에 결착되며,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는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의 흡기구에 결착되며, 상기 조임 스트랩의 당김 스트랩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두부를둘러 감싸며, 상기 고정 스트랩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드의 후면에는, 상기 조임 스트랩의 당김 스트랩이 통과하는 스트랩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의 후면에는.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를 밀폐하는 배출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드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면서, 후드 내부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차단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는, 중심부에 상하를 관통하며 두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 삽입구에서 후드 내면 방향으로 주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탄성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흡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시켜 유독 가스나 연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조임 스트랩의 일단에 정화통의 흡입구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한 후 조임 스트랩을 당겨 호흡 마스크를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흡입 마개를 정화통 흡입구로부터 개봉할 수밖에 없어 화재용 마스크의 착용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전혀 받지 않은 사용자라도 충분히 화재용 마스크를 신속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후드의 후면에 후드 전면 내측에 위치하는 정화통의 배출구를 밀폐하는 배출 마개를 형성함으로써, 평소 보관시에는 배출 마개에 의하여 후드의 전면과 후면이 밀착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시에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를 착용하고자 후드를 벌리는 경우 자연스럽게 정화통의 배출구를 밀폐하고 있던 배출 마개가 빠지게 되어 사용자의 화재용 마스크 장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이 호흡 마스크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흡입 마개가 개봉된 정화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호흡 마스크와 정화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의 배출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배면도이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특징과 효과,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특정한 실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의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10)는,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는 후드(400)와, 상기 후드(400)의 내측에 구비되는 호흡 마스크(100)와, 상기 후드(400)의 외측에서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결착하는 배기유닛(500)과, 상기 후드(400)의 외측에서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결착하는 한 쌍의 정화통(200)과, 상기 후드(400)의 외측면을 따라 사용자의 두부를 둘러 감싸는 조임 스트랩(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드(400)는 화염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내열성을 가지는 불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유독 가스나 연기가 봉제선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봉제선을 따라 실링(Sealing) 테이프 등으로 밀봉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후드(400)를 착용하였을 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투시창(410)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시창(410) 또한 화염 등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불연 재질로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호흡 마스크(100)는 상기 후드(4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밀폐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창(410)의 하부에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는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배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기구(110)와 흡기구(120)는 각각 상기 배기유닛(500)과 정화통(200)이 결착된다. 화재용 마스크(10)에는 일반적으로 정화통(200)이 1개 또는 2개가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정화통(200)을 구비하였으므로,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흡기구(120)도 이에 대응하여 2개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입 부위가 위치하는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중심 부위에 상기 배기구(110)를 형성하였고, 상기 배기구(11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상기 흡기구(120)를 하나씩 형성하였다.
상기 호흡 마스크(100)는 상기 후드(400)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에 결착되는 상기 배기유닛(500)과 정화통(200)은 상기 후드(40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후드(400)의 위치에는 내외부를 관통하는 통공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상기 통공을 통하여 유독 가스나 연기가 상기 후드(40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후드(400)의 통공과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룰 완전히 밀착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를 단순히 호흡 마스크(10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평면적인 통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후드(400)의 통공을 통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가 후드(4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와 흡기구(120)가 상기 후드(400)의 통공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후드(400)의 통공 위치를 잡기가 간단할 것이고 접착제 등으로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결착하기도 매우 용이할 것이다.
한편,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배기구(110)에 결착하는 배기유닛은 화재용 마스크(10) 사용자가 내쉬는 숨은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유독 가스나 연기 등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이러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것으로 체크 밸브를 이용한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배기 유닛의 세부 구성을 특정하지 않으며, 앞서 설명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어떠한 장치도 상기 배기 유닛으로 채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흡기구(120)에 결착하는 정화통(200)은 내부에 유독 가스나 연기를 흡수하는 필터(2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단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210)가, 후단에는 상기 필터(201)를 통과한 깨끗한 공기를 배출하는 돌출 배출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가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흡기구(120)에 결착되는데,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흡기구(120)를 돌출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와 단단하게 결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사 결합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와 상기 호흡 마스크(100)의 흡기구(120)를 결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화통(200)의 내부에구비되어 있는 필터(201)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보통 공기에 노출되는 경우 그 수명이 매우 빨리 단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통(200)은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전체적으로 철저한 밀폐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유일하게 상기 정화통(200)의 전후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를 통해서만 공기가 유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정화통(2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상기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 또한 평상 시에는 마개 등으로 밀폐하여 상기 정화통(200) 내부에 구비된 필터(201)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화재 발생 등 위급한 순간에 충분히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시를 대비하여 건물 등에 비치해 놓는 화재용 마스크(10)는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를 마개로 밀폐한 후 다시 봉투 등에 넣어 밀봉된 상태로 보관된다. 만약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사용자는 봉투 등을 개봉하여 화재용 마스크(10)를 꺼낸 후 다시 정화통(200)의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를 밀폐하고 있는 마개를 반드시 제거한 후 착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화재용 마스크(10)의 사용에 대한 교육이나 훈련을 충분히 받은 소수의 사용자에게는 익숙하겠지만, 이러한 교육이나 훈련을 전혀 받지 못한 다수의 사용자에게는 정화통(200)에 마개가 존재한다는 것조차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화재 등의 비상 상황에서 정화통(200)의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 중 어느 하나의 마개라도 제거하지 않고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혀 숨을 들이켤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가 당황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먼저 상기 호흡 마스크(100)를 입과 코 부위에 단단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조임 스트랩(300)에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220)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즉,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10) 착용 후 상기 호흡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에 밀착되도록 상기 조임 스트랩(300)을 당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를 밀폐하고 있는 흡입 마개(220)를 개봉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설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조임 스트랩(300)은, 상기 후드(400)의 외측을 따라 사용자의 두부를 둘러 감싸는 당김 스트랩(310)과,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에 고정링(321)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 스트랩(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당김 스트랩(310)의 일단과 타단에는 상기 배출 유닛의 좌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한 쌍의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를 각각 밀폐하는 흡입 마개(2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당기면서 상기 흡입 마개(220)를 개봉할 수 있도록 상기 당김 스트랩(3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당김부재(31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부재(311)의 일실시예로써, 상기 일단은 상기 당김 스트랩(310)의 단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당김 고리(312)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상기 흡입 마개(220)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당김부재(311)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 후 상기 호흡 마스트를 입과 코 부위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왼손과 오른손으로 상기 당김 스트랩(310)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상기 당김부재(311)의 당김 고리(312)를 잡고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전방으로 당기는 경우 자연스럽게 한 쌍의 상기 당김부재(311)에 구비된 흡입 마개(220)가 한 쌍의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로부터 각각 뽑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당기는 경우 사용자의 후두부에서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상하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드(400)의 후면 외측에 스트랩 안내부(420)를 형성하여 주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임 스트랩(300)에서 당김 스트랩(310)과 함께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 스트랩(320)을 구비하여야 상기 호흡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밀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 스트랩(320)의 일단에는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고정링(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통과하는 길이조절부재(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22)는 평소에는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쉽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일정한 힘으로당기는 경우에만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당겨 상기 호흡 마스크(100)를 충분히 밀착시킨 후에는 상기 길이조절부재(322)에 의하여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재(322)로 상기 당김 스트랩(310)이 통과하는 링과 상기 링에 삽입되어 상기 당김 스트랩(310)을 일측으로 압박하고 마찰력을 가하는 압박부재로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스트랩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이용되는 다양한 구성을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220)는 상술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는데, 또한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를 밀폐하는 배출 마개(240)는 더욱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는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를 밀폐하는 흡입 마개(220)는 상기 후드(400)의 외측에 있어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로 마개를 개봉할 수 있으나,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는 상기 후드(400)의 내측에 있어 사용자가 마개를 뽑지 않고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한 경우 다시 벗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화재 등 비상 상황에서는 이러한 잠깐의 상황에서 유독 가스나 연기에 의하여 질식될 수도 있으며, 촉각을 다투는 화재 대피 상황에서 시간을 허비하여 사용자에게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드(400)의 후면에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를 밀폐하는 배출 마개(240)를 형성하여 두고, 평상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드(400)의 전후면을 밀착시켜 후드(400) 전면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에 상기 배출 마개(240)가 삽입되어 밀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정화통(200)을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결착하는 경우 상기 돌출 배출구(230)가 상기 후드(400) 전면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호흡 마스크(100)에 형성된 흡기구(120)를 지나 상기 후드(400) 내부까지 진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가능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후드(400) 후면의 배출 마개(240)에 의하여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가 밀폐되어 후드(400)가 접힌 상태로 보관하다가,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트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접혀진 후드(400)를 펼쳐야 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배출 마개(240)가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로부터 뽑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한 상기 후드(400)는 사용자가 머리에 쓸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데, 화재 등 비상 상황의 경우에는 개방된 후드(400) 하부를 통하여 유독 가스나 연기가 들어와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하거나 혹시라도 흡입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후드(400)의 하부를 사용자의 머리가 관통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목 둘레를 중심으로 밀폐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후드(400)의 하부에 차단부재(430)를 형성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상기 차단부재(430)는 중심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두부 삽입구(4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 삽입구(431) 둘레를 따라서 탄성링(4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430)는 상기 두부 삽입구(431)에서 후다 내면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430)은 주름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얇으면서도 화염 등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430)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할 때에는 상기 탄성링(432)이 형성된 두부 삽입구(431)를 벌려 사용자의 머리에 덮어 씌우며 완전히 착용한 후에는 상기 탄성링(432)이 사용자의 목부위에 밀착되어 유독 가스나 연기가 상기 후드(4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10)를 구성함으로써, 평상 시에는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와 돌출 배출구(230)를 각각 흡입 마개(220)와 배출 마개(240)로 밀폐한 상태로 화재용 마스크(10)를 보관하다가 화재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보관된 화재용 마스트를 꺼내어 사용자의 두부에 쓰기 위하여 먼저 전후면이 접혀진 상기 후드(400)를 펼치는 과정에서 상기 정화통(200)의 돌출 배출구(230)를 밀폐하고 있던 배출 마개(240)가 빠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화재용 마스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호흡 마스크(100)를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에 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임 스트랩(300)을 구성하는 당김 스트랩(310)의 양 단부에 형성된 당김부재(311)를 양손으로 잡고 전방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당김부재(311)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흡입 마개(220)가 상기 정화통(200)의 흡입구(210)로부터 빠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정화통(200)의 마개를 제거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더라도 화재용 마스크(10)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화통(200)의 마개 전부를 개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상기 정화통(200)이 2개 구성된 화재용 마스크(10)를 바람직한일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정화통(200)이 1개 구성된 화재용 마스크(10)에도 충분히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 화재용 마스크
100 - 호흡 마스크
110 - 배기구 120 - 흡기구
200 - 정화통 201 - 필터
210 - 흡입구 220 - 흡입 마개
230 - 돌출 배출구 240 - 배출 마개
300 - 조임 스트랩
310 - 당김 스트랩
311 - 당김부재 312 - 당김 고리
320 - 고정 스트랩
321 - 고정링 322 - 길이조절부재
400 - 후드
410 - 투시창 420 - 스트랩 안내부
430 - 차단부재
431 - 두부 삽입구 432 - 탄성링
500 - 배기유닛

Claims (9)

  1. 사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밀폐하며, 사용자의 입의 위치에 대응하여 중심부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상기 배기구의 좌우 양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흡기구가 구비되는 호흡 마스크;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에 결착되며, 사용자가 내쉬는 숨은 외부로 배출하되, 외부 공기의 유입은 방지하는 배기유닛;
    전단에는 흡입구가, 후단에는 돌출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 배출구가 상기 호흡 마스크에 구비된 2개의 흡기구에 각각 결착되는 한 쌍의 정화통; 및
    상기 배기구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정화통의 흡입구를 각각 밀폐하는 흡입마개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당김부재가 일단과 타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를 둘러 감싸는 당김 스트랩과,
    일단은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가 관통되는 고정링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상기 당김 스트랩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통과하는 길이조절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 스트랩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를 사용자의 양손으로 각각 잡아 상기 당김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흡입마개를 상기 한 쌍의 정화통의 흡입구로부터 각각 이탈시킨 후 당겨서 상기 호흡 마스크를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조임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두부를 완전히 감싸는 후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호흡 마스크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서 상기 투시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의 배기구에 결착되며,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는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후드를 관통하여 상기 호흡 마스크의 흡기구에 결착되며,
    상기 조임 스트랩의 당김 스트랩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사용자의 두부를 둘러 감싸며, 상기 고정 스트랩은 상기 후드의 외측에서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후면에는,
    상기 조임 스트랩의 당김 스트랩이 통과하는 스트랩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후면에는,
    상기 정화통의 돌출 배출구를 밀폐하는 배출 마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목 부위를 감싸면서, 후드 내부를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차단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중심부에 상하를 관통하며 두부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 삽입구에서 후드 내면 방향으로 주름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부 삽입구의 둘레를 따라 탄성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KR1020200154174A 2020-11-18 2020-11-18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Active KR102600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74A KR102600723B1 (ko) 2020-11-18 2020-11-18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174A KR102600723B1 (ko) 2020-11-18 2020-11-18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81A KR20220067681A (ko) 2022-05-25
KR102600723B1 true KR102600723B1 (ko) 2023-11-10

Family

ID=8179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174A Active KR102600723B1 (ko) 2020-11-18 2020-11-18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7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4790B1 (ko) 2023-12-27 2025-03-21 주식회사 엘립 탈착 가능한 필터모듈이 구비된 화재대피용 마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6Y1 (ko) 2001-04-17 2001-10-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101210662B1 (ko) * 2012-04-17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793207B1 (ko) * 2017-07-20 2017-11-02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파우치 구조
KR101876150B1 (ko) 2017-12-12 2018-07-06 김영구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646Y1 (ko) 2001-04-17 2001-10-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101210662B1 (ko) * 2012-04-17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및 이를 위한 방독면용 두건의 제조방법
KR101536265B1 (ko) * 2015-04-14 2015-07-13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
KR101793207B1 (ko) * 2017-07-20 2017-11-02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파우치 구조
KR101876150B1 (ko) 2017-12-12 2018-07-06 김영구 주름 구조를 가지는 마스크 패키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84790B1 (ko) 2023-12-27 2025-03-21 주식회사 엘립 탈착 가능한 필터모듈이 구비된 화재대피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681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616A (en) Method of air filtration for fire fighter emergency smoke inhalation protection
EP0956067B1 (en) Face mask with back-up smoke inhalation prote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US4154235A (en) Escape filter device having protective hood
US4771771A (en) Gas mask having a protective hood
US6134716A (en) Disposable smoke mask with replaceable filter
MXPA97001534A (en) Process and emergency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inhalation of h
US5315987A (en) Filtering canister with deployable hood and mouthpiece
US4467795A (en) Breathing device package
US5957131A (en) Biological warfare mask
AU2009257188A1 (en) Clean air receiving module an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ve systems incorporating the module
GB2575233A (en) A breathing apparatus
KR102600723B1 (ko) 정화통 마개 개봉이 용이한 화재용 마스크
GB2209123A (en) Breathing apparatus
GB2105177A (en) A head and face protecting hood
CN104918663B (zh) 改进的呼吸保护设备吸入管道
CN206896623U (zh) 消防员应急自救装置
US20060289004A1 (en) Air purifying escape hood
US20200147417A1 (en) Device For Supplying Breathing Gas To A User
KR20060071061A (ko)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
CN2912697Y (zh) 具过滤装置的全罩式逃生面罩
KR100526310B1 (ko) 휴대용 방화 마스크
CN217661163U (zh) 一种火灾应急演练用防护面具
KR20230160080A (ko) 건강마스크
CN106943687A (zh) 消防员应急自救装置
JPH041716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