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0546B1 -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 Google Patents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546B1
KR102600546B1 KR1020230066397A KR20230066397A KR102600546B1 KR 102600546 B1 KR102600546 B1 KR 102600546B1 KR 1020230066397 A KR1020230066397 A KR 1020230066397A KR 20230066397 A KR20230066397 A KR 20230066397A KR 102600546 B1 KR102600546 B1 KR 102600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en
bolt
horizontal member
groove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23006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5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인 외관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둥부재와 가로재 내부에는 금속 재질의 각관 및 전산볼트가 구성되어 상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어서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목재 재질의 목재 기둥(10)과; 상기 목재 기둥(1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재질의 내부 각관(20)과; 상기 목재 기둥(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되는 목재 재질의 목재 가로재(3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내부 각관(20)과 체결너트(41)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전산볼트(4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목재 기둥(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11)과; 상기 각도조절 홈(11)에 결합되는 마감패널(5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Durable wooden fence railings}
본 발명은 목재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가 삽입된 목재를 기둥재와 체결하여 가로재의 내구성 강화와 조립 및 시공 편의성을 강조한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울타리는 등산로나, 산책로, 교량, 생태 탐방로 등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추락을 방지함과 함께 안전하게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울타리 구조물은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울타리기둥 사이를 가로재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울타리 기둥은 바닥면을 이루는 데크 시설물 또는 독립 기초(콘크리트)에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울타리 소재로는 금속류, PE, 목재, 합성목재가 주를 이루는 편이며, 최근에는 울타리의 시각적인 부드러움과 전원적인 분위기의 연출을 위해 목재를 이용한 시공이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목재 울타리의 경우 목재의 특성상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난간 레일과 지주 상호 간의 체결작업이 어렵게 되고, 또한 가벼운 외부 충격에도 체결부위가 쉽게 파손되어지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28441호(2013.01.25.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16000호(2016.04.2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둥재와 가로재에 각각 각관과 전산볼트로 울타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너트 체결로 지형의 굴곡이나 곡선에서도 시공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울타리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어서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목재 재질의 목재 기둥과; 상기 목재 기둥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재질의 내부 각관과; 상기 목재 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되는 목재 재질의 목재 가로재와; 상기 목재 가로재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내부 각관과 체결너트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전산볼트와; 상기 목재 가로재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목재 기둥의 측면에 형성되는 각도조절 홈과; 상기 각도조절 홈에 결합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울타리는, 전체적인 외관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둥부재와 가로재 내부에는 금속 재질의 각관 및 전산볼트가 구성되어 상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체결의 유동성 확보로 인한 울타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현장 상황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울타리의 기둥부재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내부 각관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에 목재 가로재가 조립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와 목재 가로재의 분리 상태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목재 가로재 단면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와 목재 가로재 조립상태 평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목재 가로재의 각도 조절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기둥부재 하부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 울타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울타리의 마감패널 결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울타리 시공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둥부재와 목재 가로재 조립상태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재 울타리 구조를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울타리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어서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목재 재질의 목재 기둥(10)과, 상기 목재 기둥(1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재질의 내부 각관(20)과, 상기 목재 기둥(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되는 목재 재질의 목재 가로재(3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내부 각관(20)과 체결너트(41)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전산볼트(4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목재 기둥(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각도조절 홈(11)과, 상기 각도조절 홈(11)에 결합되는 마감패널(50)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내부 각관(20)에는 전산볼트(40)의 연결을 위한 볼트홈(21)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홈(21)은 전산볼트(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를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볼트홈(21)의 상단부에는 체결너트(41)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크기의 너트 인입부(21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재 가로재(30)의 저부에는 전산볼트(40)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볼트 인입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인입홈(31)에는 전산볼트(40)를 받쳐주기 위한 볼트 받침패널(32)이 구성되며, 상기 볼트 받침패널(32) 하부에는 조명을 위한 LED(60)가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홈(11)의 폭(D)은 목재 가로재(30)의 폭(d)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울타리의 시공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울타리는 외관은 목재 재질을 이루는 가운데 금속 재질의 내부 부품 상호 간에 연결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성 및 내구성이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목재 기둥(10)에 수평으로 목재 가로재(30)를 연결 설치함에 있어서, 목재 가로재(30)에 관통 구비된 전산볼트(40)의 일단부를 내부 각관(20)의 볼트홈(21)에 인입시킨 후 체결너트(41)를 이용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볼트홈(21)의 상부에는 확장된 크기의 너트 인입부(21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너트(41)의 내측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전산볼트(40)의 체결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목내 가로재(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현장 상황에 따라 목내 가로재(30)의 수평방향 각도 조절이 펼요한 경우에는 체결너트(41)를 헐겁게 조절한 상태에서 도 7에서와같이 방향 전환에 따른 각도 조절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공 과정에서 목재 기둥(10)을 도 8에서와같이 바닥에서 일정 높이(h) 띄워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지면과 접촉에 따른 목재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목재 가로재(30)의 연결 조립이 완료되면, 도 9 및 도 10에서와같이 마감패널(50)을 목재 기둥(10)의 각도조절홈(11) 부위에 피스 체결을 통해 마감이 이루어짐으로써 울타리의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울타리는, 전체적인 외관은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기둥부재와 가로재 내부에는 금속 재질의 각관 및 전산볼트가 구성되어 상호 간에 체결이 이루어짐으로써 내구성 및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가로재의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시공현장 상황에 따른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각도 조절홈(11)의 내벽면에는 목재 가로재(30)와의 마찰에 따른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11a)이 코팅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목재 가로재(30)의 양단부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링(35)이 끼워져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호층(11a)은 실리콘수지 20~40중량%, 염화트리메틸술포늄 10~30중량%,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10~30중량%, 알킬셀레닌산 5~20중량%, p-톨일 옥타노에이트 1~10중량%, 알릴아세트산 1~10중량%,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1~10중량%, 히드록시-p-톨루산 1~5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링(35) 및 보호층(11a)의 구성을 이루게 되면, 목재 가로재(30)의 각도 조절 과정에서 목재 기둥(10)의 각도 조절홈(11) 내벽면과 접촉에 따른 손상 및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호층(11a)에는 촉매 효소인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및 염화트리메틸술포늄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 표면의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알킬셀레닌산은 실리콘 수지의 탄력성을 유지시킴으로써 완충 기능을 향상시키며, p-톨일 옥타노에이트는 실리콘수지 성분에 대한 촉매 기능을 통한 코팅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를 나타내고, 추가 첨가된 알릴아세트산은 보호층(11a)의 밀도가 향상되어 보호링(35)과의 접촉에 따른 물성 변화가 방지되며,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및 히드록시-p-톨루산은 각각 코팅 재료의 각도 조절홈(11) 내벽면과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보호링(35)과의 마찰 접촉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울타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목재 기둥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목재 기둥 11 : 각도조절 홈
20 : 내부 각관 21 : 볼트홈
30 : 목재 가로재 31 : 볼트 인입홈
32 : 볼트 받침패널 40 : 전산볼트
41 : 체결너트 50 : 마감패널
60 : LED

Claims (5)

  1.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어서 수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는 목재 재질의 목재 기둥(10)과;
    상기 목재 기둥(10)의 내구성 강화를 위해 내부에 구성되는 금속 재질의 내부 각관(20)과;
    상기 목재 기둥(1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구성되는 목재 재질의 목재 가로재(3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 내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양단부는 각각 상기 내부 각관(20)과 체결너트(41)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지는 전산볼트(40)와;
    상기 목재 가로재(30)의 수평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목재 기둥(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각도 조절홈(11)과;
    상기 각도조절 홈(11)에 결합되는 마감패널(50)과;
    상기 각도 조절홈(11)의 내벽면에 목재 가로재(30)와의 마찰에 따른 손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 형성되되, 실리콘수지, 염화트리메틸술포늄, 페닐알라닌사하이드록시라제, 알킬셀레닌산, p-톨일 옥타노에이트, 알릴아세트산, 세테아릴옥타노에이트, 히드록시-p-톨루산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보호층(11a)과;
    상기 보호층(11a)과 대응되는 목재 가로재(30)의 양단부에 끼워져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보호링(35);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각관(20)에는 전산볼트(40)의 연결을 위한 볼트홈(21)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홈(21)은 전산볼트(4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이루는 장공 형태를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볼트홈(21)의 상단부에는 체결너트(41)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확장된 크기의 너트 인입부(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홈(11)의 폭(D)은 목재 가로재(30)의 폭(d) 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재 가로재(30)의 저부에는 전산볼트(40)의 인입이 가능하도록 볼트 인입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인입홈(31)에는 전산볼트(40)를 받쳐주기 위한 볼트 받침패널(32)이 구성되며, 상기 볼트 받침패널(32) 하부에는 조명을 위한 LED(6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5. 삭제
KR1020230066397A 2023-05-23 2023-05-23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Active KR102600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97A KR102600546B1 (ko) 2023-05-23 2023-05-23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397A KR102600546B1 (ko) 2023-05-23 2023-05-23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0546B1 true KR102600546B1 (ko) 2023-11-08

Family

ID=8874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397A Active KR102600546B1 (ko) 2023-05-23 2023-05-23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488B1 (ko) * 2024-03-28 2025-01-07 주식회사 헤이블 보강재를 구비하는 가로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49B1 (ko) * 2012-04-02 2012-07-27 (주)신명테크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
KR101228441B1 (ko) 2012-10-26 2013-01-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1605007B1 (ko) * 2015-07-21 2016-03-21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난간 구조물
KR101616000B1 (ko) 2014-12-17 2016-04-27 (주)미강디자인 결합형 목재난간기둥
KR101978360B1 (ko) * 2018-09-19 2019-09-04 에스와이우드(주)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049B1 (ko) * 2012-04-02 2012-07-27 (주)신명테크 유지보수가 용이한 난간
KR101228441B1 (ko) 2012-10-26 2013-01-3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강도 보강형 목재난간
KR101616000B1 (ko) 2014-12-17 2016-04-27 (주)미강디자인 결합형 목재난간기둥
KR101605007B1 (ko) * 2015-07-21 2016-03-21 주식회사 제이엠멀티 난간 구조물
KR101978360B1 (ko) * 2018-09-19 2019-09-04 에스와이우드(주) 개량형 난간의 결합구조
KR20200134607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팀버 조명 기능을 구비한 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488B1 (ko) * 2024-03-28 2025-01-07 주식회사 헤이블 보강재를 구비하는 가로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79B1 (en) Method for anchoring a hollow fence post
US8342485B2 (en) Compression post mount
US20020121634A1 (en) Modular fence system
KR102055652B1 (ko)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US6205722B1 (en) Molded plastic stairway and rail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US11692383B2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102600546B1 (ko) 내구성 강화 목재 울타리
US10106986B2 (en) Curved pathway
CA2752934A1 (en) Connector for boardwalk system
KR100876098B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2177944B1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US20140332745A1 (en) Railing member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101323380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2451668B1 (ko) 난간 구조체
KR102315853B1 (ko) 데크용 난간의 설치구조
KR102382992B1 (ko)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US20070261324A1 (en) Precast stair tread with bolts
KR102032697B1 (ko) 내충격 및 내진 기능이 향상된 기둥 조립체 및 그것이 적용된 조립식 난간
KR200415823Y1 (ko) 파고라용 기둥구조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KR20220033977A (ko) 결합식 목재 데크 난간
KR200496257Y1 (ko) 견고한 시공이 가능한 목재기둥의 조립구조
KR101579693B1 (ko) 목재 수중 조립식 지주로 구성된 데크 및 목교
KR101881515B1 (ko) 경사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데크로드 난간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