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600249B1 -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 Google Patents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0249B1
KR102600249B1 KR1020210122192A KR20210122192A KR102600249B1 KR 102600249 B1 KR102600249 B1 KR 102600249B1 KR 1020210122192 A KR1020210122192 A KR 1020210122192A KR 20210122192 A KR20210122192 A KR 20210122192A KR 102600249 B1 KR102600249 B1 KR 10260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urved portion
connection clip
auxiliary sunglasses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191A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권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성 filed Critical 권오성
Priority to KR1020210122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024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024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2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hin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편리하게 안경테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선글라스를 상하로 간편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안경테와 보조선글라스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호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AUXILIARY SUNGLASSES COUPLING STRUCTURE OF GLASSES AND GLASSES FRAME USED IT}
본 발명은 안경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하기 위한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간단한 구성이면서 편리하게 안경테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선글라스를 상하로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기존 착용하는 일반안경의 전방에 별도 다리가 없이 구성된 보조선글라스를 결합하도록 된 안경이 다수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보조선글라스를 결합하도록 된 안경의 구조에 의해 기존의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중에 선글라스 사용이 필요할 경우나 수시로 선글라스의 착용이 필요한 경우에 착용하고 있던 안경을 벗고 선글라스를 교체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점을 해결 할 수가 있으며, 선글라스의 렌즈에 일반안경과 같은 도수를 넣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그 사용이 많이 보편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보조선글라스를 일반안경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과 보조선글라스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 동시에 필요하므로 그 구성이 매 우 복잡하였고 보조선글라스를 착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동작 및 회전시키기 위한 동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구체적인 종래의 예로는 일반안경과 선글라스의 각 양측 끝단에 영구자석 등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부착토록 하는 구성이 있으나, 양측의 끝에 결합수단이 구성되는 이유로 물체나 인체가 걸리는 등 거추장스러운 것은 물론 안경의 외관이 단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안경의 중앙부분에 클립형태로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예도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높고 외관이 불량하면서 연결수단이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게 되는 불편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7372호(2004. 11. 10.,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이면서 편리하게 안경테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선글라스를 상하로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호
고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는, 안경테(1)와 결합되며 탄성력이 있는 제1연결클립(11)과 상기 제1연결클립(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며, 보조선글라스(2)에 결합되고 탄성력이 있는 제2연결클립(1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클립(11)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면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고 타측은 밀착결합되는 한쌍의 탄성편(111)과 상기 탄성편(111)의 절개되어 개방된 일측면에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만곡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12)는 제1만곡부(113)와 상기 제1만곡부(11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면(114)과 상기 만곡면(114)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만곡부(115)와 상기 제1만곡부(113)의 일측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16)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11)의 타측면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117)가 더 형성되며, 제2연결클립(12)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면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고 타측은 밀착결합되는 한쌍의 탄성편(121)과 상기 탄성편(121)의 절개되어 개방된 일측면에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만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22)는 제1만곡부(123)와 상기 제1만곡부(12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면(124)과 상기 만곡면(124)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만곡부(125)와 상기 제1만곡부(123)의 일측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26)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21)의 타측면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127)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클립(11)과 상기 제2연결클립(12)은 각각의 일측단면이 마주보며 접하는 형태로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연결클립(11)의 만곡부(111)와 제2연결클립(12)의 만곡부(121)에 상기 고정부(20)의 외측면이 삽입되고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부(20)의 외측에 결합되며, 각각 고정부(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제공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고정부(20)는 삼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및 원형과 다각형이 결합된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바(21)와 상기 고정바(21)의 양측 단부에 고정바(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편(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이면서 편리하게 안경테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선글라스를 상하로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선글라스를 안경테로부터 특정 각도로 단계적인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 시 마다 보조선글라스를 안경테의 렌즈를 전부 또는 일부분을 가려주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경에 보조선글라스를 결합하기 위한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간단한 구성이면서 편리하게 안경테(1)에 보조선글라스(2)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선글라스(2)를 힌지형태의 결합을 통하여 상하로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10) 및 고정부(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는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되며, 힌지형태로 보조선글라스(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0)는 보조선글라스(2)와 결합되는 경우, 보조선글라스(2)를 지지하며 안경테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0)는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의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선글라스(2)와 안경테(1)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10)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이 상호 동일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의 일측은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보조선글라스(2)의 상부에 결합되어 안경테(1)를 기준으로 보조선글라스(2)를 상하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는 한 쌍의 연결클립으로 구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동일한 형상의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의 일측면에 형성된 만곡부(112, 122)를 마주보도록 하고, 각각의 만곡부(112, 122)의 일측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고정부(20)에 각각 체결되도록 하여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각각 동일한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연결클립(11)의 일측은 고정부(20)와 결합되며, 타측은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클립(11)은 안경테(1)의 상부에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클립(11)은 일 예로, 안경테(1)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클립(11)은 일측이 안경테(1)의 전방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클립(11)은 일측이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며, 타측은 상호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111)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탄성편(111)의 일측면에는 고정부(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만곡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탄성편(111)은 각각의 일측이 타측을 기준으로 벌어졌다가 외력이 사라지면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탄성편(111) 사이로 고정부(20)가 위치되면, 고정부(20)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112)는 탄성편(111)의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만곡부(112)는 고정바(2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곡부(112)는 탄성편(111)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탄성편(111) 각각의 일측면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만곡부(112)는 탄성편(111)의 내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는 제1만곡부(113)와 제1만곡부(113)로부터 탄성편(111)의 타측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면(114) 및 그 만곡면(114)부터 탄성편(111)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만곡부(115)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만곡부(113)와 제2만곡부(115)는 만곡면(114)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만곡부(113)와 제2만곡부(115)는 일 예로, 특정 곡률을 갖고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만곡면(114)은 탄성편(111)의 타측면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한 쌍의 탄성편(111)이 후술할 고정부(20)의 고정바(21) 양측을 지지하는 경우, 한 쌍의 탄성편(111)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부(20)의 양측이 한 쌍의 탄성편(111) 각각의 만곡부(112)로 삽입되되, 고정부(20)의 측면은 만곡면(242)과 접촉되고, 모서리 부분은 제1만곡부(113)와 제2만곡부(115) 각각에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탄성편(111)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걸림턱(116)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6)은 한 쌍의 탄성편(111)에서 각각의 일단이 상호 근접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6)은 한 쌍의 탄성편(111)이 고정부(20)의 양측을 지지할 경우, 내측면으로 고정부(20)의 외측면이 접촉됨에 따라 그 결속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탄성편(111)이 고정부(20)의 양측을 지지하는 경우, 걸림턱(116)에 의해 고정부(20)에 걸림에 따라 고정부(2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111)의 타측면에는 탄성편(111)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돌출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7)는 탄성편(111)의 타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7)는 특정 곡률을 갖고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17)는 일 예로, 걸림턱(116)과 동일한 곡률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7)는 탄성편(111)의 타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돌출부(117)는 탄성편(111)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경우, 탄성편(111)의 만곡부(11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열되도록 다수개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117)는 한 쌍의 지지편(21)에서 각각의 타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만곡부(112)의 형성으로 지지편(21)의 두께 또는 넓이의 축소로 저하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7)는 한 쌍의 탄성편(111)이 고정부(20)에 결합되거나 고정부(20)를 기준으로 회전할 경우, 한 쌍의 탄성편(111) 일측이 벌어졌다 오므라들었다 하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연결클립(12)은 일측이 고정부(20)에 결합되며, 타측은 보조선글라스(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클립(12)은 보조선글라스(2)의 상부에 소정 각도를 이룬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클립(12)은 일 예로, 보조선글라스(2)의 전방에 일부 돌출되고, 보조선글라스(2)와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타측이 보조선글라스(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클립(12)은 제1연결클립(11)과 마찬가지로 일측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며, 타측은 상호 밀착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편(121)으로 구성되고, 각 탄성편(121)의 일측면에 고정부(20)의 외측과 대응되는 형태로 만곡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연결클립(12)은 제1연결클립(11)과 동일한 형상 및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2연결클립(12)은 일측이 제1연결클립(11)의 일측과 중첩된 상태로 고정부(20)의 외측면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20)는 한 쌍의 연결부(10) 각각이 회전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할 수 있다. 고정부(20)는 한 쌍의 연결부(10)에서 각각의 일측이 상호 중첩되어 배치되는 경우, 그 각각의 일측 내부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다. 즉, 고정부(20)는 한 쌍의 연결부(10) 상호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20)는 바형상의 고정바(21)와 상기 고정바(21)의 양측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편(22)으로 구성된다.
고정바(21)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21)는 일 예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및 원형과 다각형이 결합된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고정바(21)는 외측으로 한 쌍의 연결부(10)인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 모두 결합되고, 고정바(21)를 중심으로 제1연결클립(11) 및 제2연결클립(12)이 상호 원활히 회전 및 회전 과정 중 특정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22)은 고정바(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고정바(21)의 양단에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22)은 일 예로,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 각각의 돌출부(117)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22)은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이 각각의 탄성편(111)을 통해 고정바(21)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경우, 제1연결클립(11) 제2연결클립(12)이 고정바(21)의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20)의 외측으로 한 쌍의 연결부(10) 각각이 결합되고, 각각의 연결부(10)는 고정부(2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에서 각각의 탄성편(111)이 고정바(21)의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탄성편(111) 사이로 고정바(21)가 위치되면서 만곡부(112)로 고정바(21)의 양측이 삽입되는 경우,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 각각이 고정부(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 각각 한 쌍의 탄성편(111)을 통해 고정바(21)의 양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고정바(21)를 중심으로 제1연결클립(11)과 제2연결클립(12) 각각 상호 동일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제1연결클립(11)은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되고, 제2연결클립(12)의 일측이 한 쌍의 탄성편(121)을 통해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연결클립(11)의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 제1연결클립(11)은 안경테(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2연결클립(12)만 고정부(20)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클립(12)이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바(21)의 측면과 만곡면(124)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만곡부(122)에서 제1만곡부(123)와 제2만곡부(125) 각각에 위치했던 고정바(21)의 모서리 부분이 각각 제1만곡부(112) 또는 제2만곡부(115)의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21)의 모서리가 한 쌍의 탄성편(121) 만곡면(124)을 지나는 동안 한 쌍의 탄성편(121)이 각각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 탄력이 최대가 되면, 이후, 누적된 탄력이 역으로 오므라드는 탄성 복원력으로 작용됨에 제2연결클립(12)은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회전이 이러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연결클립(12)에서 한 쌍의 탄성편(121)이 고정바(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고정바(21)의 양측이 재차 한 쌍의 탄성편(121) 각각에 만곡부(122)로 삽입되고, 고정바(21)의 측면이 만곡면(124)과 접촉이 이루어지면 회전은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클립(11)은 안경테(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2연결부클립(12)이 고정부(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1연결클립(11)의 일측에 결합되면, 제2연결클립(12)은 고정부(2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편(121) 각각의 만곡부(122)로 고정바(21)의 양측이 삽입 및 접촉이 이루어지는 시점마다 정지됨에 따라, 제2연결클립(12)이 특정 각도마다 회전이 정지되어 용이하게 단계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0)의 고정바(21)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각진 면이 증가할수록 제2연결클립(12)의 회전 각도가 더 다양해질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적용하여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를 결합하는 경우, 상호 고정부(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의 일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연결클립(11)의 타측은 안경테(1)의 상부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제2연결클립(12)의 타측으로는 보조선글라스(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클립(12)의 일측이 제1연결클립(11)의 일측에서 고정바(21)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보조선글라스(2)가 제2연결클립(12)을 통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착용 시, 보조선글라스(2)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 필요 시 마다 보조선글라스(2)를 안경테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의 결합 구성을 한 쌍의 연결부(10)와 고정부(20)로 단순화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의 조립과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고, 보조선글라스(2)의 반복적인 절첩에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의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10 : 연결부
11 : 제1연결클립
12 : 제2연결클립
111, 121 : 탄성편
112, 122 : 만곡부
20 : 고정부
21 : 고정바
22 : 고정편

Claims (6)

  1. 안경테(1)와 보조선글라스(2)에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호
    고정부(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0)는, 안경테(1)와 결합되며 탄성력이 있는 제1연결클립(11)과 상기 제1연결클립(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대응되며, 보조선글라스(2)에 결합되고 탄성력이 있는 제2연결클립(1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연결클립(11)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면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고 타측은 밀착결합되는 한쌍의 탄성편(111)과 상기 탄성편(111)의 절개되어 개방된 일측면에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만곡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12)는 제1만곡부(113)와 상기 제1만곡부(11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면(114)과 상기 만곡면(114)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만곡부(115)와 상기 제1만곡부(113)의 일측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16)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11)의 타측면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117)가 더 형성되며, 제2연결클립(12)은 일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되고, 상기 절개된 부분을 기준으로 양측면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고 타측은 밀착결합되는 한쌍의 탄성편(121)과 상기 탄성편(121)의 절개되어 개방된 일측면에는 고정부(2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절곡된 형상의 만곡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22)는 제1만곡부(123)와 상기 제1만곡부(12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만곡면(124)과 상기 만곡면(124)의 일측 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만곡부(125)와 상기 제1만곡부(123)의 일측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26)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121)의 타측면 외측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의 돌출부(127)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클립(11)과 상기 제2연결클립(12)은 각각의 일측단면이 마주보며 접하는 형태로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제1연결클립(11)의 만곡부(111)와 제2연결클립(12)의 만곡부(121)에 상기 고정부(20)의 외측면이 삽입되고 접촉되도록 상기 고정부(20)의 외측에 결합되며, 각각 고정부(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0)는 삼각형,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및 원형과 다각형이 결합된 형상의 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바(21)와 상기 고정바(21)의 양측 단부에 고정바(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편(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6. 제 1항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를 이용한 안경테.
KR1020210122192A 2021-09-14 2021-09-14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Active KR10260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92A KR102600249B1 (ko) 2021-09-14 2021-09-14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192A KR102600249B1 (ko) 2021-09-14 2021-09-14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91A KR20230039191A (ko) 2023-03-21
KR102600249B1 true KR102600249B1 (ko) 2023-11-08

Family

ID=8580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192A Active KR102600249B1 (ko) 2021-09-14 2021-09-14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02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58Y1 (ko) * 2003-02-17 2003-05-22 이상균 안경다리의 조립구조
JP3529632B2 (ja) * 1998-06-16 2004-05-24 有限会社為沢眼鏡 眼鏡に着脱自在の撥ね上げ式前掛眼鏡
KR101518133B1 (ko)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2779A (ko) * 2003-08-30 2005-03-08 이석재 각회동개폐형 선셰이드클립과 안경어셈블리
KR200367372Y1 (ko) 2004-08-20 2004-11-10 홍용식 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KR20080003598U (ko) * 2007-02-23 2008-08-27 임능섭 이중안경의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9632B2 (ja) * 1998-06-16 2004-05-24 有限会社為沢眼鏡 眼鏡に着脱自在の撥ね上げ式前掛眼鏡
KR200313658Y1 (ko) * 2003-02-17 2003-05-22 이상균 안경다리의 조립구조
KR101518133B1 (ko)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91A (ko) 202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5103B1 (en) Eyeglass frame with a reversible arm
US5608469A (en) Sunglasses with removable side shields
USRE40108E1 (en) Eyeglasses convertible into an eyeglass case
JP5667698B2 (ja) レンズ保持メカニズムを伴うアイウェア
CN114450625A (zh) 用于眼镜的可旋转镜架
US10156735B2 (en) Dual-folding eyeglasses and eyeglass collapsible case
JP2005502085A (ja) 回転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US6260965B1 (en) Eyeglass frame, an eyegla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inge for an eyeglass frame
CN112639583B (zh) 扁平折叠眼镜和盒体
JP6212540B2 (ja) 装飾用部品を備える眼鏡フレーム
US7566127B2 (en) Eyeglass frame with temples having two orthogonal axes of rotation and forming a case when folded
KR102600249B1 (ko) 보조선글라스 결합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안경테
CN109814272B (zh) 双重折叠眼镜和可收折眼镜盒
US20140268005A1 (en) Collapsible eyeglasses
US5076681A (en) Eyeglass frame temple and eyeglass frame comprising same
CN107209398B (zh) 具有防止镜片受到碰撞或者摩擦的闭合位置的眼镜架
CN209962033U (zh) 弹性铰链及具有该弹性铰链的眼镜
US8684519B2 (en) Dual eyeglasses
KR101158202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의 힌지 구조
TWM384322U (en) Eyeglasses temple connection structure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KR20230057565A (ko) 휴대가 간편한 신체부착 보관형 안경
KR10258884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3189038U (ja) 老眼用レンズつきサングラス
KR20230037980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