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605B1 -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9605B1 KR102599605B1 KR1020200160992A KR20200160992A KR102599605B1 KR 102599605 B1 KR102599605 B1 KR 102599605B1 KR 1020200160992 A KR1020200160992 A KR 1020200160992A KR 20200160992 A KR20200160992 A KR 20200160992A KR 102599605 B1 KR102599605 B1 KR 102599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ase
- smartphone
- arm
- driving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배터리는 케이스 길이가 과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케이스의 장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배터리가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여 부피가 커지더라도 구동장치로 인하여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중 배터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외측에 배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암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구동로드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로드의 끝단에 피봇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암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링크를 통해 상기 구동로드와 암이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수평방향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암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배터리의 상면과 일측면을 감싸는 배터리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한쌍의 암이 측방으로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직선이동되도록 암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암 가이드 및 상기 구동로드가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이동되도록 구동로드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구동로드 가이드가 소정높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3은 도 1의 보조배터리를 개선하기 위한 보조배터리의 예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을 비교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동장치 및 고정부재가 연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차부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홀더가 폴딩되는 원리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10,10′ : 케이스 11 : 안착면
12 : 폴딩 유도부 13 : 홀더 안착부
20,20′ : 배터리 30 : 무선충전코일
100 : 스위치
200,200′ : 구동장치 201,201′ : 피니언기어
210 : 구동로드 211,211′ : 래크기어
300,300′ : 고정부재
310,310′ : 암 311 : 단차부
320,320′ : 홀더 321 : 캠
400 : 링크
410 : 제1피봇점 420 : 제2피봇점
500 : 배터리프레임 510 : 암 가이드
520 : 구동로드 가이드
Claims (3)
- 배터리와, 무선충전코일이 케이스 내부에 탑재되는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스위치(100)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장치(200)와;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며 서로 대응하여 대칭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잡아서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서로 대칭이 되게 구비되어 케이스로부터 외측 및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여 벌어지고 좁혀지는 한쌍의 암(310)과, 상기 암의 양끝 단부에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대응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스마트폰의 양측면을 잡아 고정할 수 있는 홀더(32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케이스 길이가 과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의 하부에 케이스의 장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장치(200)는 상기 배터리가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여 부피가 커지더라도 구동장치로 인하여 케이스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중 배터리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외측에 배치된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암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구동로드(210) 및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로드의 끝단에 피봇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암의 일측에 피봇결합되는 링크(400)를 통해,
상기 구동로드와 암이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수평방향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암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배터리의 상면과 일측면을 감싸는 배터리프레임(500)이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프레임(500)의 상면에는 상기 한쌍의 암(310)이 측방으로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평직선이동되도록 암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암 가이드(510) 및 상기 구동로드가 이동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이동되도록 구동로드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하는 구동로드 가이드(520)가 소정높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모터를 사용하며, 회전모터와 상기 구동로드의 동력전달은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92A KR102599605B1 (ko) | 2020-11-26 | 2020-11-26 |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0992A KR102599605B1 (ko) | 2020-11-26 | 2020-11-26 |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166A KR20220073166A (ko) | 2022-06-03 |
KR102599605B1 true KR102599605B1 (ko) | 2023-11-07 |
Family
ID=8198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0992A Active KR102599605B1 (ko) | 2020-11-26 | 2020-11-26 |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960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0723B1 (ko) * | 2014-02-18 | 2015-11-23 | (주)코리아하이텍 |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
KR102084679B1 (ko) * | 2018-06-01 | 2020-03-04 | 조규호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KR102081908B1 (ko) * | 2018-08-23 | 2020-02-26 | 주식회사 인트비즈 | 무선충전 기능을 갖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및 이의 휴대폰 거치 및 탈착 방법 |
-
2020
- 2020-11-26 KR KR1020200160992A patent/KR102599605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73166A (ko) | 2022-06-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5078B1 (ko) | 휴대 단말기 거치대 겸용 컵 홀더 장치 | |
KR101892082B1 (ko) | 휴대 단말기의 유니버셜 도크 | |
KR101332388B1 (ko) |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
US20130200119A1 (en) | Device for attaching a tablet computer | |
US7616972B2 (en) |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 |
CN113226117A (zh) | 多功能托架 | |
KR102599605B1 (ko) | 스마트폰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 |
CN210016503U (zh) | 一种用于手机支架的托持机构 | |
KR20180068397A (ko) | 차량의 휴대 단말기 트레이 | |
KR20210000305A (ko) |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독서대 | |
KR101704295B1 (ko) | 차량의 무선 충전용 핸드폰 거치대 | |
CN210083088U (zh) | 移动装置固定架 | |
CN208581261U (zh) | 一种智能车载手机支架 | |
CN111431292B (zh) | 一种带有无线充电功能的多功能面板 | |
CN212085894U (zh) | 一种带有无线充电功能的多功能面板 | |
CN210016502U (zh) | 一种多杆联动型手机支架 | |
CN214755751U (zh) | —种可左右触摸式自动伸缩式的车载无线充电装置 | |
CN210258154U (zh) | 一种汽车用储物盒式杯托 | |
CN209409934U (zh) | 一种电子产品车载支架 | |
KR20180105367A (ko) | 전기자동차 충전기 충전단자 및 충전선 이동장치 | |
JP2001029146A (ja) | 収納体の昇降機構 | |
JPH11348677A (ja) | 携帯電話ホルダー | |
CN220291715U (zh) | 一种带支架的无线充电宝 | |
CN223085960U (zh) | 扶手屏升降装置以及车辆 | |
CN220754387U (zh) | 一种车载pad充电模块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