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815B1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8815B1 KR102598815B1 KR1020150179058A KR20150179058A KR102598815B1 KR 102598815 B1 KR102598815 B1 KR 102598815B1 KR 1020150179058 A KR1020150179058 A KR 1020150179058A KR 20150179058 A KR20150179058 A KR 20150179058A KR 102598815 B1 KR102598815 B1 KR 1025988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data driving
- display device
- driving print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들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 중 인접 영역 사이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상기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구비된 신호 케이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을 매개하는 적어도 하나의 COF를 포함함으로써 COF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빛샘 정도를 저감시켜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regions and including a connection between adjacent regions among the regions, and a signal provided between each adjacent reg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that includes a cable, a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COF intermediary between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thereby reducing the degree of light leakage when the COF is distorted and thereby realizing a high quality im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OF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빛샘 현상이 개선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light leakage phenomenon is improved when a COF is distorted.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FPD: Flat Panel Display)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및 전계발광소자(ED: 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Recently, various flat panel displays (FPDs) that can reduce the weight and volume, which are disadvantages of cathode ray tubes, are being developed. These flat panel display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plasma display panels (PDP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LEDs). Display),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ED).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LCD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화상신호 정보에 따라 조절하여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백라이트유닛에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에 화상을 형성한다.A typic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is a device that displays a desired image by adjusting the light transmittance of liquid crystal cells arranged in a matrix according to image signal information.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using light irradiated to the backlight unit. form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 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The scope of application of display devices using this principle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features such as light weight, thinness,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러한 추세에 따라, 표시장치는 사무자동화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차량용 네비게이터 시스템의 표시장치와, 노트북, 핸드폰 등의 휴대용 표시장치 등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According to this trend, display devices are being used in office automation equipment, audio/video devices, etc., and are also widely applied to not only computer monitors and televisions, but also display devices for vehicle navigator systems and portable display devices such as laptops and cell phones. there is.
최근 들어서는 시각적 만족감의 향상을 위해 표시패널이 곡률을 갖는 곡면표시패널이 등장하였는데,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에 신호를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은 곡률이 상이하므로 이들을 연결하는 COF(Chip On Film)이 뒤틀리는 트위스트(twist)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부분에서 빛샘이 일어나 표시장치의 품질이 저하되는바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Recently, curved display panels with a curvature of the display panel have emerged to improve visual satisfaction. Since the display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at applies signals to the display panel have different curvatures, the COF (Chip On Film) connecting them is distorted. A twist phenomenon occurs. Light leakage occurs in the above areas,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and a solution to this problem is needed.
본 발명은 COF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빛샘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improve light leakage when a COF is distorted.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들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 중 인접 영역 사이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상기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구비된 신호 케이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을 매개하는 적어도 하나의 COF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connection between adjacent regions among the regions, a signal cable provided between each adjacent region, a display panel, and the data. It includes at least one COF that intermediaries between the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분할된 각 영역보다 폭이 좁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narrower than each divided region.
또한, 상기 연결부는 1개 또는 복수개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절단된 상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one or plural,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ut in whole or in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두 영역으로 구분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divided into two area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의 곡률은 상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of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differ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may have a constant curvature along the major axis.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의 곡률차로 COF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빛샘 정도를 저감시켜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defects by reducing the degree of light leakage when distortion occurs in the COF due to a difference in curvature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인쇄회로기판과 COF의 결합 공정 시 기존의 장비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conomical because existing equipment can be used during the bonding process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곡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COF에 뒤틀림(twist)이 발생한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도 4는 종래의 표시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를 1개 구비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를 2개 구비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hotograph of a case where twist occurs in the COF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ventional curved display panel.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viewed from above.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schematically show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with one conn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b schematically show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with two connectio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s, sizes, proportion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to include the margin of error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top', 'on the top', 'on the bottom', 'next to', etc., 'immediately' Alternatively, there may be one or more other parts plac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f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as ‘after’, ‘after’, ‘after’, ‘before’, etc., ‘immediately’ or ‘directly’ Non-consecutive cases may also be included unless '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various technological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It may b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20), 타이밍 제어부(111), 데이터 드라이버(20) 및 게이트 드라이버(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른 예의 표시장치는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PD)일 수 있다.Although the
상기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유리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유리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분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의 교차되어 매트릭스 구조를 갖고, m?n (m,n 은 양의 정수)개의 액정셀들(Clc)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표시패널(120)의 제1 유리기판은 m 개의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 n개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과 n개의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의 교차영역에 위치한 트랜지스터(TFT)들, 트랜지스터(TFT)들에 각각 접속된 액정셀(Clc), 화소전극(1),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lass substrate of the
상기 표시패널(120)의 제2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전극(2)은 액정 구동방식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통전극(2)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제2 유리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고,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1)이 배치된 제1 유리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A black matrix, a color filter, and a common electrode 2 may be formed on the second glass substrate of the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0)는 타이밍 제어부(111)의 제어 하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래치하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으로 변환하여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을 발생하고 그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The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는 타이밍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의해 1 수평기간의 펄스 폭을 가지는 게이트 신호들을 게이트라인들(G1 내지 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30)는 화소 어레이와 동시에 제1 유리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타이밍 제어부(11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표시패널(120)에 맞게 재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20)에 공급한다.The
상기 타이밍 제어부(11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데이터 인에이블(Data Enable), 클럭신호(CLK, MCLK와 같은 메인 클럭신호를 포함한다) 등의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터 드라이버(20)와 게이트 드라이버(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The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2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 Source Start Pulse),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 Source Sampling Clock), 극성제어신호(Pol: Polarity), 및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신호(SOE: Sourc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드라이버(20)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 드라이버(122)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 드라이버(20)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극성제어신호(POL)는 데이터 드라이버(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수평 극성 반전 타이밍을 제어한다.The data sampling clock (SSC) is a clock signal that controls the sampling timing of data within the data driver 122 based on rising or falling edges. The data output enable signal (SOE) controls the output timing of the
게이트 드라이버(3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Start Pulse),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Gate Shift Clock),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Gate Output Enable) 등을 포함한다.Gate tim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상부 커버(10), 표시패널(120), 백라이트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100)는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단축 방향으로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고, 플랙서블 표시장치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상부 커버(10)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구조일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상부 가장자리를 감싸는 상부 커버(10)를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표시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상기 상부 커버(10)는 생략될 수 도 있다.The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백라이트 유닛(50)은 복수의 광학시트 및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들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 중 인접 영역 사이에 연결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상기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구비된 신호 케이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을 매개하는 적어도 하나의 COF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nd include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connection between adjacent regions among the regions, a signal cable provided between each adjacent region, a display panel, and the data driving device. It includes at least one COF that mediates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표시패널의 일측에 배치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되고 인접한 각 영역 사이에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each adjacent region.
도 3은 종래의 곡면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COF에 뒤틀림(twist)이 발생한 경우에 관한 사진이다. Figure 3 is a photograph of a case where twist occurs in the COF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ventional curved display pane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가 곡면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의 곡률이 상이하므로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COF에 뒤틀림(twist)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부분에서 빛샘이 발생하여 수요자에게 인식되는바 고품질의 화상 구현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curved panel, the curvatur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are different, so the COF located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distorted. In this case, light leakage occurred in that area and was recognized by the consumer, making it difficult to create a high-quality imag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들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들 중 인접 영역 사이에 연결부를 포함한다.Accordingly,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regions and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djacent regions among the regions.
도 4는 종래의 표시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s seen from above, and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래의 곡면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COF에 뒤틀림이 발생한 경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에 외력을 가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이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았다(도 4 참조).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conventional curved panel did not include a separate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to bend toge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when distortion occurs in the COF (see Figure 4). ).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의 사이에 위치하는 COF(130)에 뒤틀림이 발생하여 당해 부분에서 빛샘이 감지되는 경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해당 위치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표시패널(120)을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이 연결부(160)를 포함하도록 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5, in the
이에 따라, 빛샘이 감지되면 해당 부근의 연결부(160)에 절단 등의 방법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해당 부근의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이 표시패널(120)과 함께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빛샘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light leakage is det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161)들로 구분되며, 상기 영역(161)들 중 인접 영역 사이에 연결부(160)를 포함하는바, 상기 연결부(160)를 기준으로 그 좌우측에 분할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일 영역(161)이 위치한다.The data driving printed
본 명세서에 있어, 인접 영역이란 연결부(160)의 좌우측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 영역들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adjacent area refer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eas of the data driving pri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영역(161)들에 비해 폭이 좁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빛샘이 발생한 부분의 연결부(160)를 쉽게 절단할 수 있어 빛샘 현상의 개선이 보다 용이해진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연결부(160)는 표시장치(100)의 구동에 있어 해당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제조에 있어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연장선 상에 있으므로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빛샘 발생시 절단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외력 등의 충격에 약한 재질일수록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Except that the
또한, 상기 연결부(160)가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160)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인접 영역 사이에 구비되므로, 상기 연결부(160)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제조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기존 인쇄회로기판과 COF의 결합 장비를 그대로 채용하여 제조가 가능한바, 경제적이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160)의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hape of the connecting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를 1개 구비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를 2개 구비한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6a schematically show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with one conn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b schematically shows a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with two connection par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60)는 1 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개일 수 있으나, 빛샘 현상 발생 시 연결부(160) 절단의 용이성 측면에서 상기 연결부(160)는 1개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상기 연결부(16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부(160)의 절단 정도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이 표시패널(120)과 함께 휘어져 빛샘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이면 족하며, 반드시 연결부(160)의 전부가 절단된 상태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60)는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범위 내에서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절단된 상태일 수 있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영역(161)들로 구분되는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구분 가능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영역(161)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조의 용이성 및 기능 수행 측면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2 분할된 것일 수 있다.The data driving printed
본 발명에 다른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콘트롤 인쇄회로기판(미도시)으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신호를 COF(130)를 통해 표시패널(120)에 전달하는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COF(130)와 연결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COF(13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기판 패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driving printed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전원전압(VDD), 기저전압(VSS), 공통전압(VCOM),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등을 생성할 수 있다. The data driving printed
또한,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은 타이밍 제어부(111)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타이밍 제어부(11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및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OE), 데이터 스타트 펄스(SSP), 데이터 샘플링 클럭(SSC), 극성제어신호(Pol), 및 데이터 출력 인에이블 신호(SOE)등 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data driving printed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케이블(170)은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구비된다.A
전술한 바에 따라 빛샘이 발생한 부근의 연결부(160)를 외력 등을 가해 절단하는 경우, 메인 집적회로(Integrated Curcuit)를 포함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더라도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직접 연결되지 않은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영역(161)에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의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상기 신호케이블(170)을 구비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Accordingly, the
상기 신호 케이블(170)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그 종류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조의 용이성 및 기능 수행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20)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유리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 유리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120)은 도 1의 기술적 특징을 채용할 수 있다.The
상기 표시패널(120)은 액티브 영역(A/A)의 가장자리에 게이트 라인들과 연결되는 게이트 드라이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는 도시되지 않은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게이트 시프트 레지스트(Gate shift register)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게이트 드라이버(30)는 상기 게이트 시프트 레지스트는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공정으로 상기 액티브 영역(A/A) 가장자리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표시패널(120)의 액티브 영역(A/A)의 가장자리에 후술하는 COF(130)를 연결할 수 있다.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은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anel may have a constant curvature along the major axis.
본 발명에 있어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을 매개하는 COF(130)는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 각각의 장축 방향에 배치되므로, 상기 표시패널이 장축 방향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경우에 COF(130)의 뒤틀림에 의한 빛샘 불량 방지 효과가 현저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COF(130)는 상기 표시패널(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및 상기 표시패널(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을 매개한다.The
상기 COF(130)는 데이터 드라이버 IC(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COF(1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50)과 직접 연결되는 입력 패드들 및 표시패널(120)과 직접 연결되는 출력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F(130)는 COF 배선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OF 배선은 상기 COF(130)의 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COF(130)는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110)과 표시패널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에 영향이 없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그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The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bove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etc. illustrated in each embodiment can be combined or modified and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contents related to such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focuses on the example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exampl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re are various options not exemplifi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s. You will see that variations and applications of branche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xample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And these variations and differences related to appl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100: 표시장치
110: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120: 표시패널
130: COF
160: 연결부
161: 영역
170: 신호 케이블100: display device
110: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120: display panel
130: C.O.F.
160: connection part
161: area
170: signal cable
Claims (10)
상기 각 인접 영역 사이마다 구비된 신호 케이블;
표시패널; 및
상기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과 표시패널을 매개하는 적어도 하나의 COF;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케이블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별로 포함된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절단되고,
상기 절단된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서로 분리된, 표시장치.
It includes a first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a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areas. , a plurality of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s including connection portions disposed between adjacent regions among the regions;
signal cables provided between each adjacent area;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COF intermediating between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The first and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s each include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divided into two sides bas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ne end of the signal cab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rea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area,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arts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s is cut,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ut connection portion.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is narrower than the regions.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1개인, 표시장치.
In claim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one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는 2개 이상인, 표시장치.
In claim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two or more connecting parts connect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연결부는 전부 절단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연결부는 일부가 절단된, 표시장치.
In claim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part of one of the first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s completely cu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other one is partially cut of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display panel have different curvatures.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panel has a constant curvature along a major axis direction.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 구동 인쇄회로기판 각각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콘트롤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표시 장치.
In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that transmits electrical signals,
The first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 display device, wherein on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신호 케이블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상기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
In claim 9,
The signal cable transmits the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058A KR102598815B1 (en) | 2015-12-15 | 2015-12-15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9058A KR102598815B1 (en) | 2015-12-15 | 2015-12-15 |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105A KR20170071105A (en) | 2017-06-23 |
KR102598815B1 true KR102598815B1 (en) | 2023-11-06 |
Family
ID=5928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9058A Active KR102598815B1 (en) | 2015-12-15 | 2015-12-15 |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881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1715A (en) * | 2002-07-26 | 2004-02-26 | Hitachi Displays Ltd |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6063B1 (en) * | 2007-06-18 | 2014-03-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101420521B1 (en) * | 2012-11-08 | 2014-07-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KR20150111545A (en) * | 2014-03-25 | 2015-10-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2015
- 2015-12-15 KR KR1020150179058A patent/KR1025988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1715A (en) * | 2002-07-26 | 2004-02-26 | Hitachi Displays Ltd |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1105A (en) | 2017-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102813B2 (en) |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0510280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US9398687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line on glass | |
KR102020938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CN106291999A (en) |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test display apparatus | |
KR102412456B1 (en) | Display Device | |
KR101549260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CN103730085A (en) | Display device | |
US10013935B2 (en) | Gate driver,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US9070315B2 (en) | Display device | |
KR102394393B1 (en) | Display device | |
JP2014085661A (en) | Display device | |
CN106125373A (en) |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 |
US10078389B2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180914B1 (en) | Display device | |
KR102598815B1 (en) | Display device | |
KR102411379B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50115045A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2043849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277714B1 (en) | Gate Driv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reof | |
KR20110064116A (en) | LCD Display | |
KR102016566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102075355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40012399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50080304A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