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554B1 -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 Google Patents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8554B1 KR102598554B1 KR1020210094955A KR20210094955A KR102598554B1 KR 102598554 B1 KR102598554 B1 KR 102598554B1 KR 1020210094955 A KR1020210094955 A KR 1020210094955A KR 20210094955 A KR20210094955 A KR 20210094955A KR 102598554 B1 KR102598554 B1 KR 1025985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signal
- control unit
- encoder
- brake dr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25—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maintenance or rep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코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상시 감지 및 감시하고, 감지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정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를 발하여 수리나 교체 등의 보정작업을 수행토록 유도하며, 이후에도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신호부로부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된 직후부터 브레이크 드럼이 정지된 시점까지 입력된 엔코더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슬라이딩 거리가 허용된 설정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험이동거리에 속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주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n encoder to constantly detect and monitor the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and when the detected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is outside the set range, an alarm is issued to induce correction work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This relates to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he brake lining of a traction machine that ensures safe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so that it does not operate if correction is not made even after that. When a brake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signal unit, the brake signal is input. The encoder signal input from immediately after the brake drum is stopped is calculated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If the calculated sliding distance falls within a dangerous movement distance that does not fall within the allowed setting range, an alarm signal is generated.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oes this.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나 호이스트 등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코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상시 감지 및 감시하고, 감지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정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를 발하여 수리나 교체 등의 보정작업을 수행토록 유도하며, 이후에도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he brake lining of a traction machine applied to lifting devices such as elevators and hoist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onitoring the wear of the brake lining of a traction machine at all times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n encoder, and to detect and monitor the degree of wear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at all times, and to detect and monitor the wear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at all times. If the wear level of the traction machine is outside the set range, an alarm is issued to guide correction work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If correction is not made, the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ensures safe operation by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not to operate. It relates to a wear monitoring devic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나 호이스트 등 승강장치에 사용되는 권상기는 전동기, 감속기 및 브레이크 드럼을 포함한다.Generally, traction machines used in lifting devices such as elevators and hoists include an electric motor, a reducer, and a brake drum.
상기 전동기는 감속기를 통해 브레이크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The electric motor transmits rotational force to the brake drum through a reducer.
상기 브레이크 드럼은 시브(sheave)에 권취된 로프를 승강시켜 이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또는 피 운반 물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준다.The brake drum lifts a rope wound around a sheave to raise or lower an elevator car (or an object to be transported) connected to it.
또한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는 브레이크 라이닝부가 설치되어 브레이크 드럼에 제동력을 부여하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부의 초기 상태는 제동용 스프링에 의해 브레이크슈(shoe)가 브레이크 드럼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드럼을 제동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In addition, a brake lining part is installed on the brake drum to provide braking force to the brake drum, and the initial state of the brake lining part is a state in which a brake shoe pressurizes the brake drum by a braking spring to brake the brake drum. .
이와 같이 구성된 권상기의 동작을 살펴본다. Let'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traction machine configured in this way.
엘리베이터 카(이하 엘리베이터를 기준으로 설명)를 운행(상승 또는 하강)하기 위하여 전동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동시에 브레이크 라이닝부의 마그네트 코어로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제동용 스프링의 제동동작을 해제시킴으로써 전동기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준다.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electric motor to operate (up or down) the elevator car (hereinafter explained based on the elevator), power is also supplied to the magnet core of the brake lining portion to release the braking action of the braking spring, thereby Allows the rotation axis to rotate.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 및 시브는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로프 및 엘리베이터 카가 동작된다.Therefore, the brake drum and sheave rotate, and the rope and elevator car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is.
한편, 엘리베이터 카 운행 중 정지할 때에는, 해당 정지 위치에 엘리베이터 카가 근접하면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동시에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그네트 코어로의 전원 공급도 차단하여 제동용 스프링의 탄성력이 다시 브레이크슈에 전달되어 상기 브레이크슈가 브레이크 드럼을 가압함으로써 브레이크 드럼을 정지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카도 정지된다.Meanwhile, when the elevator car is stopped during operation, when the elevator car approaches the stopping position, the power to the electric motor is cut off and the power supply to the magnet core of the brake lining is also cut off,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braking spring is transmitted back to the brake shoe. The brake shoes stop the brake drum by pressing it, and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elevator car also stops.
이와 같은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동작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슈에는 마찰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라이닝을 부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브레이크 드럼과 상기 라이닝의 간극(gap)이 규정치 이내의 최소거리가 되어야만 제동 특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e operation of such traction machines and elevator cars, linings are attached to the brake shoes to maximize friction, and the gap between the brake drum and the lining must be a minimum distance within the specified value to maintain braking characteristics. This allows stable operation.
그런데 라이닝는 장기간 사용하면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지는데, 상기 라이닝의 마모는 브레이크 드럼과 라이닝의 간극을 점차 커지게 하고 이에 따라 제동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the lining wears out due to frictio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 wear of the lining gradually increases the gap between the brake drum and the lining, which causes the problem of reduced braking force.
이와 같은 제동력의 저하(불량)는 엘리베이터 카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 정지하게 되며, 심한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가 열리지 않게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Such a decrease (defect) in braking force causes the elevator car to stop outside of the designated position, and in severe cases,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elevator door cannot be opened.
크레인이나 호이스트의 경우에는 하부의 다른 물체와 충돌하는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case of cranes or hoists, there may be a risk of collision with other objects below.
이와 같은 위험 사항을 예방하기 위하여 권상기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상태에 따라 라이닝을 교체하거나 또는 라이닝의 마모 정도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간극을 보정(조절)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관리자가 브레이크 드럼과 라이닝 사이의 간극을 눈으로 확인하고 판단하기가 쉽지 않으며, 상기 보정 시기를 놓치면 전술한 바와 같은 위험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hazards, the traction machine can replace the lining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brake lining or correct (adjust) the gap between the brake drum and the lining depending on the degree of wear of the lining. However, in reality, the manager must control the brake drum and the lining. It is not easy to visually check and determine the gap between the two, and if the correction period is missed, a dangerous accident as described above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코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상시 감지 및 감시하고, 감지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정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를 발하여 수리나 교체 등의 보정작업을 수행토록 유도하며, 이후에도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antly detect and monitor the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of a traction machine with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n encoder, and to provide an alarm when the detected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is outside the set rang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he brake lining of a traction machine that ensures safe operation by issuing a warning signal to induce correction work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and by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not to operate if correction is not mad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기, 감속기, 브레이크 드럼 및 브레이크 라이닝부를 포함하는 권상기; 권상기의 회전을 감지하여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 엘리베이터 시스템 주장치로부터 브레이크 드럼의 브레이크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신호부; 상기 입력신호부로부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된 직후부터 브레이크 드럼이 정지된 시점까지 입력된 엔코더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슬라이딩 거리가 허용된 설정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험이동거리에 속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주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를 표시하거나 위험이동거리에 따른 경보를 발하는 표시 및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ncludes a traction machin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 reducer, a brake drum, and a brake lining unit; An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traction machine and outputs an encoder signal; An input signal unit that receives a brake signal from the brake drum from the elevator system mai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or receives an encoder signal from the encod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When a brake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signal unit, the encoder signal input from immediately after the brake signal is input until the time the brake drum is stopped is calculated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and the calculated sliding distance is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dangerous moving distance falls outside the permitted setting range; and a display and warning unit that displays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or issu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angerous mov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코더는 상기 전동기와 감속기 사이의 회전축, 상기 감속기와 브레이크 드럼 사이의 회전축, 전동기의 회전축,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o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reducer,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reducer and the brake drum, the rotation axi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brake dr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로부터 입력된 엔코더 신호인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m), 그리고 속도(m/sevc)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uses a pulse signal, which is an encoder signal input from the encoder, to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movement distance (m), and speed (m/sevc) of the elevator car in real tim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이동거리의 검출에 따라 경보를 발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가 다시 위험이동거리로 검출되면, 경보 없이 주장치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할 수 있는 운행중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trol unit issu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angerous moving distance, if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is again detected as a dangerous moving distanc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with the main device without an alarm. It is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driving stop signal.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로 각종 설정값을 입력하여 주는 설정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엘리베이터 카 운행중지신호를 주장치로 전송하여 주는 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tting unit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 values to the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elevator car operation stop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main device ar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엔코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상시 감지 및 감시하고, 감지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정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를 발하여 수리나 교체 등의 보정작업을 수행토록 유도하며, 이후에도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이 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한 효과를 제공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n encoder to constantly detect and monitor the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and when the detected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is outside the set range, an alarm is issued to perform correction work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If correction is not made, the elevator car is controlled not to operate, providing the effect of ensuring saf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라이닝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의 회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의 신호 타이밍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brake drum and brake lining part of Figure 1;
Figure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wear monitoring device of the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gnal timing diagram of the wear monitoring device for the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ls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브레이크 드럼과 브레이크 라이닝부의 상세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ure 2 is a detailed diagram of the brake drum and brake lining of Figure 1.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As shown, the elevator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상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엘리베이터카(60)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균형추(62)가 연결되는 로프(61)를 권취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60)를 구동하는 권상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60)를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레일(70)과, 조속기로프(81) 및 풀리(82)와 함께 연결되는 조속기(80)를 포함한다.A traction machin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상기 권상기는 전동기(20), 감속기(30), 브레이크 드럼(40) 및 브레이크 라이닝부(50)를 포함한다.The traction machine includes an
상기 전동기(20)는 감속기(30)를 통해 브레이크 드럼(40)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The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은 시브(41)에 권취된 로프(61)를 승강시켜 이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카(6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준다.The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에는 브레이크 라이닝부(50)가 설치되어 브레이크 드럼(40)을 제동하며 주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50)은 도 2에서와 같이 브레이크슈(51)의 전단부에 라이닝(52)이 설치된 형태이고, 초기 상태는 미 도시된 마그네트 코어 및 제동용 스프링의 구조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슈(51)가 브레이크 드럼(40)의 테두리부(42)(반드시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를 가압하여 제동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A
반면 엘리베이터 카(60)를 운행하기 위하여 전동기(20)가 동작이 개시되면,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마그네트 코어로 전원이 공급되어 이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제동용 스프링의 제동 동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브레이크슈(51)는 브레이크 드럼(40)의 테두리부(42)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브레이크 드럼(40)은 회전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40) 및 시브(41)는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로프(51) 및 엘리베이터 카(50)가 동작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전동기(20)의 회전축(21), 브레이크 드럼(40)의 화전축(21), 전동기(20)와 감속기(30) 사이의 회전축(21), 또는 감속기(30)와 브레이크 드럼(40) 사이의 회전축(21) 중 어느 하나에 엔코더(110)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상기 엔코더(110)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 전동기(20) 회전축(21)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감지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로 전송하여 준다.The
상기 엔코더(110)는 상기 전동기 회전축(21)의 회전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110)로부터 입력된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50)의 상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m), 그리고 속도(m/sevc)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의 회로 블록도이다.Figure 3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a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100)는, As shown, the
엔코더(110), 입력신호부(120), 제어부(130), 표시 및 경보부(140), 설정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한다.It includes an
상기 엔코더(110)는 권상기 전동기(20)의 회전축(21)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신호(이하 '엔코더 신호' 라고 함)를 출력한다.The
상기 입력신호부(120)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주장치(200)로부터 브레이크 드럼(40)의 브레이크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엔코더(110)의 엔코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준다.Th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신호부(120)로부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된 직후부터 브레이크 드럼(40)이 정지된 시점까지 입력된 엔코더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sliding) 거리를 산출한다.When a brake signal is input from the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 거리는 전동기(20) RPM 감속비율, 로프(51)의 본 수, 시브(41) 직경, 엔코더 펄스 수 등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계산된 이동거리 환상용 상수를 이용하고, 검출된 엔코더 신호(펄스)를 적용하여 산출하게 된다.The sliding distance of the
상기 제어부(130)는 산출된 슬라이딩 거리를 숫자로 변환하여 표시 및 경보부(140)로 출력하여 주며,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의 정지시마다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슬라이딩 이동거리는 안전이동거리와 위험이동거리로 구분할 수 있다.The sliding movement distance can be divided into a safe movement distance and a dangerous movement distance.
상기 안전이동거리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신호(falling edge 신호) 입력 직후(t1), 권상기가 완전하게 정지하는, 즉 도 5의 (b)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0)이 완전하게 정지하는 시점(t2)까지의 거리가 허용된 설정범위인 안전이동거리(S1)에 속하는 경우이다.The safe moving distance is such that immediately after the brake signal (falling edge signal) is input (t1), as shown in (a) of FIG. 5, the traction machine completely stops, that is, the
이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0)과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라이닝(52) 사이의 간극(d)을 보정(조정) 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닝(52)을 교체할 필요가 없는 정상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there is no need to correct (adjust) the gap d between the
반면, 상기 위험이동거리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신호 입력 직후, 브레이크 드럼(40)이 완전하게 정지하는 시점까지의 거리가 도 5의 (c)와 같이 허용된 설정범위인 안전이동거리(S1)을 초과하는 거리(S2)에 속하는 경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dangerous movement distance is a safe movement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point at which the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및 경보부(140)를 통해 슬라이딩 거리가 위험이동거리(S2) 임을 알리는 경보음을 울려준다. In this case, the
따라서 관리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0)과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라이닝(52) 사이의 간극(d)을 보정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닝(52)을 교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Accordingly, the manager has the opportunity to correct the gap d between the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위험이동거리(S2)의 검출에 따라 경보를 발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 거리가 다시 위험이동거리(S2)로 검출되면, 경보 없이 주장치(200)로 엘리베이터카(60)의 운행을 중지할 수 있는 운행중지신호를 출력하여준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안전이동거리(S1)과 위험안전거리(S2)는 해당 권상기의 상태를 최적의 상태, 즉 브레이크 드럼(40)의 테두리부(82)와 브레이크 라이닝부(80)의 라이닝(82) 사이의 간극을 최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횟수(예: 10회) 이상 반복 관찰하여 얻어진 평균데이터 값으로 설정하고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afety movement distance (S1) and the dangerous safety distance (S2) are set to the optimal state of the relevant traction machine, that is, between the
상기 표시 및 경보부(140)는 상기 제어부(130)의 출력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 거리를 표시하거나 위험이동거리에 따른 경보를 발한다.The display and
상기 설정부(150)는 상기 제어부(130)로 각종 설정값을 입력하여 주며, 상기출력부(160)는 상기 제어부(130)에서 출력된 엘리베이터 카 운행중지신호를 주장치(200)로 전송하여 준다.The
상기 엘리베이터 시스템 주장치(200)는 메인제어부(210)를 통해 권상기의 전동기(20) 등을 제어하고 브레이크 구동부(220)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부(80)를 구동 제어하며, 전동기 구동부(230)를 통해 전동기(20)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50)를 운행하거나 정지시켜준다.The elevator system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wear monitoring device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 chart of FIG. 4.
먼저, 엘리베이터 카(60)를 운행하기 위하여 주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전동기(20)가 동작 개시되면,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마그네트 코어로 전원을 공급하여 제동용 스프링의 제동 동작을 해제시켜 전동기 회전축(21)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준다.First, when the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40) 및 시브(41)는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로프(61) 및 엘리베이터 카(60)는 동작되고, 상기 전동기(20)의 회전축(21)에 설치된 엔코더(110)는 회전축(21)의 회전을 감지한 엔코더 신호를 발생하여 라이닝 마모 감지 및 감시장치(100)의 입력신호부로(120) 출력하여 준다.Accordingly, the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60)의 운행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60)를 정지시킬 때에는 주장치(200)가 전동기(20)의 전원을 차단하고 동시에 브레이크 구동부(220)를 통해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마그네트 코어로의 전원 공급도 차단하여 제동용 스프링의 탄성력이 복원되면서 브레이크슈(51)를 통해 라이닝(52)이 브레이크 드럼(40)의 테두리부(52)를 가압하여 브레이크 드럼(40)을 정지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 카(60)도 정지시키게 된다.In the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은 정지 동작 시 주장치(200)의 메인제어부(210)에서 브레이크 구동부(220)로 출력된 브레이크신호는 도 5의 (a)와 같이 시점(t1)에서 전원이 오프되는 폴링엣지 신호로, 이 브레이크신호는 상기 입력신호부(120)를 통해 제어부(130)로 입력된다.During such a stop operation, the brake signal output from th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신호부(120)로부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면(S11 단계), 상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된 직후부터 엔코더(110)로부터 입력되는 엔코더 신호를 카운트한다.(S12 단계)When the brake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signal unit 120 (step S11), the
이후 상기 엔코더 신호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으면(S13 단계), 제어부(130)는 브레이크 드럼(40)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이 정지된 시점까지 입력된 엔코더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sliding) 거리를 산출한다.(S14 단계)Afterwards, when the encoder signal is no longer input (step S13), the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브레이크신호 입력 직후(t1) 도 5의 (b)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0)이 완전하게 정지하는 시점(t2)까지의 거리가 안전이동거리(S1) 인가를 판단한다.(S15 단계).The
상기 슬라이딩 거리가 안전이동거리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산출된 슬라이딩 거리를 숫자로 변환하여 표시 및 경보부(140)로 출력하고, 프로그램 리턴된다.If the sliding distance is determined to be a safe moving distance, the
반면, 상기 단계(S15)에서 슬라이딩 거리가 안전이동거리가 아닌 도 5의 (c)와 같은 위험이동거리(S2)로 판단되면(S16 단계), 상기 제어부(130)는 표시 및 경보부(140)를 통해 거리를 표시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거리가 위험이동거리(S2) 임을 알리는 경보음을 울려준다.(S18 단계) On the other hand, if the sliding distance is determined to be a dangerous movement distance (S2) as shown in (c) of FIG. 5 rather than a safe movement distance in step (S15) (step S16), the
따라서 관리자는 도 2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40)과 브레이크 라이닝부(50)의 라이닝(52) 사이의 간극(d)을 보정(조정) 하거나 또는 상기 라이닝(52)을 교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Therefore, the manager has the opportunity to correct (adjust) the gap d between the
상기 단계(S18)의 경보 발생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S19 단계), 상기 제어 부(130)는 엘리베이터 카(60)의 운행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40)의 슬라이딩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가 다시 위험이동거리(S2)로 판단되면(S20 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경보 없이 출력부(160)를 통해 주장치(200)의 메인제어부(210)로 엘리베이터카(50)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운행중지신호를 출력하여 엘리베이터 카(60)의 운행을 중지시켜 준다.(S21 단계)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tep S19) after the alarm in step S18 is generated,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엔코더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으로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정도를 상시 감지 및 감시하고, 감지된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정도가 설정범위를 벗어난 경우 경보를 발하여 수리나 교체 등의 보정을 수행토록 유도하며, 이후 보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운행을 중단하여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using an encoder to constantly detect and monitor the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of the traction machine, and when the detected wear level of the brake lining is outside the set range, an alarm is issued to perform corrections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This has the effect of ensuring safety by stopping operation if correction is not possibl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한정된 실시예들을 설명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예상됨을 당업자는 주의해야 한다.Although limi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no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embodiments are expected.
20: 전동기 21: 회전축
30: 감속기 40: 브레이크 드럼
41: 시브 42: 테두리부
50: 브레이크 라이닝부
51: 브레이크슈 52: 라이닝
60: 엘리베이터 카
100: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
110: 엔코더 120: 입력신호부
130: 제어부 140: 표시 및 경보부
150: 설정부 160: 출력부
200: 주장치 210: 메인제어부
220: 브레이크 구동부 20: electric motor 21: rotation shaft
30: reducer 40: brake drum
41: Sheave 42: Edge portion
50: Brake lining part
51: brake shoe 52: lining
60: elevator car
100: Lining wear monitoring device
110: Encoder 120: Input signal unit
130: Control unit 140: Display and alarm unit
150: Setting unit 160: Output unit
200: main panel 210: main control unit
220: brake driving unit
Claims (5)
권상기의 회전을 감지하여 엔코더 신호를 출력하는 엔코더;
엘리베이터 시스템 주장치로부터 브레이크 드럼의 브레이크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거나, 상기 엔코더의 엔코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력신호부;
상기 입력신호부로부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브레이크신호가 입력된 직후부터 브레이크 드럼이 정지된 시점까지 입력된 엔코더 신호를 계산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를 산출하여 표시하고, 산출된 슬라이딩 거리가 허용된 설정범위에 속하지 않는 위험이동거리에 속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발생하여 주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출력에 따라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를 표시하거나 위험이동거리에 따른 경보를 발하는 표시 및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이동거리의 검출에 따라 경보를 발한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브레이크 드럼의 슬라이딩 거리가 다시 위험이동거리로 검출되면, 경보 없이 주장치로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중단할 수 있는 운행중지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
A traction machine including an electric motor, a reducer, a brake drum, and a brake lining unit;
An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of the traction machine and outputs an encoder signal;
An input signal unit that receives a brake signal from the brake drum from the elevator system mai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or receives an encoder signal from the encod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When a brake signal is input from the input signal unit, the encoder signal input from immediately after the brake signal is input until the time the brake drum is stopped is calculated to calculate and display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and the calculated sliding distance is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an alarm signal when the dangerous moving distance falls outside the permitted setting range; and
A display and warning unit that displays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or issu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angerous movement distance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issues an alarm according to the detection of the dangerous moving distance, and th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if the sliding distance of the brake drum is again detected as a dangerous moving distance, the control unit issues an operation stop signal that can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with the main device without an alarm.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s,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상기 엔코더는 상기 전동기와 감속기 사이의 회전축, 상기 감속기와 브레이크 드럼 사이의 회전축, 전동기의 회전축,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에 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
In claim 1,
The encoder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reducer,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reducer and the brake drum, the rotation axis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brake drum.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로부터 입력된 엔코더 신호인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m), 그리고 속도(m/sevc)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
In claim 1,
The control unit uses a pulse signal, which is an encoder signal input from the encoder, to determine the vertical movement direction, movement distance (m), and speed (m/sevc) of the elevator car in real time. Surveillance device.
상기 제어부로 각종 설정값을 입력하여 주는 설정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엘리베이터 카 운행중지신호를 주장치로 전송하여 주는 출력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기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모 감시장치.In claim 1,
A wear monitoring device for a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tting unit for inputting various setting values to the control unit, and an output unit for transmitting an elevator car operation stop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mai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955A KR102598554B1 (en) | 2021-07-20 | 2021-07-20 |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4955A KR102598554B1 (en) | 2021-07-20 | 2021-07-20 |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896A KR20230013896A (en) | 2023-01-27 |
KR102598554B1 true KR102598554B1 (en) | 2023-11-07 |
Family
ID=8510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4955A Active KR102598554B1 (en) | 2021-07-20 | 2021-07-20 |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855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91905B2 (en) * | 1992-03-02 | 2004-02-03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Elevator braking monitoring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523B1 (en) | 2005-12-30 | 2006-07-10 | 주식회사 한테크 | Hoist for elevator |
-
2021
- 2021-07-20 KR KR1020210094955A patent/KR1025985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91905B2 (en) * | 1992-03-02 | 2004-02-03 |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 Elevator braking monitor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3896A (en) | 2023-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64995B2 (en) | Elevator equipment | |
CN107148392B (en) | Elevator with non-central electronic safety system | |
EP2774886B1 (en) | Traction sheave elevator | |
CN101511716A (en) | Elevator apparatus | |
EP2958843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counterweighted elevator | |
AU2016307263B2 (en) | Anti-lock braking arrangement for an elev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CN107298356B (en) | Building settlement detection | |
US20060201752A1 (en) | Rescue braking system | |
EP3564170B1 (en) | Elevator car control to address abnormal passenger behavior | |
EP3960673B1 (en) | Elevator systems | |
CN101263072A (en) | Elevator braking system | |
KR102598554B1 (en) | Wear monitoring device for traction machine brake lining | |
EP3495302B1 (en) | Elevator apparatus and method | |
EP3828115B1 (en) | Emergency stop system for elevator | |
JP2007084239A (en) | Elevator | |
WO2005100224A1 (en) | Elevator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 |
KR100991207B1 (en) | Braking Device for Elevator | |
JP5026078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6896806B2 (en) | Hoisting machine | |
KR101749382B1 (en) | A Drive Chain Break Detecting Device For An Escalator and A Sub-brake Control System For An Escalator | |
JP6781306B1 (en) | How to adjust the brake torque of the hoist | |
CN107032206A (en) | With monitoring and prevent car accidental movement and elevator device out of control | |
JP2013023367A (en) | Elevator system | |
JP2008019052A (en) | Terminal story forced deceleration device for elevator | |
WO2024183880A1 (en) |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elevator car travel pa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